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

        박소윤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유도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 된 28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된 19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61명이다.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성별, 체급,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대화, 믿음에서 여자 집단이 남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급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노하우에서 경량급과 중량급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기술지도에서 7-9년, 1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성별, 학년, 운동경력,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남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4번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2-3번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학년,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정의발달, 인지발달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심동발달, 인지발달에서 7-9년 집단이 교육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노하우는 자기조절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격려는 자율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격려가 정적인 영향을 심동발달에서는 대화, 믿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발달에서는 대화, 믿음, 노하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 자기조절동기의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자율적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동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동기와 종속변인인 교육성취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자신을 조절하는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교육성취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치-선수 간 상보적인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다 상생의 입장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개인적 차원의 통제를 통해 긍정적인 운동경험을 영위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as judo athletes in universities in Gyeongsang and Gyeonggi area by employ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the data of 19 students among the sample of 280 respondents, who are believed to have answered rather unfaithfully or omitted some key answers, the data of 261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coded data was processed for compu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by employing SPSSWIN 18.0 Version for Window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include: verification of confide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by employing the said research method and process, are as shown below: First, There were some partial differences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factors. To have a close look,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weight class and their career as an athle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sex was greater among female group than in a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versation and trust.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weight class was greater among the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group in terms of their knowhow.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and another group with 10+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technical traini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school year, career as an athlete and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ex was greater among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chool year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more than 4 experience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of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2 to 3 winning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chool year and career as an athlet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affective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whereas encourage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Thir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encour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conversation a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motor development. And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trol motivation amo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the autonomous motiv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it. And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development. Finally,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ifth, a look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and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control,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can improve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 finding that shows how important the complementary activities between athletes and their coaches are. And they would be able to enjoy positive athletic experiences and improve upon them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control from a more complementary perspective.

      •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양정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에서 인식도를 교육과정, 교육목표, 교육과정내용, 교육과정운영으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태권도의 질적 성장과 학문적 정체성 및 체계성 확립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도자로서 전문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서울c경기)에 위치한 종합대학중 태권도학과를 보유하고 있는 4개 대학 3·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 247명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자료는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각 문항별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간 유의도 검증을 위해 χ2검증(Chi- 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분석 절차를 거쳐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마다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차이가 있고, 방향 설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적합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내용은 학년에 맞게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인식도 또한 부정적인 성향이 많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내용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교육 내용에 있어 가장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영역은 전체적으로 태권도 실기 및 기능으로 나타났고, 학교가 지향하는 방향도 우선적으로 실기 기능을 중시하고 학문 능력을 함양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태권도학과와 학생들의 교육목표에 ‘전문 지도자 양성’으로 학교와 학생들이 지향하는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태권도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학능력배양 및 태권도의 이해와 응용능력의 순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목표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적합성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태권도학과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실기 능력 함양을 중시하되 학문 능력도 배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이 쌓일수록 학문 능력 함양을 중시하되 실기 능력도 배양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는 태권도 행정 및 경영에 대한 것으로 나타나 태권도 실무능력과 학문능력 함양에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학교간의 유의한 차이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태권도학과에 대한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 세계태권도연맹에서의 행정지원(제도)의 미비와 교수-학습활동을 위한 교재개발 및 교수 및 학생의 인식전환등이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나타나 환경적 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격증 취득제도는 태권도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에 관한 자격증도 취득할 수 있도록 제도와 되어야 하며, 현장실습은 취업전 지도 경험, 교육이론과 현장과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교육의 한 부분으로 매우 필요하며, 가장 적절한 시기는 3학년 재학중 4주가 가장 적절한 시기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 courses of Taekwondo department, based on students' awareness level on them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students themselves, into four categories: education courses, education purpose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course management. Based on the analysis, an improvement scheme on the problems found is to be made 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Taekwondo's growth in quality and establishing its identity and systemizing it as a sci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training courses for raising qualified and specialized leaders. For this study, total 247 students wer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juniors and seniors of four universities having Taekwondo department and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ll data for this study were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per item as well as χ2 test for testing significance between each group.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above mentioned study methods and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tudents' awareness on the education courses, and they demand new approach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appropriateness of such education. Overall awareness on education courses is on negative side, and the awareness on whether the education contents are well established per each year's requirements or not is also negative. They think more concrete contents are required. It is perceived that the most useful part of current education contents is practical exercises and techniques of Taekwondo. Similarly, the approach taken by university authorities put the priority on practical techniques, then on study ability. Second, both faculty and students regard 'Raising Qualified Leaders' as the education purpose. Both of them agree that language ability, understanding of Takwondo, and application ability, in order, are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aekwondo education in university. They also require new approach to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purpose. Third,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Taekwondo department, students perceive developing practical techniques come first, then cultivating study ability follows. Yet, they also think that cultivating study ability is getting more important as their careers further develop. In addition, the area students think most important is that of Taekwondo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which means students put high priority on cultivating study ability as well as developing practical techniques. Lastly, even though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ents' awareness on education course operation, overall awareness is quite negative. And it is perceived that the prerequisite for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 courses is to reinforce administrative supports to Taekwondo departments from Kukkiwon,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World Taekwondo Federation, and to develop materials for lectures and studies and new attitudes of both the faculty and the student. In conclusion, students perceive that improvements in circumstances and systematical supports are required. In their perception, qualification licensing system should be arranged in the way that students can get not only license for Taekwondo coach but also that for instructor of sports for all. Also, on-the-spot training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arts that allow teaching experiences before getting job,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ing theories and field applications. It is perceived that the most optimal time scheme for such field training is four weeks period in the junior class.

      •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직 인식 변화 과정 연구

        함준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을 통해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직 인식 변화과정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실습 참여에 있어 예비체육교사로서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실습 참여를 통해 예비체육교사로서 얻는 것과 느낀 것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실습 참여 후 예비체육교사로서 ‘교육’과 ‘교사’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는 Y대학교 교육대학원 3학기 이상의 과정 중에 있는 체육교육 전공의 대학원생으로 선정했다.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녹음되고 작성된 내용을 우선적으로 전사작업을 실시한 후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정리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 분석, 연구 참여자 확인, 연구조언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분석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실습 전 예비체육교사들은 수업내용과 학생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수업을 준비하지만 부족한 직전 경험으로 인해 걱정을 하고 있다. 둘째, 직전교육에서 얻은 지식들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 지식간의 차이는 예비체육교사로 하여금 실제 교육현장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지식에 대해 고민하게 만들고 성공적인 수업을 위해 노력하게 만들고 있다. 셋째, 교육실습을 경험한 후 예비체육교사들은 바람직한 체육교사의 모습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한 교육실습이 체육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하며 교직의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생각을 하고 교사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자신만의 생각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예비체육교사로서 하여금 교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예비체육교사들은 고등학교에서만 교육실습을 진행하였으므로 초등학교나 중학교와 같이 고등교육과정 외에 다른 교육과정에서도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습학교의 상황에 따라 예비체육교사들은 각기 다른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에 동일한 실습학교에서 교육실습을 진행 하였을 때 예비체육교사 별 각기 다른 인식 변화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체육교사들은 각기 다른 학교로 교육실습을 진행하였고 각 학교별 연구결과는 그 학교에서 교육실습을 진행한 예비체육교사 한명 뿐이다. 이는 공통된 상황에서 예비체육교사마다 나타나는 교직 인식 변화 과정의 차이를 알 수 없다. 이에 같은 실습학교에서 다수의 예비체육교사가 교육실습을 진행한 결과를 얻기위해 다수의 연구참여자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에서 예비체육교사들은 학생들의 과거와 달라진 수업태도나 생활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교직 인식 변화에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에 교육실습을 진행하며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예비체육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반대로 예비체육교사로 인해 실습학교의 학생들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과 예비체육교사간의 관계가 교육실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학교나 학생, 체육교과 등과 같이 교직 외의 부분에서의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어떤 과정에서 어떤 부분의 변화가 일어나는 지에 대해 자세한 결과를 확인하여 교육실습의 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e of perception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eaching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what do you expect as a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exercise? Second, what do you get as a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exercise? Third, how has the perception of 'education' and 'teacher' changed as a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after participating in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graduat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ing in Y university graduate school more than 3 semesters.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recorded through the objective sampling method, and the contents were record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multidimensional analysis, identific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review of research advisor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procedure. First,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pare the successful clas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lesson and the student, but they are worried about the short experience.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previous education and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actual education field makes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worry about the knowledge that can be used in actual education field and makes efforts for successful teaching. Third, after experiencing the practical training,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desirabl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addition, it was an opportunity to build up my own thoughts on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 and to think about the right direction of teaching, saying that the training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grow a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is process shows that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brings about a change of perception about teaching.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ducted teaching practice only in high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 other curriculum besides higher education such as elementary school or junior high school. Seco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ractical training school,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different teaching practice co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different perception changes in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the same training school. Third,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d teaching at different schools and the result of each school was only on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carried out teaching practice at the school.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hange of teaching perception among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 common situation.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training of a number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any research participants are needed. Fourth, in this study, pre-athletic teachers showed students to talk about their different attitudes and life styles, and the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seemed to have an influence.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tudents of the practical school as opposed to the study on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on the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is will provide more detail on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 and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teaching practice. Fin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e of perception of pre -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ing through practical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nge of perception in non - teaching fields such as school, studen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will give you a closer look at the impact of the teaching practices by examining the details of what changes in the process are taking place.

      • 중학교 국악교육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를 중심으로

        오미선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국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국악 교육 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앞으로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국악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용인시 수지구 중학교 국악 교육 실태조사를 위하여 14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해서 연구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인시 수지구내 중학교에 재직 중인 중학교 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관심도는 71.4%가 많은 편이라고 답변하였고, 학생들은 국악교육이 필요하다고 75%이상 느끼고 있지만 평소 국악 수업은 관심 없거나 지루하다고 말한 답변이 55%이상 나오면서 흥미를 못 느끼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그 이유로는 교사의 어려운 수업 방식과 배우는 내용에 있어서 다양성이 없어서 학생들의 흥미도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인시 수지구내 중학교에 재직 중인 중학교 교사들은 78.6%가 국악교육 전담 연수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최근 5년간 국악연수를 받은 적 없다(85.7%), 1∼2회 있다(14.3%)로 많은 교사들이 주기적인 국악연수를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인시 수지구내의 중학교에는 가장 많이 비치된 국악기가 단소(28.6%), 장구(28.6%)로 나타났고, 가야금(4.1%), 거문고(2.0%) 등의 값이 비싼 국악기는 거의 비치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학생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악기는 가야금(34.3%)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국악 수업 시 흥미를 느끼는 수업으로 감상(38.1%), 기악(34.5%), 가창(15.3%)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들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수업으로 가창(42.9%), 기악(35.7%) 순으로 생각한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국악 공연을 본적 없다(60.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악공연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적었고 국악에 대한 흥미나 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학생들은 국악 특기적성이나 방과 후 활동반 수준별 수업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아니오(90.4%)로 나타났다. 이는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해 보자면 교사들을 위한 적극적이고 주기적인 연수지도를 강화해서 국악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 나라에서 국악교육 전담 연수원을 두고 한 두 번의 연수로 끝이 아닌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며 이것을 철저히 관리 감독하여야 한다. 또한 연수 교육 하면서 사용하는 교육용 프로그램들을 만들어 업데이트 시켜주고 자료들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e-book 으로 만들어 준다면 국악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게 되고 학생들이 국악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국악기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국악교육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악기들이 제대로 구비될 수 있도록 국악실 마련이 시급하고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고가의 악기를 학교에서 구비해두기 위해 학교예산 확충에 힘써야 한다. 나아가서는 나라에서 예산에 맞춰 저렴하게 악기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해줘서 국악교육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를 잘 갖춰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문화공연을 통해 국악이란 장르를 자연스럽게 알아갈 수 있도록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 교사들과 나아가 용인시에서 관심을 가지고 국악공연관람 기회가 있을 때 학생들에게 홍보해주고 공연관람기회를 확대함으로서 학생들이 자연스레 국악과 친숙해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 국악수업과 국악 특기적성이나 활동반을 좀 더 활성화 시키고 체계적인 구성이 필요하고, 학년마다 연계시켜서 가르친다면 학생들이 배우는 데에 있어 국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is that to suggest effective and proper pla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through investigating and research of Korean music class focusing which is executed specifically in the middle school on Suji-gu, Yongin-si, Kyonggi-do. I sent the questionnaires to teachers and students of 14 school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teachers who was involved in the middle school of Suji-gu, Yongin-si, 71.4%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lthough 75% of students replied that they need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but 55% of them felt the class was boring. It was the reason that difficult theaching method and the lack of diversity made the students boring. Second, 78.6% of teachers needed training institute in exclusively char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During the last five years, teachers replied "Never been traine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85.7%) and "1~2 times"(14.3%). It indicated that most teachers had not been traine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periodically. Third, most availabl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in the middle school of Suji-gu, Yongin-si was Dan-so(28.6%) and Jang-gu(28.6%). Ga-ya-geum(4.1%) and Geo-mun-go(2.0%) that was expensive Korean musical instrument was almost never equipped in the middle school. However, the research represented that Korean musical instrument that most students wanted to learn was Ga-ya-geum(34.5%) Fourth, as interes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students replied "Appreciation"(38.1%), "Instrumental Music"(34.5%), "Singing"(15.3%). It was different with the teachers's answer they thought that students's interesting class was "Singing"(42.9%), "Instrumental Music"(35.7%). Fifth, 60.5% of students replied that they never watched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It indicated the few opportun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and lack of interesting or atten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Sixth, 90.4% of students answered that level class of club activ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not conducted well. It represented that they felt the difficulty of level class since level class was not organized well.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active and periodic training for teachers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Government shall prepare the training institute in exclusively char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The systematic management not 1 or 2 times training is needed and government should supervise this training system. If the useful e-book for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s prepared and the educational S/W is developed and updated, that makes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easily and interestingly. And it will be opportunity to make students attention.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hamber have to be offered and the school have to prepare the budget to buy expensive musical instrument like Ga-ya-geum and Geo-mun-go. Further mor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at the school can purchase the instrument based on the budget so that tools and materials have to be equippe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To naturally get to know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important thing is to give a opportunity for receiv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students. When there is a chance for watch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teachers and Yongin-si have to promote the performance and extend the opportunity to be familiar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lub activit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to be more activated and systematic organization is needed. If the club activity is liked well as grade, it will be opportunity for interes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they learn.

      •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국악영역 문항분석 : 2014 ~ 2021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임초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등교사임용시험을 준비 중인 예비 음악교사들의 임용시험 대비에 있어 전공 내용학 중에서도 국악영역의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입형·서술형·논술형이 시작한 2014년부터 2019년까지와 기입형 서술형의 형태인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문제유형 파악과 출제경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1991년 중등 임용교사임용시험이 시행된 이후 해마다 임용되는 신규교사는 소수 한정 인원이고 임용희망자의 수는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또한 음악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을 때 국악은 서양음악과 교육학보다 세분화되어있지 않고 과목수도 부족 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출제되었던 국악영역의 문제유형 파악과 출제경향 분석을 통해 예비음악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문항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들을 고찰하였으며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개요와 변천사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교육대학원을 포함한 교원 양성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악교육을 바탕으로 음악교사 임용시험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2014 to 2019, when the writing, narrative and essay types were started, and the period from 2020 to 2021 when the writing and narrative type were applied for question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 of questions and analyze the question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questions from 2020 to 2021 and analyze the questions asked. Since the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1991, the number of new teachers hired every year is limited and the number of applicants is big, so the competi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eaching level of the basic courses and the limit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College of Education, non-teacher department,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are music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ll the details of the question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This study focused on question analysis so that it could be helpful to prospective music teach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question types and the analysis of questions asked in the are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2014 to 2021. To this end,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t also studied the outline and history of th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usic teacher appointment exam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clu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provide practical help.

      • 예술계 고등학교의 해금 실기교육 실태 :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강리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해금은 독주 악기로서 뿐 만 아니라 국악 관현악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악기로서 요사이는 대중적인 인지도도 높은 편으로 국악을 전공하려고 입문하는 학생들 사이에도 선호하는 국악기 중의 하나이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국악교육 중에서 해금교육에 도움이 되고 효율적인 참고가 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악 교육현장에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는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총 117명 중 조사에 응답한 111명의 해금 전공 학생들을 통한 설문 조사 방법을 통해 교육내용, 전문교과와의 연관성, 수업형태 등의 교육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고등학교의 전공 편성을 보면 공통적으로 가야금·거문고·대금·피리·해금·아쟁·정가·민요·판소리·국악이론·작곡·타악전공이 있으며 국악예고에는 가야금 병창 전공이 더 편성되어있다. 국악고는 360명 중 56명, 국악예고는 600명 중 61명의 학생들이 해금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악고는 정악과 산조를 같은 비중으로 국악예고는 정악 보다는 산조나 민속악에 비중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해금을 전공악기로 선택하게 된 동기를 묻는 질문에서는 독특한 ‘악기의 소리가 좋아서’가 66.7%로 가장 많았으며 해금의 실기교육 시기에 대해서는 73%가 중학교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전공 선택의 만족도를 묻는 응답에서는 국악고 77.4%, 국악예고 69%가 ‘만족’ 의외로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29.3%가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많은 만족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전공 선택 시기 및 실기교육 시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추측된다. 현재 해금의 전공 수업은 1:1 지도가 아닌 6인 이상의 그룹지도로 일주일에 6시간씩 수업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1:2정도의 지도 방법으로 심도있는 전공 수업을 원하고 있다. 정악 수업은 일주일에 국악고 3시간, 국악예고 2시간이며 가장먼저 배운 곡은 수연장지곡이다. 정악 교재는 79.3%인 88명이 곡의 해설이나 전체의 곡이 수록된 CD 같은 것이 첨가된 교재를 원하고 있다. 산조 수업은 일주일에 국악고 3시간, 국악예고 4시간이며 국악고는 한범수 류로 시작해서 지영희 류로, 국악예고는 지영희 류로만 수업하고 있으며 두 학교 모두 여러 유파 중에서 지영희 류(87.4%)를 선호하고 있다. 정악과 산조 중 어느 분야를 더 잘하고 싶은 질문에서는 국악고 77.4%, 국악예고 58.6%로 산조라고 응답하였으며 특이하게 국악예고 36.2%의 학생들이 정악을 잘 하고 싶다고 응답하고 있다. 민속기악 수업은 두 학교 모두 대풍류와 민요를 92.7%가 배운바 있으며 창작곡 역시 국악고 98.1%, 국악예고 56.9%가 경험한 바 있어 해금의 실기교육이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미리 지도나 수업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해금 실기와 전문교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창·청음, 음악사, 음악이론, 합주, 실내악, 반주법, 음악감상, 합창·합주, 음악일반, 연주 등의 교과목은 수업효과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국악예고 1학년 국악이론, 3학년 컴퓨터와 음악 교과목은 해금실기 교육에 도움이 안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하루 평균 연습시간은 1시간에서 3시간이 가장 많으며, 반면에 30분 이내로 연습을 하는 학생들도 19%로 나타나고 있어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연습을 하지 않는 이유는 전공선택 만족도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겠다. 현재 전공 학생들이 소지하고 있는 만족한 상태의 악기는 2대 이상이며, 실기연습은 학교 연습실이 가장 잘되는 장소라고 응답하고 있어 학교의 연습실 확보나 교육환경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는 92.8% 대학진학이라고 응답하고 있으며 3.6%의 ‘인간문화재로부터 사사’ 라고 응답한 학생들은 대학진학보다는 소수이지만 인간문화재 같은 명인을 통해 보다 심도있게 공부를 하고 싶다는 소신있는 응답도 있어 이채롭다 하겠다. 고등학교나 대학 졸업 후에는 관현악단, 대학원진학, 교사, 작곡가, 지휘자, 민족음악연구, 국악 선교사, 방송연예계, 무대매니저 등 전공분야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ot only as a musical instrument for a solo but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an orchestra of Korean classical music, a haegeum(a two-stringed fiddle) which has had a high level of popular recognition these days is one of the instrum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preferred by the students who enter a school to major in the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the material which is helpful, efficient, and referential to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particular, to haegeum education. For the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curricula of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that produce many talented people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relevance to expert subjects, and forms of class through the survey research of 111 students majoring in a haegeum, who responded to the research, among total 117 students. The majors of the two high schools commonly consist of Gayageum(a twelve-stringed harp), Geomungo(a six-stringed harp), Daegeum(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Piri(a double-reed oboe), Haegeum, Ajaeng(a bowed seven-stringed instrument), Classical Music As A Song, Folk Song, Pansori(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Theories of Korean Classical Music, Composition, and Percussio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has an additional major of Gayageum Byungchang(singing playing the gayageum).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56 among 360 students major in Haegeum, while 61 among 600 students major in Haegeum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The education of the former school deals with classical music and Sanjo equally, whereas the one of the latter places greater weight on Sanjo or folk music than classical music. In the question of why a student chose a haegeum as his or her major instrument, the response that the peculiar 'instrument sounds good'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66.7%. For the time of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73% of the students showed the response that it is good to begin it from middle school days on. In the question of how a student is now satisfied with his or her selected major, 77.4%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69%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satisfactory', while the response of 'unsatisfactory' accounted for the percentage of 29.3%. It is guessed that the response of 'unsatisfactory' accounting for a large percentage is not unrelated to the time of major choice and the time of a practical education. Now, haegeum major classes are given for six hours a week in the form of guiding a group consisting of over six people, not one-to-one guidance. However, students want in-depth major classes to be given in a way of about one-to-two guidance. Classical music classes are given for three hour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for two hour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per week. The piece that students learn first and foremost is Mittoduri. Eighty-eight students accounting for the percentage of 79.3% want the teaching materials with added explanations of pieces or something like CD including the whole pieces. Sanjo classes are given for three hour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for four hour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per week. The former school gives classes ranging from the Han Bum-su Sect to the Ji Young-hee Sect, while the latter gives classes only on the Ji Young-hee Sect. Both of schools prefer the Ji Young-hee Sect(87.4%) among various sects. In the question of which field a student wants to be good at in classical music and Sanjo, 77.4%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58.6%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Sanjo'. Unusually, 36.2% of students in the latter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classical music'. For folk instrumental music classes, 92.7% of students in both of schools have learnt Dae(bamboo) Pungryu and folk songs. A creative piece has been also experienced by 98.1%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56.9%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which indicates that students were given guidance or classes according to their levels before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For the relevance between haegeum practice and expert subjects, they showed the response that the subjects such as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Music History, Music Theories, Ensemble, Chamber Music, Accompaniment, Music Appreciation, Chorus & Orchestra, the General of Music, and Performance were helpful to class effect, but that the subjects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ories for Grade 1 and Computer and Music for Grade 3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were not helpful to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The hour range from one hour to three hou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in students' daily average exercise hours and the students practicing within half an hour accounted for 19%, which indicate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eason why many students do not practice will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how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selected majors. Majors now possess two or more instruments in satisfactory condition. They show the response that school exercising room is the optimal place for practical exercise, whi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exercising room secured by a school o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a high school, 92.8% of students showed the response of 'going on to college', whereas 3.6% of students responding with 'studying under human cultural assets' peculiarly showed the confident response that they wanted to study in more depth through the famous persons such as human cultural assets even though their number is small. I could know that after graduating from a high school or a college they hoped to be active in various fields besides their majors such as an orchestra, going on to graduate school, a teacher, a composer, a conductor, a study on national music, a missionary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broadcasting entertainment world, and a stage manager.

      •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수업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송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는 여가활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여가 수요가 높아지고 단순히 여가시간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여가활동을 통하여 만족을 얻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수업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대학 교양체육이 대학의 수업중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닌 평생체육으로 이어져 교양체육을 통해 국민적 여가문화를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Y대학교 교양체육 수업을 받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고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임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수업 만족이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성별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이 모든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력에 따른 수업만족은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 모두에서 학년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이 모든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에서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도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여가만족은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모두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연구 대상 대학생들의 성별, 연령, 학년, 수강횟수에 따른 운동지속의도 차이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에서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가능성, 강화성에는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에서 학년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강횟수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경향성, 가능성에서 수강횟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강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사후검증 결과 모든 요소에서도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수업만족, 여가만족, 운동지속의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신체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에서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교육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의 모든 요인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요인, 휴식적 요인에 따른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여가만족의 심신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교육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환경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사회적 만족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In modern society, as people’s interest in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activities gradually rises, demand for leisure increases and the will to obtain satisfaction through leisure activities beyond simply enjoying leisure hours is becoming strong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national leisure culture through general physical education that leads to lifetime physical education beyond simple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t Y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parent population,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1.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laxation satisfaction and in all the other factors. And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physical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relaxation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among the groups. And i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school year in all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lax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2.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in all the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And i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ll the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hool years in all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der, age, school year, frequency of taking class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who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howed that,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age in tendenc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in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and the results of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ll the factors.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year in tendenc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school year in possibility. I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aking clas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requencies of taking classes in tendency and possibilit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inforcement, and the post verification showed that in all the 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class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howed that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tendency,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and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In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al factors and relaxation factors,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and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positive (+) correlations were shown. And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mental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tendency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soci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