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출입국관리직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전문직정체성과 조직특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 : - 전문직정체성과 조직특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

        우영옥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When the study started, Korea Immigration Service Public Administrators were dropping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of dramatical foreigners, illegal immigrants and various immigration control administrative servic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began. The research was based on surveys of public official belonging to Korea Immigration Service and empirically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professional Identity ha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model was designed and composed of surveys based on process theory of motivation, Porter & Lawler(1968)` motivational design model, Decotiis & Summers (1987)`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and Mowday et al.(1982)`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empirical analysis was chosen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duty system, centralization, innovation culture, organization scale, organizatio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expertise, acquisition, scope) was selected for public’s expertise cogni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picked for the job satisfaction enhancing happines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raising dedication to the organization in constituent individual of organization conducting business. The sampling was done by the standard check method at random.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 total of 2.914 copies were distributed using the Intranet, “BeobMuSam” in Justice Department and repossessed questionnaires were 352 copies. Of them they were employed except 8 copies without marking or with filling vaguely. 334 copies were analyzed finally. The credi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SPSS 25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in descriptive method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variance analysis (ANOVA) were conducted in between group difference analysis. All the factors showed high credibility.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howed a (+) relation in all factors except centralization, and, in particular, innovation culture and the expertise cognition had an unusually high correlation.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duty system", and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innovation culture" not only had a (+)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expertise cog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lso had a (+) impact on them. Specifically speaking, firstly, the differences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al types represented tha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job system of structural organization factor, the innovation culture of situational factor, organization scale, expertise cognition and scope cognition among headquarter, services, offices, and others. Secondly, by analyzing impact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not just had a high plus influence on innovation culture and professional identity, but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cale. However, the factor of centralization had the negative impact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to improve Immigration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ve all, the innovation culture of organization must be formed and to raise officers' expertise, job system and decentralization must not only be required for community characters, but organizational scale must be enlarged and organization structure also reformed. This study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coming up with the system of getting Immigration Officers' expertise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Before entering government service, to acquire the expertise,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job and the extra admission points system must be introduced and after entering government service, the special education developed regionally i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educational opportunity provided regularly and then the special duty assignment course system must be put into practice actually. Next, the organizational scale must be magnified and the officers switched and disposed widely. Finally, considering Korea Immigration fact of life, the headquarter must necessarily be raised to the status to Ministry or Administration. Keyword : immigration officer, professional identity, job satisfaction, special duty assignment course system, organizational commitment, reorganization, the reform of the appointment system, extra admission points system, educat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출입국관리직 공무원들이 급증하는 외국인과 불법체류자 등 다양한 행정업무의 과중으로 인하여 담당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이 떨어지고 조직몰입이 저하되는 상황을 인식하여 어떻게 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가에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기초하여 조직의 특성과 전문직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동기부여 과정이론인 Porter & Lawler(1968)의 동기유발모형(EPRS Model), Decotiis & Summers (1987)의 조직몰입모형, Mowday et al.(1982)의 조직몰입모형을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설문을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는 조직특성(직무체계화, 집권화, 혁신문화, 조직규모, 조직환경)과 공무원들의 전문성인식을 조사하고자 전문직정체성(전문성, 습득, 범위)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조직구성원들의 업무수행 시 행복감을 높이는 직무만족, 조직에 대한 애착심을 높일 수 있는 조직몰입으로 선정하였다. 표집은 임의표본추출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2,914부로 법무부 내부전산망인 ‘법무샘’과 직접방문 방법을 활용하여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은 352부이다. 이중 설문표기를 누락했거나 모호하게 작성한 8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는 344부를 사용하였다. 기술적 방법은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분석은 독립표본인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요인들은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집권화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의 관계를 보이며, 특히, 혁신문화와 전문성인식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분석결과, 출입국관리직공무원은 조직의 구조적 특성인 ‘직무체계화’, 상황적 특성인 ‘혁신문화’ 그리고 ‘전문직정체성’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조직유형 간의 차이분석으로 조직구조 요인의 직무체계화, 상황적 요인의 혁신문화와 조직규모 그리고 전문성인식과 범위인식에서 본부와 청·소, 그 외 기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영향요인 분석은 혁신문화와 전문직정체성이 매우 높은 정(+)의 영향을 보이며, 조직규모도 정(+)의 영향을 보였다. 그러나 집권화요인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출입국관리직공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향상을 위해서 우선 조직의 혁신문화 조성과 공무원들의 전문성함양을 위한 직무의 체계화(전문화)와 지역특성을 고려한 분권화가 필요하며, 조직규모 확대 등 조직구조의 재편성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연구 결과 정책적 시사점은 우선 출입국관리직 공무원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마련과 실천이 필요하다. 이는 입직 전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무관련 교육과 가산점제도를 임용제도에 도입하고, 입직 후 각 지역별, 업무특성별 전문교육개발과 규칙적인 교육기회 제공 등 전문보직경로제의 적극적인 시행이다. 다음으로는 조직규모 확대 등 공무원의 전환/확대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이민현실을 고려하여 본부조직을 ‘처’ 또는 ‘청’ 단위조직으로 승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 인삼.산수유.석창포가 손상모발에 미치는 영향

        우영옥 한성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Hair cosmetics tend to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enough to not only perform such simple functions as hair styling and cleaning but also protect the hairs. Today, as hair styles are frequently changed while hairs are more vulnerable to pollution and various life stresses, consumers are more eager to have refined hair styles and healthy hairs. Thu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meet such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determine how the damaged hairs would be affected by he hair treatments using such Oriental medicine materials as ginseng, cornus officinalis and sweet flag, and thereupon,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se hair treatments as functional hair cosmetic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ested such hair treatments for their effects on damaged hair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randomly sampled 3 women who had neither used any diet therapy nor took medicines. They represented virgin hair, perm hair and perm+color hair, respectively. Then, the researcher obtained the hair samples from the same points at the same time by cutting out the parts 2~3cm away from the scalp on the back of the head with scissors. The hair samples were cleaned and left to dry over time. Each 300g of the three testpieces or ginseng, cornus officinalis and sweet flag was divided into 150g parts, respectively to be heated for 8 hours. Each part of the testpieces was treated into extract or powder. Then, each extract and power were mixed at the ratio of 2:1 to produce the hair treatments. The hair treatments were kept at -20℃ and taken out for each hair treatment. The hair treatments were applied ten times to each hair sample for 5~10 minutes each time. Then, the researcher comparatively analyzed tension, weight and epidermis of the hair sampl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ginseng testpiece, it was found that tension, weight and epidermis of the hair samples were all improved. The more damaged the hair samples were, the effects were higher. Second, the cornus officinalis testpiece served to improve the tension and epidermis of all hair samples, but it worsened the status of perm hair sample in terms of weight and epidermis. Considering that the perm hair sample treated with the cornus officinalis testpiece was oily hair, it was estimated that this hair treatment would react adversely to the oily hairs, but such an estimation should be tested further. Third, the sweet flag hair treatment was found to improve weigh and epidermis of all hair samples, but it was found to lower the tension of the virgin hair sample. All in all, this study proved that such Oriental medicine materials as ginseng, cornus officinalis and sweet flag had the effects of regenerating the damaged hairs. The effects of ginseng were outstanding in every respect, but cornus officinalis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perm hair in terms of weight and epidermis. Comus officinalis served to improve tension, weight and epidermis of perm hair and perm+color hairs but it had an adverse effect on tension of the virgin hair.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ree variables or tension, weight and epidermis may not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fter the hair treatment, but such suggestions should be tested further with more precise dat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termined the effects of ginseng, cornus officinalis and sweet flag on the damaged hairs. However,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the hairs were sampled from the scalp and that they were not sampled from the same subject. H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longitudinal studies which will test the effects of those Oriental medicine materials on virgin, perm and perm+color hairs sampled from the same subject and thereby, compare the results with this study.

      • 한국체류 중국동포의 정주인식에 관한 연구 : 집단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우영옥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는 지금 지구촌화로 인한 인구의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한국 또한 경제성장과 한류 붐으로 인하여 동포를 포함한 노동인구의 국내유입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한국정부는 저출산,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부족으로 인한 국가경쟁력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정부 각 부처는 다양한 인구확산정책에 관해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법무부 보고에 따르면 2016년 6월말 현재 국내 체류외국인은 2,001,828명으로 ‘외국인 200만 시대’에 돌입하였고, 외국인등록자는 1,137,736명,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자는 343,867명, 단기 체류자는 520,225명이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1,012,273명(50.6%)으로 가장 많다. 한국에는 2,001,828명의 체류외국인이 있으며 그 중 외국국적을 가진 동포가 766,529명(4.2% 증가)으로 38.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국적 동포의 수는 650,144명(84.8%)으로 단연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미국 동포 46,577명(6.1%), 캐나다동포 15,707명(2.0%) 순이다. 중국동포는 한국국민과 동일한 언어, 유사한 문화, 갈등해소의 용이함과 역사적으로 같은 혈연관계를 공유하고 있어서 한국국민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그들은 한국 노동시장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정부는 중국동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들은 한국과 중국에 체류하고 있고 이미 사회주의 시장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북한, 러시아 등 경제·문화전달자로서의 교량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사회 우수한 인적자원양성이 가능한 잠재인력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한국체류 중국동포들은 지역적, 문화적 게토화가 점점 확대대고 있으며, 한국국민과의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고 있어 사회적 비용이 커질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중국동포들에 대한 재해석과 올바른 정주인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시대별 외국인정책, 중국동포관련 정책 그리고 외국의 귀환정책사례를 포함한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체류 중국동포의 정주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찾고 집단 간 차이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은 정주정책의 개념 도입을 하였고 한국체류 중국동포를 대상으로 한 설문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0Window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국동포와 지역주민과의 관계망 속에서 중국동포들은 한국생활환경에 잘 적응하고, 지역사회참여 및 한국사회 정주민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입국 전, 입국시점, 입국 후 등 체류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정부는 인재활용을 위하여 산재되어 있는 부처별 동포관리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전담기구가 절실하며, 급변하는 국제이주환경과 미래인구감소에 따른 정부의 통합적인 이민정책에 대한 재고와 하위 범주인 정주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위한 온라인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우영옥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온라인 방식의 컨텐츠 제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과 비교하여 최대의 약점인 가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뷰어, 제공자가 컨텐츠 및 회원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컨텐츠의 복제와 무단배포 방지를 위한 자료의 암호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웹 보안, 온라인 상에서 지불이 가능한 전자 결제 시스템의 제공이 필수 불가결하다. 온라인 방식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해서는 위의 모든 기능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컨텐츠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한 통합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온라인 상에서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한 통합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on-line contents providing system, we have to satisfy several important requirements. Efficient viewer with improved readability, maintenance system which the provider can easily maintain the contents and subscribers, security methods which can guarantee the safe transfer of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s among server and clients, and on-line transaction system for payments. It is very time consuming and difficult for every provider who is willing to open on-line contents providing services to develop all requirements listed above. Therefore total system solution is needed for providers. In this thesis. we address the requirem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total system solution for on-line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services. Specifically, the description of functions and modules, design of modules and implementation details are provided.

      • 맞벌이 女性의 結婚生活 公平性認知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에 關한 硏究

        우영옥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맞벌이 가족이 늘어나면서 부부가 공동으로 가족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공평성에 대한 여성들의 요구수준이 커지게 되면서 맞벌이 부부관계 연구에서 부부간의 공평성 문제가 관심있는 주제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공평성 문제는 맞벌이 가족 중 기혼 여성에게 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여성 자신의 행복과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나아가 자녀의 인격 형성과 자녀의 미래 결혼생활에 까지 직·간접적으로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원만하고 건전한 가정형성을 위해서는 맞벌이 여성이 결혼생활에서 느끼는 불공평을 해소시키고 공평한 관계 형성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결혼생활 공평성인지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은 어떠한 것들인지를 규명해봄으로써 부부관계 속에서 공평성 정도를 재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부부가 함께 거주하며 고등학생 이하의 자녀가 한 명이라도 있는 김해지역의 맞벌이 여성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4년 3월22일부터 3월27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2004년 4월 2일부터 4월 13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 중 325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81%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총 297부가 본 연구의 최종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s 10.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Cronbach's α계수, ANOVA, t-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김해지역의 맞벌이 여성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는 심리·정서적 영역과 일상생활 영역에서 불공평하게 인지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결혼생활에서 분담해야 할 가사노동이나 자녀양육문제 둥이 여성에게 불공평하게 분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수 가운데 결혼지속년수가 5년 이하인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율이 높을수록 맞벌이 여성은 결혼생활에 대한 공평성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입노동시간이 9~11시간인 맞벌이 여성이 결혼생활에 대한 공평성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수입노동시간이 길 경우 맞벌이 여성은 가사노동이나 자녀양육 등의 가사 일을 수행함에 있어 시간제약을 받게 되는데 이 경우 부인의 시간제약은 남편에게는 가사노동 시간증가의 의미가 되기 때문에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증가로 인해 부인은 결혼생활을 공평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넷째, 심리적 특성변수에 따른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를 보면 부인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가 높을수록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 역할태도가 중도적인 여성이 진보적, 보수적인 여성보다 결혼생활에 대한 공평성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편의 가사분담률, 부인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인지도를 높이고 부부관계 속에서 공평성정도를 재조정하기 위해서는, 남편은 부인의 수입노동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여 주는 것은 물론, 남편의 적극적인 가사분담의지와 실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남편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의 가족 구성원간의 노력과 함께, 사회에서는 남편의 가사참여나 자녀양육분담 등에 대해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야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이러한 사회분위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가족 간의 역할에 관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을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맞벌이 부부연구 및 맞벌이 가족 복지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more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the labor force, the dual-career family has emerged as a part of our family types. As the perception that the family roles should be carried out only not by a husband but by a couple, wives' demand for the equitable relationship in the marital life greatly increased. It is hardly surprising that the issue of equity between a wife and a husb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the studies on the wife-husband relationship. This issue of the equity in the marital life between a wife and a husband is more concerned with a wife than a husband because the majority of wives don't think they are equal with their husbands in the marital live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women perceive equity in their marital live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related to it, and finally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hanging inequity in couple -relationship. Dual-career women with a husband and at least one child who was under age 19 were sample. They were living in Kim-hae cit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27, and the main survey was from April 2 to 13. A total of 297 questionnaires out of the mailed 400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se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for Windows 10.0: frequencies, mean,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 Cronbach's α,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Dual-career women perceived that there was inequity in psycho-emotional area and daily-life area. That means that they have much more responsibility on housework or raising children than their husbands do. 2)Duel-career women with under the 5 years in marriage-duration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their martial life are equal than women with longer marriage duration. 3)Women working 9 to 11 hours a day were more likely to show the higher perception of equity in marital life. As they work longer hours, their housework hours become shorter. 4)The more her husband's support for the wife's job is, the higher the wife's perception of equity is. Regarding the gender-role attitudes, women with centered attitude show higher perceptions of equity in the marital life than women with a progressive or a conservative attitudes. 5)Husband's housework-load and his support for his wife's job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change the degree of equity in the couple-relationship, husbands should appreciate their wives' income-work and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housework. On a societal level, there should be positive, supporting environment for husband's participating in housework and raising their children.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ggest educational programs on the couple-roles in the family.

      • 수석교사제의 정책 변동 분석

        우영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seeking some implication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about Master Teacher(MT) and succeed in it by grasp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policy targeting the policy-making process from 1981 when Master Teacher was first proposed to 2011 when legislation was went through and analyze policy changes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beliefs i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among the participants of decision-making factors as well as promotion factors of the formation of policy agenda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Report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s research from 1981 to 2011, education, professional academic papers, hearings, debates, forums, and various association seminar materials, media articles, research materials and teacher organizations sent a statement or official document, dat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Congressional agendas, teacher organizations, related materials of civic groups. In addition, an analysis standard and an analysis factor that are appropriate for this study by applying Campbell’s education policy flow model that have considered as the proper analysis of policy changes an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Sabatier and Dunn’s Policy Argument Framework.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MT was to improve the irrationality of teacher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where teachers aimed to promote to administrators in the atmosphe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at put importance to administration. At that time, there were lack of a system for encouraging the quality or speciality of teachers, focusing on demand on teachers and the phenomenon of avoiding teaching profession was serious due to harsh condition of education investment and treatment in contrast to economic growth. In this situa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culture and improvemen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eachers, and securement of inducing excellent teachers by introducing the MT. However, the purpose was re-established to the MT for promotion of employment restructuring system, the democratization of operating school organization, and school organization’s the MT for learning organization rather than improvement of socio-economic status or the intent of securing excellent teachers due to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Second, there were several times to deal with the MT by government. The MOE reported it to Congress in 1982 and it became a key policy challenge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 Reform Council in 1987. It became a bill in 1996 after going through the full-scale review of Education Policy Consultative Conference in 1992. Then, it was included as a key policy challenge in Comprehensive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Profession in 1999, but it was delayed because it did not form a consensus and draw considerable controversy. It put into the procedure of introduction while handled with a policy agenda by the Roh administration's education policy agenda committee. The most direct factor that promoted the formation of the policy agenda of the MT was the report about teacher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KEDI. Environmental factor was political changes, economic growth and the influence of social values from 1981 to 2011. In particular, the awareness of new school culture for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late 1990s and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aking an environment of employing healthy personnel was requested in 2000. That is because continual influence of policy with the logic of the teachers' expertise in logic and the logic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recruitment. Advancement of building a center of expertise in logic, teacher expertise, teacher-centered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 What’s more, the factors influenced on doers of the sub-policy system and constrained were the Korea Federation of Teacher Association(KFTA) steady policy will, other departments of the economic agents, union legalization, principal, agent or teacher evaluation term, retired teachers, and other relevant impacts of the policy-making process including district educational governing bodies, OECD recommends the introduction of the MT education experts, and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f the research. Third, the MT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KFTA for political activities and Korea Teacher and Education Workers union(KTU) played a leading role in Advocacy Coalition of all the pros and cons and any aspect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is still followed with respect to advocates. The MOE as Policy Brokers showed a lot of aspects of blame avoidance type and education experts played the leading role in arbitration. Advocacy Coalition of all the pros and cons used strategy and resources. In this process, the opposition side seemed to exert a powerful force connecting with government opponents. Looking at Belief Systems with three-tier structure, Deep Core Beliefs was the conflict between the value of autonomy and competition and the value of equality and distribution and the one between the belief focusing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and school’s autonomy and education’s democratization. Policy Core Beliefs discussed principal election system. In this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e policy change caused from Beliefs about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to policy-oriented learning. The analyze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red means were changed from experienced teachers with leadership lessons to the best specialist. Second, the concept in the promotion structure was changed to the concept of eligi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ism of general teachers. Third, the Senior Teacher(ST) with the level of principal limited to promote to principal in the term of ST. Fourth, ST, the prior level of MT was delayed and so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MT was significantly reduced. Besides, the selection criteria, budget, deployment, training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treatment and policy changes also took plac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confrontation which arbitration on both sides of the Senior Advocacy Coalition and principal settlement of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did not agree with that.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Innovation Committee decided to test run was carried out accordingly became the MOE. For four years and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ilot 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quirements were raised for the support. amendments to the law of the spirit of the policy according to deepen teacher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ere not plans to build a system. Profound respect for the teacher to teach and work with the class teacher expertise to create the climate that the teacher receives preferential treatment to establish policy goals promoted in the vertical position teacher organization has become one of increasing the expression.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settlement and complement of the MT was extracted as follows: First, unlike the past is now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 as a professional, as was time to go prepared systems. The MT will be more effective in schools focusing on democratic-driven policies than bureaucratic administrative schools. Re-conceptualization for the MT are needed as a mean for professionals skilled in fire chief steps rather than promotion of teaching opportunities. Education and promotion of policy with various angles are requir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nt of the policy. second, the formation and specificity education in natu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n political purposes. The success of the MT requires from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curriculum, school culture to be solved at the same time, so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third, overall review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concentrating on the MT is required. Making ST should be at first introduced newly because it is underlying the MT. In a range of progressively increasing budget policy should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The flow of the principal or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and can be flexibly. Because the qualifications framework and curriculum based on school size needs to be placed with different personnel. Because qualifications framework that more detailed evaluation of the effect and more closer look. For leadership selection or evaluation, if the evaluation of the number of teachers with emphasis on long-term result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s is appropriate to reflect the degree of objectivity and believe. Top experts in the treatment of class in terms of education power increases as the intrinsic rewards of active and Agregation are treated as social deemed more effective. In the legal aspects, the amendment th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taff are separated from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positions can reduce confus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MT policy is to speci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re-conceptualization toward future-oriented teacher’s professionality. Therefore policy changes issued from the implementation process should be re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intended policy goals. The suggestions below; First, the support is required for settlement and will of the policy of the MOE and Board of Education(BOE) of city and province. Second, more mature policy capacity is demanded for the education-based purpose based on a blend of growth and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multilateral policy-making participants more ideological debate. Third, MTs request the understanding of the policy stance and the attitude of a leader. Fourth,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run curriculum-based school managemen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MT and intensify future-oriented and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Fifth, common teachers should realize that building their career in teaching profession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stages and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ould be rewarding. Sixth, segregation of duties based on different positions should be presented in the way that qualitatively improved details with concrete examples rather than just its quantity. Seventh, additional research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MT, the results of the process, studies about the methods of support as well as the analysis of environment and effectiveness for introducing STs, overall improvement of school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focusing on successful the MT and the ways to restructuring schools are needed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MT. In addition, the framework of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to other policies of teacher, especially the policies created in a long sharp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and went through changes in belief are more suitable to apply. 이 연구는 1981년 수석교사제가 처음 제안된 이래 2011년 법제화되기까지의 정책 결정 과정을 대상으로 정책의 배경과 취지를 파악하고, 정책 의제 형성의 촉진 요인과 정책 결정 참여자들의 갈등과 대립의 구도 속에서 정책 신념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정책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수석교사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성공적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로 문헌 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1981년부터 2011년까지의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 보고서, 교육 전문가의 학술 논문, 공청회, 토론회, 포럼, 각종 학회 세미나 자료, 언론 매체의 기사, 교직단체의 연구 자료와 성명서나 발송공문, 교육부의 정책 자료와 국회 회의록, 교직단체, 시민 단체의 관련 자료 등을 도서관이나 관련 홈페이지 등에서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정책 결정 과정 이론 모형 중에서 정책 변동 분석에 적절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Campbell의 교육 정책 흐름 모형과 Sabatier의 정책 옹호 연합 모형(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그리고 Dunn의 정책 논변 모형(Policy Argument Framework)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이 연구에 적합한 분석의 틀과 분석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분석 틀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변수(relatively stable parameters)와 선행 운동(antecedent action)을 통하여 수석교사제를 제안하게 된 정책의 배경과 취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역동적인 외적 환경의 변화(external perturbations or shocks)와 수석교사제 정책 의제 형성 과정에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였으며 정책 하위 체계(policy subsystem)의 정치적 활동과 제도화 과정에서 어떻게 수석교사제의 정책 변동이 일어났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제가 제안된 배경과 취지는 일차적으로 행정 우위의 교직 풍토 속에서 관리자로 승진하는 것이 교직 생애의 최종 목적으로 여겨졌던 교원 인사행정제도의 불합리를 개선하자는 데 있었다. 수석교사제가 제안되었던 당시에 교원 수급에 급급하여 교원의 자질이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체계가 미흡했고, 경제적 성장에 비하여 교육투자, 처우 등이 열악하여 교직 기피 현상 등이 심각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수석교사제를 도입함으로써 전문적 교직 풍토의 확립과 교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 그리고 우수 교원 확보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정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이나 우수 교원 확보의 취지보다는 전문적 교직 풍토를 확립하고 전문성 심화에 따른 보상 체제 마련, 승진 임용 체제의 재구조화, 학교조직 운영의 민주화, 그리고 학교 조직의 학습 조직화를 위한 수석교사제로 그 취지가 재정립되었다. 둘째, 여러 기구에서 수석교사제를 정책 의제로 다룸으로써 집중적인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실천으로 이어졌다. 1982년 교육부에서 국회 문공위에 보고했었고, 1987년 교육개혁심의회에서 핵심 정책 과제로 삼았다. 1992년 교육 정책 자문 회의의 제안에 따라 본격적으로 검토되어 1996년 법안까지 마련되었다. 그리고 1999년 교직발전종합방안(시안)에 주요 정책 과제에 포함되었지만 상당한 논란으로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여 장기 검토 과제로 넘어갔다. 이후 2006년 노무현 정부 하의 대통령 자문기구인 교육혁신위원회에서 정책 의제로 다루면서 도입 수순으로 들어갔다. 수석교사제의 정책 의제 형성을 촉진시킨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원 인사행정제도 개선 보고서였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1981년부터 2011년까지의 정치적 변화와 경제 성장, 사회적 가치 변화의 영향이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학교 문화에 대한 자각, 2000년 들어 교원 전문성 신장 및 건전한 교원 인사 풍토 조성 등에 대한 요청이 높았었다. 이에 따른 교원 전문성 존중의 논리와 교원 전문성 신장의 논리, 교원 전문성 중심의 임용 승진 체계구축의 논리, 교원 전문성 중심의 교원 조직 재구조화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 꾸준한 정책 주장의 영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책 하위 체계의 행위자에게 영향을 미친 자원이나 제약 요인으로는 대통령의 선거공약, 한국교총의 꾸준한 정책 의지, 타 부처의 경제적 제재, 전교조 합법화, 교장임기제나 교원 평가, 교원 정년퇴직, 교장 공모제 등 관련 교원 정책의 결정과정의 영향, OECD의 다단계 교원 자격 체계 도입 권장, 교육 전문가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석교사제의 정책 과정의 정치적 활동에서는 한국교총과 전교조가 찬반 옹호 연합의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지지 세력과 연대하여 갈등과 대립 양상이 계속 이어졌다. 정책 중개자(policy brokers)로서의 교육부는 정책 혁신가형, 정책 중개자형, 비난 회피형, 옹호자형의 양상을 모두 보였고, 정작 조정안은 제3자인 교육 전문가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찬반 옹호 연합 모두 적극적인 전략과 자원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찬성 측보다 반대 측에서 반정부 세력과 연대하여 이념적 차원의 강력한 힘을 발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찬반 옹호 연합의 신념 체계(belief systems)를 살펴보았을 때, 심층 핵심 신념(deep core beliefs)은 자율과 경쟁 중심 가치와 평등과 분배 중심 가치의 대립이었으며 교원 전문성을 위한 신념과 학교 자치 및 교육 민주화를 위한 신념의 대립이었다고 볼 수 있었다. 정책 핵심 신념(policy core beliefs)은 수석교사제와 교장선출 보직제를 중심으로 논쟁을 벌였다. 이러한 갈등과 대립 구조 속에서 구체적인 시행 방안에 대한 신념(secondary beliefs)에 정책지향학습(policy-oriented learning)으로 인한 정책 변동이 일어났다. 먼저, 경력 교사를 우대한다는 의미에서 교사 지도성을 갖춘 수업의 최고 전문가를 우대하는 의미로 바뀌었다. 또한, 승진 구조 속의 개념에서 평교사의 전문성 심화에 따른 자격 체계의 개념으로 변동되었다. 아울러, 교장 급의 수석교사에서 임기 중 교장 승진을 제한하는 것으로 변동되었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전 단계인 선임교사 신설을 유보하여 수석교사제의 본질적 취지가 상당히 축소되었다. 그 외에 선발 기준, 예산, 배치, 교육 전문직과의 관계, 처우 등에도 정책 변동이 일어났다. 정책 논변 구조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반론에 대한 방어적인 재반론의 과정에서 정책 변동의 동태성을 보였으며 소망성의 기준에는 적합했으나 실행 가능성의 측면에서 정책 선택의 제약이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정책 목표에 도달하기까지는 점진적으로 그 취지를 살려나가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옹호 연합 모형의 신념 체계와 정책 논변 모형을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책 담론 분석의 필수라 할 수 있는 언어의 속성에 대한 내용 분석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수석교사제의 규범적 특성, 정책 주장의 실용적 대응, 정책 논증의 가치를 판단하기에 적합하다는 이론적 함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도화 과정에서 갈등과 대립 관계에 있던 양측 옹호 연합은 조정안인 수석교사제와 교장공모제의 동시 도입이라는 합의안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교육혁신위원회에서 도입을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 시범 운영을 실시하게 되었다. 4년간의 시범 운영 성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법적,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가 제기되어 입법과정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법 개정 내용은 정책의 취지인 교원의 전문성 심화에 따른 자격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 아니었다. 표면적으로는 교사 본연의 가르치는 업무를 존중하고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한다는 정책 목표를 세웠으나 결과적으로 수직적 교원 조직에서 승진 자리 하나 늘려주는 식으로 변질되어버렸다. 교원의 종류를 교장, 교감, 수석교사, 교사라고 하였으며 1급 정교사 후에 지속적인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취지를 가진 수석교사의 전(前)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선임교사 단계가 없고, 임기를 두도록 하였으며 1교 1명씩 관리자처럼 배치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넷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석교사제의 정착과 보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정책의 취지와 관련하여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과거와 달리 이제 초·중등 교원도 의사나 대학 교수처럼 전문직으로서의 체계를 갖추어 나갈 때가 되었다고 본다. 수석교사제는 관료적인 행정 업무 중심의 학교보다 민주적인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에서 정책 효과가 높을 것이다. 승진 기회 확대라는 의미보다는 교직의 전문직화를 위한 숙련의 단계로 수석교사제에 대한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정책의 취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다각도의 교육과 정책 홍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정책 의제 형성과 관련하여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정치적인 목적보다 교육 본질적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정착은 학교 교육 패러다임에서부터 교육과정, 학교 문화 등 복합적인 문제가 동시에 해결되어야 하므로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책 변동과 관련하여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수석교사제를 중심으로 한 전반적인 교원 인사행정제도의 재검토가 요구된다. 이 중에서 선임교사제 신설은 수석교사제의 근간이 되는 것이므로 우선 도입이 필요하다. 예산의 범위에서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되 정책 본래의 취지를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교장임기제와 교장공모제도 수석교사제를 중심으로 재검토가 필요하다. 교장이나 교육 전문직과의 교류는 공모제를 통하여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자격 체계이므로 학교 규모나 교과에 따라 배치 인원을 달리 할 필요가 있다. 자격 체계이므로 임기제보다 선발이나 평가를 엄정히 하는 것이 취지에 더 가깝다고 본다. 선발이나 평가는 교사 지도성에 대한 다면평가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장기간의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 결과가 반영되도록 함이 타당하고 객관성도 있다고 본다. 처우 면에서 수업의 최고 전문가로서의 활약으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프랑스의 아그레제(Agrege)과 같은 사회적 대우가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 그리고 법적인 측면에서 초·중등교육법 19조의 교직원의 분류에서 교장, 교감, 수석교사, 교사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자격 체계와 직위별로 구분하여 개정하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석교사제의 정책의 취지는 미래 지향적인 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재개념화를 바탕으로 한 교직의 전문직화에 있었다. 따라서 도입과정에서 발생한 정책 변동은 하루빨리 정책 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재검토될 필요가 절실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우선, 교육부와 시, 도 교육청의 정책 담당자의 꾸준한 정책 의지와 정착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교직의 전문직화를 위하여 이념적 논쟁보다 교육 본질적 목적을 지향하는 보다 성숙한 정책 능력과 역량 개발 자세가 요구된다. 수석교사들의 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미 수석교사로 임용된 이들이 학교 교육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선도자(change agent)로서의 자세가 요구된다. 학교 경영자들이 수석교사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경영을 해야 하고 미래 지향적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을 펼쳐나가야 한다. 일반 교사들의 수석교사제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전문성 심화에 따른 교직 발달 단계를 밟아 나가는 것이 교직생애의 보람임을 발견해야 한다. 교사 단계별 역할 기준에 대하여 업무 중심, 실적과 같은 양적 기준이 아니라 질적 기준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정밀하게 제시될 수 있도록 원숙함에 대한 다양한 사례가 공유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석교사제 도입, 추진의 성과,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선임교사 도입을 위한 제반 조건에 대한 분석, 선임교사 도입이 주는 수석교사제의 효과성 분석, 성공적인 수석교사제를 중심으로 한 전반적인 교원 인사행정제도 개선 방안, 학교 재구조화 방안, 교직의 전문직화의 조건에 대한 재개념화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분석 틀은 다른 교원 정책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장기간 정책 환경의 변화하면서 첨예한 갈등과 대립 과정을 거쳐 정책 신념의 변화가 발생한 정책일수록 그 정책 변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