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성 고혈압 환자에서 부적절한 좌심실비대와 Framingham Risk Score 및 혈관경직도와의 관계
김혜미,정지현,이학승,김지혜,조구영 대한고혈압학회 2013 Clinical Hypertension Vol.19 No.3
Background: Althoug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is a compensatory process to pressure overloa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vascular stiffness in hypertension. We evaluated that inappropriate LVH was related with Framingham risk score (FRS) and vascular stiffness in hypertensive women. Methods: Total 226 hypertensive women consecutively underwent carotid ultrasound and echocardiography, from which LV mass (LVM),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β-stiffness were measured. Inappropriate LVH was calculated by the ratio of observed LVM to the value predicted for sex, height and stroke work at rest and defined as > 128% of predicted. FRS was obtained using by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Results: Of 226 subjects, 59 subjects (26%) had inappropriate LVH. As compared with appropriate LVH, subject with inappropriate LVH showed older age, higher FRS, and IMT. Although LV ejection fraction was not different, diastolic parameters of E/A ratio and left atrial volume were significantly worse in inappropriate LVH group. Conclusions: The presence of inappropriate LVH in hypertensive wome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er FRS, decreased diastolic function and increased IMT, which might influence future cardiovascular events.
김혜미,김수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access points when searching for picture books to be used as teaching media, and suggest ways to improve DLS(Digital Library System) in school librar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access points provided by OPAC(Online Public Access Catalog) systems in seve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In addition, it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220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most needed access points were topic, grade/age, content, subject/chapter, and cross-curricula learning topics, etc.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the most needed access points in DLS, developing controlled vocabulary tools, and improving system functions or the interface to enhance accessibility to picture 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로써 그림책을 탐색하고자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접근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DLS(Digital Library System)의 접근점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7개 도서관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접근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2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그림책의 접근점은 주제, 학년/연령, 내용, 교과/단원, 범교과학습주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접근점을 DLS의 목록레코드에서 제공하고, 통제어휘집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기능이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그림책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BIM/GIS을 활용한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혜미,손병훈,김영찬,홍원화,Kim, Hye-Mi,Son, Byeung-Hun,Kim, Young-Chan,Hong, Won-Hwa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5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나 자원고갈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그 중 건설 산업은 다른 산업의 생산 활동에 비해 막대한 자원 소비 및 대량의 폐기물을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부하를 증대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필요함을 인식함에 따라 폐기물 종합관리시스템인 올바로(Allbaro)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건설폐기물의 발생과 이동에 따른 처리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처리 및 건설폐기물 처리의 투명성 확보 및 업무의 능률향상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시스템의 구성에서 해체 건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구축되지 않아 배출자가 폐기물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생산하고 배출함에 따라 정확한 폐기량을 파악하기 힘들고 폐기 후 재활용이라는 한계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BIM/GIS를 활용하였을 시의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추가 치료제로서의 Montelukast
김혜미,송지은,이순민,박국인,남궁란,이철,박민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2
목 적 : 기도 및 폐 간질의 염증은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매개 물질의 하나인 cysteinyl leukotrienes는 기관지 수축, 점액 분비, 부종을 일으켜 폐에 손상을 준다. 저자들은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자의 추가 치료제로서 montelukast의 안전성 및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montelukast를 복용한 15명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자를 montelukast 군으로 지정하였으며 2005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montelukast를 복용하지 않은 15명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아들을 대조군으로 지정하였다. montelukast는 1 mg/kg/d를 하루에 두번 나누어 구강으로 복용하게 하였으며 평균적으로 12주 동안 복용하였고 기존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치료의 추가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 과 : Montelukast 군은 15명 모두 생존하였으며 특이 이상 반응 없었고 생체징후, 혈액검사 모두 정상 소견 보였으며 montelukast 복용 2주 후부터 ventilator index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다른 호흡 지표들도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대상 환아 중에서는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기존치료에 추가로 사용된 montelukast에 특이 이상 반응이 없었으며, 대부분 well-tolerable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mg/kg/d의 montelukast는 치료 2주째부터 기계적 환기의 기간을 줄여 주어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추가 치료제로써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ontelukast 치료 및 예방의 효과 및 안전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대규모의 다기관 무작위 대조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 Inflammation plays a potenti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Strategies for preventing BPD include respiratory management, antioxidants, nutritional treatment, and others such as anti-inflammatory agents. We aimed to assess the safety, tolerability, and efficacy of montelukast (MK), a cysteinyl leukotriene 1 receptor antagonist, as an add-on therapy in BPD. Methods : In addition to currently available standard measures such as oxygen supplementation, bronchodilators, nutritional support, and/or diuretics, montelukast was administered to 15 preterm infants with BPD. MK was given orally (1 mg/ kg/d) for a mean period of 12 weeks. We compared safety and efficacy parameters with historical controls. Results : All 15 patients survived,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between the 2 groups. The ventilation index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2 weeks in MK group compared with historical contro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respiratory parameters (MAP, oxygen dependency, and ventilator dependency) between the groups, but the MK group showed trends of greater improvement. Conclusion : Administration of MK 1 mg/kg/d was well tolerated in preterm BPD patients as an add-on therapy. We demonstrated that after 2 weeks of MK administration of 1 mg/kg/d, MK had beneficial therapeutic effects on BPD patients as an add-on to the standard therapy. Further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icacy and safety of MK as a useful supplement to standard therapy for BPD patients.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호흡근 강화 운동이 만성 허리통증 환자의 폐 기능과 장애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혜미,강태우,김범룡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21 PNF and Movement Vol.19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pulmonary function, back pain, and disability level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CLBP). Methods: There were 24 CLBP 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 = 12) who took part in PN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 (n = 12) who performed a mock treatment. Both groups performed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for 15 min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pulmonary function was measured using a portable spirometer. The back pain of the participants was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was conducted to measure disability level.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in-group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N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For all test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α = 0.05. Results: The within-group change in pulmonary fun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05), and the levels of back pain and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 pulmonary function, back pain, and disability level after intervention (p < 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N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nhances pulmonary function and reduces levels of back pai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LBP. .
독립적인 중환자팀의 운영이 중증 응급환자의 응급실 체류 시간과 사망율에 미치는 영향
김혜미,김경수,권운용,서길준,졍윤선,계유찬 대한응급의학회 2013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2
배경: 응급실 과밀화는 한국의 많은 대형병원 응급실의 공통적인 문제로 진료 자원의 만성적인 부족을 야기하고 진료의 질을 저하시켜 결국 환자의 치료 결과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런 과밀화된 응급실에서는 특히 중증 환자가 스스로 상당한 진료 자원을 소모하면서도 중증도에 따른 적절한 수준의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응급센터에서는 2010년 6월부터 Emergency severity index (ESI) level 1 의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인 환자 군의 진료를 응급실 진료와 독립적인 응급중환자실 팀이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중환자실 팀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level 1 팀의 운영이 과밀화된 응급실의 중증 환자의 응급실 체류 시간과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 연구로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규시간에는 중환자실 담당 전문의와 중환자실 전공의가, 정규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당직 전문의와 중환자실 전공의가 level 1 팀을 담당하였다. Level 1 팀의 운영 전(Before group)과 후(After group) 응급실 체류 시간, 응급실 퇴실 결과 및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내원한 총 환자수는 38,605명으로 이중 Before group 은 15,437명이고, After group 은23,168명 이었다. ESI level 1 환자의 평균 응급실 체류시간이 821.0분 (Before group, n=301)에서 579.3분(After, n=382)로 유의하게 (p=0.004) 감소하였으며(Fig. 1), 하위 집단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이 차이는 주로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들(Before group, n=139, 286.2분 vs After group, n=228, 183.6분 [p=0.039])에서 관찰되었다. Level 1 팀 운영 후 ESI level 1 환자들의 응급실 퇴실 결과는 중환자실 입원율이 46.2% 에서 59.7%로 증가하고 병실 입원율이 25.3%에서 17.3%로 감소하였으나 전원 및 응급실내 사망률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응급실 사망률(Before group, 21/301, 7.0% vs After group, 27/382, 7.1%) 및 입원 후 병원 사망률(Before group, 54/215, 29.9% vs After group, 88/294, 27.9%)에는 차이가 없었다(Table 1). 결론: 과밀화된 응급실에서 응급실 진료와 독립적인 level 1 팀의 운영은 중증 응급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을 감소시켰으나 전체 사망률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김혜미,강상경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5 No.3
Domestic violence is a prevalent social issue in Korea affecting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everyday. It is thu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ffects their mentalhealth to better address their needs. Using stress-cop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study examines the domestic violence and depression relationship among Korean men and women. Two aspects of self-esteem and informal and formal social support are examined as potential mediatorsof this relationship. The data was the first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including2477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ab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cedures were usedfor analyses. Domestic viol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worth, self-deprecation, anddepressio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eroded self-worth while reinforcing self-deprecation andthose with more exposure to violence showe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Self-deprecation playeda significant role in mediating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However, differentfindings were yielded for social support. While informal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with domestic violence, formal social support was not associated with domestic violence. Findingssuggest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s targeting self-esteem, particularly the diminution of selfdeprecationin working with the victim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socialwork are also discussed.
여성 골반에 생긴 공격성 혈관점액종의 자기공명영상: 증례 보고
김혜미,표지은,조남훈,김남규,김명진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8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2 No.2
Aggressive angiomyxoma is a rare tumor that predominantly occurs in the female genital tract. Because of its high tendency for local recurrence, preoperative diagnosis is important to ensure wide excision and reduce recurrence risk. But it is often misdiagnosed due to its rarity. We present two cases of aggressive angiomyxoma: a recurrent case that was initially misdiagnosed and a preoperatively diagnosed case. 공격성 혈관점액종은 여성 생식길에 주로 생기는 드문 종양으로 국소 재발율이 높다. 광범위 국소 절제술을 통해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종양이 드물어 오진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우리는 수술 전 오진으로 재발한 공격성 혈관점액종 증례와 바르게 진단한 두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