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樂硏修 實態 및 改善方案 硏究 : 中等學校 音樂敎師를 對象으로

        송지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그 나라만이 갖는 전통문화의 독창성과 정통성, 특수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문화란 나라마다 각기 다른 양식으로 발전되어 왔고 다른 민족이 모방하거나 전승시킬 수 없는 것으로, 오직 그 나라와 그 민족만이 향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가장 활동적이고 살아 숨쉬는 우리 음악인 국악은 잘못된 교육환경과 사회분위기로 인해 음악교육의 주체가 국악교육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외래 음악교육이 주체가 되어 국악 교육을 해야하는 주객전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무리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학교교육에서도 국악교육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의식이 점점 커지고는 있으나, 실재 음악교육현장에서는 교사의 능력 부족으로 우리의 음악을 제대로 가르치고 배울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여러 가지가 모색될 수 있겠으나, 현재 재직중인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악의 재교육을 통한 방법이 가장 설득력이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교원현직연수의 필요성과 목적 및 교원현직연수의 유형과 형태를 고찰하였고, 중등교사의 국악연수에 대한 실태파악 및 충남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중등 음악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향과 의식구조를 탐색해 보고,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진단하여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연수운영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자료에 의하면 현직 교사들은 대학에서 전공위주의 교육을 받다보니 전공외의 분야에서 부족함이 많이 드러났고, 기악이나 가창 등의 국악적 실기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연수가 절실히 필요했다. 그러나 과다한 업무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 연수시기와 방법, 지리적 여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수 등으로 인해 개인적인 능력의 신장을 위한 시간 투자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적인 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악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는 자기 전공외의 분야 즉 국악 지도법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했고, 그들의 의견을 수렴한 교육과정과 수준을 고려한 개별적인 실기지도를 원했다. 이에 음악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연수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가. 교원연수는 학교 및 음악교사의 요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현직 음악교사의 수준과 자질을 사전 파악 후 지도해야 한다. 나. 교사들이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야 하고, 현장학습과 관련된 실기교육 내용을 많이 다루도록 한다. 다. 필요에 따라서 신축성 있게 운영된 수 있도록 연수기회를 확대시키고, 개개인 교사들에게 맞추어 다양화, 개별화, 구체화가 되어야 한다. 라. 교사의 필요와 요구에 의하여 연수 장소와 시기를 다양화하고, 찾아서 하는 연수로 유도하며, 전통적인 강의식보다는 시청각 교육, 분임토의, 현장학습, 사례발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참여식의 교육방법을 적극 활용한다. 마. 국악연수다운 연수를 시행하려면 국악을 영역별로 묶어서 일정기간 동안 반복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보았는데, 즉 오전에는 국악이론관목 및 필수과목을 이수케하고, 오후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국악기 실습시간으로 배정하여 1인 1악기를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바. 전 교과 연수과정을 설정하고 연수과정마다 표준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전국적으로 적용하여 계통적인 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타 기관의 연수도 안내되도록 한다. 사. 연수 실시를 학기 도중에도 실시하되 연수휴가를 줄여서 연수케 한다. 지방 연수원에서도 토요강좌 등을 설정하여 연수를 쉽게 받을 수 있게 하며, 여수 담당 강사는 전문요원을 확보하거나 현장 실무 경험자를 강사로 확보하도록 한다. 아. 연수 수료자에 대한 혜택 문제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연수 교육을 마차고 나면 경력에 따라 그 결과를 학점제로 전환하여 근무평점에 부여하거나 호봉승급에 반영, 수당 지급, 연수시 출장비의 넉넉한 지급, 연수 성적이 우수한 교사는 음악교과전담 연수시 강사로 초빙, 교과전담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에 대한 대책이 확대되어 연수의 유인가를 높인다. 자. 국악전담연수원의 주관장소와 관련하여 대학에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이러한 국악전담연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차. 연수담당자, 연수대상자인 교사 모두 현직연수의 중요성에 대하여 재인식이 필요하며,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방송·통신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연수형태를 개발하고 지역별로 정보제공 센타로서의 기능을 하는 교원센터의 건립이 필요하다. 이의 적절한 운영을 위해서는 방송 program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카. 각 시·도 교육청에 1명 혹은 2명으로 국악을 전문적으로 지도해 주는 지도교사를 두는 것이다. 지도교사의 수업은 줄여주어 음악교과에 대하여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를 통하여 초임교사를 지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음악교과전담연수에도 강사로 초빙된다면 현장감 있는 연수를 하는데 큰 몫을 하리라 생각된다. 타. 이 외에도 교사의 전문적 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 자신이 연수에 대한 적극적인 의욕을 가지고 자기연찬에 노력해야 하고, 연수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교사에 대한 잡무 경감 등에 대한 국가적 시책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제언은 음악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최소한의 절실한 요구이기도하다. 그러나 아무리 교육과정이 바뀌어도 또 그것이 아무리 훌륭하고 잘 짜여진 것일지라도 교사들이 그것을 미처 이해하지 못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면 소용없는 일이다. 학생들을 직접 대면하고 그들의 수업을 직접 이끌고 있는 사람이 바로 교사들이기 때문이다. 최신의 교육 이론을 계속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일선의 교사가 동일시하고 그들 자신의 것이 되도록 하는 노력은 더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중등 음악교사의 효율적인 연수운영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현장교육과 연결되는 실질적이고 충실함 교원연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uniqueness, orthodoxy and characteristic of a traditional culture is highlighted in this 21st century we have gust entered.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 unique in each country and enjoyable by each folk, never in such manner as might be imitated or inherited by other folks. In this context, Korean classical music may be the most vital and animated element of our traditional culture. Paradoxically, however, foreign music has been treated as main stream of musical education in place of Korean classical music due to distor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atmosphere of our country. In site of increasing concern of late for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nsciousness of Korean classical music, a biggest problem at the educational field still remains to be solved - there aren't enough teachers who are able to teach our classical music properly!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tackle these real problems of our music education might be, among others, to retrain the existing music teachers in order that they can also teach our classical music. This study, thus, aims at providing desirable and efficient approaches for training music teachers based on the outcomes and analysis of the survey with 183 music teachers now in active service at the secondary schools of Chungnam province. The survey covered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and purpose to train existing teachers to teach our classical music, desired type and pattern of retraining music teachers, actual situation of such retraining, and their inclination and consciousness toward the retraining.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existing music teachers mostly lack the ability of playing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traditional songs since they were taught at colleges primarily with Western music as major, pointing to the definite needs of retraining of them. According to the survey, it became evident that the teachers couldn't invest much time to improve their personal ability due to usually excessive works, stresses coming therefrom, improper time, location and way of retraining that used to be conducted for form's sake only, not in efficient manner. The survey also confirmed that the music teachers want to be trained with the instruction method of Korean classical music, different from their mayor, and to have individual practice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for curricula and level. With this background considered, efficient measures for retraining music teachers to improve their quality are suggested as follows: A. The training of teachers should be performed with due reflection on the analysis into requirements of schools and music teachers and after investigating their quality and level. B. Various programs dealing with practical education and field study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eachers can selectively participate in them. C. Enlarged opportunities fo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and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flexible in compliance with their needs of diversity, individuality and materialization. D. The place and time of training should b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It might be more desirable to employ the participative education method that fully utilizes such diverse media as audio-visual aids, group discussion, on-the-shot observation, and presentation of case stud instead of traditional way of education. E. For genuine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it seems more effective to repeat education in each category at a regular interval. For instance, theories and compulsory subjects of Korean classical music may be taught during the morning class, while most of afternoon class made designated for practice so that teachers can be trained to play at least one or mor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F. A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by means of standardized curricula that are prepared for the whole subjects. Training at the outside organizations should also be sought after. G. Training should be executed even during the semester by reducing the training vacation. In order to make easy access to training, Saturday afternoon class should be operated at the regional training institutes. Professional staff or invited lecturers with rich field experiences should be secured for such training courses. H. Upon completion of training for certain periods, its results should be assessed in the form of academic scores and be reflected for work performance rating, promotion, bonus payment etc. As further approaches to induce teachers to training, sufficient allowances for travel should be paid and those who excel in training should be given chances to be incited as lecturers to training music teachers in addition to measures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I. The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be entrusted to universities which may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training institute of Korean classical music. National-level support and concern is a top priority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such training. J. The people in charge of training as ell as the teachers to be trained shoul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while in active service. Various patterns of training by utilizing mass media should be created in tune with the ongoing change in this information age. Moreover, the construction of teachers' centers should be hushed forward to provide teachers with information in each region. For proper operation of these centers, pertinent programs should first of all be developed, K. One or two instructors in charge of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be appointed to each educational office at city and provincial levels. Teaching hours of these instructors should be reduced in compensation for their engagement in training incomers through incessant study and endeavors. More real training could be provided if these instructors are invited to the training course for music teachers. L. Besides, the teachers themselves should be more positive and laborious to derive benefits from the training with a view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Furthermore, national policies should also be established, for instances to reduce miscellaneous duties for those 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The above suggestions shall be regarded as least but desperate requests of the music teachers with regard to their training. No matter how much a curriculum is changed or no matter how well it is plotted out, it must be meaningless when the teachers do not understand and value it, because they are the ones ho lead the class in direct front of students. It may be important to continue to study up-to-date educational theories but nothing will be more important than the efforts teachers make to identify the theories as their own. Only with the help of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training courses for th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t may become plausible to conduct practical and substantial training that is directly linked to the actual education in the class.

      • 중국 사범대학 미술교육 실습 현황 및 문제점 개선 방안 연구

        백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과제의 연구목적은 중국 사범대학교 미술교육 실습의 현황, 문제점 및 서 언급한 연구를 근거로, 중국 사법대 학교 미술교육 실습의 문제를 개선하는 개혁 방안을 제기하고자 한다. 방문, 관찰 등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실습의 모드, 사범대학생의 전체적인 소질, 미술교육 실습에 대한 지도 등 실습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대안을 제기하였다. 1. 연속, 다단계의 실습 방식으로 실습의 시간을 증가하고, 새로운 견습 방식‐“미술교육 체험”을 실행하며, 실습을 평가하는 방식을 개혁하고, 새로운 안정적인 실습기지를 건립한다. 2. 사법대학생의 관념과 학습방식을 변화시키고, 사범대학교 면에서 교육 실습의 목적을 변화하며,사범대학생의 교육 이념을 다시 부각하고 그들의 직업신앙을 양성하며, 사범대학생의 교육, 수업 능력의 양성을 강화하고, 진일보로 사범대학교 미술 교육의 교육 과정을 개혁해야 한다. 3. 실습 지도 교사는 “평생 학습할 수 있는 연구형(研究型) 지도 교사”로 되겠다는 정확한 이념을 세워야 한다. 실습 지도 교사는 정확한 지도 원칙을 준수해야 하고, 실천 속에서 미술 실습을 지도하는 능력을 높여야 하며 사범대학교에서는 적극적으로 나서서 대책을 연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verify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beginning and also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actice of fine arts of our country.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the problems in it also the cause of the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thesis put forward the reform plan, which aims at solving the problems that exist in our educational practice of the normal schools.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nd observation, the writer analyzed the patter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general faculty of the students in normal school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instructing fine arts educational practice, the writer put forwar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First, adopting success ional, step by step method to increase the practice time. Using new practice method i.e. experience of fine arts educational practice. Constituting fine arts educational manual in detail. Second, change the idea and studying method of normal school students. As for the normal schools, they should transit the aim of educational practice, put emphasis on the remodel of the educational idea and cultivation of professional belief of normal school students. Third, the supervisor should form a correct concept of being a lifelong learning research supervisor. They should follow correct guidance rule. Enhance instructing ability via practice. Normal universities should take active action, and work out the solutions.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장학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view of situations and conditions facing the preschool institutions, it seems badly required of teachers to conduct self-directed supervision in which they themselves plan, realize and assess education and teaching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own will for self-progress and capability. The present paper is, thus, aimed at finding the facts of self-directed supervision practiced by the teachers involved in preschool teaching and searching for means of supervision that may enable the teachers to promote their teaching skills. For this aim, tasks were set forth for the study as follows: First, to determine what kind of difference there may be in general supervision of education by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and Second, to determine what may be the difference in self-directed supervision. by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Eighty-seven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ose who worked at the preschoo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Iksan city, Jeonbuk province as subjects for this study by organiza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Questionnaires with 15 items were prepared in tune with the aim and contents of this study with assistance of experts and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 reference to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As part of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SPSS/WIN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mpute such essential descriptive values as frequency (N), percentage (%) and mean value (M) of the data in a try to understand their general tendency. X2 test was performed to fix the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variants of background.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consensus was shared amo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cerning the opinion about the general scope of supervision that the concept and major objective of supervision was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supervision by peers was the type that was most favorably practiced by th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eachers rated themselves in a positive way in terms of their teaching method and technique. Secon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self-directed supervision in education as more important as they advanced into higher stage of education, accumulated further educational career and received higher education. They were actually conducting lots of self-directed supervision on the spot. Most other teachers, however, were found to have practiced it never or only once or twice, if any, in the course of their educational career, featuring somewhat of gulf from their perception of self-directed supervision. Attendance at various workshops and training courses was one of the means for their self-directed supervision results of which they usually rated positively. Teachers regarded 2~3 times a year of self-directed supervision as optimum but couldn't follow it mainly because of time shortage. Peer teachers were most favored supporters for self-directed supervision for reasons of trustworthy and horizontally equ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ollowed by directors or managers of the institutions and experts in the concerned area. It wa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eagerly hoped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every type of training, workshop, seminar and model conducting of class, and to be financially backed up by the organizations they belong to when they have chances to do so.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it may be generally stated that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grade level as well as the longer educational career the teachers working at the preschool institutions have, the higher value they used to place on the concept and needs of both general as well as self-directed supervision of education. The peer supervision turns out to be the kind that is practiced more frequently in the educational field than the self-directed one. The reason is that horizontal, cooperative and trustworthy relationship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among peer teachers of the equal age dur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planning,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ducation which is normally performed in an amicable manner. Second, most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 institutions have never or only once or twice done self-directed supervision during their career in the field because their working hours are usually too long and their works are too intensive for them to spare time for their own development and assessment during daily works or weekdays. Consequently, they have no alternative but to attend some training courses or academic presentation meetings that are arranged for just short period of time to access to the data or information they need at most.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them to exercise self-directed supervision that may be realized by the channels that require lasting period of time like tape-recording or videotaping one's class for purpose of later analysis, reading books of liberal arts, utilizing newspaper, monthly magazines, broadcasting programs and taking lectures at night classes, open college or graduate school. Since most teachers seriously wish to participate in every type of training, workshop, lecture and model conducting of class avaliable,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directors or managers of preschool institutes to be prepared to provide teachers with chances to attend such occasions and to assist them by sharing certain amount of attendance or registration fees so that they can promote their professionalism as educators without much heavy burden on themselve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여러 가지 상황과 여건을 통하여 볼 때 교사 자신이 자기발전의 의지와 능력에 기초하여 자신과 유아와의 교수-학습에 대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며, 그 결과에 대하여 평가하는 할 수 있는 자기장학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는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장학의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장학은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둘째, 자기장학의 실태는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과 범위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로 무선표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사 도구는 관련문헌이나 선행연구물을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교육현장의 교원 및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제작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빈도(N), 백분율(%), 평균(M) 등의 기본적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다음,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장학 영역에서는 대체로 장학의 개념과 장학의 주요 목적이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하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었다. 일선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의 방법상의 유형은 동료장학이었고, 동료장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았으며, 자신의 수업방법과 교수기술에 대해 스스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둘째, 자기장학의 실태 영역에서는 자기장학에 대하여 학력, 교육경력, 직급이 높을수록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실제 자기장학을 현장에서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교직생활을 하면서 거의 해보지 않았거나 한두 번 정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실제와는 차이가 있었다. 자기장학의 방법으로는 각종 연수나 학술발표회 등에 참석하는 것으로 참석한 후에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연간 자기장학의 횟수로는 2~3회가 적절하다고 보나 실행되지 못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는 자기장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장학을 위한 조력자로는 수평적, 신뢰적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동료교사를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 원장과 원감 그리고 해당 전문가 순이었다. 교사들은 각종 연수, 학술발표회,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에 참석하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일정 부분의 경비를 교육기관에서 지원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장학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학력과 직급이 높을수록,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일반적인 장학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였으며, 자기장학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일선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유형은 자기장학보다 동료장학이었다. 이것은 동일연령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육계획과 전개 그리고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들이 협의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 동료교사 사이에 수평적이고 협동적, 신뢰적인 관계가 형성·유지되기 때문이다. 둘째, 자기장학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교직생활을 하면서 대부분 자기장학을 한 번도 실시해보지 않았거나 한두 번 정도에 그치게 되는 것은 근무시간이 길고, 근무시간의 업무 집중도가 높기 때문에 일과 또는 주중에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여 자기발전과 평가를 위한 시간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자신의 수업을 녹음·녹화하여 분석하기, 교양도서를 읽거나 신문, 월간지, 방송매체와 인터넷 사용하기 그리고 야간 또는 방송통신대학, 대학원 과정을 수강 등과 같이 일정한 시간을 요구하는 자기장학의 방법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일회성으로 각종 연수나 학술발표회에 참석하여 자료와 정보를 얻는데 그치고 있다. 교사들이 각종 연수, 학술발표회,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에 참석하기를 원하고 있기에 해당 기관의 원장과 원감은 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필요에 따라 참가비와 등록비의 일정 부분 지원해줌으로써 교사들의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현황과 무용교사의 인식도 조사 연구

        김은하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무용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예술고등학교의 운영현황과 예술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무용교시들의 인식도를 토대로 조사, 분석하여 전문 무용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했으며 전국 25개의 예술고등학교에서 10개교만을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첫째, 무용을 담당하는 교사 대부분이 무용을 전공한 교사(강사)였으며 대부분의 무용교사들이 매일 담당전공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고등학교에서도 일반계 고증학교와 마찬가지로 대학 진학 위주의 교육(69.15%)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술고등학교라 할지라도 일반고등학교와 같은 교과과정에서 대학 수학능력을 목표로 수업 내용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무용교육 이수시간이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진학 위주의 교육에도 북구하고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생 중 63.55%가 대학진학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무용교육은 대부분 전공무용실을 보유하고 수업을 하고(79.44%)있었으며 이 무용실은 일반교실과는 성격이 다른 특별교실로써의 역할 즉, 무용실의 조건에 따라 학생들의 교육성취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각교재를 사용(42.6%)하고 있었으며 또한 보고자료의 이용 즉 VTR 등의 매체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재정적 확보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시청각교재에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59.18%)하고 있었으나 저학년부터 고학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자료로 수업에 임하고 있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넷째, 무용교육의 범주에 대해서는 예술 쪽에 해당(77.57%)해야 된다고 했으며 무용수업의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가(68.2%)는 의견이었다. 무용수업의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견해는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전인교육의 기회가 열악하다(43%)는 입장이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후의 연습이 정규수업에 도움이 된다(57.01%)고 했으며 이러한 과외수업의 담당자는 전문강사에 대한 개인지도(57.94%)가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고 했다. 여섯째, 무용교육의 발전요소로는 무용교육의 도립(40.19%)을 가장 큰 비중을 두었으며 무용교육의 인식에 있어 잘못된 견해가 있을 경우 설득시킨다는 의견이 80%에 달할 만큼 대부분의 교사가 이해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모른척한다는 8.41%로 이는 학교교육에 있어서의 무용교육의 위상이나 중요성에 대한 체험 부족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무용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으로서 무용교육과정의 개선, 행정 및 재정적 지원확대, 무용교과의 독립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무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체험에 의한 분석 과정에서 발전적인 요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에서 예술고등학교의 발전적 제언을 살펴보면 1) 현재 예술고등학교의 무용과 관련된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전문예술인 양성을 위한 조기 무용교육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 교과과정에 맞는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2) 예술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시청각 재료를 무용교과과정에 따라 학년별, 수준별로 구분되어 작성되어야 할 것이며 VTR, CD-ROM, VOD등 다양한 교수매체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재정적 시설 확충도 필요할 것이다. 3) 예술고등학교의 목표에 부합하는 단계적인 교육내용 체계와 전공실기 시간의 확대와 최근 부각되고 있는 댄스 스포츠, 에어로빅의 교과목 편성이 되어야 할 것이다. 4) 전문 무용교육의 목표에서 언급한 조기교육의 중요성, 무용인재 육성에 맞게 예술고등학교에서 대학에 진학할 때 자기전공 분야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연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 무용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및 개발과 무용교육의 발전요소로 무용교과의 독립이 재빨리 이루어져야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인간의 대부분의 생이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진보 발전하듯 교육도 거듭 발전해 나가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 분석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룩할 것이다. 전문무용교육의 산실인 예술고등학교에서도 본 논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무용교육의 위상을 위해 학생과 교사가 미래지향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present situation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and the perceived purpose of dance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 to survey the present and problems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in art high-school to suggest the developing direction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of art high-school clays in the future. In the followings, this researcher is to make some kinds of suggestions about the points at issues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and the perceived purposes of dance teacher and about its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1) Because do not act underpart of dancing education properly early stagy for positivity that is full text art in education of audience putting first connected with dancing of present art high school, is goring to need correct R&D in full text course of study. 2) Visual and auditory material that is used in art high school so that can use VTR, CD-ROM, various professor media such as VOD must make out being divided by school year according to dancing course of study, level financial equipment expansion need. 3) Must get into gradual education contents system that coincide in target of art high school and dance sports that is embossed extension and the latest of major practical skill time, subject bias of aerobics. 4) When get into the college in art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dancing competent person upbringing that refer in target of full text dancing education, must accomplish link so that can prosper more own major field of study. 5) Independence of dancing subject may have to consist quick on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dancing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ion and development urea of dancing education. Most of human progress through ceaseless change of life as develop education to develop repeatedly brilliant development through ceaseless research analysis accomplish. As propel research that student affairs section teacher is intention enemy the future for phase of new dancing education escaping in existent idea as well as full text dancing and propose must try, take the place of conclusion.

      •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기 문식성 연구 : 필리핀 학습자를 중심으로

        주희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몇 년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눈부신 성장을 하였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해외교포 2~3세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국외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한류 열풍을 타고 중국이나 일본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 이 분야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적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이는 한국어 교육 규모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세계 주요 대학에 개설된 한국어학과 또는 한국어 강좌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해외교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글학교도 계속 늘고 있다. 국내의 주요 대학 중 상당수가 한국어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고, 단기과정의 한국어교사 양성과정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석사과정을 설립하였으며, 몇몇 대학의 학부에서도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학과를 신설하기도 하였다. 언어 학습에 있어 학습 환경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제 2언어 환경에서 언어를 학습할 경우 학습자는 목표 언어를 접 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지만, 외국어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사용하게 되는 언어의 사용도 한정되어 있으며, 한국어에 노출되지 않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 때문에 사용자가 의사소통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국어 교육은 많은 관심과 문제점을 안은 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봇물처럼 터진 한국어 교육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현 사태이다. 한국어 교육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시점에서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되 짚어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지속적으로 해외 한국어 교육기관이 계속 늘어나고 해외 파견 한국어 교사가 계속 증가하는 점을 감안할 때 학습 환경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 환경에서의 한국어 학습 전략과 차별된 학습 전략을 찾아내어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충족된다면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여기서 다루는 내용들이 모든 한국어 교육 분야를 포괄한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하나의 발전적인 방안 제시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주제어 : KFL, KSL, 외국인 학습자, 초기 문식성, 필리핀, 학습자 오류 In recent year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As the global positioning of Korea got higher and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the 2nd-3rd generation overseas Koreans,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in Korea as well as in foreign countries. Specially, due to the 'Korean Wave,' a lot of manpower is needed in this field not just in China or Japan, but in Southeast Asia as well.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is is evident in the siz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number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or lecture offered in major universities in the world is increasing continuously, and Korean language school for overseas Koreans continues to increase as well. Among the nation's major universities, a fair number is operating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established short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 master's course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faculty of several universities founded a department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studying language, the learning environment makes a significant influence. Whereas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language in the 2nd language environment can have a command of the language because the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hear and speak the target language, but when learners are studying the target language in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use of the language is limited and they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becaus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coming an object of attention while attracting great interest and problematic matters,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oured out in an ill-prepared situation is not fulfill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ake a fresh leap, it is important to look back on the actual condition in general and problematic matters at this point and to come up with solutions.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foreign dispatch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researching on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finding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and differentiated learning strategy in domestic environment to apply in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s satisfied, it would be a great help in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do not include every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of course, but it is significant in terms of suggesting one developmental method. Keywords : KFL, KSL, foreign learner, beginning literacy, Philippine, learner error

      •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심지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에서 실시하는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어떠하며 요구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미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하며 유아연령, 어머니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치원의 미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는 어떠하며 유아연령, 어머니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6개의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3, 4, 5세 어머니 337명이다. 연구 대상 어머니들 대부분은 전문대학 이상을 졸업하고 중류층으로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54.7%로 과반수이상이다. 본 연구 도구는 질문지로 유치원 미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미술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의 고찰에 기초하여 유치원 미술교육 목표, 내용, 교육환경, 지도방법 및 교사역할, 부모교육 등을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하고 유아교육과 교수 1인의 타당도를 거쳐 예비 조사를 한 후 확정하였다. 설문지는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유치원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 미술수업의 증진을 위한 요구 등 3개의 범주 총 32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자료 처리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는 ??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유치원 유아미술교육은 유아의 학습 및 전인발달을 목적으로 유치원교육활동에서 보통이상의 비중을 두고 있으며 미술교육의 효과를 위해서는 편안한 공간과 분위기를 제공하고 그리기와 만들기 꾸미기의 균형 있는 내용으로 생활주제에 따른 명화감상을 이야기 나누기로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효과적인 미술교육 환경으로 편안한 미술작업영역의 제공과 분위기 조성, 그리고 미술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유치원과 가정이 함께 병행하여 미술재료를 준비하며 주당 3-4회에 1회당 40분미만의 미술활동을 해주기를 요구하고 있다. 미술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및 참여 모임은 년 2회 정도로 미술활동 시간에 자신의 아이와 함께 작업하는 참여형태와 가정통신문에 의한 부모교육을 가장 원하였고 부모교육내용으로는 가정에서의 구체적인 미술지도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치원의 효율적인 미술교육의 계획과 운영을 위해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를 고려하고 반영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정보를 주고 있으므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mothers recognize and what they need in the art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that they hav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ge, occupation, schooling of their mother. In order to achieve above the object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built as follows: First, how do mothers recognize the art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m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ge, occupation, schooling of their mother? Second, what do mothers need on the art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m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ge, occupation, schooling of their moth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8 mothers of children enrolled in 6 kindergartens in J city of Jeonbuk province.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aire that this researcher made from being based on the research and theory on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at was consisted of the 32 items of 3 areas that were mothers' background, mothers' recognition and needs on the art curriculum of kindergarten, which is consisted of the object,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er's role,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²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parents recognized that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 had the object of the development of whole child and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lso they recognized that children were provided with enough space and free comfortable atmosphere for their art activities in both free play time and work period time, that art curriculum balanced with drawing, decorating, and constructing activities implemented, and that their children shared with their thinking and feelings of fine art appreciation. Second, most of parents wanted that in order to implement more effective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 young children work in art areas with enough space and warm atmosphere and with art materials that teachers and their parents provide together. They want that art activities in curriculum were provided for 40 minutes each time, 3-4 times each week. And also they wanted that parent participation is implemented by 2 times in a year, that in parent participation they work art activities with their child, and that they learn teaching methods of art for their children in home by newsletter of kindergarten.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with basic sources for plans of art curriculum that is considered with parents' needs on art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 한국의 중국어 교육과정 고찰

        신슬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국인은 중국 최근 몇 년 동안 한국과 중국 사이의 외교 관계 이후 학습에 대한 전면 열성을 경험했다. 하지만 만약 한국의 중국어 교육 시스템이 떠오르는 요구에 대하여 잘 준비 되었는지 의문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긴밀하게 한국에서 중국어 교육을 조사하고 대안을 마련하고 싶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교육의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학 및 실용적인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를 검토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여부와,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교육 요구를 충족 이해와 교과 과정의 평가이다. 현재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는 학습자는 훈련을 위해 중국어교사를 위해 그리고 중국어학과 문학의 진보된 연구를 위해 매우 높은 조건을 가질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코스 그리고 중국어학 및 문학에 관련된 중국 교육학과정의 비율 등 프로그램 간에 크게 다르다고 밝혔다.이러한 연구는 더 나은 중국어 교육의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의 발전을 위한 더 많은 토론을 부른다. 그것은 또한 학습자의 요구를 접하기 위한 중국어 교육학이 해결해야 할 전문화된 교사의 부족을 제안한다. Koreans have experienced a sweeping zeal for learning Chinese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recent years. But I wonder if Koreas Chinese education system is well prepared to meet the rising demand.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closely look into Chinese education in Korea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ers views on the pedagogical and practical efficac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s, and to evaluate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s to understand whether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for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learners tend to have a very high demand both for training for a Chinese language teacher and for advanced studies of Chinese linguistics and literature.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courses offered in the program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varies significantly across the programs, including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and the ratio of Chinese pedagogy courses to those related to Chinese linguistics and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ll for more discussions as to developing a better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hortage of faculty specialized in Chinese pedagogy be addressed in order to meet the learners demands.

      • 고령화 사회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 한국의 현실과 대안

        안창선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국은 2001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354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7.4%에 이르렀으며, 2022년에는 753만 여명에 노인비율은 14.3%로 크게 증가하여 본격적인 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2001년 통계청 보고결과 평균 수명이 75.9세로 보고되었다. 현대 기술의 등장은 이와 같이 인간의 평균수명을 연장시켰고 이는 세대간의 경쟁과 정년퇴직제도를 초래하였다. 또한 도시화의 진전으로 도시로의 인구 이동과 연령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사회적 분리가 일어났고, 이러한 현대화의 과정 속에서 서구문화의 무분별한 도입은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와 노인들의 지위는 자연히 하락하게 되어 사회활동의 축소와 함께 취업기회의 상실 등의 역할상실을 경험하게 되는 심각한 사회 문제의 하나인 노인문제를 야기 시켰다. 기본적 욕구를 해결할 수 없어 노인문제가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 왔지만 이제는 고령화의 근본 원인인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길어진 노년기를 효율적이고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 노인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평균수명 연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실행되고 있는 노인교육의 실제와 문제점으로부터 그에 대한 대책들을 논의하여 보았다.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노인교육의 학습 프로그램이 일정한 기준이 없이 교육기관에서 각양각색의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운영자와 강사의 임의대로 조정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현대 사회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는 노인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연령, 성별, 생활수준, 교육정도, 건강상태, 지역, 취미 등이 각기 다르다는 점을 유의하여 가급적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단순한 여가를 위한 놀이 문화 중심이 아닌 수준별 문화, 교양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앞으로 노인교육에 종사할 뜻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노인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 및 실제를 비롯하여 심층적인 노인교육을 통하여 노인복지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인교육에 관여하고 있는 종사자나 운영자는 전문 인력으로 훈련, 양성되어져야 한다. 셋째, 노인교육을 통하여 노인취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의 감소를 극복함과 동시에 근로능력과 의사가 있는 노인 노동력에게 근로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고령자들의 교육을 통한 자원봉사 활동 참여이다. 사회전체로는 고령자들이 힘없고 능력 없고 도움만 요청하는 의존적 존재가 아니라 활발하게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존재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다섯째, 대학교 내에서의 노인교육이 아닌 대학 중심의 노인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한국 보다 앞서 노인교육을 실시한 선진국은 대학만의 자체 교재를 이용해 체계적인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대학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수준에 맞는 강의와 대학 내에서의 컴퓨터 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하여 평가부분이 잘 이루어지고 피드백이 실시되어야 다음 수업설계에서 교육목표가 정확하게 방향을 결정할 것이고 내용과 방법 또한 제대로 진행할 수가 있으리라고 본다. 여섯째, 정부의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열악한 시설을 안락한 여가장소가 되도록 시설을 개선하는 일과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는 노인교육 행정체제를 교육부로 일원화하고 전담 부서를 편성하여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다는 적극적 의미를 담고 있는 사회교육 차원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인교육의 우선 과제는 오늘의 노인들로 하여금 늘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그러한 생활 속에서 삶의 보람을 터득할 수 있다는 인식을 일깨워 주는 일이다. 그러한 사회로 정착되면 노인들은 더 보람차고 활기찬 장수사회, 제 3 인생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The population of the older above 65 years old in Korea totaled 3.54 million in 2001, which accounted for 7.4% of the total population. This will be expected to reach 7,53 million, accounting for 14.3% representing a substantial increase in 2002, consequently Korea is predicted to become a full-fledged aged societ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cently reported that the average life span of Korean people was 75.9 years in 2002. Emergence of modern technology has thus prolonged the average life span and at the same time brought about generation competitions and retirement age system. On the other hand, owing to urbanization continuing, masses have turned to move to cities and the society has been split by ages and social status, and in the course of such modernization, Western civilization has been indiscriminately introduced, which has brought about change in shared values and further lowered social position of seniors, therefore it resulted in narrowing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iving them of job opportunities. All these have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the seniors problems.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older's basic desires left unsolved things are responsible for development of the older problems, but from now on about education for the older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m to utilize more efficient and conducible old age lengthened by extension of average life span, which is the root cause for the aging society. Under such scenario, I have attempted to discuss in this paper the actual access of education for the older, which has been practiced as a part of the social education for a method to solve the older problems caused by prolonged average life span, the relevant social changes and the problems involving some measures. As for some of the problems, It has been noted that various study programs prepared by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without any relevant criteria have been unilaterally altered by the lecturers in class. Some of the revitalization plans for the education, which may overcome such impediments and meet the modern society are cited below. The First, keep in mind that ages, genders, standards of living, level of education, state of health, native places, hobbies, etc. vary with different seniors, it is necessary to offer diverse programs that can be arranged. Not recreational programs designed to help kill time, but diverse programs to accommodate various levels of cultural backgrounds should be arranged. The Second, some comprehensive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overall theories and practices on education about the older need to be developed to train those who are engaged in education for the older and cultivate the professional experts in the area through the in-depth education for seniors. The Third, employments of them should be revitalized through training of seniors. Reduced work force due to old age should be certainly made up for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seniors willing and ability to work. The Fourth, the older sh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volunteer service work through training of the older, which may help infuse in the society the perception that seniors are beings engaged in productive work, except for a certain extent the general recognition that seniors are weak, incapable and helpless, just depending on others. The Fifth, the university-centered education of the older, not just a course in the campus, should be taught. In the advanced countries which started the education for seniors earlier than we did, they use their own text books and perform systematic education. they can share informations with the data base as soon as possible. They give lectures suitable to their level and offer computer education too. Through the university-centered education for seniors, appropriate assessments of the education would be attained and assessment results can be fed back, so that the education targets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xt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proper contents and methods of instruction may be adopted. Finally, Support and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should be expanded. The Government industry should maintain the present poor facilities to comfortable facilities for leisure and pay for the minimum expenses to run the facilities. Now the dual administrative education systems in the older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be brought exclusively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t is also recommended that an exclusive administrative unit be established under the MOEHRD and the education for the older be performed in a dimension of social education taking on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The foremost task of the education in the older is to awaken their recognition that today they must always maintain their attitude striving to learn 'things new' and they realize to appreciate the satisfaction of life. Once we are settled in such society, the older's life will be able to enjoy meaningful and vigorous society of the long life, the third life.

      • 대학생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윤태영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process, to provide base materials to be used in revitalizing an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cts were 750 univerty student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sought to gaug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examine college students’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ree dimensions of multiculturalism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and ethnic identity. As for their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ism, it was in the order of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followed by ethnic identity, and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multiculturalism according to demongnaphic variables. As for th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male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Furthermore, looking at differences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year levels, students in the upper years had higher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nd they also had higher awareness of ethnic identity about multiculturalism. Looking at differences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majors, as for the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and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education students had higher scores; and as for ethnic identity, non-education-major students scored higher. As for th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education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and as for ethnic identity, non-education-major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Second, based on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paper classifie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namely,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opportunity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ecessity; the paper analyzed them and examined demographical differences. First, as for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there were slightly mor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higher scores on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were observed in female students, rather than male students,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rather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Based on this, the paper discovered that college students usually experience multiculturalism education through school or mass media. Most of the students know about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students,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ponded that multiculturalism education is necessary. In general, the felt necessity of hav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was higher in students in their fourth year than those in their first, second, or third year,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As for the reasons for need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38.9% responded that we need it for “cultivating global talent who are flexible and open;” as for the reasons for not need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45.0% responded that “emphasizing multiculturalism would only bring about confusion.” Third, the paper classified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into educational goal, contents, methodology, subject, problems, and revitalization; and examined demographical differences. As for the educational goal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people responded it to be “to positively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and commonality.” As for the methodology, the paper found that there were two elements, namely, consolidation form and specific form;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responses given by different genders, bu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different year levels and majors. In other words,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 students in higher year level had higher scores; and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consolidated manner, students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first year.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 education-major student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at fact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Looking at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emphasis was given to the equality of different cultures. Multiculturalism education was taught most frequently in Home Economics, Social Studies, History and English with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As for problems with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responded them to be “having a preconceptions and stereotypes about certain ethnic groups, race, or their culture;” and as for ways to revitalize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responded with “support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order to resolve cultural bias”,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grams for the benefi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triving to change the way we view about multiculturalism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hav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ulticulturalism education, a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training that enhances teachers’ awareness appears necessary. In conclusion, by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looked a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cess. The paper recommends that future studies would focus on developing a yardstick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proved, and comparing other variable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from different angles. Above all, in terms of home education, there must be more systematic studies on school field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ism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다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효율적인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0년 10월 중에 전라북도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7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 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χ²-검증, t-test, 일원변량분석과(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다문화 인지도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인지도 요인분석 결과, 타문화수용성, 문화평등성, 민족정체성의 3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대학생의 다문화 인지도는 타문화 수용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민족정체성, 문화평등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지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문화평등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학년이 높아질수록 민족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문화평등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사범계열 학생들은 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민족 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지도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다문화 교육의 경험, 기회, 이해, 필요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먼저 다문화 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52%로 다소 많았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다문화 교육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주로 다문화 교육을 학교나 매스컴을 통해서 경험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보다 다문화 교육 이해도가 높았다.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이 필요도는 높았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4학년이 1, 2, 3학년보다, 사범계열 전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다문화 교육의 필요도가 높았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을 위해’를, 필요하지 않는 이유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혼란만 가져오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을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실시교과, 문제점, 활성화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교육 과정에서의 교육 목표는 ‘문화적인 다양성과 공통성을 긍정적으로 경험한다.’가 가장 높았다. 다문화 교육 방법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통합 형태와 특정 교과 형태의 2요인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4학년이 다른 학년보다 다문화 교육을 통합형태로 실시하는 것에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다문화 교육을 특정 교과에서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사범계열 학생들보다는 비사범계열 학생들이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 내용을 보면 다문화 교육내용 중 평등성에 관한 내용을 가장 필요시하였다. 다문화 교육 실시교과를 살펴보면 가정, 사회, 역사, 영어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특정민족이나 인종,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가장 높게 들었고,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적 편견 해소를 위한 다문화체험 활동 지원’,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교사 교육과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지도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 다문화 교육의 과정에 대한 인식을 밝혀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그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와 다문화 교육의 다른 변인들과의 비교를 다각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가정 교육적 측면에서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학교현장교육과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