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학 · 언어교육]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Jung, Eu-Gene)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정유진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K-BSAS)의 타당화 연구
정유진,유미숙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2
본 연구는 만 15세 이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격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Slaby와 Guerra(1988)가 개발한 공격신념 척도(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Korean Adolescent's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Scale: K-BSAS) 개발을 위해 서울, 경기, 경북, 경남에 위치한 중학교 1,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 3학년 851명 중 만 15세 이상에 해당하는 6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성분분석을 통해 K-BSAS는 자존감 및 이미지 향상, 공격행동의 정당성으로 2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최종 총 9문항으로 결정되었다. K-BSAS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에서 성별에 따라 공격신념의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공격신념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K-BSAS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자존감 및 이미지 향상, 공격행동의 정당성과 총점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K-BSAS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K-DSQ의 공격성 도식 척도, K-CATS의 적대적 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K-BSAS는 공격성 도식 척도, 적대적 인지 척도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격행동집단과 비행집단에서 K-BSAS의 점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BAS-S의 T점수 60점을 기준으로 공격행동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뒤 K-BSAS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격행동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LDQ의 상위 10%tile을 기준으로 비행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뒤 K-BSAS 점수를 비교한 결과, 비행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K-BSAS의 신뢰도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만 15세 이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용 공격신념 척도의 타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 척도가 공격행동집단과 비행집단을 선별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정유진,김준순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2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개인의 환경몰입과 환경문제의식을 매개하여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 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일반인 대상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2019년 4월 11 일~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465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425부(91.4%)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구조방 정식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대부분이 산림생태계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산림생태계서 비스 인식이 환경몰입, 환경문제의식 두 변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크기는 공급·조절서비스보다 문화서비스 의 영향이 더 컸다. 총효과의 크기는 ‘문화서비스-환경몰입-친환경행동’의 경로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림생태계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람에게 친환경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문제의식보다 몰입이 효과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림생태계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자연환경과의 몰입 경험이 있을 때 친환경행동의도가 더 높으며 행 동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과 친환경행동의 관계를 파악하고 선행요인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유진,이길준,손진호,안동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8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a retroauricular hairline incision in partial superficial parotidectomy. Subjects and Method Twen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partial superficial parotidectomy via retroauricular hairline incision from 2014 to 2016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s characteristics, surgical outcome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sessed. Subjective cosmetic satisfaction was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3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In all 23 cases, parotid tumors were removed successfully via retroauricular hairline incision alone without any exposure failure. The mean operating time an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drainage was 117.6 min (range, 75-163 min) and 51.5 mL (range, 25-91), respectively. Major complications such as permanent facial nerve paralysis and hematoma were not reported. The mean visual analogue scale score for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the incision scar was 9.0 (range, 6-10). Conclusion We conclude that partial superficial parotidectomy via retroauricular hairline incision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arotid tumor is technically feasible and it provides excellent cosmetic outcomes without an increase in complication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1):42-6
유튜브 서머리 콘텐츠 특성과 콘텐츠 제공자 신뢰성이 이용자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이남정,이정훈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2
그간의 선행연구는 짧은 동영상, 숏폼 콘텐츠, 스낵 컬처 등에 한정되었으며, 원본 콘텐츠를 압축·요약한 형태의 서머리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튜브 서머리 콘텐츠 이용자의 몰입과 만족을 불러오는 유튜 브 서머리 콘텐츠 특성과 콘텐츠 제공자 신뢰성의 요인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도 제고 방안을 탐구하여 서머리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유튜브 서머리 콘텐츠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202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모든 몰입 세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오락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성과 독창성은 일부 몰입 속성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결성과 정보성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튜브 서머리 콘텐츠의 특성을 정의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short videos, short form content, snack culture and so on,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orm of summary content that compressing and summarizing the original cont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summary content market by exploring way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YouTube summary content features and the credibility of content providers that bring about flow and satisfaction of YouTube summary content us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2 people who have watched YouTube summary contents for finding out the effects of YouTube summary contents features and content provider credibility on the details of flow. As a result, only 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low detail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efines the features of YouTube summary contents, and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what direction the summary content should have in order to arouse user satisfaction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