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 분석

        박형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With respect to science learning, students indicated liking science classes more than average, being good at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average, and having more scientific knowledge than average. Compared with before the COVID-19 pandemic, student confidence in retaining scientific knowledge had decreased markedly. Of the eight student types in the students’ awareness levels about affective⋅ behavioral⋅cognitive domain, the HHH type—the most ideal—was also the most distributed. Students’ preferred science class methods were experimental (72.7%) and nature inquiry classes (23.2%); science knowledge classes were ranked a distant third (4.1%). Preferred class locations were the science lab (58.1%) and different places from time to time (34.4%); the classroom was ranked last (7.5%). With respect to lab safety,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have experimental classes, but more than half reported understanding how to use experimental equipment.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in the lab. They were not only well aware of the associated physical protection functions, but also of th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effects. Most students also recognized that first aid education is necessary, but only 31.5% reported understanding first aid methods. Based on tho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school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실험 안전 인식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인식과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을 보통 이상 좋아하고, 과학 탐구 기능을 보통 이상 잘한다고 인식하며, 과학 지식을 보통 이상 가지고 있다고 인식한다. 코로나 19 상황 이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초등학생들은 과학지식 보유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낮아졌다. 둘째, 전체 여덟 개의 유형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학생 유형인 상상상 유형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해 실험 수업(72.7%), 자연 탐구 수업(23.2%), 과학 지식 이해 수업(4.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수업 장소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과학실(58.1%), 때에 따라 다른 장소(34.4%), 교실(7.5%)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실험 수업에 대해 안전사고 발생의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둘째,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은 실험 기구 사용법을 이해하고있다고 인식한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안전 장비 착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넷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응급 처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응급 처치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은 31.5%에 불과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한다.

      • KCI우수등재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한 비소 및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 전 ‧ 후 토양건강성 평가

        박형민,김정욱,전순원,박승호,정명채 한국자원공학회 202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60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health of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following soil washing. Particle separation (2-0.075 mm) and acid washing by HCl (0.1, 0.5, and 1.0 M) were applied to remediate the contaminated soils. The eight soil health indices (bulk density, pH, electric conductivity, cation exchange capacity, soil organic material, available P2O5, soil respiration, β-glucosidase) were examined to quantify the variation of these properties after soil washing. Remediation efficiency increased with particle separation and increasing acid concentrations. Except for bulk density and electric conductivity, most soil health indices decreased after soil washing.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recycling of remediated soils and enhancing soil health. 본 연구는 비소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농경지토양과 임야토양을 대상으로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하여 토양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정화효율은 입도분리(2-0.075 mm)와 세척액의 농도의 변화(0.1M, 0.5M, 1.0M HCl)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토양건강성평가의 경우 8가지 지표 (용적밀도, pH, 전기전도도, 양이온치환용량,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토양호흡, β-glucosidase)를 활용하여 정화 전·후를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입도분리 및 세척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소와 중금속의 정화효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양건강성은 용적밀도와 전기전도도를 제외한 평가지표가 감소되는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정화토 재활용 가능성 평가와 토양건강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영양 불균형 췌담도암 환자에서의 수술 전 영양 지원에 대한 전향적 연구

        박형민,박상재,강영화,한성식,유지혜,이미영,손금희,유민경,김지연,조영아,위경아,주정남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7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배경 및 목적: 영양 불균형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대규모 수술을 시행할 예정인 영양불균형 환자는 ESPEN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술 전 영양 지원을 시행할 것이 권고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양불균형 암 환자에 있어서 수술전 영양 지원의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14년부터 2016년 사이 대규모 수술이 계획 중인 췌담도암 환자 중 총 90명의 환자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그 중 영양 지원군은 45명, 영양 균형군은 45명이었다. 고식적 수술, 소규모 수술을 받은 경우는 제외되었다. 영양 상태는 체중 감소 (6개월 이내 10%초과 감소), PG-SGA (grade B 혹은 C), 혈청 알부민 (3.0 g/dl 미만) 등으로 평가하였고 영양 불균형 환자들은 영양지원군으로 배정하였다. 영양지원군에서는 수술 전 영양지원 프로그램을 5일 이상 진행하였으며 calorie (30-35 Cal/kg, 경장 혹은 경정맥)와 단백질 (1.2-1.5 g/kg)을 공급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6.0±8.7 세였다. 영양지원군의 환자들은 영양 균형군에 비하여 고령이었다 (68.7±6.7 vs. 63.4±9.4, p=0.003). 성별 (p=0.824), 수술 종류 (p=0.358), 그리고 초기 BMI (p=0.377) 는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영양 지원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평균 8.3 (5-16)일이었고 평균 Calorie 및 단백질 공급양은 각각 32.4±5.3 Cal/kg/day, 1.3±0.2 g/kg/day 이었다. 영양 지원군에서 수술 후 전체 합병증 발생 빈도는 51.1%였고 영양 균형군에서는 40.0% 였고 (p=0.290) 임상적으로 유의한 (Clavien-Dindo classification II or IV) 합병증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3.3% vs. 24.4%, p=0.425). 수술 후 재원기간은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21.1±13.2 vs. 19.4±11.5, p=0.476). 영양 지원군에서 영양지원 전후 PG-SGA grade 가 A로 개선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수술 후 합병증을 비교하였을 때 영양 상태가 개선된 그룹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합병증의 발생빈도 또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이는 영양균형군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없었다 (40.9% vs. 28.6% vs. 24.4%). 결론: 영양 불균형 췌담도암 환자의 수술 전 영양 지원을 하였을 경우 영양 상태는 개선되나 충분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영양 균형 환자들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 후 임상적인 경과는 비슷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영양 불균형 암 환자에 대한 수술 전 영양 지원의 임상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바탕색이 시각적 스트레스와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

        박형민,성덕용,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lour background of computer monitor for level of discomfort with pattern glare and reading speed. Methods: Twenty participants (mean age 26±4.68) with no ocular complication and more than 6/6 visual acuity included. Computer simulated program for pattern glare was used to measure the discomfort level using 5-point rating scale (higher score refers to a higher level of discomfort) under four conditions, white background of computer monitor, coloured background of computer monitor which was selected by the participant’s choice, white light of desk lamp and coloured light of desk lamp which was also selected by participant’s choice out of 12 colours. Reading speed was measured by counting Korean word correctly read per minute(wpm) and excluding the omitted line, words and wrong order. Reading speed was measured twice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one with a white background of computer monitor and another with colour background.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discomfort level for different viewing conditions (p<0.05), with highest discomfort score with computer monitor with white background (3.6 points) and lowest discomfort score with coloured desk lamp(2.47 poin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for word per minute (p<0.05) that the number of word correctly read with a white background was 123.7±26.2 wpm, while that of with color background selected by participants was 132.4±26.4 wpm.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colour background for reading may be beneficial for reducing visual discomfort and improving reading performance which was similarly confirmed by other researchers. Also, having coloured light of desk lamp may also be applied for long time studying to reduce visual stress. In addition, carefully chosen colour background or desk lamp rather than random colour can enhance reading ability. 목 적: 본 연구는 컴퓨터 모니터의 다른 바탕색이 시각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특정 패턴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 정도와 읽기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눈에 안과적 질환이 없고 시력이 1.0 이상인 20명(평균 연령 26±4.6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바탕색이 흰색인 컴퓨터 모니터, 대상자가 가장 편하게 느껴진다고 선택한 바탕색의 컴퓨터 모니터, 흰색 조명의 스탠드, 12가지 색상 중 대상자가 선택한 조명색의 스탠드 등 4가지 경우의 조건에서 패턴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5점평가척도(더 높은 점수는 더 높은 불편함 정도를 나타냄)로 불편함 정도를 측정하였다. 읽기 속도는 분 당 정확하게 읽은 단어수(wpm)를 세고 생략된 줄, 잘못된 단어 및 순서 등을 제외하고 측정하였다. 읽기 속도는 컴퓨터 모니터 배경이 흰색인 경우와 선택한 컬러의 경우에서 두 차례 측정하였다. 결 과: 컴퓨터 모니터 바탕이 흰색인 경우 불편함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3.6점), 선택한 색상이 비치는 스탠드에서 불편함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2.47 포인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바탕색이 흰색인 경우 1분간 읽은 단어수가 123.7±26.2 wpm이었던 반면 참가자가 선택한 색이 배경인 경우 1분간 읽은 단어수는 132.4±26.4 wpm으로 읽기 속도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결 론: 본 연구는 편안하다고 느껴지는 색상을 배경으로 사용할 경우 시각적 불편을 줄이고 읽기 능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에서 선택한 편안한 색상이 비치는 스탠드 사용 역시 장시간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시 시각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의적인 색상보다 신중하게 선택한 바탕색이나 스탠드의 빛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 of the 1.6m telescope at Big Bear Solar Observatory

        박형민,채종철,송동욱,양희수,장비호,박영득,나자경,조경석,안광수,Park, Hyungmin,Chae, Jongchul,Song, Donguk,Yang, Heesu,Jang, Bi-Ho,Park, Young-Deuk,Nah, Jakyoung,Cho, Kyung-Suk,Ahn, Kwangsu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For the study of fine-scale structure and dynamics in the solar chromosphere, the 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 (FISS) was installed in 1.6m New Solar Telescope at Big Bear Solar Observatory in 2010. The instrument, installed at a vertical table of the Coude lab, is properly working and producing data for science.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however, we noticed that a couple of problems exist that deteriorate image quality : lower light level and poorer resolution of the CaII band data. After several tests, we found that the relay optics at the right position is crucial role for the spatial resolution of raster-scan images. By using resolution target, we re-aligned relay optic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spectrograph. Here we present the result of optical test and new data taken by the FI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