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대 다치아(Dacia)의 신화들과 자몰세(Zamolxe) 신앙이 루마니아 문학에 끼친 영향

        이호창(Lee Ho-Chang) 한국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1

        Zalmoxis was a great philosopher who taught that 'gods'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nnected like one 'organism'. Descendants of Geto-Dacia, Romanian people inherits doctrine of Zalmoxis. For instance, the Romanian spirit is synthesized into the masterpiece of the Romanian folk, the poem <Mioriţa, A little lamb>, where a young shepherd is warned by his little white-black lamb, that his fellow shepherds plan to murder him and take his flock. The young shepherd instead of resisting, accepts his fate. This means that death is just a destiny of all of us and it is a transition to nature where we are come from, not a end of existing. Concepts of immortality taught by Zalmoxis in Geto-Dacia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 idea of the young shepherd. In <Memento Mori> of Mihai Eminescu, Dacia is archaic and fairy-like immense garden in which cosmos and nature make perfect harmony. It symbolize lost eden and the absolute space to where the poet want to go for eternal rest. <Zamolxe -pagan mystery ->by Lucian Blaga is inspired by Geto-Dacian's supreme god, named Zamolxe and his religion. In this drama, ancient Zamolxe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like a poet who is on his mental journey to find a way through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an communicate. Blaga's work was inspired by a myth of the ancient people of Dacia but it is basically a mirror which reflects our tragic ages.

      • 루마니아의 민간에 전승되는 영혼관과 사후관

        이호창(Lee Ho-Chang) 한국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2

        In this paper, I researched into Romanian traditional ideas about ‘human soul' and ‘life after death’. Beliefs and traditions in existence of soul and ghost and the world of the dead are illogical and unscientific. In Romania that is not exceptional. Romanians believe that after death human’s flesh return to dust but his soul reintegrate into mother nature someone who accumulate evil conduct in life time, his soul goes to somewhere to receive eternal punishment ; after death soul have to pass examinations of “ Vamesii vazduhului in oder to enter the “Rai(paradise) ; the souls of people who have lasting regrets could become ghosts after death, etc. But it is not important how we can prove if soul and ghost really exist and belief about life after death could be verifiable. Also, it is not good to ignore beliefs and traditions in existence of soul and ghost and the world beyond the dead, because those beliefs still maintain sacred power which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a village community’s moral principles and ethical sense of values. And this sacred power help us to keep taboos and to promote ethical principles. If human beings lose this sacred power, maybe we become worthless things.

      • 로쉬아 몬타너의 금광 개발 문제와 루마니아의 자연친화적 심성의 연관성

        이호창(Lee, Ho-Cha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whole text is not only to analyze on problems related with Roşia Montană Gold Mine Project, in the political or economical view, but also to discern attitude of Romanians who prefer veritable value of the Mother Nature than ephemeral economical figures. Romania is estimated as one of the poorest country in Europe by many economists whose subject of the survey is only financial conditions, but on the contrary, Romania is one of the richest country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harmony of a human being and nature. Romania enjoys fantastic land forms called "The Mioritic Space", which is impressive by the sudden transition from wilderness of the Carpathian Mountains to smooth undulating landscapes of Transylvania. Almost virgin forests unexplored by man, along with agriculture traditionally practiced, made the wild animals and plants to survive there in larger numbers, than any other part of the world. In the Carpathian, Apuseni, Bihor Mountains, there are incalculable forestry resources and mineral resources including golds, coals, aluminum esc. Also, there are sufficient amount of oil and nature gas in many areas of Romania. But still Romania is classified in Low Developed Countries, just when we figure up accounts of Romanian financial statement of GNP or GDP in the view of capitalism. Even some people say ironic that "it's miracle that Romania remains a poor country". This mention is said because although Romania has good nature conditions for economical development, it remains a country with low economic esteem. This is due to lack of strong intention for developing their land, but this mental attitude of Romanians is not negative at all. I think the above-mentioned negative opinion about Romania is nothing but just our erroneous nearsighted view contaminated by materialism. Mountains, rivers and forest are just dear sources of the breath and places for aliments and recreation, not objects which could be torn up for ephemeral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Romanian peasants who live harmonious with whole nature. Undoubtedly, nowaday, under the system of capitalism, it is very hard for Romanian peasants who want to live with traditional attitude, to keep their peaceful rural life in financial difficulties. Now Romania is in front of dilemma between conservation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land. Roşia Montană Gold Mine Project is still withheld. Anyhow, inhabitants of Roşia Montană who suffer dire poverty and feel alienated, seem to have no hope but to sell with tears their green environment to foreign financier for relative pronounced money. However, they are in such a difficult situation, the greater part of inhabitants of Roşia Montană choose to keep their traditional attitude of life in peaceful nature.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mentality of Romanian peasants with materialism thinking. For us who have become slaves to the material values in complex societies, the traditional attitude of Romanian peasants based on thinking that god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in unity like one organism, gives us an opportunity of self-examination to contemplate what is our true value of life in the Cosmos. 본고에서 살펴볼 로쉬아 몬타너(Roşia Montană)는 15~16년간 최소 317톤의 금과 1,600톤의 은을 채굴할 수 있는 유럽최대의 노천금광 지역이다. 캐나다의 가브리엘 리소시스(Gabriel Resources)사와 루마니아 정부는 이 지역의 막대한 금광을 채굴하려는 사업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현재 이 개발 사업은 환경문제 등의 이유로 전면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 개발을 원하는 가브리엘 리소시스사와 환경보존을 요구하는 로쉬아 몬타너 주민측이 서로 대립하는 상황이 오래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의 모든 노천 금광들은 아마도 루마니아의 로쉬아 몬타너와 같이 당장의 막대한 경제적 이득뿐 아니라 해결해야 할 환경 문제와 사회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발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로쉬아 몬타너의 사례처럼 주민과 환경단체 등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혀 오랜 기간동안 개발 계획의 추진 자체가 답보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보면, 환경단체 등의 반대는 어느 정도 무시하고 개발을 일단 추진하고 보는 것이 대부분이다. 로쉬아 몬타너의 금광 개발이 답보 상태에 있는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경제, 정치, 외교 등 복잡한 사회적 이해관계를 세밀하게 따져 보아야 하겠지만,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려면 자연을 형제처럼 소중히 여겨온 루마니아의 전통적 심성을 알아보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금광에서 얻어질 당장의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고된 삶 속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지켜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루마니아인들의 태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된 자연 친화적 심성에서 기인한다고 밖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루마니아는 경제적으로는 후진국으로 평가 받고 있지만 유럽에서는 자연이 가장 잘 보존된 국가 중의 하나이다. 루마니아는 사실 가진 것이 많은 나라이다. 그림같이 어우러져 있는 숲과 언덕들은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기르기에 덧없이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울창한 숲에는 가치를 따질 수 없는 산림 자원이 넘쳐난다.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지하자원도 풍부하다. 트란실바니아의 비호르(Bihor) 산맥, 카르파치(Carpaţi) 산맥, 아푸세니(Apuseni) 산맥 등에는 유럽 최대규모의 금이 묻혀있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의 관점에서 GDP나 GNP만 따져보면 루마니아는 빈곤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된다. 루마니아 사람들은 자연을 한시적인 재화를 위해 파헤쳐지는 개발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맑은 공기와 휴식을 주는 곳으로 여기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물론 현대의 자본주의 경제 체제 하에서는 전통적인 자연 친화적 삶을 보존하려는 루마니아사람들도 더 이상 자연 속에서 느긋하게 살아 갈 수 있는 입장이 아닌 것이 사실이다. 가난에 시달리며 사회적으로 소외받던 로쉬아 몬타너의 대다수 주민들은 평생 만져 보지못할 거금을 쥐어주는 외국인에게 자신의 산과 강을 울면서 내어주는 것이 살아가는 마지막 희망일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에 처해있다. 그 상황 속에서도 일부 주민들은 가난하지만 자유로웠던 기존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녹색 환경을 포기하려 들지 않는다. 경제적 수치로만 모든 것을 환산하려는 물질주의적 사고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자연을 형제처럼 대하는 루마니아의 전통적 심성은 삶의 가치를, 경제적 수치로 환산하고 계산하기보다는, 인간과 환경의 친밀도에서 찾으려 한다.

      • 루마니아 신화에 내재된 민간신앙과 동방정교의 문화적 융합 양상

        이호창(Lee, Ho-Cha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루마니아 땅에 보편 종교인 크리스트교가 전파된 것은 지금부터 약 2000여 년 전의 일이다. 예수의 12제자 중 한 명인 안드레이가 흑해변의 도브로제아(Dobrogea) 지방에서 예수의 복음을 전했다는 기록과 기념물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다. 하지만 크리스트교의 전래 역사가 오래 되었다고 해서 고대의 민간 신앙이나 그것과 연관된 다양한 민속 전통들까지 모두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크리스트교의 종교체계 아래로 흡수되어 그 자취를 완전히 감추어 버린 것은 아니었다. 루마니아에서는 오히려 현재까지도 고대의 신앙과 풍습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되는 여러 속신, 미신 등의 민속 문화들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크리스트교가 초월적인 삶의 문제는 해결해 주었지만 현세적인 삶의 문제는 거의 해결해 주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트교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원죄를 대속할 것을 약속했고, 예수의 재림을 통해 인간에게 영생을 줄 것을 약속하는 등, 영적인 근본 문제들에 대해서 해결책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인간들이 현세에서 겪는 소소한 질병이나 수시로 변하는 육체적 불만, 기후의 변화에 따른 불안감 등을 해결하는 방안은 개인적인 기도 외에는 딱히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민간 신앙과 민속 의례들은 주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소소한 질병들을 치유하거나 육체적 불만을 위무하는 가능성을 제시했고, 기우제나 희생제의 등을 통해 기후 변화에 따른 불안을 진정시키고 풍작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월적이고 영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보편 종교와 현세적이고 육체적인 문제에 관여하는 민속 신앙은 서로를 보완하면서 융합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루마니아 인들의 이와 같은 삶의 방식은 루마니아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신화들의 내용 속에서도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신화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 속에 보편 종교인 동방정교의 영향 뿐 아니라 민간 신앙의 영향이 강하게 융합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미르체아 엘리아데에 의하면 고대의 신화들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모습만을 감추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라고 한다. 신화는 중세 이후의 보편종교, 철학, 과학 등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어 버린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그들의 뒤편에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루마니아의 시골마을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에 이미 기독교화 되었다고는 하지만,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들까지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 기독교로의 개종은 종교 간의 공존과 융합을 가져다주었을 뿐이다. 일부 도시화된 곳에서는 크리스트교에 의해 고대의 신화와 이교도 신앙들은 모두 배척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고대의 신들은 아직까지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루마니아의 예를 들자면, 불멸을 가르쳤던 다치아의 잘목시스는 영원한 생명과 구원을 약속한 예수로, 벤디스 여신은 성모 마리아로, 천둥과 번개의 신이었던 트라키아의 제벨레이지스는 성 엘리야로, 카발레룰 트락은 성 게오르게로, 동물들을 다스렸던 이름 모를 신은 성 베드로로 그 모습을 바꾸었다. 그러나 트라키아와 다치아의 신들은 크리스트교 성인들의 이름 뒤편에 숨었을 뿐이지, 아직까지도 그 힘을 고스란히 발산하고 있다. 루마니아의 거의 모든 문화 양식이 외면적으로는 크리스트교화 되었지만, 내면적으로는 고대의 민간 신앙을 계승한 신화-의례적인 민속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One of the feature of Romanian culture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Orthodox doctrine and ancient myths. Although the dominant religion in Romania is the Orthodox and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Romania was a long history, traditional believes derived from ancient paganism has not disappeared. As such, far from coinciding with the story in the Book of Genesis, the Romanian cosmogony is largely dualist in nature, depicting the Earth as the common opus of God and the Devil, imagined as counterpart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rather than in the biblical way. This cosmogony says that man’s desire is to give a purpose to every thing and being in order to gain full harmony. In Romania, the ancient gods have had Christian saints' names but their nature power, which is believed from ancient time, still inspire Romanian peasant's spirituality. For examples, Jesus replaced Zalmoxis in Dacia as the Savior, Elijah replaced Gebeleizis as god of the thunder and rain, Gheorghe replaced Cavalerul Trac as the god who expel evils, the Holy Mother Maria replaced Bendis in Trachea or Diana from Roma as goddess of management, Saint Peter replaced anonymous god for wild animals. Whereas in Southeastern Europe inclusive of Romania, Church has been imbued with so many cosmic symbols. The religious experience peculiar to the rural populations was nourished by what Mircea Eliade called, “Cosmic Christianity”. Cosmic Christianity is a peasant-centered religion with its array of cosmic liturgies and religious folklores. It is not a paganization of Christianity and is not expressed by a scholastic theology. It is a popular theology that is built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easonal festivals and religious folklore, which reflect the life of the common folk. Thus, cosmic symbols of folkloric themes are passed on to the Church, which gave them sacramental meaning. Eliade explains Cosmic Christianity of the rural population in Romania as being dominated by 'nostalgia for a Nature sanctified by the presence of Jesus'. Romanian Cosmic Christianity is inherited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that god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in unity.

      • KCI등재

        즈부러토룰(Zburătorul ; 夢覽, 夜來者)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에 대한 분석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성애의 감정은 인간의 이성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성애의 감정에 초자연적인 힘이 관여하고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왔다. 루마니아 민간전승에서도 이러한 믿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많은 문학 작품들 속에는 이런 저런 방식으로 인간의 성애에 개입하는 여러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중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즈부러토룰(Zburătorul)은 사춘기 소녀들에게 난생처음 성에 대한 갈망을 느끼도록 만드는 짓궂은 존재로, 즈부러토룰이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사춘기 소녀의 성몽(性夢) 속에 들어가 성 관계를 맺고 사라지면 그 소녀는이성에 대한 그리움과 열망으로 심한 가슴앓이를 겪게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신화학자인 로물루스 불커네스쿠(Romulus Vulcănescu)에 의해 악령(daimon)으로 분류가 되긴 하지만, 즈부러토룰은 사람의 육신을 해치거나 사악한 마음을 품게 만드는 등의 부정적 활동을 하는 존재는 아니다. 사회 기능상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오히려 긍정적인 역할이 발견된다. 한 소녀가 생리적 사춘기를 보내며 즈부러토룰로 인하여 성애의 감정을 알게 되었고 성욕을 절제하는 고통을 느끼면서 사랑의 가슴앓이를 심하게 치렀다는 것은 이제 그녀는 어린 소녀가 아니라 성숙한 여성으로 거듭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성을 아동적인 놀이의 동무가아니라성적결합(性的結合)의상대자로받아들일준비를해야할시기가왔다는것이다. 이는한소녀가 부모의 보호를 받는 어린이에서 아이를 낳고 가정을 돌봐야 할 성인 여성으로 성장했음을 알려주는 징후이며,개인적인 차원에 지나지 않았던 자기의 존재 가치와 위상이 사회적이고 국가적인 것으로 격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진정한사회의일원으로받아들여지게되었다는것을상징하기도한다. 그러므로즈부러토룰에의해 겪게되는가슴앓이는일종의무형적(無形的) 입사식(入社式; Ritual de Iniţiere ; Rite of Initiation)으로볼수 있으며 소녀에게 성애를 느끼게 만드는 즈부러토룰은 사악한 목적으로 소녀들을 괴롭히는 악귀가 아니라 입사 시험관이라 할 수 있다. 이 신비로운 존재에 관한 이야기는 제오르제 컬리네스쿠(George Călinescu)에 의해 루마니아의 4대 신화중하나로평가 받고있으며 , 미하이에미네스쿠(Mihai Eminescu)의시<컬린(이야기의단편들) Călin (file dinpoveste)>, <샛별 uceafărul>, 바실레알렉산드리(Vasile Alecsandri)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이온헬리아데러둘레스쿠(Ion Heliade rădulescu)의시<스부러토룰Sburătorul> 등, 19세기루마니아낭만주의문학가들의여러 작품에 중요한 모티브를제공하였다. 그중 러둘레스쿠의 시 <스부러토룰>은 즈부러토룰을만나고 난 뒤 겪게 되는 한 소녀의 안타까운 가슴앓이를 가장 사실적이며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에미네스쿠의 시 <컬린 (이야기의 단편들)>은 즈부러토룰과 나눈 순수한 사랑의 이야기를 동화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In Romanian folklore and literature, we can meet many kinds of mysterious being which are intervene in human’s erotic sentiment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them is called ‘Zburătorul’. It’s character is very similar with Eros in Greek mythology and Incubus in occidental tales. The ‘Zburător’ is a kind of dragon or serpent, he transforms himself into a very attractive man, then intrudes into dreams of girls at puberty to make love with them. There are a lots of romanian literary works inspired by this ‘Zburător’.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work related with ‘Zburătorul’ is ballad titled <Sburătorul> by Ion Heliade Rădulescu. In this ballad, writer described minutely pathetic mental agony of a little girl’s, named Florica, who is aware of her sexual feelings by ‘Zburătorul’. Mihai Eminescu also composed several poems motived by ‘Zburătorul’ like <Călin, file din poveste>, <Luceafărul> The majority of the romanian scholar says that ‘Zburătorul’ is a demon, a nightmare and an evil spirit. But this creature is not a completely negative being. We can not find any story in which ‘Zburătorul’ injures human’s body or he converts man into devil. On the contrary, when it tries to analyze mythical symbols from the side of social function, the affirmative role of Zburătorul’ is discovered. The fact that one young girl was known the erotic sentiment in the period of physiological adolescence as a result of aggression of ‘Zburătorul’ means that this girl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 role as the woman and she goes to establish her identity as the woman. From that reason, the mental agony of girls caused by ‘Zburătorul’ could be considered as a formlessness rite of passage from girlhood to womanhood, that is ‘initiation of girls’.

      • 초고압 전력 케이블 접속 시스템을 위한 접속재의 최적화 해석

        이양(Lee, Yang-Chang),류정현(Ryu, Jeong-Hyun),한봉수(Han, Bong-Soo),이준성(Lee, Joon-Seong),이호정(Lee, Ho-Jeong),최윤종(Choi, Yoon-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은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재 개발을 위한 연구결과로써, 접속시스템의 핵심기술인 고절연고무슬리브 및 현장에서 접속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Carrier Pipe의 구조해석과 전기적 절연설계에 의한 주요부의 전기적 특성과 전계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Simulation Tool을 이용한 수치해석 등을실시하여 최적화된 제품을 제작하였다. 절연설계 및 전계완화 해석에서는 고절연 고무슬리브 구조에서전계가 집중될 수 있는 중요 포인트를 벡터로 선정하였고 이를 기초로 전계해석을 진행하여 선정된포인트들에서 전계가 집중됨을 검증하였다. 접속재의 수축거동 해석에 의하면, Carrier Pipe의 구조적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절연 고무슬리브로부터의 압력을 구하여 계산한 결과 최소한 9mm이상의Carrier Pipe 두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것은 충분한 강도뿐만 아니라 Carrier Pipe의 변형발생으로 인한 현장에서의 설치문제까지 고려하게 된 값이다. 고절연 고무슬리브 제품설계 에서는 고절연 고무슬리브의 특성조건을 설정하였고 고절연 고무슬리브 제품 및 Carrier Pipe의 Interface 설계기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절연 고무슬리브를 활용하여 Carrier Pipe와의 장착 Test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확장비율 110%로 적용하였을 경우는 30시간 후에는 완전 붕괴가 되었고, 붕괴가 시작되는 지점이 고절연 고무슬리브의 중앙매립전극 경계면으로써, Simulation Tool을 활용한 접속재 수축거동 해석 결과와도 일치함을 검증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티타늄 난삭재의 탭핑 가공 특성

        이호창(Ho-Chang Lee),김해지(Hae-Ji Kim),김남경(Nam-Kyung Kim) 한국기계가공학회 2011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nual tapping and automatic tapping regarding tapp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titanium hard-to-cut-material. Tapp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titanium hard-to-cut-material are evaluated as the quality of a screw, wear of a tap, economic analysis, and cycle time etc. The type of screw threads after manual tapping is formed as an irregular type of screw threads, and perfect screw threads are created after automatic tapping. In addition, the chip type after manual tapping process is formed as the discontinuous chip due to work hardening, and the powder type of chip after automatic tapping process is created. In terms of cycle time, an automatic tapping process is shortened by 70% compared to manual tapping process. Insert tip wear of an automatic tapping shown in the process of 5-hole tapping is not found, but hand tap wear for finish cutting is most severe.

      • 루치안 블라가의 『문화 삼부작 Trilogia Culturii』중 『지평과 양식 Orizont şi Stil』에 대한 해석

        이호창(Lee Ho-Chang) 한국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1

        From Blaga's work『Orizont şi Stil』, which is a first chapter from his famous book 『Trilogia Culturii』, he tried to find out a ‘Style’ from a specific culture. From him it could be recognized as a phenomenon from the view point of ‘cause’ and ‘result’. In his terminology ‘Style’ means a specific phenomenon from a certain culture, in other words, a vivid union given to the ‘complex meanings and forms’ established by human nature. ‘Style’ is also a distinctive factor for a individual culture which is a result of expressions by transcendental cognition of communal unconsciousness. From Blaga, causes of these communal unconsciousness could be distinguished in 4 categories: 1) Spacial Horizon and Temporal Horizon Unconsciousness; 2) Axiological accent; 3) Forward, Reward and Neutral Attitude and; 4) Desire for formation. The term ‘Matrix Stylistic’, also uniquely denominated by him at 『Orizont şi Stil』, means a ‘philosophy of culture’ of which theory gives stro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not only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alents but also communal un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are important factors in formation of a culture. Formation of a culture and style could be influenced by sensitivity and intelligence from consciousness which is a transformed one from unconsciousness. So not the consciousness itself but the consciousness reflected from unconsciousness in which many cultural factors are accumulated is a strong factor for formation of style of a culture. Culture could be defined as a result of so many kinds of human beings ways of existence, reflected by so many colors, lines and sounds of them. Style of culture means a phenomenon in which human beings ways of existences could be express in different kinds by their location and time, i.e. there surely exist differences in expressing the style of culture but every culture expresses their human existence Blaga's work『Orizont şi Sti l』from his book 『Trilogia Culturii』shows us that both locality and university of a culture.

      • KCI등재

        신화를 통해 살펴본 신과 인간과 대자연의 신성한 관계

        이호창(Lee, Ho-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세속화되기 이전의 고대인들은 우주가 실재적이고 살아 있는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었으며 인간의 실존적 위치는 우주라는 전일적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할 때에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우주는 만물의 존재를 유지하게 하는 질서와 리듬에 따라 움직였다. 심지어 신들 조차도 이 질서에 복종해야 했다. 신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대자연과 더불어 우주 만물의 신성한 생명력을 갱신하고 유지 시키는 역할을 맡았다. 그들에게는 우주 전체가 성현이었으며 우주의 각 개체들 중 어느 하나 신성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주변의 모든 것으로부터 성스러움을 느끼며 사는‘종교적 인간(homo religious)’일 수밖에 없었다. 고대인들이 성스러움을 항상 느끼며 살아갔다는 사실은 그들이 남겨 놓은 신화들, 의례들, 성상들 그리고 수많은 종교적 상징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그들이 느끼던 성스러움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것은 태초의 거인이나 괴물이 살해당한 뒤 그 신체가 해체 되면서 그 과정 속에서 천계와 동·식물과 인간이 생겨났다는 신체화생의 내용을 가진 창세신화들이다. 세계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는 수많은 창세 신화들 중에서 이런 내용을 가진 신화들로는 중국의 반고, 북유럽의 이미르, 바빌로니아의 티아마트, 인도의 프루샤, 이란의 가요마르드 등에 관한 신화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위 신화들에서 공통으로 이야기되고 있는 태초의 우주적 거인이나 대양 괴물의 죽음과 신체의 해체는 사멸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대자연이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로 탄생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초의 존재의 시신이 질료가 되어서 대자연의 각 개체들이 새롭게 생겨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대자연의 근원적 일체감을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대자연의 각 개체들은 태초의 존재인 신의 신체를 질료로 삼고 있으며 신의 신체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이기에 이 우주의 근원은 원래 한 몸, 즉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화생 신화들이 전하는 의미들, 즉 첫째로 전 우주는 신의 몸에서 분리되어 각 개체로 독립된 듯 보이지만 결국은 하나의 신성한 유기체라는 사실, 둘째로 죽음은 사멸이 아니라 생명력의 전이이자 외형의 변화일 뿐이라는 사실, 셋째로 죽음은 우주 창조의 근원에게로 회귀하고 재통합되는 것이라는 사실 등은 단지 신화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때로는 철학적 사상으로, 때로는 종교나 윤리 덕목으로 계승되었다. 각 사상이나 종교들이 신체화생 신화들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인류가 영적으로 황폐해지고 폭력이 극심해지는 역사적 위기의 순간마다 종교적 인간이었던 고대인들의 지혜, 즉 우주가 신성한 하나의 유기체라는 생각을 회복해 왔다는 사실이다. Ancients were feeling that the Cosmos was real and living sacred organism. They were knowing that human's existential position was valuable just when human being existed as a part of the Cosmos. For them, whole cosmos was bing hierophany, and each individual of the nature was sharing same divinity. Such being the case, ancients were homo religious who were feeling sacredness in all nature. We can understand, with the help of myths, rituals, icons, and numerous religious symbols of ancients, that they were living with awareness that gods,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re derived from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this paper we pointed at their cosmogonic myths which include following contents : Cosmos was born through sacrifice of 'primordial cosmic giant' like Pangu, Ymir, Prusha, Gajomard or 'oceanic monster' like Tiamat. Such myths tell us that each individual of the whole nature are differentiated from one primordial god which became essential element of all of us for vitality, therefore each piece or part of the whole nature is fundamental like a cell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Also such myths elucidate us thatdeath is not the end of existence, but just a transference of vitality to others, or a transformation of appearance, because primordial god gave us body and vitality through his dismemberment sacrifice. Teachings of such myths was not remained as just interesting tales but transmitted to some significant philosophical ideas, religions and ethics. Even if it is hard to prove that ideas and religions are inherited directly from the myths mentioned above, important thing is that some great wise men have remembered wisdom of ancients that all individual share same divinity with the Cosmos and all of us are a part of one single sacred organism, in all the moments when human spirituality had decayed.

      • KCI등재

        유통서비스 업종에서의 작업장혁신에 관한 통합적 연구

        이호창 ( Ho Chang Lee ),심용보 ( Yong Bo Sh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The cor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that work is organized to permit front-line work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lter organizational routin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HPW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triangulation research method an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urnover rate in Korean distributive service companies. A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W-Mart case suggested that the low cost strategy resulted in the excellent management performance but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Mart were inferior and made clear low-skilled, low-pay and high-turnover rate. But, WegmansFood Markets case was showing that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commensurate with HPWS and Wegmans Food Markets case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ere superior and made clear high-skilled, high-pay and low-turnover rat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PW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rate and per annual sales. The turnover rate partially mediated between HWPS and per annual s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