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컴퓨터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교사의 욕구 탐색

        심현애(Hyeon Ae Sim),이소희(So Hee Lee) 한국아동학회 1997 兒童學會誌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point of teacher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Nondirective and open-end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teps or stages of viewpoints were found: steel-teachers want to have computers in the classroom but have no particular purpose in mind; Step 2-teachers want the children to play with the computers as if it were a toy; Step 3-teachers want to use any programs that are in the computer; Step 4-teachers want to use the computer more purposefully for educational goals; Step 5-teachers want to unify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 실습에서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의 활용 효과

        심현애(Sim HyeonAe),김경연(Kim Kyung Y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을 활용한 수업 후에 교수효능감, 수업설계 결과물, 성취목표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자와 사용된 e-포트폴리오 환경이 학습에 유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의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연구에 적합한 e-포트폴리오 환경을 개발하였다. 효과성 검증 실험을 위해 서울 소재 K대학교에서 “교육학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16명(여학생 12명, 남학생 4명)의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전략의 사용과 학습자 참여 등 두 가지 하위요인에 대한 사전과 사후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업설계와 관련된 단계별 실습 결과물은 e-포트폴리오의 동료피드백 활동 전과 후에 5단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e-포트폴리오 학습활동 경험 후 참여한 예비증등교사들은 수업설계 및 지도법과 관련된 학습목표 성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인식을 표현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개발된 e-포트폴리오 환경이 유용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이어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its effectiveness and usability of the e-portfolio learning environment developed focusing on reflection to facilitate the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by implementing it in the real classroom environment for the pre-service teacher of secondary school. 16 pre-service teachers (12 females and 4 males) of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four weeks’ summer lecture and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 to post te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reported both sub-areas or us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ngaging for their learners’ participation. Second, learners’ products after received the peer review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ive steps of practice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eer review. Third, the learners’ awareness of performance achievement in 14 items related with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methods were fairly high after engaging the practice using e-portfolio.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their awareness of usability with considerably high score in activity experiences in the e-portfolio and specific functions such as feedback/revision registration button and tag selection and fairly high score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e-portfolio environment.

      • KCI등재

        교수자의 PBL 교수법 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자 역량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심현애(Sim, Hyeon-Ae),김경연(Kim, Kyung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PBL 교수법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수자의 참여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6학년도 2학기에 S대학의 PBL 교수법에 교수자의 참여 수준에 따른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사후-사전 점수 차이에 대해 ANCOVA와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만족도에 대한 ANOVA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자의 참여 수준에 따라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 결과, 하위영역 중 계획실행의 경우 3회 참여 집단이 1회 참여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고, 수행평가의 경우 3회 참여 집단이 1회와 2회 참여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교수자의 참여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 결과, 하위영역 중 리더양상의 경우 3회 참여 집단이 2회 참여 집단보다 높았고, 의견통합의 경우 3회 참여 집단이 1회와 2회 참여 집단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참여 횟수에 비례하여 높았고, 특히 3회 참여가 1회 참여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른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fessors ’ participation level of the PBL teaching method support program provided by the university on students ’ learning. In this study, MANOV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 and pre test scores of the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ng once, participating twice, participating in three times. In addition, ANOVA analysis of the class satisfaction was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ofessors ’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plan execu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among the sub factors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The three time participating groups was higher than the once participating group in the plan execution and was also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econd, the level of professors ’ particip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leader aspect and opinion integration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e three time participating groups was higher than the twice participating group in the leader aspect and was also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opinion integration. Thirdly, the class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in the three time participation group than the once participation group.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detail.

      • KCI등재

        중학교 3학년생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심현애 ( Hyeon Ae Sim ),김경연 ( Kyung Y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학생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 등의 다차원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패널2의 3차년도와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대비 자공고 진학 결정 요인은 성취도, 로그월평균가구소득, 학교평균SES, 수준별수업수, 진로지도운영수준이며, 그중 성취도, 학교평균SES, 진로지도운영수준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사고 진학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 성취도, 학습태도, 좋은교육프로그램 등 4가지였다. 셋째, 특목고 진학 결정에 있어 성취도, 교육정보획득, 진학정보인지수준, 학교평균SES, 좋은교육프로그램, 진학및취업실적 등이 유의한 변인이었는데, 교육정보획득, 학교평균SES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도, 혼자학습하는시간, 학습태도, 로그월평균가구소득, 부모학력, 교육정보획득, 학교평균SES, 좋은교육프로그램, 진학및취업실적 등은 특성화고 진학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좋은교육프로그램과 진학및취업실적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은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 determinants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choosing high schoo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using third and forth year data of SELS2010 penal 2.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of choosing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against gener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logged family incom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level of career guidanc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and level of career guidance among those negatively affected. Second, determinants of choosing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wer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better education programs. Third, determinants of choosing speci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recognition level of school admission guide,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was negatively affected. Forth, determinants of choos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ere academic achievement, self learning time, learning attitude, logged family income, parents` level of education,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better education programs, and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All variables except acquis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average SES of middle school negatively affect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경로 분석

        심현애(Sim, Hyeon Ae),김경연(Kim, Kyung 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근무시간, 직장내 사회적지지,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등 다섯 가지 변인을 도출하고, 변인들간의 가설적인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K시의 보육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했던 경로상의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적합도 검사 결과 가설적 모형이 최종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는 각각 유의미한 효과와 설명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근무환경과 보육효능감은 각각 사회적지지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근무시간과 보육효능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사회적지지로부터는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직무만족도는 근무시간으로부터 간접적인 영향만 있었던 반면 근무환경과 소진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보육효능감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소진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줌과 동시에, 근무환경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과 소진을 차례로 매개로 한 간접효과 등 세 가지 간접경로를 통해서도 직무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에 대한 보다 구체적 인 결과와 논의점 그리고 보육교사 지원 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연구 제언을 추가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recedent literature review, five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social support within the childcare center,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 hypothetic path model among the variables was selected. Details of the hypothetic path model were as follows; Firstl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working hours would in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burn-out. Thirdly, social suppor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 with the different three indirect paths mediated by childcare efficac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in order. 133 samp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version 22 and the mai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ll variable except the working hours was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each pair-variable of the path which was set in the hypothetic model was also correlated each other. Secondly, the hypothetic path model was adopted as a final research path model satisfactorily fulfilling the all fitness indices. Thirdly and th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and related power value on each path toward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burn-out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tudy presented a number of discussions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related supporting polic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심현애 ( Hyeon Ae Sim ),김경연 ( Kyung Y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효과성 연구의 일환으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학기 S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n=42)과 대체과제를 수행한 통제집단(n=28)으로 나누어 7주간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속변인인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대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은 MANOVA 분석을, 교수효능감은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점수는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개별 하위구성요소별 효과에서는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 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 영역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음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후 교수효능감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portfolio affect on their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efficacy. 7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for 7 weeks` experiment being di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42) with teaching portfolio tasks and the control group (n=28) with alternative tasks. Data on both dependent variables was collected with pre-test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st test. MANOVA was used for the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consisted with 5 sub-factors and ANCOVA was used for teaching efficacy because of co-variation from the pre-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core on the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was especially significant in 3 out of 5 sub-factors,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stating learning objectives and plann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portfolio positively affected on their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especially enhanced th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efficac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flect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portfolio influenced in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efficacy. Mor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added in the study.

      •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컴퓨터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활동의 효과

        심현애(HyeonAe Sim),김경연(Kyung Yun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8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음악적 개념 이해와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분석하고, 간략한 서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음악적 개념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에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데, 하위 요인인 교수결과에 대한 기대와 개인적 교수효능감 요인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MIDI 프로그램이 음악에 대해 이해, 음악실기 능력의 향상, 음악에 대한 내재적 동기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MIDI 활용이 학습도구로서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MIDI 프로그램을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음악활동, 자작곡 활용, 악기대용, 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관리하는 도구 등으로 유아들의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예비유아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computer MIDI program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The subjects were 48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in the course of computer. Pre and post scores of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music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Content analysis on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reflective journal text were complementally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using computer MIDI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nd enhancing the teaching efficacy on the music. The usefulness of using MIDI program to the participants and their ideas for applying the program toward the future music instruction for young kids were categorized and counted depending on the each ite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additionally discussed.

      • 티칭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성 활동에 관한 연구

        심현애(Sim, HyeonAe),김경연(Kim, Kyung Y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티칭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성 활동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수업전문성 개선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S대학 예비유아교사 42명을 대상으로 티칭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성 활동을 참여하게 하고, 그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 심층 인터뷰, 관찰기록의 질적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업전문성의 세부기준 요소를 단위로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초 분석틀인 수업전문성의 5개 중영역의 하위 18개 세부 기준요소 전 항목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선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준요소 외에 ‘몸동작, 표정, 습관’과 관련된 지속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이를 하나의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통계적 분석에서는 교사의 수업 반성, 전문성 발달 노력, 구조화된 수업 전개와 효율적인 시간 관리 등의 요소와 관련된 표현을 한 유아교사들이 많았고, 개인차, 이해와 사고를 촉진하는 수업전략, 효과적인 질문 사용 요소와 관련된 표현을 한 예비교사는 적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purposed to explore how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flective activities with teaching portfolio showed their awareness in relation with their instructional expertise improvement. 42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aking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class in S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e reflective activities with teaching portfolio. Data sources from reflective journal written by the student, in-depth interview and information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collected, transcribed to the text form, analyzed in terms of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nd coded each meaning being distributed to 18 criterion units of instructional expertise. Result presented tha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ir awareness in all 18 criterion unit related with 5 middle class domains of instructional expertise. From the content analysis, one outstanding node which was related with gesture, facial expression and habit was continuously observed and it was added as an independent criterion unit to one middle class domain of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node in terms of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Result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ressed their awareness mainly on the criterion of ‘teacher’s reflection of their instruction’, ‘effort to the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structured instructional performance and efficient time management’ etc. and rarely expressed on the criter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thinking’ and ‘effective question use’. More issue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rom the result.

      • Effect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Timing and Problems Sequencing for Novice Learners

        HyeonAe Sim(심현애)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원정보 제시 시기와 연습문제 순서화 전략이 복합적인 내용을 다루는 초보자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초보 학습자를 위한 학습자료 개발에는 인지부하이론과 4C/ID 모형을 바탕으로 설계 전략이 적용되었다. 독립변인은 지원정보 제시 시기와 연습문제 순서화였다. 지원정보 제시 시기는 연습 이전에 제시하는 방법과 연습 도중에 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습문제 순서화는 내용 유형별로 완성된 예제를 공부하고 전통적 문제를 해결하는 구획화된 순서화 방법과 완성된 예제 및 전통적 문제 안에서 내용 유형이 규칙 없이 제시되는 무작위 순서화 방법이 적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인지부하, 효과성 및 효율성이었다. 연구 대상은 교수 설계 초보자인 예비교수자 135명이며, 4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참가자들은 초기 2주 동안 교수설계 수행과정에 의거 교수목표 분석과 수행목표를 진술하는 것을 공부하였다. 교수목표 분석과 그에 적합하게 수행목표를 진술하는 것은 예비 교수자들에게 복잡한 학습내용이며, 참가자들은 이 영역의 초보 학습자들이었다. 후반 2주 동안에는 웹기반 자료에서 제시되는 문제를 가지고 초반에 학습했던 것을 연습하였다. 연구결과, 연습 도중 및 사후검사 수행시 인지 부하, 개념획득 및 규칙적용의 효과성 점수, 그리고 연습 효율성 및 수행 효율성에 각각 미치는 영향이 분석·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in complex cognitive task practice for novice learners. Assumptions about the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4C/ID model were applied as a rationale for the treatments that facilitate learners to manage their cognitive load, which occurs when novice learners practice complex cognitive tasks.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Supportive information was presented in two ways of before practice versus during practice. Problems were presented in two way with blocked versus random sequencing.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load, learning effectiveness and learning efficiency. The subjects were 135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e novice learner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y studied how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tate the performance objectives during the first two weeks then practiced the learned during the second two weeks. Results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cognitive load during practice and test, learning effectiveness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rule application,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actice and performance.

      • KCI등재

        고등학생이 설정한 성취목표 유형이 인지전략 사용과 지각된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김경연 ( Kyung Yun Kim ),심현애 ( Hyeon Ae S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이 학습맥락에서 설정한 성취목표와, 인지전략의 사용, 그리고 학습자가 지각한 수업이해도와 같은 학습결과들 간에 관계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두 가지 성취목표 유형과 세 가지 인지전략은 수업이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숙달목표는 피상적인 인지전략인 시연을 통해서, 수행목표는 심층적인 인지전략인 부호화를 통해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메타인지를 시연과 부호화전략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가정하여 가설적인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 5,91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EQS를 활용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의 두 가지 유형과 세 가지 인지전략 사용, 그리고 지각된 수업이해도의 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들 변인들 간의 가설적 경로 모형에 LM 테스트를 통해 경로를 하나 추가함으로써 적합한 경로 모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시연, 부호화, 메타인지, 그리고 수업이해도에 이르는 경로에는 각각의 유의미한 효과와 설명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몇 가지 논의점과 더불어 그것이 학교학습에 주는 시사점 및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he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and their perceived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nd verify the path model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by applying the resources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Ⅳ) (KELS:2005(Ⅳ))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ased on the theoretical rationale, the researchers hypothesized that the tw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three cognitive strategies directly influence upon the perceived understanding as well as that mastery goal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nderstanding via the rehearsal which is one of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performance goal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nderstanding by way of coding which is also one of the cognitive strategies. The researchers also hypothesized a path model including the metacognition as a intermediate variable for rehearsal and coding strategies. 5,910 sampl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EQS version 6.0 and the mai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shown that the tw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three cognitive strategies and the perceived understand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in whole pairs. Secondly, an appropriate path model was found with the addition of a path o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through the LM test. Thirdly and th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and related power value on each path toward rehearsal, coding, metacognition and the perceived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