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9년 동유럽혁명의 유형화 시론

        박정원(Park, Ju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8 No.1

        본고는 비교관점에서 1989 년 동유럽혁명을 재고찰하고 있다. 즉 동유럽혁명에 관해 각국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통유럽혁명의 유형화를 시도해 본 것이다. 혁명의 국내적 요인으로서 동유럽은 정권의 정당성 상실과 경제체제의 비능률이라는 일반적 요소를 공유하되, 구공산체제하 개혁의 유무, 당 엘리트의 응집력 정도 등에 따라 체제가 직연한 위기의 내용과 그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혁명의 외적 요인으로서 서방의 영향과 고르바초프 개혁을 들 수 있으며, 국내적 개혁의 시도가있었고 서방과의 교류가 유리하였던 국가들은 고르바초프의 신사고를 적극 지지하였다. 이런 차이로 인해 고르바초프 개혁에 대한 태도에서“동유럽 4 인방”과 폴란드·헝가리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동유럽의 혁명 전개과정에서는 크게 시민사회의 재생을 보여 주었던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들로 분류되는데, 상대적으로 시민사회가 재활성화되어 있었던 폴란드와 헝가리의 경우 타협을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된 “협상혁명"을 보여 주었으나, 시민사회적 요소가 약했던 국가들의 경우 시위 및 폭력혁명의 과정을 겪었다. 특히 루마니아의 유혈혁명의 경우는 시민사회의 부재가 잘 드러난 경우였다. 혁명직후의 변화도 시민사회 활성화 정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데, 구공산당의 약화나 영향력 유지, 체제변혁의 제한성 정도 등을 두고 중유럽형 또는 비세그라드4형과 발칸형으로 대별되곤 한다. 이처럼 구소련의 위성권이었던 동유럽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시에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의 체제변혁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This thesis reconsiders East European revolutions of 1989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nd attempts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s domestic causes of the revolutions, we can take the common phenomenon of lack of political legitimacy and ineffective economic system. However, the degree of crisi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whether there were efforts to reform the economic system and whether the party elite were united or not. As external causes, the West's influence and the Gorbachev factor are significant. Those countries that had attempted some economic reforms supported the perestroika and glasnost, like Poland and Hungary. However, Eastern Europe's so-called "Gang of Four" were against Gorbachev's policy or only reluctantly followed it. In the process of East European revolutions, the factor of civil society played an important role. Poland, Hungary, and in some respect Czechoslovakia, with relatively active civil society, showed the examples of gradual "negotiated revolution," while those countries with lack of civil society went through a violent course. Again in the aftermath of the revolutions, the breadth and depth of change in each country depended on the degree of the civil society's activation. With respect to this change, the former East European countri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i.e., the Visegrad Four and the rest.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may repeat in the East Central Europe's system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too.

      • KCI등재

        EU 확대와 동유럽 경제의 변화

        김상원(Kim, Sa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1 동유럽발칸연구 Vol.10 No.1

        이 글의 목적은 EU 동진의 경제적 이유와 동유럽의 EU 가입 이후 변화하는 경제 상황을 고찰하는 것이다. 세계경제 흐름이 시장 단일화와 지역화로 나누어져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격차가 존재하는 상이한 시장의 결합은 어떠한 의미가 있고,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2007년 2개국이 추가로 가입하여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EU는 인구 4억 8900만명으로 중국, 인도에 이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많다. 영토는 423만㎢, GDP는 약 10조 9,400억 유로이다. 인구는 물론, 경제 규모에 있어도 EU는 미국을 웃도는 거대 경제권이 되고 있다. EU의 동진은 “다양성 속의 통일성”(united in diversity)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다. 동유럽 국가들의 EU 가입에 따른 가장 큰 경제적 효과는 외국인 직접투자의 증가이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급속한 증가는 동유럽 국가들의 민간소비를 대폭적으로 확대시켰다. 동유럽 국가들은 자발적인 경제 환경 개선을 통해 직접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시켜 경제 활성화를 이룩하였다. EU도 동유럽 국가들의 저렴한 노동력과 투자우대 조치로 인해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 성장에 따른 물가 상승과 노동비의 상승으로 점차 경제적 장점을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빠른 산업 다각화와 자본 및 기술 집적 산업 유치를 통해 경제적 구조조정 및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 European Union (EU) views the enlargement process as a historic opportunity to promote stability and prosperity in Europe. On January 1, 2007, Bulgaria and Romania joined the EU, enlarging the Union to 27 countries. The trouble-spot of the Balkans will move closer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These neighborhoods constitute challenges to stabilization policy, whose extent nobody can identify clearly even today. The states of the Western Balkans have been given explicit EU prospects, which are organised along the lines of the Stability Pact and the Stabilization and Association Process, while relations with the CIS neighbours have been extended within the framework of foreign relations. Nevertheless, the follow-up questions arising from eastern enlargement can only be managed to a limited extent with the current instruments of the EU. Eastern enlargement constitutes the core issue in certain respects and often lies at the foundation of the other big challenges The EU’s previous enlargement in May 2004 brought in Cyprus, the Czech Republic, Estonia, Hungary, Latvia, Lithuania, Malta, Poland, Slovakia, and Slovenia. In 2005, the EU agreed to open accession negotiations with Turkey and Croatia, and named Macedonia as an official EU candidate; in December 2006, the EU partially suspended talks with Turkey over ongoing disputes over Cyprus. Although the EU maintains that the enlargement door remains open, “enlargement fatigue” has become a serious issue in Europe and some experts believe that EU enlargement may be reaching its limits.

      • KCI등재

        동유럽 국가와 유로존간의 경기 상호의존구조 분석

        박해선,이철원,이상직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Several ea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joined the EU are expected to adopt the euro in the near future. The monetary integration requires the synchronization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Otherwise the adoption of the euro might cause negative effects o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n this paper, we employ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DAG (Directed Acyclic Graphs) to analyze the synchronization and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in the area. We use monthly industrial production indices of 7 eastern European countries (Czech, Hungary, Bulgaria, Poland, Romania, Slovakia and Slovenia) and of the euro zone for our empirical analyses. Since the number of the EU member countries increased from 15 to 25 in May 2004, we divide the data into two periods: January 2000- April 2004 and May 2004 - May 2009. We foun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are lower and, in some cases, negative. In the second period,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quite different. All of them are positive and their absolute values increase. DAG provides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countries we consider. In the first period,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cycles of the euro zone affects only Hungary and Czech while in the second period, the euro zone's business cycle information has effects on all of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rough Hungary. In sum, we conclude that aft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joined the EU, economic integration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has been established. 2004년이후 동유럽국가들은 EU에 가입하기 시작하면서 서유럽 중심의 유로존과 경제협력과 교역증대를 통해 경제성장 기반을 확보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통화통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통화통합으로 경제교류가 증대되기 위해서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의 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파악한다면 이 지역의 경기변동 양상과 대응정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유럽 7개국(체코,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과 유로존의 2000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월별 산업생산지수를 데이터로 하여 경기동조화현상 존재여부 2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규명하였다. 동유럽국가들이 EU에 가입하기 시작한 2004년 5월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하였다. 잔차항의 상관계수분석을 보면 후반기에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 사이의 상관관계가 전반기보다 증가하여,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현상이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전후반기의 경기정보 전달구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기에는 유로존의 경기변동 정보가 헝가리상관체코에만 영향을 주고 나머지 동유럽국가들에는 전달되지 않았으나, 후반기에는 헝가리를 매개로 하여 모든 동유럽국가들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EU가입후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에 경기변동의 동조성이 더 커진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나, EU가입전후로 동유럽국가와 유로존의 상관관계에 변화가 없다는 일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론이다.

      • KCI등재

        EU 확대와 동유럽 경제의 변화

        김상원(Kim, Sa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이 글의 목적은 EU 동진의 경제적 이유와 동유럽의 EU 가입 이후 변화하는 경제 상황을 고찰하는 것이다. 세계경제 흐름이 시장 단일화 와 지역화로 나누어져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격차가 존재하 는 상이한 시장의 결합은 어떠한 의미가 있고,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2007년 2개국이 추가로 가입하여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EU는 인 구 4억 8900만명으로 중국, 인도에 이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많다. 영토는 423만㎢, GDP는 약 10조 9,400억 유로이다. 인구는 물론, 경 제 규모에 있어도 EU는 미국을 웃도는 거대 경제권이 되고 있다. EU 의 동진은 “다양성 속의 통일성”(united in diversity)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다. 동유럽 국가들의 EU 가입에 따른 가장 큰 경제적 효과는 외국인 직 접투자의 증가이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급속한 증가는 동유럽 국 가들의 민간소비를 대폭적으로 확대시켰다. 동유럽 국가들은 자발적인 경제 환경 개선을 통해 직접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시켜 경제 활성화 를 이룩하였다. EU도 동유럽 국가들의 저렴한 노동력과 투자우대 조치 로 인해 지속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 성장에 따른 물가 상승과 노동비의 상승으로 점차 경제 적 장점을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빠른 산업 다각화와 자본 및 기술 집적 산업 유치를 통해 경제적 구조조정 및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 다. The European Union (EU) views the enlargement process as a historic opportunity to promote stability and prosperity in Europe. On January 1, 2007, Bulgaria and Romania joined the EU, enlarging the Union to 27 countries. The trouble-spot of the Balkans will move closer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These neighborhoods constitute challenges to stabilization policy, whose extent nobody can identify clearly even today. The states of the Western Balkans have been given explicit EU prospects, which are organised along the lines of the Stability Pact and the Stabilization and Association Process, while relations with the CIS neighbours have been extended within the framework of foreign relations. Nevertheless, the follow-up questions arising from eastern enlargement can only be managed to a limited extent with the current instruments of the EU. Eastern enlargement constitutes the core issue in certain respects and often lies at the foundation of the other big challenges The EU’s previous enlargement in May 2004 brought in Cyprus, the Czech Republic, Estonia, Hungary, Latvia, Lithuania, Malta, Poland, Slovakia, and Slovenia. In 2005, the EU agreed to open accession negotiations with Turkey and Croatia, and named Macedonia as an official EU candidate; in December 2006, the EU partially suspended talks with Turkey over ongoing disputes over Cyprus. Although the EU maintains that the enlargement door remains open, “enlargement fatigue” has become a serious issue in Europe and some experts believe that EU enlargement may be reaching its limits.

      • KCI등재

        Changes in Trade Intensity Between Korea and OECD East European Countr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or the Period of 2003-2008

        김승진(Kim Seung Ji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7 No.1

        Yamazawa (1970) 교수가 개발한 무역결합도 모형에 의거하여, 한국의 “OECD에 가입한 동유럽 4개국(즉, 체코 공화국, 항가리, 폴란드 및 슬로바키 아)”에 대한 무역결합도, 무역보완도 및 국별편향도를 OECD 무역행렬자료을 이용하여, 2003년과 2008년에 대해 계측하였다. 한국의 체코 공화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는 2003년의 0.15로부터 2008년에는 0.33으로 상승하였는데, 이는 한국의 체코 공화국에 대한 무역보완도가 2003년의 1.00에서 2008년의 1.10으로 상승하였을 뿐만아니라, 한국의 첵코 공화국에 대한 국별편향도가 2003년의 0.15로부터 2008년에는 0.30으로 크게 상승한데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체코 공화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양국간 자본이동을 증가시키거나 무역장벽을 낮추는 등의 한국의 체코 공화국에 대한 국별편 향도를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여타 OECD 동유럽 국가(즉, 항가리, 폴란드 및 슬로바키아)에 대한 무역결합도와 국별편향도는 모두 동 기간 중 상승하여, 위에서 설명한 한국의 체코 공화국에 대한 무역결합 도와 국별편향도와 유사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 이들 여타 OECD 동유럽 국가들 간에 자본이동을 증가시키거나 무역장벽을 낮춤으로써, 한국과 이들 여타 OECD 동유럽 국가들 간의 국별편향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how trade intensity between Korea and OECD East European countries changed from 2003 to 2008.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trade intensity index, the trade complementarity index, and the special country bias index between Korea and OECD East European countries by using trade intensity index model developed by Yamazawa (1970). The OECD trade matrix was used as data. It was found that Korea's trade intensity with Czech Republic increased from 0.15 in 2003 to 0.33 in 2008 due to a considerable increase in Korea's special country bias with Czech Republic from 0.15 in 2003 to 0.30 in 2008. Therefore Korea's special country bias with Czech Republic should be enhanced further by increasing capital movements and reducing discriminatory tariffs and other import restrictions between Korea and Czech Republic. It was also found that trade intensity between Korea and other three East European countries (i.e., Hungary, Poland, and Slovakia) shows a similar pattern of the above trade intensity between Korea and Czech Republic.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21C 국제관계 키워드와 동유럽 생존전략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2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e most important geopolitical-geostrategic code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s the ‘Buffer Zone’ between the Powers. Whenever the ‘Buffer Zone’ of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llapsed, there were the great wars among the Great Powers in Europe, and the surrounding Powers divided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or tried to secure full influence in the this region. This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concept of the ‘Buffer Zone’ applies to us as it i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re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at can understand the survival startegy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today. The first keyword is the ‘New Cold War place between NATO and Russia’. The second keyword could be the ‘EU’s strategy for expansion and willingness to protect the Western Balkan through the Berlin Process’. The third keyword is ‘new challenge,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In the final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through th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21st century. 국제관계사적 측면에서 동유럽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는 바로 강대국 간 ‘완충지대’란 개념일 것이다. 동유럽 ‘완충지대’가 무너질 때마다 유럽에는 세계대전을 비롯한 강대국 간 큰 전쟁들이 함께 했었다. 따라서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강대국들은 이런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동유럽 분할과 함께 자신의 ‘이해영역’ 구축, 그리고 더 나아가 자신의 영향력 하 편입 의도를 수시로 내비쳐왔었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미국 대(對) 중국 간 ‘완충지대’ 개념 증대 속에서, 한반도와 동유럽은 매우 유사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동유럽의 선험적 사례를 통한 한반도 미래와 위기 대응 사전 준비라는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기대효과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세 가지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오늘날 동유럽 생존전략에 대한 전망과 고민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생존전략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로 국제정치학적 주요 이론 중 ‘현실주의론’, ‘자유주의론’ 그리고 ‘세력우위론’을 적용해 동유럽의 안보 외교 현황과 그 미래를 추정해 볼 것이다. 더불어, 제3장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 생존전략 현황과 그 특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NATO와 러시아 간 ‘신냉전 무대’란 관점에서, 둘째, 서부 발칸을 향한 EU 확대의 의지 표출인 ‘베를린 프로세스’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EU와 동유럽 국가에게 새로운 도전이 되는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21세기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의 생존전략 유향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과 그 교훈을 언급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유럽을 향한 NATO 동진 정책과 러시아: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NATO 동진 정책의 최근 사례들을 소개하는 데 있다. 동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오늘날 강대국들의 틈바구니 속에 선택을 강요 받거나 혹은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해야만 하는 여러 중소 국가들의 전략적 고민과 대응을 선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동유럽으로의 확대에서 비롯된 NATO와 EU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발전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제 3장에서는 NATO발전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논의를 바탕으로 NATO에게 있어 동유럽 확대의 전략적 의미와 그 가치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NATO와 러시아 간 신(新)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의 의미를 살펴보고, 점차 가열되고 있는 NATO와 러시아 간 갈등과 충돌 현황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2016년에 일어난 최근 사례들을 중심으로 동유럽을 향해 현재 진행 중인 NATO의 동진정책 내용들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장에서는 최근 NATO 동진 정책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들, 즉 몬테네그로의 NATO 가입, 루마니아 MD 기지 가동 그리고 폴란드와 발틱 3국에 대한 NATO 병력 파병 결의 등을 중심으로 그 파장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NATO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사안들을 분석하고,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에 대한 향후 전망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conflict between the Russia and the NATO over the Eastern Europe which emerged as a stage of the ‘New Cold War’, having recentl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es and case studies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The research effects of this study is to able to understand the strategic concerns and responses of many medium-small sized countries which have to choose or forced to choose between Powers. In chapter 2 of this study, I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NATO and the EU which came from expansion policy into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n the NATO’s development and expansion, I will analyze strategic meaning and value of expansion toward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4, I will study the meaning of the Eastern Europe emerging as a main stage of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fter the Ukraine Crisis. And also I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conflict and conflict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In chapter 5, I will analyze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focusing on the recent cases which happened in 2016. In particular, in this chapter I will describe the meaning and aftereffect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with three case studies: the Montenegro became a member of the NATO, the construction of the MD missile base in the Romania, and the NATO’s determination on the dispatch of troops to the Poland and the Baltic countrie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will analyze various issues of the NATO, and propose prospect and implication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round the Eastern Europe

      • KCI등재

        코소보민족문제를 통해 본 발칸의 정체성재건

        안성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0 No.-

        20세기 말 이후 코소보민족문제가 진행 중인 발칸지역은 구유고 연방국가들의 유고 연방 이탈 및 체제 전환에 따른 민주화와 시장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글로벌 정치와 경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코소보의 민족분규 해결방안과 발칸의 정체성 등은 EU, NATO의 관심증대에 따라 코소보 주민들의 자체적 결정을 존중할 것이냐의 문제로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다수의 뜻에 따른 독립국가, 민주화, 그리고 민족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유럽국가들과 발칸의 정체성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유럽은 정치, 경제, 역사 그리고 문화적으로 세계 각 국가에 모범이 되는 지역이다. 유럽의 평화가 세계평화를 좌우한다고 인식된다. 발칸지역의 민주적 정체성재건을 위해서는 코소보독립의 문제는 코소보 내다수 주민의 뜻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향후 발칸의 평화가 바로 세계평화의 중요한 모범적인 해결 잣대중 하나가 될 것이다. 유럽 근현대사에서 발칸의 중요성 척도는 민주적이고 평화적으로 코소보문제를 해결해야하는데 달려 있는 것이 아닌가 인식된다. 이것이 발칸의 정체성재건의 핵심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코소보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발칸지역의 정체성재 건은 다수민족의 의사를 존중해주는 민주적 평화가 발칸지역에 자리 잡는데 있음을 강조하였다. As the Federation of Yugoslavia is transformed into separate nation-states, due to collapse of communism system, development of democratization and marketing economic system, The ethnicity and conflict of Kosovo in the Balkans have important influence on global politics and economic change after 1990. Recently solving ideas of Kosovo ethnicity and the Balkans's identity are focused on self-decision of Kosovo which is independence of Kosovo or taking part in the Federation of Serbia with interests of EU and NATO. Democratic history of the European countries is the model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ll over the world. And I think that the peace of Europe is the determinant of the peace of the world. I hope that Kosovo's independence issue should be decided by Kosovo for reconstruction of demoractic identity in the Balkans. In future peace of the Balkans will be one of the influential models that evaluates world peace by level of the Balkans' peace. Criteria of the Balkans'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rely on solving Ethnicity of Kosovo through global peaceful and democratic methods. I will introduce that these are determinants of the Balkans' reconstructed identity. This study discuss global democratic peace which respect the major opinion and co-existing other races and ethnics. And this article shows that for reconstructing the Balkans' identity, democratic peace for solving Kosovo ethnicity problems should be built in the Balkans

      • KCI등재

        유럽의회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력 연구

        안성호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I will analyze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mit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 which focus o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in European Parliment. Even though eastern europe are lesser power states than western europe, elevation of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must come from prior occupation of global issues and problems in European Parliament. I will analyze solid methods of getting over difference of political economic power between western europe membership and eastern europe membership in European Union. Actually there are lesser power states among western europe as like PIIGS and southern Europe which need assistances and supports from European Un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To elevate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 need strategy to propose agendas and ideas, and prior occupation about issues of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iss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etc. in European Parliment. I know that European Parliament is are lesser power for Political Economic phase tha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But if European Union will be elevated United States of Europe through European integration, European Parliament should be strengthened democratic seperation of three powers(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s like seperation of three power in a country. If Eastern Europe has lesser power i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Eastern Europe should be get the core role such as strong-small states among super power states as like Germany, France and UK through playing its part in European Parliament and Eurozone. Political economic powers of Eastern Europe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uropean Parliament. 본 논문은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의 조직, 제도 및 구조측면, 유럽의회에서의 선거와 정당이념, 경제적 이슈, 신규가입국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동유럽국가가 서유럽 회원국가 보다는 약소국이지만 유럽의회를 통하여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를 모색하였다. 물론 이는 동유럽국가가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문제이지만 동유럽국가간에도 개별적으로 위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서유럽 회원국 중에도 강소국들이 존재하고 있고 PIIGS 나 남유럽국가 등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 유럽연합에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가 존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동유럽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제도, 경제이슈문제, 신규가입국 결정 등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유럽연합 내에서 유럽의회가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보다는 정치경제적 위상이 약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이 유럽통합을 전제로 유럽합중국으로 발전적인 진행을 하려면 입법, 사법, 행정 등 개별국가에 존재하는 민주적인 삼권분립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럽의회가 적극적인 입법의 역할을 강화하여 위상을 좀 더 높일 때 동유럽 국가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담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서 후발국가로 참여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고 유럽의회도 여전히 유럽이사회나 유럽정상회의 등에 비해 글로벌경제위기극복 등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하다면 유로 존이나 유럽의회에서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통하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강대국사이에서 서유럽 강소회원국과 같은 핵심적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필자는 유럽의회를 통하여 동유럽회원국들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점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유럽의회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력 연구

        안성호(Ahn, Sung-h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의 조직, 제도 및 구조측면, 유럽의회에서의 선거와 정당이념, 경제적 이슈, 신규가입국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동유럽국가가 서유럽 회원국가 보다는 약소국이지만 유럽의회를 통하여 유럽연합에서 정치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를 모색하였다. 물론 이는 동유럽국가가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문제이지만 동유럽국가간에도 개별적으로 위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서유럽 회원국 중에도 강소국들이 존재하고 있고 PIIGS 나 남유럽국가 등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 유럽연합에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가 존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동유럽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제도, 경제이슈문제, 신규가입국 결정 등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유럽연합 내에서 유럽의회가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보다는 정치경제적 위상이 약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이 유럽통합을 전제로 유럽합중국으로 발전적인 진행을 하려면 입법, 사법, 행정 등 개별국가에 존재하는 민주적인 삼권분립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럽의회가 적극적인 입법의 역할을 강화하여 위상을 좀 더 높일 때 동유럽 국가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담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 동유럽 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서 후발국가로 참여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고 유럽의회도 여전히 유럽이사회나 유럽정상회의 등에 비해 글로벌경제위기극복 등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하다면 유로 존이나 유럽의회에서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통하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강대국사이에서 서유럽 강소회원국과 같은 핵심적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필자는 유럽의회를 통하여 동유럽회원국들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점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I will analyze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mit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 which focus o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in European Parliment. Even though eastern europe are lesser power states than western europe, elevation of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must come from prior occupation of global issues and problems in European Parliament. I will analyze solid methods of getting over difference of political economic power between western europe membership and eastern europe membership in European Union. Actually there are lesser power states among western europe as like PIIGS and southern Europe which need assistances and supports from European Un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To elevate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 need strategy to propose agendas and ideas, and prior occupation about issues of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iss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etc. in European Parliment. I know that European Parliament is are lesser power for Political Economic phase tha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But if European Union will be elevated United States of Europe through European integration, European Parliament should be strengthened democratic seperation of three powers(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s like seperation of three power in a country. If Eastern Europe has lesser power i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Eastern Europe should be get the core role such as strong-small states among super power states as like Germany, France and UK through playing its part in European Parliament and Eurozone. Political economic powers of Eastern Europe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uropean Parlia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