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병원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미치는 영향

        이화람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의료기관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며, 간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자는 A광역시 소재의 일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347명으로 2015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간호사 선정기준은 현재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 중 근무경력 1년 이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간호사이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ANOVA, t-test, Pearson’s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사후검정으로 Scheffe 기법 등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Cohen의 표본추출 공식에 따른 sample size 계산 프로그램인 Franz Faul등의 G*Power 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5% 유의수준과 95% 검정력으로 하여 표본크기를 산출했을 때 최소 표본크기는 17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 총 400명을 모집하였으며, 최종 347부를 회수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 직장애착간의 상관분석결과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r=.711, p<0.001),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장애착(r=.521, p<0.001), 직무만족과 직장애착(r=.611, p<0.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장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인 성별, 나이, 결혼여부, 학력, 직위, 근무경력을 포함하여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을 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4.2%의 설명력을 나타냄으로써 (F=28,421, p<0.001)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은 직장애착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내부마케팅을 통해 직무만족을 유도하여 직장애착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병원 관리자들은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하며, 병원은 내부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직무만족이 떨어지는 영역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해 직장애착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식물면역활성제를 처리한 발아현미가 흰쥐의 비만억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초록> 식물면역활성제를 식물에 접촉하면 식물은 자기방어를 하기 위하여 페놀성 화합물 등 2차대사산물을 생성하고 세포벽을 두껍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과 소금을 이용한 발아현미에 대한 유용성분과 생리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키토산처리 발아현미 섭취가 흰쥐의 비만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료는 0.03% 키토산과 0.05% 천일염을 사용하여 재배한 발아현미(CGBR)와 증류수로 재배한 발아현미(GBR) 두 종류이다. 유용성분으로는 페놀성화합물, 식이섬유, GABA, phytic acid 등을 측정하였는데 CGBR이 GBR보다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이중 수용성식이섬유의 함량은 CGBR와 GBR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불용성식이섬유의 함량은 CGBR와 GBR간에 차이를 나타냈다(CGBR: 8.1%, GBR: 6.9%). 또한 식물성분에서 항산화활성의 발현에 관여하는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CGBR에서 GBR보다 높은 함량(CGBR: 92.1 mg/100g, GBR: 74.5 mg/100g)을 나타내었으며, GABA(ϒ-aminobutyric acid)함량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냈다(CGBR: 1882.2 nmol/g, GBR: 1260.0 nmol/g). Phytic acid 함량은 CGBR가 23.9%로서 GBR의 2배로 측정되었다. Lipase 저해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해보았는데 Lipase 저해활성이 CGBR>GBR>BR의 순서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GBR과 CGBR에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두 실험구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우리는 키토산 처리 발아현미의 비만억제효과를 보기 위하여 수컷 흰쥐를 5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총 4주였다. (Normal: 일반식이, n=8; Control: 고지방식이대조군, n=8; BR: 현미첨가 고지방식이, n=8; GBR: 발아현미첨가 고지방식이, n=8; CGBR: 키토산처리발아현미첨가 고지방식이, n=8) 4주동안 체중은 정상적으로 증가하였는데 CGBR의 체중증가량이 Control 집단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혈중 CHOL, TG, LDL 등의 농도는 CGBR이 Control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키토산을 이용하여 발아시킨 현미는 흰쥐의 비만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Elicitors are defined as substances that induce defence responses in plants, which include enhanced 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phenolic compounds and cell wall thickening.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germinated brown rice treated with chitosan (CGBR) and its anti-obesity effect in Sprague-Dawley rat. Samples were prepared from the germinated brown rice treated with 0.03% chitosan containing 0.05% solar salts (CGBR) and with distilled water (GBR). Contents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such as total phenolic compounds, dietary fiber, ϒ-aminobutyric acid (GABA), and phytic acid in CGB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BR. Total phenolic compounds (92.1 mg/100g) in CGBR were higher than that (74.5 mg/100g) of GBR. GABA content (1882.2 nmol/g) in CGBR was about 1.5 fold higher than that (1260.0 nmol/g) of GBR. Phytic acid content (23.9 mg/g) of CGBR was higher than that (13.1 mg/g) of GBR.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in CGBR (8.1%) was also higher than that (6.9%) of GBR, but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of CGBR and GBR were not differed. Lipase inhibitor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GBR and GBR was also determined. CGBR showed higher lipase inhibitory activity than GBR,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phytic acid in CGBR may be involved in lipase inhibitory activity. Howeve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GBR was similar to that of GBR. We have investigated anti-obesity effect of CGBR feeding in Sprague-Dawley rat fed high fat diet.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four weeks using male Sprague-Dawley rats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group (normal diet, n=8), control group (high fat diet, n=8), brown rice (BR, brown rice+high fat diet, n=8), GBR (germinated brown rice+high fat diet, n=8), and CGBR (chitosan treated germinated brown rice+high fat diet, n=8).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in CGB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5).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CGBR were lower and HDL and HDL cholesterol in CGBR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except normal group. Thus, new production method of germinated brown rice treated with chitosan (CGBR) is a useful process, which utilizes plant defense responses to elevate the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 Phenylethanoid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Rehmannia glutinosa Libosch. ex Fischer & C. Meyer. (Family: Orobanchaceae) is a perennial plant, a traditional Chinese herb that used as medicinal substanc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roots of R. glutinosa ha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hematic, tonic, and antipyretic.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ajor compounds and activities of Rehmannia, there are not much reports related to structural analysis of other constituent compounds. In this study, the dried roots of R. glutinosa were extracted with MeOH, and the extract was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n-Hexane, EtOAc, and n-BuOH. Two compounds, martynoside (20), and leucosceptoside A (21), which are phenylethanoid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fraction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MPLC, HPLC and Sephadex.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s was analyzed using various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techniques and confirmed by comparing them with existing literature of other plants. In addition, through in silico docking simulations,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se compounds could serve as PPAR activator in diseas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was checked and also checked their potential as a tyrosinase inhibitor in related diseases including hyperpigmentation that may occur due to excessive melanin production. In previous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main component of R. glutinosa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so a cytotoxicity assays were requested for the extracts, but the results were not found in this study. Rehmannia glutinosa Libosch. ex Fischer & C. Meyer. (열당과: Orobanchaceae)는 다년생 식물이고, 중국의 전통 허브로 약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R. glutinosa 의 뿌리는 다양한 약리 활성 작용과 함께 한방에서 보혈제, 강장제, 해열제로써의 사용이 보고되어 있다. 지황의 주성분과 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에 비해 다른 구성 물질의 구조 분석과 관련된 보고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황 뿌리를 MeOH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n-Hexane, EtOAc, BuOH의 순서로 분획하였다. 그리고 EtOAc 분획물로 open column choromatography, MPLC, HPLC, Sephadex의 방법을 통해 phenylethanoid glycoside 종류인 martynoside (20), leucosceptoside A (21) 2개의 단일물질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각종 이화학적 및 분광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기존의 문헌과 각각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in silico docking simulation을 통하여 이 물질들이 지질대사 관련 질환에서 PPAR activato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도한 멜라닌 생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hyperpigmentation등 관련 질환에서 tyrosinase inhibitor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거 연구에서는 R. glutinosa의 주성분이 항암 활성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었기에 상기 추출물들에 대해 세포독성 시험을 의뢰하였으나 결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기초연구 : 일반인들의 인식조사 및 경제적 효과 추정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adults on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at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serious population aging of the country and health insurance financial problem; and provide the basic data mater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by performing estimation investigation on whether such a policy would have any economic effectiveness practically. Of the survey questions in the test on people’s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rom the questionnaire of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after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The questions on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were structured under advice of physical activity experts. The surve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s a secondary investigation of another large-scale survey. A total of 400 respondents’ answer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with STATA 14.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tudy analysis. In order to estimate the economic effect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sample DB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TATA 14.0.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physical activity and medical cost decrease, economic effectiv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for the next 10 years (from 2014) in Korea was estimated. The study awareness investigation and economic effectiveness estim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8.25%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supportive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Concerning the preference for detailed aspects of the policy, in terms of the type of smart device utilized in the policy, smart phone application was found to be most favored as 36% had chosen it.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for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benefits, 39.75%,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preferred ‘KRW 100,000 financial support for health checkup’ the most. Many agreed to all of the items - physical activity-based differentiated support payment schem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and basic health status data collection. When it comes to the methods of physical activity amount evaluation, 66% preferred ‘sustained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for at least 3 months’ over ‘one-time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Preference for detailed policy asp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function of smart device found that 59.75% answered they had not known such a function, a larger umber than those who had known it. Awarenes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 on smart phone use or not found that 86.5% were using smart phone. Smart phone usage statu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living standar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economic effect of promoting physical activity using smart device was estimated according to intensity, type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duration. As a result, medical cost was expected to decrease by 31.40% wh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in terms of activity intensity, showing the most effective medical cost decrease. With respect to physical activity type, medical cost dropped most effectively when aerobic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only.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decreased most effectively when both physical activity for muscular strength and aerobic activity were promoted together. However, the aerobic activity dura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effect in saving medical cost,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Fo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next decade from 2014, if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using smart device, approximately KRW 334.7 billion would be saved regarding hypertension in the entire medical expenditure in 2023; KRW 300 million regarding obesity; KRW 171.7 billion regarding Type 2 Diabetes; and KRW 2.5 billion regarding depression.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심각한 고령화 문제와 건강보험재정 문제의 대안 책이 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하여 대한민국 성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해당 정책이 실질적으로 경제적 효과가 있을지 추정 조사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 시행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 문항 중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은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문항은 신체활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자료 수집은 타 대규모 조사에 부속 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400명의 응답자료는 STATA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위해 수집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 DB자료 또한 STATA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활동과 의료비 지출 감소에 관련하여 고찰된 문헌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10년간(2014년 기준)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 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인식조사 및 경제적 효과추정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대상자의 68.25%가 긍정적이었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의 경우, 정책에 사용될 스마트기기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스마트폰 어플’이 36%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량의 판단기준이 될 신체활동 정보에 대한 선호도는 ‘하루 소모 칼로리량’이 39.25%로 가장 선호되었고, 신체활동에 따른 혜택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건강검진 시 10만원 보조’가 39.75%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에 따른 차등화 지급제도, 신체활동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그리고 기초건강상태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는 모두 ‘찬성한다’가 많았으며, 신체활동량 평가 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 신체활동량 3개월 이상 지속적 도달 유지 여부’가 66%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신체활동량 1회 도달 여부’보다 선호되었다. 이러한 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인지 여부조사 결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인지하는 경우보다 59.75%로 많았으며, 이러한 인지 여부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기기 사용유무조사결과는 사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86.50%으로 많았고, 이러한 사용 유무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 가족의 생활수준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 시, 강도별, 종류별, 그리고 유산소 신체활동 지속시간별로 경제적 효과추정 결과, 신체활동의 강도의 경우, 고강도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31.40%의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신체활동의 종류의 경우, 의료비 감소수준은 유산소신체활동만 장려할 시, 약제소비와 본인부담지출비용은 근력신체활동과 유산소신체활동을 함께 장려 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유산소 신체활동의 지속 시간에 따른 의료비, 약제소비, 그리고 본인부담비용 지출 절약효과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2014년 기준으로 향후 10년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2023년 전체 의료비용 지출기준으로 고혈압의 경우 약 3,347억원, 비만의 경우 약 3백만원, 제 2형 당뇨의 경우 약 1,717억원, 우울증의 경우 약 25억원의 의료비용 지출 절약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 수집기능 인지 유무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사용법에 대한 사전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보다 정확한 국가단위의 재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도 사회적 문제와 직결 가능한 특성들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문제와 직결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기 위하여, 해당 사항을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국가단위의 조사로 연구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중 몇몇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이에, 정책수행 결과로 단기간에 국민들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을 시행 전에 본 조사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책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국가단위의 조사로 재조사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 추정 결과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경제성평가의 연구가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 질 필요가 있다.

      • SMT 온도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 韓京大學校 生物環境·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thesis develops the SMT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that used the master board in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MT reflow machine. And the developed system proposes the additional management method like the statistical processing management, therm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flow machine. The developed master board replaces the existing temperature measurement and management technique. The master board is developed with the structure to save the operation cost and more outstanding durability than PCB actually produced. The material of the board is Durostone and PCB loaded on the FR4. It is ordinarily used with the thickness of 1.6mm that considers the close condition with the actual PCB. When comparison is made with the developed SMT temperature measurement monitoring system and the actual temperature measurement of PCB, it showed the result that has clearly reduced deviation on the measurer and attachment method. Therefore, the developed system may effectively support the SMT temperature measurement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