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뷰기반 선호도 모델링을 활용한 재제조 고려 설계 프레임워크

        유지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A Framework of Design for Remanufacturing Using Review-Based Preference Modeling YOU, JI-HEE Department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enhancing the long-term market preference for products, i.e., their sustainable use, in a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a circular economy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 groups, including early adopters, considering the remanufacture and sale of products through online reviews. From the reviews, we derived 'importance' by combining the 'mention rate' of attribut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ratings, as well as achievement through ratings. In doing so, we understood the needs of consumer groups divided over a certain period from the product's launch date. Additionally, we proposed a product design optimization framework that considers the 'total manufacturing cost', taking into account the cost of attributes to be remanufactured alongsid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and the expected sales cost, among other things. We conducted a case study applying the proposed framework to online smartphone reviews. By comparing a model designed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ith a model that only reflects the needs of initial buyers without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e confirmed an increase in net profit in the former case. A design that does not consider remanufacturing selects high-specification attributes to receive good evaluations from initial consumers. However, if we reflect the needs of later consumers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e can discover attributes that do not greatly vary i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we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without undermining the evaluation of all consumers. We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limitation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assist producers considering th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remanufactured products, as well as those in the field of circular economy and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리뷰기반 선호도 모델링을 활용한 재제조 고려 설계 프레임워크 유지희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순환경제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제품의 지속 가능 한 사용, 즉 시장에서의 장기적인 선호도 향상을 최종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품의 재제조 판매를 고려하여 초기 소비자를 비롯한 이후 시기 의 소비자군의 속성별 니즈를 온라인 리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리뷰에서 는 속성의 ‘언급 비율’ 및 별점과의 ‘상관도’를 조합한 ‘중요도’와 별점을 통한 성취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 출시일로부터의 일정 기간으 로 나눈 소비자군 별 니즈를 파악하였다. 또한, 제품의 제조 비용과 더불어 재제조 될 속성의 비용을 고려한 ‘전 체 제조 비용’, 예상 판매비용 등을 반영한 제품 설계 최적화 프레임워크 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프레임워크에 스마트폰의 온라인 리뷰를 적용한 케이스 스터디 를 진행했다. 재제조를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한 모델과 재제조를 고려하 지 않고 초기 구매자의 니즈만 반영한 모델을 비교하여, 전자의 경우에 순이익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재제조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는 초기 소 비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특정 속성을 고사양으로 선택하게 된 다. 하지만 재제조를 고려하여 후기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게 된다면 사양에 따른 평가가 크게 다르지 않은 속성을 발견하고 전체 소비자의 평가를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한계점을 포함 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을 수거하여 재제조품 생산을 고려하는 생산자 및 순환 경제와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 분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도재용착주조관용 Ni-Cr Free 합금의 재사용에 따른 금속과 도재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유지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property of bonding strength for non-precious alloy castings without containing Beryllium, which is used repeatedly for econemical reson. Currently being used material without containing Beryllium Ni-Cr non-precious alloy Vera Bond 2V (AlbaDent, Inc. USA), Alphaloy (alpha Dent. KOREA), T4 (Ticonum.USA) and ceramic powders using the Noridake Super Porcelain EX-3 porcelain powder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ond strength of porcelain and metal universal testing machine(Houndsfield, England)to measure using the three point bending flexural test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lphaloy, once the highest average value was used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Duncan test results used once and repeated three tim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used. 2. Vera Bond 2V, the average time to time have used the high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4, the average time to time have used the highes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and Duncan test results used once and repeated three times using and repeated five times different times shows that use. In conclusion, forward this beryllium does not contain non-precious alloy for how should use a more systematic study and for future advanced research is performed giving effect to be considered desirable. 본 연구는 유해물질인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몇 종의 Ni-Cr 합금의 반복 주조 사용 시 도재와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현재 사용되어지는 비귀금속 합금으로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Ni-Cr합금으로 Alphaloy(알파덴트. KOREA), Vera Bond 2V(AlbaDent, Inc. USA), T4(Ticonum.USA)를 사용하고 도재 분말은 Noritake Super Porcelain EX-3 porcelain powder 를 사용하였다. 도재와 금속의 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만능시험기(Houndsfield, England)를 사용하여 3점 굴곡시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phaloy 경우 ,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 결과 한번 사용과 3번 반복 사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Vera Bond 2V 경우,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T4 경우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 결과 한번 사용과 3번 반복 사용, 5번 반복 사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앞으로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Ni-Cr 합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략수립과 향후보다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위해 진전된 연구가 시행됨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어진다.

      • 브람스 후기작품의 음악적 특징 연구 :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을 중심으로

        유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German-born composer Johannes Brahms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19th century Romantic Era. He has left numerous masterpieces in various genres including piano works, symphonies, songs, concertos and chamber music. In particular, chamber music plays a big part in his work. He left behind 24 chamber music pieces in his lifetime which did not actively use wind instruments. While string instruments are frequently used for chamber music, Brahms used only clarinet and horn among many wind instruments. There are four chamber works including clarinet; Clarinet Trio, Op. 114, Clarinet Quintet, Op. 115, and Clarinet Sonata No. 1, 2, Op. 120. Clarinet Sonata No. 1, Op. 120, which is covered in thesis, is a work completed by Brahms in his late years, adhering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with four mov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first examines the composer's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s the late and disability theories behi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Brahms' late years. Based on this, the first movement of Clarinet Sonata No. 1, Op. 120 will be analyz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xceptional and unique features featured in the late Brahms works. The 1st Movement of Clarinet Sonata No. 1, Op. 120 shows musical features based on the late and disability. The sudden deterioration of health and the absence of loved ones cause changes in the musical atmosphere. Unlike before, simple and concise points are revealed in the first movement, which is motivated by events that caused Brahms' physical changes and mental shocks beyond the alienation or depression that humans generally feel as they approach death.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igneous and structural features of ordinary Brahms music,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by closely identifying the situation faced by composer at a particular time based on late-style. It also aims to give the performe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idea of the work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Clarinet Sonata composed by Brahms in his late years. 독일 출생의 작곡가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피아노 작품, 교향곡, 가곡,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장르에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특히 그의 작품에는 실내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는 평생 24개의 실내악 작품을 남겼는데 특이하게도 관악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현악기를 사용한 다양한 편성의 실내악 작품이 있는 것에 반해 브람스는 수많은 관악기 중 클라리넷과 호른만을 사용하였다. 클라리넷을 포함한 4곡으로 <클라리넷 삼중주, Op. 114>(Clarinet Trio, Op. 114),<클라리넷 5중주, Op. 115>(Clarinet Quintet, Op. 115), <클라리넷 소나타 제1, 2번, Op. 120>(Clarinet Sonata No. 1, 2, Op. 120)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은 브람스가 말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4악장 구조를 고수하고 있다. 저자는 이론적 배경의 구축을 위하여 작곡가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을 먼저 관찰하고 브람스 말년의 음악적 특징의 배경이 되는 후기이론과 부조이론에 대하여 모색해본다. 이를 바탕으로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을 분석하여 브람스 후기 작품에 등장하는 예외적이고 독특한 특징의 의미를 고찰한다. 브람스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에는 후기이론 및 부조이론에 의거한 음악적 특징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와 사랑하는 사람들의 부재는 그의 작품에서 다양한 음악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과는 다르게 단순화, 간결화 되는 음악적 표현들이 1악장 곳곳에 드러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죽음에 도달하면서 일반적으로 인간이 느끼는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이나 우울증을 넘어, 브람스가 겪었던 신체적인 변화 및 정신적인 충격을 주었던 사건들이 동기가 된다. 일반적인 브람스 음악의 화성 및 구조적 특징의 이해를 넘어서 후기 스타일 음악에 입각한 특정 시기에 작곡가가 처한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으로 작품의 이해를 넓힌다. 또한, 브람스가 말년에 작곡한 클라리넷 소나타에 대한 다양한 해석 가능성의 제공을 통해 연주자에게 작품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아이디어를 주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 및 위험 인자 분석

        유지희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경: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2009년 2월부터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당뇨병센터를 내원한 외래 환자 중 ABI 검사를 시행한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말초 혈관 질환은 ABI 검사 결과 0.9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여 대상 환자들 중 말초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군을 선별하고, 정상 ABI 검사 결과를 보인 환자들 중에서 환자군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을 선정하여 두 군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 총 대상 환자 2,002명 중 ABI 검사 결과가 0.9 이하인 말초 혈관 질환자는 64명으로 전체 대상 환자 중 3.20%를 차지하였다. 말초 혈관 질환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비교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흡연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다변량분석 결과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대혈관 합병증의 과거력 등이 말초 혈관 질환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결론: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은 3.20%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말초 혈관 질환의 발생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 외에도 고혈압, 고지질혈증, 흡연 등의 여러 위험 인자들의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 우울성향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효과에 관한 연구

        유지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자기 독립과 정체성을 형성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최근 청소년들을 둘러싼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경험하는 우울증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우울은 비행, 자살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에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심각성에 비해 현재 우울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프로그램은 많지 않아 우울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개입한다는 차원에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이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과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며,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지행동접근과 사회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인지적·행동적 변화를 야기하여 최종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설계는 유사실험설계로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우울이 높은 20명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에 6명을 배치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로 우울증척도, 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능력척도, 문제해결능력척도, 자살사고척도를 조사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마친 직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1.0을 사용하였으며,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과정분석도 실시하였다. 과정분석은 집단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토의내용, 그리고 집단성원들이 작성한 문서화한 자료를 활용하여 분류하고, 이에 근거하여 각 집단성원들의 변화내용을 프로그램 목표별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우울수준에 있어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우울 평균점수는 2.57점 감소하였다(p=.004). 따라서 집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우울증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이 지지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대인관계능력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00). 실험집단의 점수는 약 8.5점 향상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평균점수가 6.38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아니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약 1점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하지만 과정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4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척도상의 문제로 문제해결능력척도가 청소년들에게 다소 어려워 검사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청소년들이 표현하는 문제해결상황을 모두 다루기에는 시간의 제약이 있었다는 점이다. 비록 양적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는 못했지만, 과정분석에서는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이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살사고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5는 지지되었다(p=.017). 본 연구의 결과로 집단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울성향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은 우울 청소년의 생활적응을 돕고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관이나 교육현장에서 우울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보다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not only when adolescents experience sudden physical changes but also when they need to form psychological self-independence and identity. However, various stress factors for adolescents are increasing recently, and their experiences of depression are also on the rise. The problem of depression is all the more serious as it can lead to delinquency, suicides, etc.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programs developed for the depressed adolescents in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epressive tendency to decrease the depressive level and suicide idea and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s program, which i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and social learning theory, seeks to ultimately reduce depression by causing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 of the adolescent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type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hich was composed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tudents who were seriously depressed. An experimental group were organized with 14 students and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6 students.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pretest were carried out to rate their depress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uicide idea as the baselin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12 times, and no action was taken to the control group. Post-test were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0 program. To supplement quantitative analysis, process analysis was implement. In process analysis, the content of discussion during the group process, observation, and the documentalized material from the group memb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end of the group program,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p=.004). The mean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 by 2.57. Thus, The first hypothesis, assuming experimental group to show significant decrease in terms of depression was accepted. Second, at the end of the group program,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0). Mean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y 8.5. While that of control group decreased by 6.33.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elf-esteem w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program. The mean score for experimental group went up by 0.78,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a process analysis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fourth hypothesis that expected a more positive change in terms of program solving skill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been rejected. The reason can be examined from two major aspects. Firstly, it could be related to an issue of measur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inventory was somewhat difficult to understand for the adolescents thus research results could not be properly reflected. The other reason could be the fact that most of the problem situations the adolescents expressed wer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t needs long-term intervention, while this program is a short-term, 6 week program. Although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were not deduc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revealed to be helpful of experimental group in the process analysis. Fifth, the fifth hypothesis for suicide idea to reduce than control group by the program was supported(p=.017).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group program reduces the depression and suicide idea of adolescents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the group program for the adolescents with a depressive tendency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depressed adolescents to adapt to life and in preventing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 useful material to help depressed adolescents in local community agencies or in the field of education.

      • 음악플랫폼 AI 서비스 소비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지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디지털 혁신으로 IT분야뿐만 아니라 전 산업 분야로 성큼 다가온 AI 시대에 맞춰 특정 분야를 막론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은 불가피한 시대가 되었다. 특히 포화된 음악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은 서비스 경쟁력을 위해 이런 변화의 물결에 따라 지속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음악플랫폼에서 중심 서비스로 부상 중인 인공지능 서비스는 음악플랫폼 소비자들에게 큐레이션 서비스, 음성인식 기술, 인공지능 스피커와의 연동 등 현재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알아보고 각 음악플랫폼 별 특징적인 인공지능 서비스 현황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음악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 370명을 대상으로 음악플랫폼의 인공지능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인 SERVQUAL 모델을 이용하여 5가지의 측정 차원인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확신성, 유형성을 음악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에 맞게 재구성 한 16가지 항목에 대하여 크론바하 알파 계수로 신뢰도를 증명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인 서비스 품질과 종속변수인 고객만족도의 관계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5가지의 독립변수가 고객만족도에 직접적인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이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는 음악플랫폼에서 안정적으로 제공이 되고 있지만 인공지능 서비스가 음악플랫폼 소비자들에게 사용 가치가 있는 서비스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악플랫폼의 소비자들이 어떤 이유들 때문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지, 해당 기능의 한계점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음악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의인화 효과, 인지효율성, 시선응시에 미치는 영향

        유지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 유형과 얼굴표정의 유무가 의인화 지각, 인지효율성, 시선응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 유형(지시적 제스처, 대화적 제스처, 제스처 없음)과 얼굴표정 적용 유무(표정 있음, 표정 없음)에 따른 3×2 요인설계가 적용되었으며, 학습 자료의 유형에 따라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 검증을 통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적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기저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한 것인지 아니면 시각적 주의집중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학습용 에이전트가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연결시키는 사회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효과를 설명하게 된다면 에이전트에 의한 주의분산효과가 발생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게 된다. 학습용 에이전트의 적용효과를 시각적 주의집중을 유도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면, 학습용 에이전트에 의한 주의분산보다는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인지적 차원에서 중요한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를 구분해서 가설을 검증했는데,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의 기본적인 속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차원의 검증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는 학습용 에이전트를 얼마나 사람처럼 지각 했는가 이다. 이를 위해 의인화 효과 설문을 실시했다. 둘째,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학습자의 효율적인 인지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이다. 이는 인지부하요인 설문과 학습 성취 검사를 실시하여 인지효율성 지수를 추출했다. 셋째, 학습자의 주의집중 정도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자료에 대한 검토를 위해 시선 추적을 통해 시선응시시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형 자료에서는 얼굴표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림형 자료에서는 제스처가 없는 것보다는 대화적 제스처를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료가 혼재된 경우라면 표정이 있으면서 대화적 제스처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함의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얼굴표정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인터페이스 요소라는 점과 둘째, 대화적 제스처가 지시적 제스처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학습용 에이전트를 설계 할 때는 자료의 유형에 따라 표정과 제스처를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용 에이전트와 학습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학습에 긍정적 효과를 일으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뷰티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과 고객 중심으로

        유지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피부과 고객중심으로 뷰티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 답한 303명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교차분석(Descriptive Statistics)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성분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과 20대가 가장 많았고, 피부과의 정보는 SNS를 통해 가장 많이 얻었다. 현재 다니고 있는 피부과를 선택한 이유는 의사의 전문성과 직원의 서비스 만족이 가장 높았고, 직원 서비스에 만족했을 때 피부과 1회 평균 비용도 올라갔으며, 지속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뷰티의료서비스 인적서비스품질, 물리적 환경, 결과품질은 신뢰도 및 만족도,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피부과 구전의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인적서비스품질의 전문성 ,반응성은 신뢰도에 영향을 주고 반응성, 공감성, 고객지향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물리적 환경의 유형성은 신뢰도 및 만족도,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수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과를 이용한 이후의 결과품질은 상호작용과 고객지향성이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차이를 주는 것, 고객지향성이 피부과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고, 고객정보품질, 상호작용, 고객지향성이 피부과 지속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뷰티의료서비스 만족도는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피부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수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피부과 지속이용의도가 높아질수록 피부과 구전의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고객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내방에서 시술 후에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병원은 고객과의 라포형성 및 보다 나은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CS교육 등 업무에 관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직원들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고, 병원은 교육제공으로 전문가를 배출한다면 고객은 직원들을 신뢰하고 만족도가 상승되면서 이탈고객은 최소화하고 재진고객의 확보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가 직원교육의 프로세스를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 influence of beauty and medical service quality on a customer satisfaction and a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a dermatology outpatient both male and female who lived in Seoul, Korea. A survey participants were 303 patients and the entir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one way Anova,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female and 20s, and they got the information of a dermatology hospital through SNS mostly. The reasons why they have chosen the dermatology hospital where they visit currently were the dermatologist's expertise and a staff'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it was high response rate. The analysis findings show that when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taff's service, an average cost of dermatology hospital also increased, and found that the patient satisfaction affects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A quality of human service,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quality result of he beauty and medical servic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liability, satisfaction, a intent of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for the dermatology hospital. It shows that both professionalism and responsiveness affected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customer orientation had an impact on satisfaction. Tangibles of physical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the variables of reliability, satisfaction, a intent of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The quality result after visiting a dermatology hospital shows that inter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that interaction make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that customer orientation affects word of mouth, that quality of feedback after service, inter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dditionally, the result shows that a satisfaction level of the beauty and medical service has the greatest impact among the variables of the effect on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and that the higher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of dermatology hospital, the higher the intent of word of mouth.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ll staff should strive to have customers with thoughtful consideration when the customer came to see a doctor but also after the treatment, and make every endeavor to provide the services, which the customer wants to have, through continued interest. Moreover, it is required that the hospital needs to establish a process to establish rapport with customers and to provide the staff with motive for making an effort to impress the customers, and is needed to provide a regular training on work including CS education.If that happens, employees of hospital could grow throug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that would be the start of a virtuous circle. For example, if many experts work at the hospital, customers will put their trust in the staff or the hospital and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high. Then, it is estimated that the hospital will have a competitive edge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ustomers who leave because of service dissatisfaction, and securing customers who wants to use this service continuously. Henc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establishing the employee training process at the hospital.

      • (The) haemoglobin glycation index is associated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subjects

        유지희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경: 혈색소 당화 지수는 당화혈색소의 개체 간 변동을 정량화하며, 당뇨병 합병증 및 대사 질환과 연관성이 있다. 그러나, 건강한 성인에서 혈색소 당화 지수와 비알콜성 지방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아시안인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혈색소 당화 지수와 비알콜성 지방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정기 건강검진동안 간 초음파를 받은 당뇨가 없는 건강한 성인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대상은 혈색소 당화 지수에 따라 사분위수로 계층화 되었으며, 비알콜성 지방간은 간 초음파, 지방간 지수인 hepatic steatosis index, fatty liver index를 사용하여 정의 되었다. 혈색소 당화 지수와 비알콜성 지방간의 관계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465 명의 대상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은 각각의 혈색소 당화 지수의 사분위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사분위수 1-4에 각각 24.8%, 29.7%, 32.6% 및 40.6%, p <0.001). 최저 혈색소 당화 지수의 사분위수 그룹과 비교하여, 최고 사분위수 그룹의 대상자들은 체중, 허리 둘레, 체질량 지수 및 지질수치를 포함하여 더 나쁜 대사 수치를 나타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에 영향을 주는 다중 인자를 보정 한 후에도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험도가 최고 혈색소 당화 지수 사분위수에서 1.564 (95 % CI : 1.350-1.813, P <0.001) 로 높음을 보여 주었다. 결론: 증가된 혈색소 당화 지수는 독립적으로 건강한 아시아 성인에서 비알콜성 지방간과 연관이 있다. Background: The hemoglobin glycation index (HGI) quantifies inter-individual variations in glycated hemoglobin (HbA1c) and is associated with diabetic complications and metabolic diseases. However, inform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HGI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healthy subjects is limited, particularly in Asian popula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GI and NAFLD in a healthy Korean cohort. Methods: Data from subjects without diabetes who underwent liver ultrasonography during routine health examinatio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ubjects were stratified in quartiles according to their HGI level. NAFLD was diagnosed by hepatic ultrasonography, hepatic steatosis index and fatty liver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HGI quartiles and the risk of NAFLD. Results: Data from 14,465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prevalence of NAFL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ch HGI quartile (24.8%, 29.7%, 32.6%, and 40.6% in quartiles 1–4, respectively; p < 0.001). In comparison with the lowest HGI quartile group, the highest quartile exhibited worse metabolic parameters, including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lipid profi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multiple factors showed that the odds ratio of having NAFLD was 1.564 (95% CI: 1.350–1.813, p < 0.001) in the highest HGI quartile. Conclusions: Elevated HGI levels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AFLD in a healthy Asi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