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울성향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효과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564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2.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140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15-123

      • 소장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자기 독립과 정체성을 형성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최근 청소년들을 둘러싼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자기 독립과 정체성을 형성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최근 청소년들을 둘러싼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경험하는 우울증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우울은 비행, 자살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에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심각성에 비해 현재 우울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프로그램은 많지 않아 우울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개입한다는 차원에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이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과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며,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지행동접근과 사회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인지적·행동적 변화를 야기하여 최종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설계는 유사실험설계로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우울이 높은 20명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에 6명을 배치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로 우울증척도, 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능력척도, 문제해결능력척도, 자살사고척도를 조사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마친 직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1.0을 사용하였으며,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과정분석도 실시하였다. 과정분석은 집단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토의내용, 그리고 집단성원들이 작성한 문서화한 자료를 활용하여 분류하고, 이에 근거하여 각 집단성원들의 변화내용을 프로그램 목표별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우울수준에 있어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우울 평균점수는 2.57점 감소하였다(p=.004). 따라서 집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우울증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이 지지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대인관계능력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00). 실험집단의 점수는 약 8.5점 향상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평균점수가 6.38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아니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약 1점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하지만 과정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4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척도상의 문제로 문제해결능력척도가 청소년들에게 다소 어려워 검사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청소년들이 표현하는 문제해결상황을 모두 다루기에는 시간의 제약이 있었다는 점이다. 비록 양적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는 못했지만, 과정분석에서는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이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살사고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5는 지지되었다(p=.017).
      본 연구의 결과로 집단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울성향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은 우울 청소년의 생활적응을 돕고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관이나 교육현장에서 우울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보다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not only when adolescents experience sudden physical changes but also when they need to form psychological self-independence and identity. However, various stress factors for adolescents are increasing recently, ...

      Th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not only when adolescents experience sudden physical changes but also when they need to form psychological self-independence and identity. However, various stress factors for adolescents are increasing recently, and their experiences of depression are also on the rise. The problem of depression is all the more serious as it can lead to delinquency, suicides, etc.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programs developed for the depressed adolescents in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epressive tendency to decrease the depressive level and suicide idea and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s program, which i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and social learning theory, seeks to ultimately reduce depression by causing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 of the adolescent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type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hich was composed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tudents who were seriously depressed. An experimental group were organized with 14 students and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6 students.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pretest were carried out to rate their depress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uicide idea as the baselin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12 times, and no action was taken to the control group. Post-test were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0 program. To supplement quantitative analysis, process analysis was implement. In process analysis, the content of discussion during the group process, observation, and the documentalized material from the group memb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end of the group program,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p=.004). The mean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 by 2.57. Thus, The first hypothesis, assuming experimental group to show significant decrease in terms of depression was accepted.
      Second, at the end of the group program,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0). Mean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y 8.5. While that of control group decreased by 6.33.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elf-esteem w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program. The mean score for experimental group went up by 0.78,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a process analysis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fourth hypothesis that expected a more positive change in terms of program solving skill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been rejected. The reason can be examined from two major aspects. Firstly, it could be related to an issue of measur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inventory was somewhat difficult to understand for the adolescents thus research results could not be properly reflected. The other reason could be the fact that most of the problem situations the adolescents expressed wer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t needs long-term intervention, while this program is a short-term, 6 week program. Although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were not deduc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revealed to be helpful of experimental group in the process analysis.
      Fifth, the fifth hypothesis for suicide idea to reduce than control group by the program was supported(p=.017).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group program reduces the depression and suicide idea of adolescents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the group program for the adolescents with a depressive tendency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depressed adolescents to adapt to life and in preventing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 useful material to help depressed adolescents in local community agencies or in the field of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목적 = 5
      • 3. 연구의 의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목적 = 5
      • 3. 연구의 의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청소년과 우울 = 7
      • 1) 개념 및 특성 = 7
      • 2) 청소년 우울의 특성 = 11
      • 2.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 = 25
      • 1)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가 되는 이론 = 25
      • 2)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 28
      • 3) 집단역동성 = 36
      • Ⅲ. 우울 청소년을 위한 집단 개입 프로그램 개발 = 39
      • 1. 사전 준비 단계 = 39
      • 1) 사전 준비 = 39
      • 2) 인터뷰 및 사전조사 결과 = 40
      • 2.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 43
      • 1) 프로그램 제목 = 43
      • 2) 프로그램 목적 = 43
      • 3) 프로그램 목표 = 43
      • 4) 프로그램 개발 모형 = 44
      • 5) 프로그램의 내용 = 46
      • 6) 프로그램의 대상 = 57
      • 7) 프로그램의 시기 및 장소 = 61
      • 8) 프로그램의 실시절차 = 61
      • Ⅳ. 연구방법 = 64
      • 1. 실험설계 및 모형 = 64
      • 2. 연구 질문 및 가설 = 67
      • 3. 측정도구 = 68
      • 4. 분석방법 = 71
      • Ⅴ. 연구 결과 및 분석 = 73
      •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비교 = 73
      •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동질성 비교 = 78
      • 3. 가설 검증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비교) = 79
      • 4. 과정분석 = 88
      • Ⅵ. 결론 = 105
      • 1. 연구결과 요약 = 105
      • 2. 연구의 함의 = 108
      • 3. 제언 및 한계점 = 111
      • 참고문헌 = 115
      • 부록 = 124
      • ABSTRACT = 1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