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아동문학 장(場)의 형성과 상업적 재편의 상관성 연구 전집 선집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본고는 1960년대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과 아동문학의 분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하였다. 한국아동문학사에서 1960년대는 본격 아동문학의 시대 혹은 아동문학의 번성기라고 할 정도로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산출된 시기이다. 각종 아동 전문 일간지 창간과 다양한 형태의 잡지들이 간행되면서 아동문학 장(場)이 한층 풍성하고 새롭게 재편되었고, 그 결과 아동문학은 이전 시기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활기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이 진행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데, 특히 전집과 선집 발행을 통해 1960년대 아동문학장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60년대 다종다수의 전집 선집 발행은, 당대 아동문학과 그 장 형성에 일정 정도 영향을 끼쳤다. 이는 다방면에서 진행된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이 아동 전집 선집의 발행을 추동한 것이기도 하지만 아동문학가들이 다양한 작품으로 아동에게 접근한 것은 사실이다. 그것이 상업화라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빚어진 것이라 하여도 아동문학(장)을 문학으로 접근하고 사회에 영향력을 미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편찬자와 친분이 있는 작가는 작품의 질과는 상관없이 수록되었고, 또한 문단의 권력가인 작가가 선집을 주로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작품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 아울러 전집과 선집에 편중된 단편 수록도 예의주시하게 된다. 단편은 다종다수의 작품 수록으로 인해 다채로운 작품을 많이 읽힐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분량상 호흡이 긴 내용을 담기 힘들기 때문에 소재, 주제의 협소함 등은 부정적으로 여겨진다. It was noted in the 1960s in terms of commercial reorgan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1960s was a period of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is called such as the era of children's literature or the period of prosperity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publication of various types of magazines,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richer and redecorated; as a result,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a new activity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The commercial reorganiz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can be witnessed in this process, especially in the 1960s, whe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In the 1960s,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various types of books had a certain effect o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formation. While various reading campaigns and education combined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of children and selections, it is true that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have approached children with various works. Even if it is a result of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developed children's literature with established literature and influenced on their society. However, the author, who has an acquaintance with the editors, is often included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work, and can not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work because the author, who is the authority of the literary circle, often makes selections. In addition, short stories that are concentrated on the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will be closely investigated. These short stories have the power to read a lot of various works due to the number of work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considered to contain long amounts of breathing,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material and topic.

      • KCI등재후보

        소설 「저녁의 게임」 과 「동경」, 영화 <저녁의 게임> 서사 전략 비교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9 No.-

        이 글은 소설 「저녁의 게임」과 「동경」, 영화 <저녁의 게임>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 전략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소설과 영화는 문자와 영상이라는 확연한 매체적 차이와 독자적인 표현, 전달 방식에도 불구하고 서사장르라는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는 전제로 출발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 <저녁의 게임>은 소설「저녁의 게임」과 「동경」에서 읽을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와 상징을 영화에서 구성/재구성하였다. 특히 오정희 소설의 특장인 이미지와 상징을 활용하면서 이를 영화라는 매체에 잘 매개한 것으로 보인다. 가령, 화투 놀이뿐 아니라 집안 분위기를 읽을 수 있는 개구리, 거울 등을 차용, 변형하였다. 그러나 영화 <저녁의 게임>은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그것을 그대로 구현하거나 재현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영화라는 매체가 지닌, 즉 카메라로 응시하면서 생각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물론 영화에서 카메라가 소설이 갖는 인간 내면 심리와 사상을 직접으로 드러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영화 <저녁의 게임>은 소설 「저녁의 게임」과 「동경」을 기반으로 하여 감독만의 주제를 드러내고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폭력 등 근본적인 문제를 짚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소설과 영화라는 각각의 매체적 특징을 여실히 발현하였다고 여겨진다. This aims to compare through the epic strategic in which is disclosed in the novel 「the game at evening」 and 「copper mirror」 and the movie <the game at evening> and to study it. Of cour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n though the are definite medium difference between the novel as a letter and movie as an image, they can be involved in the same category as an epic genre. This study discloses that the movie 「the game at evening」 organizes /reorganize various images and symbols which can be read in the novel 「the game at evening」 and 「copper mirror」. Especially, it seems that the image and symbols, the distinctive of Oh junghee"s works is very effectively progressed in the movie through making making their efficient use. For that purpose, playing "flower cards" and a frog and mirror as well which can catch their family reasons. However, the movie <the game at evening> has no the limit to realize or reemerge them as it was, and provides the stage to think by fixing our eyes thereon through camera which the medium as like the movie is keeping characterically. Of course, the camera in te movie has a distinct limit to directly describe the state of human"s inside mind and thought which are really involved in the novel. It is judged that the movie <the game at evening> shows its director"s own theme and tells the badic problems as like patriachism ideology and violence, etc through the novel 「the game at evening」and 「copper mirror」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 as the medium as the novel and movie are truly revealed in this works.

      • KCI등재

        검열과 언론 통제와 글쓰기 문화 - 마해송의 『모래알 고금』을 중심으로

        장영미(Jang, Yeongmi)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현대소설연구 Vol.- No.82

        This study looked at childrens literature censors for Mahae Song works, and based on this, it identified the impact of censorship on the writers writing culture. The 『Sand Egg Gogum』 which was noted in this book, is famous for its many twists and turns, including serialization, suspension, and re-release. It is a work that shows the influence of censorship and the writers writing culture by publishing a series of articles on the ≪Kyunghyang Newspaper≫, which showed the oppression of the Syngman Rhee administration. The second part of the 『Sand Egg Gogum』 was reinstated, and the focus of the narrative shifted from the family to the society afterward,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contents. In other words, it criticizes dictatorships and actively expresses its desire for social justice and freedom. This is the way Mahae Song views the world and the way of writing in front of the censorship of the state power of the ≪Kyunghyang Newspaper≫ closed. Therefore, the suppression of the media, which aims to reflect society and show the world as it is, or the closure of the≪Kyunghyang Newspaper≫, played a major role in changing the creative style for Mahae Song. For Mahae Song, the phenomenon caused by censorship and media crackdowns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show social accusations and criticism more starkly. Therefore, censorship influences a writers writing culture and furthermore, literary characteristics change as well.

      • KCI등재

        제노사이드 재현의 의미와 향후 과제 - 『나무도장』과 『무명천 할머니』를 중심으로-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이 글은 제주 4‧3사건을 소재로 한 그림책을 대상으로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으며 계승 담론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4‧3의 본질과 향후 과제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 『나무도장』과 『무명천 할머니』 두 작품 모두 잔인한 학살과 비극을 날 것 그대로 재현하면서 4‧3사건의 본질과 역사적 의미를 담았다. 사건 후 겪는 양상은 다르지만, 등장인물들이 국가 폭력, 즉 제노사이드에 의해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에서 상흔과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는 점이 유사하다. 이러한 제노사이드는 과거의 비극적 역사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개인과 사회를 관장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이들이 트라우마로 인해 피폐한 삶을 산다는 것은 주목을 요한다. 다시 말해 대량학살과 같은 4‧3사건의 본질과 진실 규명, 올바른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 우리가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고 그것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더이상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본 연구의 출발점과 닿아있다. 물론 지금도 4・3사건의 본질과 진실 규명을 위해 다양한 곳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희생자들의 무고한 죽음과 피해에 비견하면 여전히 미진하다. 이는 4・3사건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미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ure of 4・3 incident and future tasks by examining how historical events are remembered and the discourse of succession for picture books based on the Jeju 4・3 incident. Both 『Wooden Stamp』 and 『Mumyeongcheon Grandmother』 contained what the 4・3 incident was, why it happened, what happened at the tim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4・3 incident. Although the patterns experienced after the incident are different, it is similar in that the characters live with scars and trauma at the boundary between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by state violence, that is, Genoside. It is problematic that these Xenosides are not only in the tragic history of the past, but still in charge of individuals and society. It is worth noting that even after a long time, they live a devastated life due to trauma.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nature and truth of the 4・3 incident, such as genocide, and to spread correct awareness. Remembering the tragic history and looking into it is to avoid repeating the tragedy anymore.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is in conta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Of course, efforts are still being made in various places to find out the nature and truth of the 4・3 incident,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nnocent deaths and damage of the victims. This can be said to mean that we need all of our attention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4・3 incident.

      • KCI등재

        1960년대 아동문학장의 형성과 문학권력 연구 - 신춘문예를 중심으로 -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3 No.-

        본 연구는 1960년대 신춘문예를 대상으로 하여 당선작(가작)의 작품 경향을 살피고 그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심사평을 살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1960년대 아동문학장의 형성과 문학권력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제도적인 차원의 등단제도인 신춘문예는 다른 시대도 그러하지만, 1960년대 신춘문예는 문화 제도권 내에서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수한 신인 발굴과 문단의 저변확대, 문학의 지형도 확장 등 강력한 등단 제도로 군림하면서 문화제도적 토대를 조성하였다. 이전의 문인이 신춘문예와 같은 등단제도를 거치지 않고 작가로 입문하는 방식을 염두에 둔다면, 1960년대 신춘문예는 문인의 재정비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1960년대 신춘문예가 등단제도의 제도화가 새로운 문학의 모색과 탄생에 얼마만큼 실질적으로 기여했는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고정된 심사위원들의 오랜 재임 기간 등은 부정적인 요소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신문사마다 매년 같은 심사위원 선정은 유사한 작품 경향을 양산하여 참신한 신인과 문학작품발굴이라는 취지를 퇴색시키고 있다. 보다 큰 문제는 심사위원들의 문학권력이다. 가령, 1960년대 신춘문예 심사위원들은 대개가 아동문단에서 비중 있는 자리에 있었으며 이는 새로운 작품 양산이라는 취지를 등에 업고 문학권력을 양산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점을 보더라도 신춘문예는 문학 권력의 한 축을 장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실, 문학권력을 제대로 비판하기 위해서는 등단제도를 문제 삼아야 한다. 즉, 등단제도는 문학 장으로의 진입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여기서 문제는 등단제도를 중심으로 해서 거대한 권력을 형성하여 발현되는 또 다른 폭력이다. 문학의 가치는 정치성이 아니라 문학 본연의 참목적으로 기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문학의 독자성을 염두에 둔다면 문학과 문학권력은 별개의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ndency of the awarded works (runner-ups) in the 1960s`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and the judges` evaluation. Based on this conte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and the problem of literature power. In the 1960s, the Contest played a pivotal role as one of the cultural institutions by making their debuts as new writers, expanding literary territories, and the topography of literature. That mean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in the 1960s contributed to the search for and the birth of new literature. However, it is still dubious whether this system works as a new platform for discovering new writers and new kind of literature. What is noteworthy is the judges` power on selecting award-winners. Also, the fact that the judges for this contest function as the similar contests might result in their literature powers. In fact, in order to properly criticize literary power, it is necessary to question the system of legitimation. In other words, the signing system allows entry into the field of literature. The problem here is another violence that is manifested by forming a huge power centering on the maritime system. The value of literature should function not for politics but for literary purposes. In other words, if the identity of literatur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literature and literary power should be separate.

      • KCI등재후보

        전후 아동소설 연구

        장영미(Jang, Young M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문학이 시대를 반영하고, 시대의 면면들이 문학에 투영되는 것은 자명하다. 특히 1950년 6?25 전쟁은 그 이후 한국 문학 에 있어 문학적 상상력과 성격을 형성한다. 50년대 문학이 전쟁 체험 세대의 증언적 성격을 내포하면서 피해적 측면으로 6? 25관을 형상화하였다면, 1960년대는 6?25 전쟁을 보다 객관적으로 수용하고 형상화한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1960년대 작품, 강소천의『그리운 메아리』와 이원수의『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전후 아동소설을 살펴보았다. 월남 작가 강소천은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반공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등 양가치적 사고를 반영한다. 이원수는 6?25 전쟁이 남긴 상흔에 매몰되지 않고 냉철한 시선으로 객관적 인식을 획득한다. 즉, 전후의 상흔들이 감정 과잉 에서 나오는 즉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 극복이라는 문제로 천착하면서 새로운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이렇듯 월남인인 강소천 문학의 원형질인 원체험과 이원수의 객관적 거리 감각이 1960년대 전후 아동소설의 특징 중 하나라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또한 두 작가의 전쟁, 이데올로기 문제를 통해 아동문학의 소재 확장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1960년 대 강소천과 이원수의 전쟁을 소재로 한 두 작품은 분명 한계 점을 지니지만, 아동문학의 외연과 내연 확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1960년대를 들여다보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Literature reflects this era, and it is fairly clear that every faces of the era is projecting into the literature.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form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ersonality. If 1950s literature describe a view of the Korea War as a enemy of damage, involving testified character of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it was accepted more objectively is from 1960s. With this in mind, I worked postwar childrens fiction with writer So-Cheon Kangs『A Longing Echo』 and Won-Su Lees『Echo Boy』 as the center which are written in 1960s. Writer as a north Korean refugee, So-Cheon Kang is a reflection of ambivalence thinking that is revealing blatantly anti-communist as a missing for family and home. Writer, Won-Su Lee get an objective recognition using cool-headed eyes that is not buried under the scars of the war left In other words, scars left by the war reveal new thematic consciousness, digging into the issue of overcoming the ideology, not just over-emotional senseitself. Like this, we can find one of the features of 60 postwar children fiction that are the distance sense of the objective of Won-Su Lee and basic experience that is protoplasm of So-Cheon Kang who is a refugee of north korea. At a same time, we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anded materials of childrens novel. Of course, there are those two works in a clear limitation that is war material, nevertheless it can be connected as an extension of external and internal connection and it can be evaluated as a opportunity that is looking in 60s that are war experience of those two writers and ideological issues.

      • KCI등재

        교과서로 본 일제의 식민 전략, 비사고와 동화(同化)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중심으로-

        장영미 ( Young Mi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8 No.-

        이 글은 통감부 시기 간행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대상으로 일제의 식민화 전략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일제가 공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내세운 교육정책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권력이 침투해 들어가는 경로의 추적에서 발견되는 전략성, 즉 권력의 전략 고찰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일제는 한일병합 이전, 즉 통감부 시기 이미 조선 사회 전반 걸쳐 모든 것을 장악하였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 글은 통감부 시기 일제가 공교육이라고 내세운 교육정책의 성격은 물론 교과서를 매개로 한 권력의 작동방식을 탐구하였다. 결국 연구 과정에서 발견한 것은 권력이 만들어낸 훈육 방식이 명백하다는 것이다. 권력의 메커니즘 속에서 수동적이고 훈육적 주체를 만들기 위해 비사고와 동화와 일선동조론으로 조선의 아동을 일본화 하려는데 『국어독본』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런 점에서 대한제국 마지막 학부 편찬의 『국어독본』은 시대의 환난을 내재한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is treatise is written to review the aspect for the Japanese Colonization in which was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Leaders for the Elementary School published at the time of Japanese Superintendent quarter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policy set up under the name of public education by means of this text. It aims to consider the strategy which we can find on the way to track how the power spread itself, and so to speak, to study the strategy of the authority concerned. The Japanese Imperialism grasped firmly everything of Korean (Chosun``s) communi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before Japanese annexation with Korea. delete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to study the education policy known as public education by Japanese Imperialists. Of course this is to reveal the way delete how to operate their power to Korean people(Chosunin) by using the textbooks during Japanese superintendent Quarter``s era. Anyway,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ir training way was clearly based on delete power. They had a positive position to use The Korean Language Leaders in order to make Korean children "Japanized" by the abnormal thought and assimilation, and the theory of alignment of Japanese with Korean (Chosunin) which was aimed to train Korean Children to be negative(passive) and the object to be trained.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Leaders published by the last editorial office of Korea Empire is considered to be textbook to show the hardships as much as the darkness of that era.

      • KCI등재후보

        인간 존재 체현과 세계의 공존 방식

        장영미(Jang, Young-Mi)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동란 후 불모시대였던 아동잡지가 1952년을 기점으로 다시 나타난다. 이에 소년소설이 갑자기 대두되어 잡지 또는 단행본 형식으로 그 모습을 나타낸다. 소년소설이 갑자기 대두된 것은 성인 문학가들의 대거 참여 결과이며, 여기에 손창섭을 거론할 수 있다. 1950년대 전후 작가를 논하는 데 있어 손창섭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그동안 손창섭의 소설세계에 대한 조명은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소년소설에 대한 조명은 불모상태였다. 이에 본 논문은 불모 상태인 손창섭의 소년소설을 살피면서, 손창섭이 어린이를 바라보는 시선과 함께 그의 소년소설 세계관을 포착하였다. 손창섭의 소년소설에서는 선한 인물과 악한 인물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였다. 아울러 현실 세계를 리얼하게 노정하면서 희망을 갈구하는 세계를 표출하였다. 이 점은 그가 소설에서 대개 ‘잉여인간’과 ‘미해결의 장’으로 재현한 것과는 분명 다른 지점이다. 결국 이러한 점은 손창섭이 어린 독자를 상정하면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려고 하는 의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린 독자를 상정한다고 해서 반드시 현실을 은폐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재현하여 리얼리티를 확보하고자 한 손창섭의 소년소설 세계관을 읽을 수 있다. Jevenile magazine which was in barren period after the Korean War appeared again with 1952 as starting point. That boy novel came to the fore suddenly is the result of great participation of literary men of adults, and we may make Sohn, Chang Seob a subject of discussion here. In discussing writers before and after 1950s, Sohn, Chang Seob may not be omitted. However, illumination for the novel world of Sohn, Chang Seob was made actively, whereas illumination for boy novel was in barren state. So, this thesis captured his view of the world of boy novel with the sight that Sohn, Chang Seob looked at children, examining boy novel by Sohn, Chang Seob which was in barren state. Boy novel by Sohn, Chang Seob reproduced world as it was, embodying good person and bad person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he expressed the world to thirst for hope, while he disclosed actual world really. This poin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at he reproduced as surplus human being and unsolved field for the most part in novel. After all, this point is the intention that Sohn, Chang Seob tried to transmit the message of hope, supposing young readers. But, it is not to conceal actuality to suppose young readers, but this researcher could read view of the world of boy novel by Sohn, Chang Seob who tried to secure reality by reproducing as it was.

      • KCI등재

        월남 아동작가와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강소천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강소천은 북한에서 생활 근거를 박탈당하고 고향을 떠나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작고하기 전까지 한 시대를 주도하였다. 월남 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을 규율하는 근본 요소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상상력을 부인할 수 없다. 그동안 전후 월남 아동작가의 작품은 유사한 관점으로 균일하게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의식과 연결하여 규명하게 되면 작가 개인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찰하는 동시에 해방 이후의 역사와 문학(사)을 보다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직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실,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들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찾고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현상(現象)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작품을 보다 폭 넓게 읽으려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살핀 바에 의하면, 강소천 작품의 많은 부분에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띄고 있었다. 작가는 한편으로 이산자로서의 근원적 정체성을 찾지만 다른 한편으로 응축된 몸부림을 내재하였다. 이는 분단 현실에 대한 단순한 대응이 아니라 망명자로서의 죄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지배문화와 지배체제에 동조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망명자라는 기표, 즉 전후 디아스포라 의식의 표상과 작품화라는 측면으로 분석한다면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강소천의 작품 곳곳에서 디아스포라 의식에 따른 귀향과 향수의 세계, 전후 현실에 대한 환멸의 서사, 환상의 초월과 탈주의 세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월남 작가들에게 씌워진 프레임, 즉 반공 이데올로기적 편견에서 벗어나 한층 근원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시각이 제공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asporic imagination shown in the works of Kang So-chu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ang So-cheon led an era until his death in North Korea, when he was deprived of his living grounds and left his hometown to settl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fundamental element of discipline in the works of Kang So-chun, the North Korean refugee writer, cannot deny diasporic 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It is true that the works of post-wa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writers have been studied uniformly from a similar perspective. However, if it is identified in connection with the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critical and objective to examine the literary identity of the individual writers and to face up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n fact, this study started with a broader reading of the works by looking at the diaspora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nd looking at how it was developed in their works.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Kang's works contain plenty of diasporic imagination. On the one hand, the author seeks the fundamental identity of the disciple, but on the other, embodies condensed strugg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 sense of guilt as a refugee, not just a response to the reality of division. Of course, he created works that sympathized with the ruling culture and system. However, if thi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exile, namely the expression and work of post-war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Kang So-cheon's works include a world of homecoming and nostalgia following diaspora rituals, a narrative of disillusionment with the post-war reality, and a world of fantasy and deser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by evading the frame, or anti-communist ideological prejudice, these existing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will provide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works.

      • KCI등재후보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학

        장영미(Jang, Young Mi)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1 No.-

        이 글은 마해송의 전쟁 소재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작가가 기억하는 전쟁 상황과 인식 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학을 고찰한 것이다. 마해송이 초기 작품에서 보이던 풍자와 저항 정신이 6·25 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작품 경향이 달라지는 것을 포착하여 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전쟁을 소재로 한『앙그리께』에서 전쟁을 인식하는 방식, 즉 반공이 확연히 드러난 것을 염두에 두고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학을 살폈다. 『앙그리께』가 발표된 1950년대 후반은 당시 지배 세력의 지위 확보/통치를 위해 이데올로기 생산이 요원한 시기다. 이른 측면에서『앙그리께』는 작가 마해송이 종군작가로 활약하면서 체험하고 경험한 전쟁의 기억을 한편으로는 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작품화한 것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사적 기억을 동원하여 전쟁 자체보다는 사회적 장치로 작동한 것으로 여겨진다. 가령, 『앙그리께』는 전쟁으로 인해 삶이 파괴되고 실존이 위협받는 것을 보이고 있다. 평범했던 사람들의 삶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가 핍진한 삶을 살게 되고 나락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이 비극적인 삶의 원인은 모두가 공산당으로 인해 빚어진 것이며 인민군의 잔악함은 공포감을 조성하였다. 따뜻한 마음을 갖고 있는 국군인 구중위의 모습과 달리 인민군의 포악함은 작가의 양극화된 시선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한 개인의 사적 경험과 기억에 요인한 것으로만 볼 수는 없다. 결국, 『앙그리께』를 통해 한 개인이 전쟁을 기억하고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기억은 과거의 시간과 추억으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향한, 즉 공동체적 삶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한 국가의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정치적 이해관계는 물론 구성원들의 사회·문화사적 가치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창작이란 작가 자신이 경험하고 체험한 것을 결과물이겠지만 작가의 기록은 단지 작가만의 소유를 넘어서는 공적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정치 문제를 다시 한번 상기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situation of war and the memory of war based on the war situation and awareness that the artist memorizes. The sarcasm and resistance spirit that Ma Hae Song showed in the early works seeks to capture the changing tendency of the works based on the war of the six and twenty-fifth period. In particular, he studied the politics of memories and memories of war, with the idea of recognizing war in「Angrice」 which is based on war, with a clear view of anti-communism. In the late 1950s when「Angrice」was announced, it was a time when ideology was neede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ruling power.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when the integration of the people and the production of ideology are necessary for the reign of the ruling forces. In this respect,「Angrice」is a work of writer Ma Hae Song, a writer of the war, experiencing and experiencing the memory of the war on the one hand with the use of literary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Device. For example,「Angrice」 shows that war is destroying life and the existence is threatened.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adults or children, live a life of deprivation and fall into hell. However, the cause of this tragic life was all due to the Communist Party and the brutality of the People"s Army created a sense of fear. In addition, unlike the appearance of Lieutenant General Koo, who is a national army with a warm heart, the armed forces of the People"s Army can find the polarized gaze of the artist. This can not be seen as a factor in the personal experience and memory of an individual.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through「Angrice」one person is not related to memories and possessions of war, but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memory is not only a function of time and memories of the past, but an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at is, the community life. In particular,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 historical events of a country can be sai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at it shares the socio -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of members as well as current and future political interests. Therefore, the creation is the result of what the artist himself experienced and experienced, but the writer"s record reminds us once again of the memory of war and the political problem of memory in terms of public record beyond the ownership of the artist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