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엘리트 복싱선수의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과 스트레스 미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남은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help elite boxers train by identifying how mood control caused by elite boxers' listening to music affects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in two ways in this study. First, after conducting a quantitative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provide a com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results, and a mixed method of deriving the results was used. In order to carry out the explanatory design of the mixe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procedure conducted the first stag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second stag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s quantitative study, high school, university, and general departments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mong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Boxing Association as of 2023. The survey tool used a questionnai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tten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gender, type, career, representative career, winning or not), and mood control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recovery, attention change, mental activit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concentration, and specifically, compet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cognitive anxiety), stress (leader coaching stress, exercise performance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concentration, exercise confidence, immersion) are a total of 66 question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8 days, 28 days from February 1 to 28, 2023, and 10 days from March 11 to 20, over two occasions, including Google Forms and the 2023 National Boxing Competition for the President of the Korea BoxingAssociation. Google Forms, an online survey, explained in detail how to write, and during the competition, three assistant researchers trained by this researcher and a researcher became data collectors. They asked the study subjects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purpose, research ethics, and writing method, and then to cooperate and approve the survey, and to faithfully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data processing method was computeri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and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music listen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reliability by Cronbach's alpha(⍺) value. Third, t-test and one-way random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mood control,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control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competitive anxiety, stress, and attentional concentration by elite boxers.In the second-stage qualitative study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rich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ommended by 10 players who could faithfully answer and listen to music from researchers and leaders who formed lapo, and the final 6 people were selected for those who wanted to participat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April 10 to April 25, 2023. The in-depth interviews took about an hour per person to visi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person with this researcher and an assistant researcher with a doctorate degree and extensive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The interview's main questions were "self-introduction," "your career and experience," "why you listen to music," "music listening time," "music genre,"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competitive anxiety," and "the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stres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hrough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cell phone after obtaining conse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corder was subjected to classification analysis after transcription on the computer. Classification analysis is to find similarities based on the same semantic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is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 classified by marking the mood control function and competitive anxiety area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s ⓑ, the mood control function and stress area according to music listening as ⓒ. Next, the classified document data was made into data on a computer and described as a citation in the form of complementing each other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first analyzed data was confirmed by e-mail and phone calls to the study participants, and exaggerated, omitted, and misstated contents were repeatedly added and deleted through the mutual confirmation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data, member review and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s were used. Using this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in mood control of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ttention change. Second, in the difference in competition anxie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hysical anxie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tress of athlet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ntration and immersion only in the difference in the player's attent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fth,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competitive anxiety due to music listen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physical anxiety, 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supplemented using a total of six quotes as research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Sixth, the effect of mood control on stress caused by music listening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leader stress, 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supplemented using a total of 12 citations as research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복싱선수들의 음악청취로 인한 기분조절이 경쟁 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경기 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양적연구를 실시한 후 결과에 대한 상호보완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심층면담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 는 혼합연구방법의 설명적 설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1단계 양적연구와 2 단계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1단계 양적연구에서는 2023년 현재 대한복싱협회에 선수등 록이 되어있는 운동선수 가운데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설문지의 구성은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 인구통계학적특성 요인 등이다. 인구통계학적특성은(성별, 종별, 경력, 대표경력, 입상유무)이고 독립변인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은(회복, 주의전환, 정신활동)이다. 종속변인은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이고 구체적으로 경쟁불안은 (신체적불안, 인지적불안), 스트레스는(지도자코칭 스트레스, 운동수행 스 트레스), 주의집중력은(집중도, 운동자신감, 몰입) 등으로 구성되었고 총 66문항이다.자료수집은 Google Forms와 「2023 국가대표 최종선발전 및 2023 대 한복싱협회장배 전국종별복싱대회」기간 등 2회에 걸쳐 2023년 2월 1일 부터 28일까지 28일간, 3월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총 38일 동안 진행되었다. 온라인 설문인 Google Forms는 작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고 대회기간 중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에게 교육을 받은 보조조사 원 3인과 연구자가 자료수집원이 되었다. 이들은 연구대상자에게 취지와 목적, 연구윤리, 작성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에 대한 협조 와 허락을 얻은 뒤 진행되었고 설문에 성실하게 임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설문 방식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음악청취의 기분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하여 Cronbach’s ⍺값으로 신뢰성을 판단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청취의 기분 조절,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인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 과 종속변인인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 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엘리트 복싱선수의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 스트레스,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본 연구의 2단계 질적연구에서는 양적연구 결과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위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와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지도자로부터 성실하게 답변을 해줄 수 있고 음악청취를 하는 선수 10명을 추천받아 대학부, 일반부 선수 가운데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참여를 희망하는 자를 대상으로 최종 6인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및 절차는 2023년 4월 10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심층면담을 하였다.심층면담은 본 연구자와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질적연구에 대한 수행경험이 풍부한 보조연구원 1명과 함께 연구참여자에게 직접 방문하여 연구 의 목적과 내용, 면담 실시방법, 자발적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았 고 1인당 1시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면담의 주요 질문은 ‘본인 소개’, ‘본인의 경력 및 경험’, ‘음악청취 이유’, ‘음악청취 시간’, ‘음악 장르’,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전환’,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음악청취의 기분전환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조화된 질문을 했으며, 상황에 따라 참여자의 답변에 추가 질문을 하는 비구조화 면담도 하였 다. 모든 면담은 동의를 구한 후 핸드폰의 녹음기능을 통하여 녹음하였다. 녹음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에 전사 작업을 거친 후 분류분 석을 하였다. 분류분석은 같은 의미론적 관계를 근거로 유사성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과 경쟁불안 영역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 과 스트레스 영역은 ⓒ,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기능과 주의집중력은 ⓓ로 표시하여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분류된 문서자료를 컴퓨터에 자료 로 만들고, 양적연구 결과에 상호 보완하는 형태의 인용문으로 기술하였 다. 1차 분석된 자료는 연구참여자에게 e-mail, 전화통화를 하여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과장, 누락 및 오 기입 된 내용은 상호 확인과정을 통해 추가 및 삭제를 반복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 검토, 삼각검증법 등을 이용하였다.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청취의 기분조절 차이에서는 주의전환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쟁불안 차이에서는 신체적불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선수의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선수의 주의집중력 차이에서는 집중도, 몰입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적불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6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 여섯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도자코칭 스트레스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12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 일곱째, 음악청취에 따른 기분조절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집중도, 운동자신감, 몰입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결과로 총 10개의 인용문을 활용하여 양적연구의 결과를 보완 설명하였다.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음악청취의 회복, 주의전환, 정신활동 등 기분조절기능은 엘리트 복싱선수들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 였다. 즉, 음악은 선수들로 하여금 경쟁불안을 낮추고 스트레스를 해결해 주며, 주의집중력을 높여주는 매개체로써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수술실 활용을 위한 도플러 효과 기반의 초음파 장비들의 분석

        남은진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초음파 장비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초음파 장비를 이용한 진단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아 피폭 위험이 없고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수술실에서 환자의 수술 부위에 혈류 상태를 확인하거나 종양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거 여부를 판단하는데 빈번히 이용된다. 특히 도플러 초음파 장비는 혈류 상태를 파악하여 수술 진행 부위의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 방향을 결정하는 것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하며, 결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수술실의 긴장된 상황에서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도플러 장비의 이용방법 및 해석은 수술 진행 상황과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수술실에서 자주 이용되는 도플러 장비의 원리와 종류 및 결과 해석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도플러 초음파 장비의 원리 및 수술실에서의 이용 관계를 설명하여 논문의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장비를 처음 접하거나 활용을 시작하고자 하는 간호사 및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understanding the ultrasound equipment principle using the Doppler effect's operational direction. Diagnosis using ultrasound equipment does not require contrast media or radiation, eliminating the risk of exposure. Additionally, this method provides immediate results. Therefore, it is used to assess the blood flow status of the patient's surgical site in the operating room and the tumor's loc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ly removed. Doppler ultrasound equipment plays a crucial role in identifying blood flow conditions, assessing the state of the surgical site, and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blood flow during surgery. Furthermore,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achieving successful results. The method and interpretation of using Doppler equipment by someone not thoroughly familiar with the tense situation in the operating room can substantially impact the progress of surgery and the patient's progno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ype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Doppler equipment commonly used in operating rooms. This paper explains the principles of Doppler ultrasound equipment and its use in the operating roo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aper, it will be highly advantageous for nurses and students who are encountering or beginning to use related equipment for the first time.

      • 무용학원의 서비스품질이 재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은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학원 경영자들이 서비스품질에 대한 재구매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비자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제공하고 수익성과 경쟁력을 갖춘 기업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2008년 무용학원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 총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자료를 배부하고,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 322명을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의 차이에서 성별은 비용에서, 부모학력은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접근용이성, 주시설, 비용에서, 가계소득은 프로그램만족, 접근용이성, 주시설에서, 건강상태는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주시설, 비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구매행동의도의 차이에서는 부모학력, 가계소득, 건강상태는 재구매의도, 타인추천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참여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의 차이에서 구매형태, 참여횟수, 참여기간, 참여시간은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접근용이성, 주시설, 비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구매행동의도의 차이에서는 구매형태, 참여횟수, 참여기간은 재구매의도, 타인추천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무용학원의 서비스품질 및 재구매행동의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재방문의도는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접근용이성, 주시설, 비용에서, 타인추천의도는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접근용이성, 주시설, 비용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도의 회귀분석에서 프로그램만족, 접근용이성, 주시설, 비용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비스품질과 타인추천의도의 회귀분석에서 재방문의도는 프로그램만족, 부대시설, 접근용이성, 주시설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thesis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consumers with chances for high-fashionability and diversification in their shopping behavior, on the one hand, and providing corporations with fundamental data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ir market strategies toward profitability and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in a try to motivate managers of dancing academies to improve their service quality as an impetus to draw repeated purchasing behaviors from consumers. For this purpose, consumers who have attended dancing academies during 2008 were se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as population for this study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and, after excluding the replies found unfaithful or unreliable, the replies collected from 322 were entered to computer for processing by SPSS WIN 12.0. Analyses conducte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es, it may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s of service qualit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st by gender; i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easy accessibility, main facilities and cost by education of parents; in satisfaction with programs, easy accessibility and main facilities by household income; and i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main facilities and cost by state of health.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 grade. As for intent for repurchase and intent for recommending others to repurchas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 of parents, household income and state of health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school grade. Second, with regard to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characters of particip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easy accessibility, main facilities and cost by type, frequency, period and time of participation.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 for repurchase and intent for recommending others for purchase by type, frequency and period of participation but no difference by time of participation. Third,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intent for repurchase of dancing academies, a positive correlation turned out to exist in the intent for revisit depending o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easy accessibility, main facilities and cost, and in the intent for recommending others depending o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easy accessibility, main facilities and cost as well. Fourth, a regression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nd intent for repurchas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programs, easy accessibility, main facilities and cost. Fifth, in a regression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nd intent for recommending others to repurchase, intent for revis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programs, incident facilities, easy accessibility and main facilities.

      •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 남대천을 중심으로

        남은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Gangneung Namdaecheon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s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liv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in the geography subject. In this study,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as us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eeds in geography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produced Jamboard worksheets using graphic organizer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instructors, and colleg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8.0. Also, environmental sensitivity show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were categorized using Atlas.ti 22.0 and visualized with network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an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studies and volunteer activities. In particular, when asked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s with environmental activities,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had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activities. However, thi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ractice of conservation behaviors.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students wanted was outdoor survey activitie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post-test improved compared to pre-test in all seve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such as sense of places, environmental skills, interest in ecosystems, awareness of water quality,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revealed that themes which were relavant to students’s affective domains emerged. Third, it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that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centered on urban r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long-term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of Namdaecheon River in Gangneung cultivated students’ competenies and career exploration. Instructors witnessed changes in the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lso, college student mentors who guid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improved their capabilities as pre-service teachers. Fourth, the Gangneung Namdaecheon River Care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in all areas of Namdaecheon understanding, various activity, interest, and futhrer study.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mprov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Namdaecheon Ri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ecosystem in the Namdaecheon River and mapp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conducted long-term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urban rivers, and presented educational materi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ccordingly, this study adopted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to gain a rich, detailed,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 specific context and phenomenon as the students dived into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 large group of students. Furthermore, expanding empirical research acros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To meet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Geographic Competencies requirements, it's crucial to incorporate activities that foster geographic information literacy, enhance spatial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promote global citizenship. Such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geography education. 본 연구는 강릉 남대천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리 교과에서 고등학생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과 더불어 참여 고등학생들이 거주하는 강릉지역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 환경 감수성,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잼보드 워크시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지도교사, 대학생 멘토들의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수집한 양적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문항별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인 인터뷰, 잼보드 워크시트, 스토리맵스 결과물에 나타난 환경 감수성 내용은 Atlas.ti 22.0을 활용하여 범주화하고 네트워크 뷰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에서 참여 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과 교육과정과 봉사활동과 같은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이전의 환경 관련 활동 경험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환경 관련 활동 전보다 환경 활동 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환경보전 행동의 실천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 고등학생의 과반수는 지리 교과에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바라는 환경지리교육의 교수학습방안은 야외조사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은 7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환경기능, 생물에 대한 흥미, 수질에 대한 인식, 환경보전의식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 중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은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잼보드 워크시트와 스토리맵스 결과물에서 관련 내용이 추출되었다. 셋째, 인터뷰를 통해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강릉 남대천 학습경험은 참여 고등학생에게 환경 감수성을 포함한 환경 소양을 함양시켰고 자기 역량과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도교사는 학생들의 환경 인식변화를 체감하였고, 고등학생을 지도했던 대학생 멘토들의 환경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예비교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 각 활동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 앞으로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참여 고등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고 특히, 남대천에서의 생태계 관찰 경험과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도화 학습에서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지리 과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한 장기간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인 남대천 리버케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든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자료를 함께 수집 및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 연구참여자의 다양성과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과 핵심역량인 지리 정보 리터러시, 공간적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력, 글로컬 시민역량을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예비 지리교원의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리교육에서의 환경 감수성과 관련된 다양한 실증적인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특수의료용도식품의 기능성 표시 허용에 관한 연구

        남은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Medical foods industry,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health and medical costs, can be developed while actively protecting consumers. At a time that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edical technology have made progress around the world and the life expectancy of mankind continues to extend, the rate of aging in Korea tends to be relatively rapi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s of 2020,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Korea accounts for 17% of the total population. An aging population is the resul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change that health authorities need to pay attention to formulate the relevant policies. In other words, this is an unavoidable global trend, but as the number of people whos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are deteriorating due to disease and aging increases, social costs such as medical expense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particular, chronic diseases, which can be an underlying disease of various complications, have a relatively high incidence rat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effective policy establishment is more urgent. In this regard, the demand for medical foods has also been expanding as the proportion of chronic patients in the total population as well as the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Medical foods manufactured for specific consumption targets can serve as a useful countermeasure again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as they enter an aging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the current laws and relevant regulations,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are classified as general foods, and thus it is impossible for this type of foods to express functionality of the ingredients used in the foods for special medical use other than mandatory labeling standards that must be labeled on general processed foods.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product must be provided in order for Medical foods to target chronic patients so that the consumer can choose the food that is suitable for them.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product-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names of ingredients and the amount of contents included in the product and expiration date from the labels of the product by the current labeling regulations, information on functionality of the ingredients is not provided. In this situation, the patients who are the target and consumers of foods for special medical use cannot know what kind of nutrients are insufficient and shall be served to themselves, which would lead the patients confuse or make wrong decision when choosing the foods for special medical use. Therefore, in this context, a great need for function claim can be shown. In order to review the institutional acceptability, this study firstly confirmed the legal definition of 'labeling' stipulated in the 「Act on the Labeling and Advertisement of Food,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od Labeling and Advertising Act). Moreover, it also checks the processing standards, labels and advertisement standards, and case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European Union and Japan etc. As a result, labeling on Medical foods in advanced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expresses the disease name, symptoms, or medical condition of the product in the medical label so that there is no false or misunderstanding.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more information expression than Korea is designated as mandatory labeling matters. Therefore, the functional labeling of food for special medical use in the future should clearly indicate the object to be consumed at a level and category similar to the functional labeling (nutrient function, physiological activity function, disease risk reduction function) of the current health functional food.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present content that can promote fair trade. Through this, it will not only protect consumers, but also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industry by enhancing consumer understanding of products and guaranteeing the right to know of consumers by continuously improving reliability and their satisfaction.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ust be a way to reduce social expenditures such as medical expenses and extend the healthy life of the nations by right choices of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and the consumers of foods for special medical use.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건·의료비용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특수의료용도식품 산업이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의학기술에 대한 선진적인 연구·개발이 성과를 보이며 인류의 기대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편이다. 202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전체인구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는 기술 발전의 결과물인 동시에, 보건 당국 입장에서는 정책 마련을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즉, 이는 피할 수 없는 세계적 추세이지만, 질병과 노화로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저하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의료비 등의 사회적 비용 증가가 예상되므로,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각종 합병증의 기저질환이 될 수 있는 만성질환은 노인인구에서 발병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효과적 정책 수립이 더욱 절실하다. 이와 관련하여, 노인인구 뿐만 아니라 전체 인구에서 만성질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크게 증가하면서 특수의료용도식품 수요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 특정한 섭취대상자를 목적으로 제조된 특수의료용도식품은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만성질환자 수 증가에 대한 유용한 대책의 일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법률에 따르면 특수의료용도식품은 일반식품으로 분류되어, 일반 가공식품에 표시해야 하는 의무 표시사항 등 표시기준 이외에 별도의 기능성 표시와 같은 제품 정보에 관한 표현이 불가한 실정이다. 특수의료용도식품이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소비자가 스스로 본인에게 적합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표시사항으로도 포함된 성분명 및 함량이나 유통기한과 같은 제품 관련 기본적인 정보제공은 가능하지만, 특정 영양소가 부족한 환자에게 필요한 해당 영양소의 기능정보가 부족하여 영양소를 포함한 제품이 어떠한 기능성을 갖는지에 대한 정보는 전혀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기능성 표시의 필요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제도적 허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먼저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이하 식품표시광고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시’에 관한 법적 정의를 확인하였고, 국내 특수의료용도식품 관련 규정, 제조 가공 기준, 표시, 광고 기준, 그리고 미국 등 해외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선진국의 특수의료식품에 관한 표시는 허위나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의료식 표시 안에 제품의 질병명이나 증상 또는 의학적 상태 등을 표현하고 있어, 우리나라보다 다양한 정보 표현을 의무표시 사항으로 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특수의료용도식품의 기능성 표시는 현행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영양소 기능, 생리활성기능, 질병발생위험감소기능)와 유사 수준 및 범주에서 섭취 대상을 명확히 하고, 공정한 거래를 도모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이해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신뢰도와 만족도를 제고하여 소비자 알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소비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산업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만성질환자가 본인에게 필요한 제품을 올바르게 선택하여 섭취함으로써 의료비에 따른 사회적 지출을 감소하고, 국민 전반의 건강수명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복싱클럽의 실내음악 친숙도와 조화도가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남은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 현재 경인지역의 복싱클럽 10곳의 고객 400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지 분류 검색과정을 통하여 무성의하거나 문항이 누락된 36명을 제외한 후, 최종 36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지표를 살펴보면 독립변인은 실내음악 친숙도와 조화도, 매개변인은 운동몰입, 종속변인은 참여지속의사로 구성하였으며, 배경변인은 인구통계학적특성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싱클럽의 실내음악 친숙도와 조화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친숙도와 조화도가 인지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싱클럽 실내음악 친숙도와 조화도가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친숙도와 조화도가 참여지속의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입이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지몰입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population of 400 customers of 10 boxing club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s of 2015; after the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nd searched, the data from 364 customers were finally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36 making insincere answers or having missing item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ndoor music familiarity and harmony as an independent variable, exercise commitment as a parameter,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background variables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for the effects of indoor music familiarity and harmony in boxing clubs on exercise commitment, familiarity and harmony positively affected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indoor music familiarity and harmony in boxing clubs o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familiarity and harmon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Third, as for the effects of exercise commitment o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the inten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cognitive commitment and negatively affected by behavioral commitment.

      • ICT 활용 통합적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남은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의 정보화 시대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학생들이 단순히 수용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종합, 응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재창출하는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은 심미적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기 주도적으로 표현하는 전인적인 인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방법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특히 감상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적극적인 음악활동이 되기 어렵기에 다양한 악곡과 음악활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감상수업에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하고 감상활동과 함께 기악, 창작, 가창, 이해 등 여타 영역을 통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어내고 교수-학습의 양적, 질적 향상을 기하리라 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현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등장한 ICT를 음악과 연관지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감상수업에선 ICT 활용 뿐 아니라 여타 영역의 통합적 감상수업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감상수업의 유형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자기 주도적인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감상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진정한 ‘음악하기’가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이 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 로맨틱 발레 시대 이전의 발레 음악에 관한 연구

        남은진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essay is to trace and explore the importance of classical ballet music before romantic ballet era. And actually this essay is an attempt to give some account of the musical side of ballet. Music is, of course, only one element in a ballet. And it is perhaps wrong to isolate it from the choreography and decoration. On the other hand, the music can make or mar a ballet almost more than any one of its other components, there are few ballets surviving in the modern repertoire where the music is recognized as being very poor. In fact it was not until this century that the real importance of music in ballet was appreciated. It is an obvious fact that the dance is as old as man. But the ballet we know it today is a very much more recent creation. However it is perhaps worth briefly recalling the stages by which dance has developed into ballet. In primitive societies dancing was mainly confined to the two purposes of popular enjoyment at festivals and celebrations, and of forming part of religious rituals. Later came a third function, that of dramatic entertainment, either sacred or secular, in which the dance often took an important part. The music was of course purely ancillary, being provided in the first place by some kind of percussion instrument simply to mark the rhythm, by the human voice, or by some kind of pipe instrument, a primitive flute or oboe. This kind of pattern held good throughout many centuries of history, and indeed till well on into the Middle Ages, when the invention of polyphony on the one hand and the greater instrumental resources available on the other, made a more elaborate musical accompaniment possible. But the original pattern remains to this day in many primitive communities, though in some cases with some modifications. Some African negros, for instance, have greatly elaborated the rhythmical complexity of the music with which they accompany their dances, chiefly by subdivision of the main b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