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에 나타난 식물연구

        민태영 ( Min Tae-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인간은 다양한 이유로 종교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교의 교리는 심오하고 철학적이어서 삶을 해결하는 도구이기 전에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되기도 한다. 인간의 정신세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깨달음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불교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교리의 탐구 외에 경전의 논지를 뒷받침하는 배경 요소를 활용해 이해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식물연구도 그 방안 가운데 하나이다. 왜냐하면 식물은 단순히 생물학적 존재일 뿐 아니라 경전의 중심 논지를 담고 있어 경전의 논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쉽게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존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불교 경전에서 식물은 비유와 상징의 과정을 통해 교리를 함축적으로 전달하거나, 종교적인 성화(聖化)를 극대화하며, 교리를 형상화한 장엄과 의식의 도구로서 수록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화엄경』, 『법화경』 그리고 『열반경』 등 대승 경전에 나타난 식물 연구의 첫 과정으로서 『화엄경』에 나타난 식물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은 경전에 수록된 전수 조사를 통해 식물의 자연 과학적 실체를 밝히고 수록된 식물의 역할을 교리의 함의, 종교의 성화, 장엄과 의식의 도구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는 것이다. 『화엄경』에는 총 35종의 식물이 수록되어 있었는데 이 가운데 목본(나무)는 18종, 초본(꽃,풀)은 17종이 수록되어 있었다. 특히 다른 대승경전에 비해 연꽃과 보리수 두 식물의 수록 빈도가 월등히 높았다는 점도 『화엄경』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었다. Human-being needs religion for various reasons. Sometimes, however, the doctrine of religion becomes the task that needs to be solved before becoming the tool to life because it is profound and philosophical. For Buddhism, this is more critical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is deep understanding and enlightenment about the human psyche. Thus, in order to reach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it is deemed necessary to use background elements which are supporting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Buddhism as well as to explore the doctrine. Plant research is also one of them. Because plants are not only the biological being but also they are the being which contains the central thesis of scripture that makes it easy for the writer of scripture to convey what the writer wants to convey. In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e process of metaphor and symbolism, plants are contained as the tool of majesty and ritual which conveys doctrine implicitly, maximizes religious sanctification and embodies doctrine.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of the plant research in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such as 『Avatamsaka sutra』, 『Saddharmapundarika sutra』 and 『Mahaparinirvana sutra』. And the plants in 『Avatamsaka sutra』 will b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reveal Natural scientific entity and organize the role of plants which are contained in scripture into three ways [The implications of doctrine, the sanctification of religion, and the tools of majesty and ritual] through the complete enumeration of plants in scripture. Total of 35 species of plants were recorded In 『Avatamsaka sutra』, and there are 18 species of woody plants and 17 species of herbs. Especially, it is the characteristic of 『Avatamsaka sutra』 that the number of the ‘the Lotus’ and ‘the Bo t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 KCI등재

        일반논문 :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의 의의와 활용 방안

        민태영 ( Tae Young M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불교 경전 속에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식물과 더불어 불교의 교리를 대변하거나 비유와 상징의 대상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이 등장한다. 따라서 불교 경전 속의 식물을 명확히 밝혀내어 불교적으로나 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의 불교는 단순히 붓다의 말씀 뿐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를 불교 문화상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정리하였다. 아직은 관련 연구가 초기 단계여서 식물명과 특성을 밝혀내는 정도이고 교리와 경전에서의 활용 중심으로 식물들을 정리한다거나 붓다의 탄생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자원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해놓은 정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전 속의 식물들은 불교 문화상품의 소재로서나 불교 콘텐츠 개발의 한 축으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원식물학적인 측면으로도 관심을 기울인다면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주변의 조경에 있어서도 보다 불교 철학과 사상에 입각하여 식물을 활용하고 식재하여 불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불교 테마 공원 조성에 활용함으로써 불교와 불교문화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In Buddhist scriptures, the plants appear a variety of ways that it related the Buddha`s life as well as representing the Buddhist doctrine and becoming an object of metaphor or symbol. So, I proposed that clarifying th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nd studying the plants Buddhist and botanically was new method for easy to understand Buddhist doctrine. Also, in a broad sense, Buddhism contains not only the Buddha`s word but culture, I emphasized that study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products. Because still early stage, the research level is revealing name and properties of plants, arranging plants on the use of scriptures and doctrine and classifying resource plants of the Buddha`s birthplace-oriented plants. However, in the futur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ade a judgment that it can be performing a role as enough materials of the Buddhist culture products as well as an axis of contents development. Especially if we have pay attention to aspect of resource pla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sides a useful plant resources, we can provide Buddhist cultural things to see by utilization and plantation of plant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for landscaping around the temples. Also utilizing Buddhist theme park as the Buddhist culture space, expansion of the base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can be expected.

      • KCI등재

        『법화경(法華經)』에서 ‘공덕(功德)의 과보(果報)’로 나타나는 ‘천화(天華)’의 의미 연구

        민태영 ( Min Tae-you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7 No.3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was named after a type of lotus,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 Heavenly Flowers. Also, Heavenly Flowers were used as a subject of metonymy throughout the chapters of sūtra. When preaching about the retribution of Teacher of the Law's deeds, Heavenly Flowers were mentioned and semanticized as a mean for purification of six faculties.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is the completion of open-mindedness regarding the ultimate of Buddhism, and is known for using various metaphors and expedients to maximize public understanding. Structurally,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first reveals the central thesis through [The chapter on ‘Expedient Devices’] and [The Chapter on ‘Duration of Life of the Tathāgata’]. After comes [The Chapter on ‘Distinction of Benefits’]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asceticism charity. It is then followed by [The Chapter on‘The Benefits of Joyful Acceptance], which explains the causes of virtue, and [The Chapter on ‘The Benefits of the Teacher of the Law’], which tells the effects of virtue. Throughout the whole sūtra, from the central thesis to the asceticism and charity, a strong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f Heavenly Flowers mentioned and the closeness to the central thesis.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Heavenly Flowers. Popularity is essential for a plant to become a subject of metaphor or quotation in the essays. Heavenly Flowers, which is imbued with a great importance in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is commonly used in the devotional observance for its fragrance, and is known for its sacredness and practicality due to the visual effect it contains. In case of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few types of lotus and Heavenly Flowers takes the majority of the entire plants included in the sutra, and considering that the sutra focuses on the public understanding and distribution via metaphors and expedients, it could be seen as a natural result to utilize the Heavenly Flowers as a plant of intimate surrounding. 『법화경』은 천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꽃의 한 종류를 경의 명칭을 삼았으며 경의 전개에 있어서도 비록 일부이긴 하나 천화를 환유(metonymy)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법사의 행에 대한 과보를 설함에 있어 육근청정(六根淸淨)의 한 수단으로서 천화를 거론하고 의미를 부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법화경』은 불교의 궁극에 대한 개방적 사고의 종합체이며 대중적 이해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비유와 방편을 활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구조적으로 보면 법화경은 「방편품」과 「여래수량품」을 통해 드러난 중심 논지가 「분별공덕품」을 통해 공덕의 의미를 밝히고 인(因)공덕을 설한 「수희공덕품」과 과공덕을 설한 「법사공덕품」을 통해 전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 품 들 안에 수록된 천화의 수록 빈도와 중심 논지와의 상관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은 식물체인 천화의 역할이 적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고 하겠다. 식물이 경전을 비롯한 논서 속에서 비유나 인용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대중적인 인지도가 필수 조건이다. 『법화경』 속에서 의미가 부여된 천화들 또한 실제로도 꽃공양은 물론 향공양물로 많이 이용되면서도 시각적인 효용 또한 높아 신성성을 갖춘 존재인 동시에 실용성을 갖춘 존재이다. 『법화경』의 경우 연꽃과 천화 몇 종류가 경전 속에 수록된 식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경이 유독 비유와 방편으로써 대중적 유통에 많은 비중을 둔 경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친근한 주변요소로서의 식물 특히 천화의 활용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차로 이용하는 식물의 다양화 연구

        민태영(Tae-Young Min)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인간이 마음 다스리는데 있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차의 음용을 들 수 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를 마시면서 적어도 내면의 갈등 요소는 일정 부분 해소될 수도 있고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마음의 힘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약리적 효능을 내세운 많은 대용 차들이 선보이고 있으나 차 인구의 저변 확대로 이어진다거나 새로운 차 문화를 이끌어나가기에는 보완할 점이 적지 않다. 이에 논자는 역사성을 가미한 차식물의 탐구를 통해 단순한 음용차일 뿐 아니라 식물로 체화된 인문학 내지 차문화학의 미래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 첫 과정으로서 한민족의 사상과 문화, 역사와 철학 등을 망라한 󰡔삼국유사󰡕에 수록된 식물 가운데 기존의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효능을 대체할 수 있는 몇 가지 식물들을 탐구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한민족의 문화원형(文化原型)으로써 차 식물을 콘텐츠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Drinking tea is one of the most useful ways for people to control their mind. Becaus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people may resolve some of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by repeating this process, it may help people to strengthen their own mind. Recently, many alternative teas with pharmacological effects have been introduced, but it is not enough to expand the base of the tea-drinking population or lead a new tea culture. Thu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ea plants with historicity, I would like to suggest future alternatives not only simple drinking tea but also humanities or tea culture studies that are embodied in plant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step, I explored some plants listed in the 『Samgukyusa』, which totally covers thoughts, culture,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n people that can replace the efficacy of Camellia sinensis. Through this step, I would like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make tea plants as a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셀룰러 OFDMA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간섭 완화를 위한 대역 분산적 자원 할당 기법

        손준호(Jun Ho Son),민태영(Tae Young Min),강충구(Chung G. Kang)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12A

        주파수 재사용도 K = 1을 사용하는 셀룰러 OFDMA 시스템에서 셀 경계 사용자의 동일 채널 간섭에 의한 수율 저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대역 분산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성능 향상 효과를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고려한 대역 분산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은 셀 내의 사용자를 경로 감쇄 순서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후에 각 셀마다 다르게 미리 정해져 있는 자원 할당 영역부터 자원을 할당한다. 셀마다 다른 시간과 공간적인 영역에서 자원 할당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셀 경계의 사용자부터 셀 중앙의 사용자들까지 셀 내 특정 위치의 사용자를 특정 시간대에 배치하여 셀 경계 사용자들이 동시에 같은 자원을 사용하여 간섭이 매우 커지는 경우를 미리 방지하고 셀 내의 사용자들에게 간섭이 평준화되어 고르게 영향을 받도록 한다. 이러한 대역 분산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셀 경계 사용자의 전송률과 outage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We propose the Staggered-zone Resource Allocation (SRA) in order to relax throughput decrease problems by the co-channel interference of the cell boundary users at the cellular OFDMA system using frequency reuse factor K=1 and analyze the throughput improvement. The proposed algorithm allocates the resources to the users in compliance with resource allocation rule which is planned in order to minimize co-channel interference between cells without any additional information. The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the SRA lines up the users in pathloss order as descending series, and then allocates from pre-determined resource allocation region where decides differently in each cell. This algorithm prevents the co-channel interferences of the cell boundary user to be caused by using same resource simultaneously and equalizes interference to the users in the c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