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자성양자원조는 국제기구 의결권의 보완인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사례분석

        류소현,박규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1

        공여주체에 따른 대외원조는 전통적으로 양자 또는 다자원조로 구분된다. 이에 더해, 공여국이 국제기구에 자금을 제공하고 국제기구가 원조사업을 진행하지만 금액, 수원국, 사업 내용 등 자금사용의 결정권은 공여국에 있는 비교적 새로운 형태를 다자성양자원조라고 한다. 한편, 국가들은 양ㆍ다자원조를 산업 육성, 정치적 관계 등을 위한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다자성양자원조에 대한 동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들이 국제기구에서의 권력, 즉 의결권이 작은 경우에, 다자원조에 비해 이익을 더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다자성양자원조를 더 많이 시행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한다. 의결권이 높은 국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다자원조가 자국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정(earmark)이 가능한 다자성양자원조를 선호하는 것이다. 증명을 위해, 2006년부터 2012년 사이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에 다자성양자원조를 제공한 24개 공여국의 연간 다자성양자원조 금액과 의결권에 대한 패널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 의결권과 다자성양자원조의 음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 증명되어 양자, 다자원조와는 다른 다자성양자원조의 결정요인을 규명했다. Foreign aid is conventionally categorised into bilateral and multilateral aid by donor types. In addition, multi-bi aid is a recent form of foreign aid that a donor country provides aid finance to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and also earmarks the usage of it so that the international organisation has no right to decide an amount, recipient, or sector of the aid programme. Several pieces of literature have discovered the national interest determinant of bilateral and multilateral aid but the determinant of multi-bi aid has not discussed academically. This article assumes that countries pursue their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organisations and hypothesises that countries with lower voting power will be likely to provide more multi-bi aid than their counterparts with higher voting power in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Countries with lower voting power prefer earmarked multi-bi aid because bilateral aid highly follows the national interests of strong power countries. This article utilises the panel data between 2006 and 2012 of 24 donor countries that have provide multi-bi aid to IBRD(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o prove this statement. The result show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oting power and multi-bi aid in IBRD and brings an account of the determinant of multi-bi aid which is distinct from bilateral’s or multilateral’s.

      • 성인 여성 토르소 패턴 비교: 가슴에 비해 엉덩이가 큰 체형을 대상으로

        류소현,김예림,김지선,신경은,한현숙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2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6 No.1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a suitable pattern for adult women in their 20s with hips wider than their chest (A-shaped body). Three different torso patterns (Müller, Aldrich, and Armstrong) were drafted, and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fter preparing the experimental clothes and placing them on the A-shaped subject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in the front view, the Armstrong pattern had adequate ease and good appearance in front neck circumference, shoulder width, front width, chest circumference, armscye circumference, and hem. Furthermore, the Aldrich pattern was the worst among the three patterns regarding waist and shoulder ease and appearance. In the side view, the Müller pattern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front and back hem margins. In the back view, similar to the front view, the Armstrong pattern had the most appropriate amount and appearance in the neck circumference, shoulder width, back width, hem, and back armscye circum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pattern methods, the Armstrong method was the most suitable drawing method for an A-shaped body of women in their 20s.

      • KCI등재

        荊防地黃湯의 基源, 變遷過程 및 構成原理

        류소현,이수현,박성욱,신승원,이의주 사상체질의학회 2022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4 No.4

        Obj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s, changes, and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Hyungbangjihwang-tang(荊防地黃湯). Methods Hyungbangjihwang-tang and other related prescrip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athological indicatio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including 『Gogeumuigam(古今醫鑑)』, 『Sanghannon(傷寒論)』, 『Uihagjeongjeon(醫學正傳)』, 『Donguisusebowon ⸱ 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 ⸱ 四象草本卷)』, 『Donguisusebowon ⸱ Gabobon(東醫壽世保元 ⸱ 甲午本)』, 『Donguisusebowon ⸱ Sinchukbon(東醫壽世保元 ⸱ 辛丑本)』. Results and Conclusions The origins of Hyungbangjihwang-tang can be seen in three section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medicinal herbs. Schizonepeta tenuifolia Briq.(荊芥),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防風), Notopterygium incisum Ting(羌活), Aralia cordata Thunb.(獨活), and Plantago asiatica L.(車前子) originated from Hyungbangpaedok-san(荊防敗毒散) included in 『Gogeumuigam』. Poria cocos Wolf.(茯苓) and Alisma canaliculatum(澤瀉) originated from Ohryoung-san(五苓散) included in 『Sanghannon』. Rehmannia glutinosa for hueichingensis(熟地黃) and Cornus officinalis S. et Z.(⼭茱萸) originated from Yukmijihwang-tang(六味地黃湯) included in 『Uihagjeongjeon』. Hyungbangpaedok-san was transformed into "Paedok-san" in 『Chobongwon(草本卷)』, Hyungbangpaedok-san in the 『Gabobon(甲午本)』 and 『Sinchukbon(辛丑本)』. Yukmijihwang-tang was mentioned as a Soyangin medicine in the 『Chobongwon』 and was later transformed into a Suhwagije-tang(水火旣濟湯) in 『Gabobon』. The meaning of Yukmijihwang-tang inherited in 『Sinchukbon』 as Dokhwaljihwang-tang and Hyungbangjihwang-tang. The medicinal herbs in Hyungbangjihwang-tang can be categorized in three sections by their functions, Schizonepeta tenuifolia Briq.,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 Notopterygium incisum Ting, Aralia cordata Thunb., and Plantago asiatica L. scatter the Pyohan(表寒) and make the Pyoeum(表陰) drop. Poria cocos Wolf.(茯苓) and Alisma canaliculatum(澤瀉) make the Pyoeum(表陰) drop through Lee-su(利水). Rehmannia glutinosa for hueichingensis(熟地黃) and Cornus officinalis S. et Z.(⼭茱萸) tonify Shin-won(腎元). The each principles of medicinal herbs corresponds to the stage of the “Cold-related Diarrhea in Soyangin Spleen Cold-based Exterior Cold disease(少陽人 脾受寒表寒病 亡陰病 身寒腹痛亡陰證)”.

      • KCI등재

        메타버스 방송 콘텐츠에 관한 연구: 사례 분석과 제언

        류소현,김수영,김윤상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6

        The recent decrease in the size of the broadcasting market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latforms has increased the failure of produced content. Although the metaverse is widely used in the broadcasting file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broadcasting content considering its environment has been insufficiently analyz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cases of domestic metaverse broadcasting content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its success. The characteristics used in the analysis were extracted through domestic literature survey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success were extracted from the Internet metaverse broadcasting content and not from the TV metaverse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opose a direction for producing metaverse broadcasting content. 최근 방송 시장은 규모가 축소되고 플랫폼의 종류가 증가하면서 제작된 콘텐츠가 흥행에 실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가 방송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타버스 환경이 고려된 방송 콘텐츠의 흥행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메타버스 방송 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여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특징들은 국내 문헌을 조사하여 도출되었다. 사례 분석 결과, TV 메타버스 방송 콘텐츠에서는 유의미하게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도출되지 않은 반면에, 인터넷 메타버스 방송 콘텐츠에서는 유의미하게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로부터 메타버스 방송 콘텐츠의 제작 방향을 제언한다.

      • KCI등재

        창원시 환경정책의 동기 연구: 자율적 대리인 모형을 중심으로

        류소현(So-Hyeon Ryu),김한샘(Han-Saem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31 No.2

        The central-local government relationship in South Korea is a strong agent model, i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has a strong influence ove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focused on a local government whose local autonomy increases in terms of leadership, capacity, and institution, while the central government’s overarching power still exists. The authors explain it with an Autonomous Agent Model-based approach that implies that a local autonomy might be increased when a local government encounters crises that can be harmful and challenging. The model will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active local environmental policy of the Changwon government, a middle-sized city in South Korea. Changwon has experienced two major crises,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in 2008 that jeopardized its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rapid integration of three different municipalities in 2010 that caused severe social inequality. The Changwon government increased its autonomy to deal with crises by actively implementing local environmental policies. Its local autonomy on environmental policies will be measured by analyzing its leadership, capacity, and institution. This study aims to bring a novel explanation of some notable cases of local governments increasing their autonomy in South Korea, where the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relatively strong.

      •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Ⅲ)

        신동원,류소현,임형우,정우현,정인섭,순병민,최아름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녹색경제가 글로벌 의제로 인식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경제에 관한 연구와 이행 노력이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 ○ 특히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포하였음 ○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 문제 외에도 폐기물, 화학물질, 물환경과 같은 제 분야 환경문제에 대한 환경규제의 활용 증가가 전망됨 □ 본 연구에서는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찾고자 함 ○ 3개년도 연구의 마지막 연차 과제인 본 연구에서 1, 2년 차 연구내용을 포괄함 ○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관점에서 환경규제에 대한 순응도와 이해도를 제고하고 적절한 정책수단을 활용하며, 환경규제를 설계, 실시하고 합리성을 제고하는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Ⅱ. 녹색경제 활성화와 환경규제의 특성 1. 환경규제의 현황 및 분류 □ 환경규제는 환경보호 또는 환경보전이라는 공익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행정의 주체가 사적 부문에 대한 제약을 두거나 개입하는 것을 의미함 ○ 정부와 공무원을 포함한 규제기관은 규제를 시행하고 피규제자는 규제 준수의 의무를 가지며, 규제이행에 대한 점검과 평가가 요구됨 □ 환경규제는 매체별(대기, 물환경, 화학물질, 재활용, 폐기물 및 자원순환)로 구분되며, 규제 수단 측면에서 규제의 성격, 문제해결 수단, 규제개입 범위, 방법과 주체를 기준으로 분류됨 ○ 본 과정에서는 2018~2020년 환경부 소관의 신설·강화된 주요 규제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DB를 구축함 - 모든 매체에서 투입규제가 성과규제보다 많았으며, 투입규제는 기업에 대해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어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해 세심한 설계가 필요함 - 모든 매체에서 명령지시규제가 시장유인규제보다 많으며, 단기적이고 직접적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명령지시규제와 장기적으로 기업의 비용절감 노력과 기술혁신을 유도하는 시장유인규제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함 - 모든 매체에서 포지티브 방식이 네거티브 방식보다 많아 녹색경제 활성화와 관련하여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비용절감과 기술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결정이 필요함 □ 최근 ESG 경영과 RE100 목표 선언과 같은 기업의 자발적 환경규제가 대두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전통적인 환경규제를 보완할 수 있음 ○ 기업들은 자발적 규제를 수익성 개선을 위한 리스크 관리 측면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환경목표 달성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며, 기존의 명령지시적, 시장지향적 규제의 보완재로 활용할 수 있음 - 외부 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인증제도를 구축해 규제이행 여부를 확고히 하고 자발적 규제 내용 및 실적에 대한 정보공개 의무화와 준수 관련 정보의 공유가 필요함 - 특히, 정부의 지원을 통해 자발적 환경규제 준수가 용이한 환경조성이 요구되며 정부가 이해관계자의 협력적 관계를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면 자발적인 규제준수가 수월하게 진행할 것으로 예상됨 □ 규제영향평가제도는 규제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경우에 사전적으로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실시하며, 최근에는 환경규제의 사후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규제를 개선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됨 - 규제 비용과 편익, 사전 및 사후적 환경영향에 대한 분석을 강화하여 규제 품질의 개선이라는 목적을 달성해야 함 2. 녹색경제의 현황 및 분류 □ 녹색경제는 기존 산업의 녹색화와 새로운 녹색산업의 창출을 모두 포괄하며, 포터가설은 기존 산업이 환경규제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변모하는 녹색화를 설명함 □ 녹색경제를 이루는 녹색산업은 환경산업, 에너지 효율화 산업, 에너지산업, 온실가스 처리산업 등으로 분류됨 ○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연계하여 파악한 결과, 2016년 이후 국내 녹색산업의 사업체수는 완만하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녹색산업으로 분류된 산업 내 매출액 역시 2019년 1,449조 원으로 2016년 대비 약 200조 원 상승함 3.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특성 □ 환경규제가 녹색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환경규제로 인해 규제대상 기업의 매출과 고용 규모가 변화하는 일차적 효과와 환경규제로 인해 신기술이 개발, 도입되어 생산성이 개선되는 이차적 기술변화 효과로 구분됨 ○ 14개 업종별 패널자료를 활용한 환경규제, 기술혁신, 생산성 간의 그레인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함 - 전반적으로 환경규제와 기술혁신, 기술혁신과 생산성, 환경규제와 생산성 사이의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분석함 □ 문헌분석 및 실증연구 결과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주요 특성은 규제설계의 적절성, 규제의 효율성, 규제집행과 순응의 용이성임 ○ 규제설계의 적절성은 규제의 목적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상이한 목적으로 분산되지 않음을 의미함 ○ 규제의 효율성은 피규제자와 규제자의 입장에서 규제 순응과 집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함 ○ 규제집행의 용이성은 규제집행을 위해서 규제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집행, 모니터링 및 징벌의 체제가 잘 구축되어 있음을 의미함 ○ 규제순응의 용이성은 규제가 피규제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계되어 있고 다른 규제와 독립적으로 이행되는 것을 의미함 Ⅲ.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도출 1.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효과에 대한 인식조사 □ 규제자와 이해관계자의 환경규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파악함 ○ 설문 결과,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인식격차를 해소를 통해 규제 내용과 현장상황의 일치가 필요함 ○ 규제의 적절성 및 기술혁신 측면은 우수하지만 효율성, 녹색경제 활성화, 집행 및 준수는 부족하다고 응답하여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해 자발적 환경규제의 보완적 활용이 필요함 ○ 목표 중심의 규제를 통해 특정 기술을 강제하지 않는다면 기술혁신 유도가 용이함 ○ 분담금 등 비용납부 형태로 대체 이행이 가능한 규제는 녹색경제 기술혁신 유인이 적음 ○ 환경규제를 통한 녹색경제 활성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설계단계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2.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의 녹색경제 활성화 사례분석 □ EPR의 녹색경제 활성화 사례분석을 통해 개별적 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 규제 현황과 개선방안을 분석함 ○ EPR 제도를 통해 재활용산업의 양적 성장이 일어났다고 판단되지만, 여전히 자생적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재활용사업자의 수익이 생산자의 분담금에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음 ○ EPR 제도는 제품과 포장재의 재활용성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도입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재활용성 향상을 위한 재질·구조 개선과 대체소재 관련 기술 수준이 향상됨 3. 규제영향분석제도 분석 □ 환경규제의 절차적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규제영향분석제도하에서 환경규제의 환경편익을 도출하는 방안과 재무적 관점에서 간접효과를 계산하는 방안을 제시함 ○ 사망 및 질병 인구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가치이전을 통해 비용편익분석서를 작성할 수 있음 ○ 각 규제의 정책목표에 해당하는 환경변화에 대한 편익을 계산하도록 직접적·간접적 항목을 제시해야 함 ○ 영업이익과 영업잉여의 비율을 활용해 재무적 관점에서 영업이익의 변화를 구할 수 있음 4.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 개선방안 □ 환경규제의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 인식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 ○ 규제자, 피규제자, 자발적 규제 참여기업, 관련 사업체 등 이해관계자 간 의견 조율과 협력적 관계 구축이 필요함 ○ 규제 도입 시 및 규제 도입 후 적극적인 순응도 조사를 실시해 체감도 확인 및 규제 개선사항을 발굴해야 함 □ 환경규제를 준수하는 방법을 강제하지 않고 자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다양한 방식의 기술 개발을 촉진해야 함 ○ 시장유인규제를 충분히 활용하고 명령지시규제를 활용하더라도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함 ○ 목표중심의 규제를 활용하여 자발적 규제의 활성화 등 기업가치 제고와 신성장산업의 확장을 추구해야 함 □ 환경규제의 녹색경제 활성화 제고를 위해 규제설계 시 선행적인 고려가 필요하고 파급 효과 분석을 실시해야 함 ○ 환경규제로 인해 오히려 경제적 손해를 입는다고 생각하는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제 설계 시 다층적인 규제목표를 설정해야 함 ○ 정확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녹색경제 분류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활용도를 개선해야 함 ○ 사후규제영향분석제도를 도입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고려해야 함 Ⅳ. 결 론 □ 3개 연도 연구의 마지막 연차 과제인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결과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입장에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함 ○ 2018~2020년에 신설·강화된 환경규제에 대한 DB를 구축하여 최근의 환경규제 동향을 파악함 ○ 녹색경제를 활성화하는 환경규제의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녹색 산업의 분류체계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 환경규제의 도입, 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함 ○ 환경규제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대기와 폐기물 분야 규제를 대상으로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 및 규제자와 피규제자 인식조사를 실시했으며 EPR 제도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함 ○ 이를 바탕으로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단인 환경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함 - 환경규제의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 인식격차 개선을 위해 이해관계자 간 의견 조율 및 협력적 관계 형성이 필요함 - 환경규제 준수에 있어 피규제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목표중심적 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 환경규제를 통해 녹색경제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인식을 제고하려면 규제 도입 전의 설계와 도입 후의 지속적 분석 및 평가가 중요함 - 규제 도입 이전의 사전적 규제영향분석과 더불어 사후규제영향분석제도를 도입해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Green economy has become a worldwide agenda item and many countries are pursuing polic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 Especially, a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announced ‘carbon neutrality’ goals and increase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control environmental problems. □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order to promote green economy based on the academic foundation built in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ie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 and stakeholder,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regulation design. Ⅱ. Concept of Green Econom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1. Trend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 Environmental regulation refers to the restriction and intervention of a governmental body to achieve public goals includ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ervation. □ Environmental regulation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medium― atmosphere, water, chemical, waste―and to measures―characteristic, solution, range of intervention, and subject. ○ This study constructs the database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8 and 2020. □ Recently, voluntary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private actors such as ESG management and RE100 goals are receiving more attention in that they make up tradi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governments. ○ Private companies recognize voluntary regulations as measures to manage future risks and are actively involved in achieving environmental goals. □ A regulation impact assessment scheme is a mandatory process to predict the ripple effect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regulation. ○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the post-assessment scheme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2. Trend of green economy □ Green economy is an inclusive concept that involves greening of the conventional industry and creation of new green industry. ○ Green industry includes environmental industry, energy efficiency industry, energy resource industry, and greenhouse gas treatment industry. ○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data, the number of green industry companies in Korea has been growing steadily since 2016. 3.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promote green industry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green industry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round economic effect on revenue and employment of subject companies and the second round technology transformation effect on new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roductivity increase. ○ This study conducted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llowing the logic of environmental regul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productivity using the panel dataset of 14 business types and the result approves that there is causality between the three variables. Ⅲ.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 for Green Economy 1.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green economy □ This study conducted the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to select fiv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each from atmosphere and waste-related regulation samples. □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regulators and stakeholders on environmental regulations. ○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gulation and the field. ○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case of goal-oriented regulations that do not force the use of particular technology ○ Regulations that can be observed with alternative payment have a lower ch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 Perception of both regulators and stakeholders on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ing green economy by environmental regulation is low. 2. Case study on 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 □ Due to the EPR regulation, the recycling industry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but it still lacks the profitability. ○ The recycling industry’s profit mostly relies on the contribution of producers. ○ The EPR may induce technology innovation to further promote the recycling of products and tecnologhies related to alternative materials has already seen improvements. 3. Regulation Impact Assessment Scheme □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identify an environmental impact of regulation and its indirect effect on the fiscal aspect. 4. Implications □ It is important to bridge between regulators and stakeholders. ○ Regulators, stakeholders, and private companies should build a cooperative relationship. ○ Analyzing the acceptance rate of environmental regulation is needed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 □ Ways of observ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should be diverse and people should be able to choose among them. ○ Market-based regulation should be actively used and command and control regulation should also maximize the autonomy of subjects. ○ Goal setting regulations can promote voluntary regulation and increase corporate values. □ Knowing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is important. ○ It is important to inform regulators and stakeholders that environmental regulation is one of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improve green economy and help achieve other goals. ○ It is important to build a data category of green economy to predict and assess accurate impacts of individual regulations. ○ Post-assessment using various methodologies should be mandatory. Ⅳ. Conclusion □ This study has suggested way to improve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promote green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s and stakeholders by integrat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ies. ○ This study constructed the database of newly enacted or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 between 2018 and 2020.

      • KCI등재

        진정수면제 음독 후 의식저하로 내원한 환자의 급성중독 비교

        오승재,조수형,류소현 대한임상독성학회 2022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w sedative-hypnotics affect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the patient’s symptoms.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udy to determine the type of patients who reacted severely and required hospitalization; patients were accordingly classified as hospitalized patients and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room. Method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ics, drug information, history, laboratory tests, and severity of patients who visited our emergency department and were diagnosed with benzodiazepine, zolpidem, and doxylamine succinate overdose. We further compared detail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discharged patients. Results: Subjects who had overdosed and visited the ED included 120 for benzodiazepine, 147 for zolpidem, and 27 for doxylamine succinate. Comparisons between the three groups revealed differences in their early diagnosis, psychiatric history, and sleep disturbanc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lso determined for mental state, poisoning history, treatment receiv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intubation and ventilator support. In cases of benzodiazepine overdose, we obtained a high hospitalization rate (40.0%),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24.2%), and intubation rate (18.3%). Comparisons between hospitalized patients and discharged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ransferred patients, early diagnosis, and mental state. Conclusion: Patients poisoned by sedative-hypnotics are increasing every year. In cases of benzodiazepine and zolpidem, the hospitalization rates were high, and benzodiazepine overdose resulted in hospitalizati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pneumonia in a majority of cases. Therefore, active treatment and quick decisions in the emergency room are greatly required.

      •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의 산란 및 서식 환경에 대한 연구

        도지선,홍승비,류소현,안규원,송예빈,안치경,나수미,이훈복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9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7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의 산란 및 서식 환경에 대해 2019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를 위 해 수락산 내에 위치한 계곡을 5m 간격으로 100개의 지점으로 나누었으며, 각 지점을 60cm×60cm 을 기준으로 해당 면적 이상일 경우 웅덩이, 이하일 경우 계곡, 물이 고여 있지 않을 경우 건천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점의 pH, 용존산소량, 수온과 대기온도 및 습도를 주 1회 측정하였으며, 지점에서 난괴가 확인될 경우 난괴의 장소(웅덩이, 계곡, 건천) 및 산란 환경(돌, 자갈, 낙엽)을 기록하였다. 연 구 결과,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는 수온 9.94±0.18℃에서, 산란 장소는 웅덩이에, 산란 위 치는 돌에 산란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환경요인(pH, 용존산소량, 수온)과 계곡산개구리의 산란은 p-value<0.05 으로 유의하였으며, 환경요인이 계곡산개구리의 산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추후 계곡산개구리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보전 및 서식 환경 조성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석탄화력발전소의 사회적 비용 추정 연구 : 주택시장 영향을 중심으로

        박주영,전호철,류소현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지구온난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탄소중립(Net Zero) 선언을 통하여 뚜렷하게 나타남 ㅇ EU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5%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선언한 바 있음 ㅇ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직후 파리협정에 재가입하였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함 ㅇ 일본은 2050년까지,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함 ㅇ 주요 국가의 탄소중립 전략을 살펴보면, 탈석탄 정책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전환이 핵심을 이루고 있음 □ 우리나라도 2020년 12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선언하였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통해 법제화하였음 ㅇ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관계부처합동, 2020)은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마련한 방안으로 경제구조 저탄소화,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라는 주요 전략을 담고 있음 ㅇ 또 하나의 기후변화 정책 화두인 그린뉴딜도 국내 에너지 전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 우리나라의 탈석탄 에너지 전환 중심의 기후변화 대응은 국제사회의 흐름에 맞춰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현재 국내 에너지 발전 현황을 살펴보면 개선의 여지가 많음 2. 연구의 목적 □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석탄화력발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헤도닉 가격 모형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ㅇ 탈석탄화력발전은 탄소중립 및 그린뉴딜의 핵심적인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화석연료의 사회적 비용 추정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건강 영향, 특히 극단적 경우인 조기 사망에 주로 집중되어 왔음 ㅇ 이는 석탄화력발전 등 화석연료의 사회적 비용을 과소 추정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함 □ 본 연구에서 도출된 사회적 비용은 에너지 전환 정책의 경제적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의식제고를 위한 근거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음 Ⅱ. 국내외 석탄화력발전 현황 1. 국내 석탄화력발전 현황 □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됨에도 불구하고 석탄화력발전은 아직 우리나라의 주요 전력 발전원임 ㅇ 2019년 기준, 석탄화력발전은 국내 설비별 발전 전력량 기준 전체의 38.9%를 차지하고 있음 ㅇ 국내 원별 발전량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전력소비량이 급증하는 여름철에는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률과 발전량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2021년 12월 기준, 총 57기의 석탄화력발전기가 운전 중이며 4기가 추가 건설 중임 ㅇ 충청남도에 29기, 경상남도에 14기, 강원도와 인천시에 6기, 전라남도에 2기가 위치하고 있으며, 신규 발전기 역시 기존에 발전기들이 집중되어 강원 지역에 건설될 예정임 ㅇ 발전기가 집중되어 있는 일부 지역은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발전 사업으로 인한 건강 및 환경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큼 2. 국내외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 □ 선진국을 중심으로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ㅇ 미국의 석탄화력발전량 규모는 2007년 최고점을 달성한 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지난 2020년의 석탄화력발전량은 2007년 대비 약 38% 수준으로 감소함 ㅇ 유럽 국가들은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일환으로 강력하게 탈석탄을 추진해 왔음 ㅇ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도 과거 온실가스 감축에 소극적이던 태도를 바꿔 2060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며 저탄소 산업을 통해 새로운 산업 동력을 얻으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발표되는 여러 정책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지 또는 가동 중단하는 등 탈석탄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함 Ⅲ. 석탄화력발전의 환경 및 건강 영향 1. 분석 모형 □ 본 장에서는 장기간(1972~2019년)에 걸쳐 석탄화력발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환경 및 건강 영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영향경로분석(impact pathway analysis)을 사용함 ㅇ 영향경로분석은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지점에서부터 수용체까지 미치는 영향을 경로에 따라 분석하는 상향식 접근 방법의 하나임 ㅇ 배출량 자료, 대기질 모사 모형의 종류, 시간 및 공간적 범위 등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이 본 분석 방법의 한계점일 수 있음 2. 분석 결과 □ 1972~2019년까지 석탄화력발전으로 인한 환경적 피해는 약 23조 9,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음 ㅇ 이는 국내에서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1970년대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급격히 늘린것의 영향이며, 더불어 경제성장에 따른 지불의사액의 증가와 인구의 증가로 인한 피해 대상의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의 건강 영향 추정 결과는 향후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을 위한 발전원별 비용-편익 산정에 있어 외부비용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Ⅳ. 석탄화력발전의 주택가격에 대한 영향 1. 분석 모형 □ 본 연구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의 주택시장에 대한 영향을 헤도닉 가격 모형(hedonic price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함 ㅇ 헤도닉 가격 모형이란 시장이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환경재에 대한 가치를 다른 재화의 대체 시장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임 ㅇ 환경 요소의 주택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은 여러 국외 선행연구(Currie et al., 2015; Davis, 2011; Chay and Greenstone, 2005 등)에서 수행된 바 있지만 국내 연구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음 ㅇ 발전소 주변 주택을 표본으로 고려하였을 때, 그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발전소에 아주 근접하게 위치한 주택가격의 변화를 추정하고자 하였고 발전소 건설 계획, 착공, 상업운전 개시에 따른 가격 변화를 추정함 2. 분석 결과 □ 환경·건강 위험 요소에 더 노출된 근접 지역의 아파트는 발전소의 경제적 영향보다 환경적 위험 요소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됨 ㅇ 신규 발전소가 건설되거나 기존 발전소에 추가적으로 발전기가 건설될 때, 주변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확인됨 ㅇ 계획 당시에는 주변 지역 주택가격의 하락을 유발하지만 상업운전이 시작되는 시점에는 발전소로부터 가까운 지역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점을 확인함 ㅇ 반대로 노후 발전기 폐지로 인하여 주변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남 Ⅴ. 결론 및 학술적 성과 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석탄화력발전 및 에너지 전환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석탄화력발전의 외부효과 중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건강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에 대한 피해 비용을 산정하였고, 간접적으로 주택시장에서 발생한 석탄화력발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였음 2. 학술적 성과 □ 건강 영향 분석의 경우, OECD 등 국제기구에서 추진 중인 환경계정의 구축을 위한 대기오염 또는 발전 부문의 총외부피해를 산정하는 데 있어 연구의 결과 및 방법론 모두 유용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주택시장이라는 대체 시장을 사용하여 석탄화력발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였으며, 기존 사회적 비용 추정치와 다른 측면의 비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 주택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방법의 경우, 아파트 단지-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함으로써 실증 미시 분석의 고질적인 문제인 누락변수편향문제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대처하였다고 판단됨 □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관련 정책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 Due to the severity of global warming,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declared net-zero goals as an active response to environmental issues. ㅇ The EU made a declar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55% by 2030 and achieve net-zero carbon emissions by 2050. ㅇ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president Biden declared that they will rejoin the Paris Agreement and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ㅇ Japan and China declared that they will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and 2060, respectively. □ Korea also declared that they will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which has been legislated into the “Net-Zero and Green Growth Act Against Climate Crisis”. ㅇ The Net-zero 2050 Strategy (Related ministries, 2020) provides necessary strategies for South Korea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cluding transitioning to the low-carbon economic structure and creating the industrial eco-system, making a just transition towards carbon neutrality, and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base for carbon neutrality. ㅇ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the matter are also highlighted in South Korea’s Green New Deal. □ Although Korea’s movement towards coal phase-out and energy tran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trend is desirable, Korea’s current dependence on coal-fired power plants leaves room for improvement. 2. Research goals □ While past research focused on health-related social costs of coal-fired power pla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ocial cost focusing on the housing market, which is quite a new approach in Korea’s environmental economics research. ㅇ Although the transition from coals is a major issue in net-zero and green new deal agendas, the cost estimations have focused on health costs due to air pollution, especially the costs of premature deaths. ㅇ Such tendency is likely to result in the underestimation of the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coal power plants. Ⅱ. Coal-fired Power Plants in Korea and Abroad 1. Coal power plants in Korea □ Although coal power plants are a major cause of climate change and atmospheric aerosols, South Korea is still heavily dependent on coal power plants for its energy generation. ㅇ As of 2019, coal power plants comprised 38.9% of domestic electricity generation measured by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by facility. ㅇ Coal power plants comprise 40% of domestic electricity generation measured by source, and the dependency tends to grow during the summer months. □ As of December 2021, a total of 57 generators were operating and four generators were under construction. ㅇ There are 29 generator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14 in South Gyungsang Province, six each in Gangwon Province and Incheon, and two in South Jeolla Province; additional generators are to be constructed in these regions. ㅇ Naturally, regions in which the generators are concentrated are likely to be more vulnerable to health and environmental damage from coal power plants. 2. Energy transition in Korea and Abroad □ Efforts to reduce dependence on coal power plants can be observ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especially in advanced economies. ㅇ The US’s coal power generation capacity reached its maximum in 2007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then on, reaching approximately 38% of the total capacity of 2007 in 2020. ㅇ Coal phase-out is a major part of climate change policies of European countries. ㅇ China, the largest emitter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s trying to reshape itself into a low-carbon economy. □ In the case of South Korea, many government agendas now include closure of aged coal power plants. Ⅲ. The Health Effects of Coal-fired Power Plants 1. Model □ This chapter analyzes the environmental and health effects of air pollutants from coal power plants during the period from 1972 to 2019, using the impact pathway analysis model. ㅇ Impact pathway analysis is one of bottom-up analytical tools by which we identify the effects of emission sources on the environment and the receptor’s health. ㅇ Possible limitations are as follows: the uncertainties pertaining to the usability of the emission data, the model used to simulate air pollutants’ travel paths, the spatial and temporal scope of the study, and so on. 2. Result □ The health cost associated with coal power generation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3 trillion KRW. ㅇ The cost is estimated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1) there was a rapid increase in coal power plants in 1970s to lower the generation cost, 2) the amount people are willing to pa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3) more people became subject to damage due to population increase. ㅇ The result of this chapter may be utilized in the cost-benefit analysis of the energy transition policies and as a reference data for measuring external costs of coal power plants. Ⅳ. Impacts of Coal-fired Power Plants on Housing Prices 1. Model □ This chapter estimates the effect of coal power plants on housing prices using a hedonic price model. ㅇ The hedonic price model is defined as an analytical tool by which we measure the value of environmental amenities or disamenities. ㅇ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roperty values have been analyzed in multiple international studies (Curriet et al., 2015; Davis, 2011; Chay and Greenstone, 2005, etc.),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 Korea. ㅇ This study compares the prices of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the 0 to 10-km and 10 to 20-km-radius,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newly opening plants, the construction of the plants, and the start of operation. 2. Result □ The prices of the apartment complexes that are located in closer proximity to the power plants are affected by information on nearby power plants. ㅇ When new coal power plants open and additional generators are built in the existing power plants, the prices of nearby apartment complexes fall. ㅇ The prices fall at the time of announcement, but they rebound after the plants begin operation. ㅇ On the contrary, the closure of aged generators increases the prices of nearby houses. Ⅴ. Conclusion and Academic Contribution 1. Conclusion □ This study summarizes the up-to-d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use of coal power plants and the energy transition polices in Korea and abroad, analyzes the heath costs associated with coal power plants, and, finally, estimates the effects of coal power plants on housing price. 2. Academic contribution □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n health effects, both the methodology and outcome may be a useful source for measuring external costs of coal power plants. □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used a hedonic price model to estimate the external costs of coal power plants focusing on the housing market in the Korean context and it provides cost estimation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past literature. □ For impact analysis of the housing market,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problem of omitted-variable bias which is prevalent in empirical microeconomics research, especially in the hedonic pricing research, by using the apartment complex-fixed effects model. □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e cost-benefit analysis of policies regarding net-zero and energy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