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 남대천을 중심으로

        남은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Gangneung Namdaecheon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s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liv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in the geography subject. In this study,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as us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eeds in geography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produced Jamboard worksheets using graphic organizer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instructors, and colleg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8.0. Also, environmental sensitivity show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were categorized using Atlas.ti 22.0 and visualized with network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an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studies and volunteer activities. In particular, when asked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s with environmental activities,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had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activities. However, thi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ractice of conservation behaviors.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students wanted was outdoor survey activitie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post-test improved compared to pre-test in all seve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such as sense of places, environmental skills, interest in ecosystems, awareness of water quality,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revealed that themes which were relavant to students’s affective domains emerged. Third, it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that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centered on urban r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long-term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of Namdaecheon River in Gangneung cultivated students’ competenies and career exploration. Instructors witnessed changes in the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lso, college student mentors who guid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improved their capabilities as pre-service teachers. Fourth, the Gangneung Namdaecheon River Care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in all areas of Namdaecheon understanding, various activity, interest, and futhrer study.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mprov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Namdaecheon Ri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ecosystem in the Namdaecheon River and mapp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conducted long-term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urban rivers, and presented educational materi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ccordingly, this study adopted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to gain a rich, detailed,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 specific context and phenomenon as the students dived into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 large group of students. Furthermore, expanding empirical research acros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To meet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Geographic Competencies requirements, it's crucial to incorporate activities that foster geographic information literacy, enhance spatial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promote global citizenship. Such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geography education. 본 연구는 강릉 남대천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리 교과에서 고등학생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과 더불어 참여 고등학생들이 거주하는 강릉지역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 환경 감수성,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잼보드 워크시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지도교사, 대학생 멘토들의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수집한 양적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문항별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인 인터뷰, 잼보드 워크시트, 스토리맵스 결과물에 나타난 환경 감수성 내용은 Atlas.ti 22.0을 활용하여 범주화하고 네트워크 뷰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에서 참여 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과 교육과정과 봉사활동과 같은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이전의 환경 관련 활동 경험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환경 관련 활동 전보다 환경 활동 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환경보전 행동의 실천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 고등학생의 과반수는 지리 교과에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바라는 환경지리교육의 교수학습방안은 야외조사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은 7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환경기능, 생물에 대한 흥미, 수질에 대한 인식, 환경보전의식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 중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은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잼보드 워크시트와 스토리맵스 결과물에서 관련 내용이 추출되었다. 셋째, 인터뷰를 통해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강릉 남대천 학습경험은 참여 고등학생에게 환경 감수성을 포함한 환경 소양을 함양시켰고 자기 역량과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도교사는 학생들의 환경 인식변화를 체감하였고, 고등학생을 지도했던 대학생 멘토들의 환경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예비교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 각 활동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 앞으로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참여 고등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고 특히, 남대천에서의 생태계 관찰 경험과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도화 학습에서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지리 과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한 장기간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인 남대천 리버케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든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자료를 함께 수집 및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 연구참여자의 다양성과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과 핵심역량인 지리 정보 리터러시, 공간적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력, 글로컬 시민역량을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예비 지리교원의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리교육에서의 환경 감수성과 관련된 다양한 실증적인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지형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과 지형 시뮬레이션 UCC 자료 개발

        구덕훈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geomorphology education and to develop interesting GS-UCCs (Geomorphic Simulation UCCs) that can be easily taught by teachers and learned by students. For this,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he GS-UCCs containg geomorphological processes or mechanism were produced, and teacher perception was investigated. The GS-UCCs are video data that simulate the geomorphological formation process reflecting the actual landforms. In this study, three processes were simulated as GS-UCCs: wind, river, and glacier. The teacher's perception of geomorphology education in their classes was surveyed using questionares and interviews. The GS-UCCs were also evaluated by the same survey. A total of 89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our teachers from Gangwon-do participated in written interviews. For the data collected in this way,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Qualitative data were organized through Word cloud and Categoriza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latively preferred the geomorphic themes in textbooks, and recognized the 'geomorphic formation process' as an important learning factor. In particular, teachers with low confidence in geomorphology classes were having difficulty explaining the geomorphology formation process. Difficulties in geomorphology education were more common in middle school teachers than in high schools, and in teachers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e domestic GS-UCCs very effective in terms of conceptual delivery.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ten use videos such as news, movies, and animations to explain the geomorphology processes. However, the concept transfer effect of these video data was evaluated to be lower than that of GS-UCCs. Although teachers prefer domestically produced GS-UCCs, but complain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due to lack of data. Third, three GS-UCC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positively evaluated. Especially, these were consistent with motivation for learning, achievement of study goals, and the secondary curriculum. However, teachers highly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misconceptions and errors of GS-UCC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S-UCCs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the teaching experience of geography subjects.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ed the necessity or educational effect of GS-UCCs more positively than high school teachers. Teachers who had no experience of Korean Geography class or World Regioanl Geography class were more positive in the case of aeolian process and river process, However,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World Regional Geography perceived GS-UCCs better in the case of glacial process. Finally, the intention to make GS-UCCs by themselves was not high, despite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m. More than half of teachers showed no intention to produce them. The reasons for this were mainly lack of time, and physical or environmental constrai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geomorphology education and to develop GS-UCCs that can be used in real class. In conclusion, GS-UCCs that can learn the three geomorphological formation processes were developed and supplemented through feedback from teachers. However, it did not evaluate how the GS-UCCs produced in this study actually works in classroom instruction.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only applicable to teachers, not to actual students. Therefore, follow-up studies in real classes were nee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domestic GS-UCCs that meets the needs of geography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 쉽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재미있는 지형 시뮬레이션 UCC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담긴 지형 교육 내용에 관해 분석하고 지형 시뮬레이션 UCC를 제작하였으며, 교사의 인식에 관해 조사하였다. 지형 시뮬레이션 UCC는 실제 재료(모래, 얼음, 물 등)들으로 구성된 지형 모형에서 지형 형성 과정을 표현하는 과정을 담은 동영상 자료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하천, 빙하 등 3가지 지형 형성 기구를 학습할 수 있는 UCC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형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 개발한 자료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총 89명의 전국 지리 및 사회 교사들이, 서면 인터뷰에는 4명의 강원도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에 대해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양적자료를 분석하고, 워드클라우드(Word cloud)와 범주화 (Categorization)를 통해 질적자료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형 단원에 대한 교사의 선호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지형 형성 과정’을 중요한 학습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지형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교사는 지형 형성 과정 설명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형 교육에 대한 어려움은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 교사에게서, 비수도권보다는 수도권의 교사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국내 지형 시뮬레이션 UCC 자료의 개념 전달 효과를 매우 높게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지형 형성 과정 설명을 위해 뉴스,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동영상 자료의 개념 전달효과는 지형 시뮬레이션 UCC보다는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국내 제작 UCC를 선호하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취득이 어려운 점을 호소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3종의 지형 시뮬레이션 UCC 자료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들 자료는 특히 동기유발, 학습 목표 달성, 교육과정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오개념 및 오류의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도 꽤 높았다. 넷째, 학교급과 지리 과목 수업 경험에 따라 지형시뮬레이션 UCC 자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UCC 자료를 시청한 후, 중학교 교사는 고등학교 교사보다 지형 시뮬레이션 UCC의 필요성이나 교육적 효과에 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풍성지형과 하천지형의 경우에, 최근에 한국지리·세계지리를 담당한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긍정적이었 으나, 빙하지형의 경우에는 세계지리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좋게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지형 시뮬레이션 UCC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제작 의향은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자료 제작 의향을 조사한 결과, 과반 이상의 교사들이 제작 의사가 없음을 나타냈다. 그 이유로는 시간적, 물리적, 환경적 제약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 현장에서 지리교육 또는 사회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지형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에 활용할 만한 지형 시뮬레이션 UCC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3가지 지형 형성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UCC 자료를 개발하고 교사들의 피드백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하지만 개발된 UCC 자료가 실제로 교실 수업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는 평가하지 않았다. 즉, 교사 인식 조사에 그쳐 실제 학생들에게 효과적인가는 검증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현장연구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적어도 교사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지형 시뮬레이션에 대한 국내 UCC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 영양교육이 신체상 인식 및 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연구

        최부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 영양교육이 신체상 인식과 식태 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한 혼합연구이므로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 한 단기 영양교육이 신체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에 대 한 단기 영양교육이 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00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남녀학생 57명(남 29명, 여 28명)이다. 본 연구 참여에 대하여 대상 학생과 학생의 보호자에게 동의를 얻은 다음, 대상 학생들에게 총 2차시로 구성된 단기 영양교육을 운 영하였고 영양교육 전과 후에 검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두 가지 방법을 사 용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한 검사 도구로 체형인식 일치도, 체형 만족도, 신 체존중감 검사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고, 질적 분석을 위한 검사 도 구로 자기신체상 그림을 사용하였다. 그림 도구를 보완하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기신체화 그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식태도 인식을 알아 보기 위한 검사 도구는 식태도 검사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대응 표 본 t-검정하였다. 다만 표본 수가 너무 적어 정상분포 가정에 위배 될 때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자기신체화를 질적 분석 하기 위하 여 인물화 검사의 해석 방법을 참고하여 신체상이나 자기개념과 관련된 요 소를 분석하였고, 대상자가 자기신체화에 대해 작성한 평가단어를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자기신체화를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영양교육은 초등학생의 신체상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 영양교육 전과 후의 체형인식 일치도는 의미 있 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형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으며(t=-2.45, p<.05), 신체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4.03, p<.001). 자기신체화의 내용 요소와 대상자가 작성한 자기신체화 그림에 대한 평가단어를 질적 분석한 결과 신체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기신체화에 대한 인식 평가 문항 점수 중 자기신 체화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t=-2.40, p<.05).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 영양교육 후의 식태도(EAT-26) 점수는 유의 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식태도의 하위척도별, 성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절식 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했다(t=2.13, p<.05). 셋째, 연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시도한 사례분석 결과, 사전-사후 건사 의 양적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질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수 있었다. 영 양교육 전과 후에 나타난 관찰 가능한 영향 외에 드러나지 않는 질적 변화 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에 대한 단기 영양교육이 신체상 인식과 식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밝히고, 신체상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써 자기신체화 그림을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지식과 음악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연구

        강은덕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지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지식과 음악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도의 유아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 중에 음악개념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김지언(2003)의 설문지 중 음악개념 관련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음악 교수효능감은 Riggs와 Enoch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조형숙(1998)이 번안·수정한 것을 방은영·박찬옥(2005)이 재구성한 MTEB(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t-test(검증), Corelation(상관관계분석), 그리고 Regression(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지식은 4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2.91로, 유아교사들은 음악개념이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 유아교육기관과 교육경력, 최종학력, 음악교육 관련 교육경험, 그리고 연령별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음악 교수효능감은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24로, 유아교사들의 음악 교수효능감은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개념 지식과 음악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은 셈여림 지식과 빠르기 지식, 리듬 지식, 음색 지식, 그리고 음악개념 지식이 높을수록 음악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개념 지식이 음악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음악개념 지식은 음악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개념 지식 하위영역 중에는 빠르기 지식과 음색 지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음악개념 지식은 음악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의 음악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교육 및 연수 참여 기회가 확대·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교육의 음악개념 지식 제고를 위해서는 음악개념 지식을 교수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성심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으로 총 8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실습만족도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韓・日両言語における二重否定表現に関する対照研究

        中野千夏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일 양 언어의 이중부정 표현에 관한 대조연구 나카노치카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를 학습할 때 특히 어려워하는 부분은 일본어 문법이다. 그 중에서도 일본어 표현에 대한 이해는 일본어적 발상(発想)과 깊이 관여하고 있어 기본 문형에 관한 학습만으로는 일본어에 내포되어 있는 깊은 뜻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한 가지 예로써 일본어의 이중부정 표현은 일반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 외에 부차적 의미로서 강조나 완곡 등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의 이중부정 표현을 어떻게 이해하고 의미를 해석하고 있는지 한국어의 이중부정 표현과 비교・대조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村上春樹(2009)『1Q84 BOOK1』작품과 그 한국어 번역본에서 추출한 일본어의 이중부정 표현을 문형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 문형에 대해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어떤 의미로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문 형식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1) 본 연구에서 추출된 이중부정 표현 문형은 총 12개이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된 표현은 “~なくてはならない”로 총 79개의 용례 건수 중 52개로 나타났다. (2) 일본어 모어화자의 일본어의 이중부정문에 관한 의미적 해석으로는 일반적인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미를 지닌 경우와 “강조” 또는 “완곡(婉曲)”과 같은 부차적인 의미를 지닌 경우로 나뉘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적” 의미를 가진 용례 중에서도 강한 긍정을 나타내는 것은 “~なくてはならない”이었고,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용례 중에서도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것은 “~ないにちがいない”이었다. 그 밖에 긍정의 정도 차이가 강약의 중간 정도이거나 약한 긍정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일본인 모어화자의 경우에는 약한 긍정의 의미를 두는 “~ないとも~ない”는 애매한 의사표현을 할 때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 이중부정문에 대해서 일본어 모어화자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미로만 이해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일본어 모어화자가 “강한 긍정”의 의미를 두는 “~なくてはならな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약간의 정도 차이는 있지만 “강한 긍정”의 의미를 보였다. 한편, “중간 정도의 긍정적”인 의미를 두는 “~ないわけにはいかない(하지 않을 수 없다)”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는 “강한 긍정”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일본어 모어화자가 “강한 부정”의 의미를 두는 “~ないにちがいない(못할 것이다)” 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도 비슷하게 “강한 부정”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본어 모어화자가 애매한 의사표현을 할 경우에 사용되는 “~ないとも~ない(싫다고도~안 하다)”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이것을 일본어 모어화자와 비교해서 살펴보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다소 “부정적” 의미로 해석되는 경향이 많았다. 이점은 한국어의 이중부정 문형에 관한 일반적 특징으로 단순한 긍정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과는 그 뜻을 달리한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조사한 “~ないとも~ない(싫다고도~안 하다)”의 용례는 한국어의 “싫다”는 부정의 의미를 포함한 형용사와 용언(用言) 앞에 “아니다”의 준말인 “안” 이라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가 함께 쓰인 이중 부정문의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미루어 짐작된다. (4) 일본어 이중부정 표현에 관한 의미 해석의 관계를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19> 한·일 양 언어 모어화자의 일본어 이중부정문에 대한 의미 해석 ************************************************* <도표는 첨부가 안되므로 학위논문 본문을 참조할 것> ************************************************* 앞으로는 현대 작품에서 이중부정 표현 문형을 추출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추가 검토해 나가고 싶다.

      •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윤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수업이 발명반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수업과 일반 발명수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적용하고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 중년 여성들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신체 이미지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은서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on body imag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110 persons(exercise group: 55 persons, control group: 55 persons), who are residents in S city. Subjects in exercise group performed their assigned exercise 40~50m/day, 3d/w(dance sports) for 12week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using questionnaires of body imag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Data obtained at pre and post test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est utiliz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In body image factors, exercis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12weeks dance sports exercise program, but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factors, exercis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12weeks dance sports exercise program, but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weight factors(r2=0321), health factors(r2=0616), body factors(r2=0373)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cluded that middle aged women were improved by dance sports exercise training of CHACHACHA, JIVE and RUMBA was more effective for enhancing daily living fitness.

      • 등척성 운동 시 체질량지수(BMI)와 근피로 지수의 통계적 분석

        김은솔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비만은 세계보건기구에서(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한 지방 축적으로 정의하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통해 과체중과 비만을 분류한다.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고강도 또는 장시간 최대하 운동은 힘을 생산하는 근육의 능력을 저하시키고 근피로를 발생시킨다. 높은 수준의 근피로는 부상을 초래하며, 근피로를 감지하고 예측하는 기술은 피로가 부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근피로는 근전도검사를 통해 감지하고 예측 가능하며, 개인마다 다른 근육 특성으로 인해 추정이 어려운 근피로는 인체측정학 요소를 추가하여 근피로가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운동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따른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운동 시간이 지속될수록 근피로는 증가하였으며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운동 시간에 따른 근피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지속된 운동 상황이나 작업 환경에서 근피로 연구는 체질량지수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esity is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s abnormal or excessive fat accumulation that can pose health risks, and overweight and obesity are classified through body mass index (BMI). Regular physical activity is essential to prevent obesity, which causes various diseases, and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However, high intensity or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reduces the muscle's ability to produce force and causes muscle fatigue. High levels of muscle fatigue lead to injury, and technologies that detect and predict muscle fatigue can help prevent fatigue from leading to injury. Muscle fatigue can be detected and predicted through electromyography, and for muscle fatigue that is difficult to estimate due to different muscle characteristics for each individual, muscle fatigue was estimated by adding anthropometric factor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and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muscle fatigue as exercise time continued. As a result of the study, muscle fatigue increased as exercise time increased, and as body mass index(BMI) increased, exercise time had a greater effect on muscle fatigue. Therefore, studies on muscle fatigue in sustained exercise situations or work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studies on muscle fatigue in continuous exercise situation or work environments.

      • 강릉시 용연계곡 스텝풀지형의 분포와 형태적 특징

        안성기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으며, 이에 따라 하천 중 약 63%가 산지하천이다. 하지만 산지하천에 대한 연구는 접근성 등의 문제로 미흡하며, 영동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산지하천에 대한 연구는 하천의 지형을 이해하고, 나아가 하천 복원, 하천 관리, 하천 생태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릉시 용연계곡의 스텝-풀 지형의 분포를 확인하고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드론 항공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치표면모델을 작성하였다. 수치표면모델을 이용하여 스텝-풀 지형의 분포 및 기하학적 요소를 추출하고, 서로 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160개의 스텝-풀 지형을 추출하였다. 스텝-풀 지형의 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류로 갈수록 하도 경사와 유속이 감소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기하학적 요소 간의 상관분석 결과, 스텝 간격과 풀의 길이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용연계곡 내 본류인 사천천의 하도 형태가 하류를 따라 길고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스텝 간격은 하폭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스텝 간격과 하폭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가 부족한 국내 영동지역 산지하천을 대상으로 산지하천의 스텝-풀 지형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산지하천의 지형학적 이해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