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후보

        폐쇄형 SNS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방안 연구

        서영애(Seo Young 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2000년대 이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그 중에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한국어 듣기의 실제 수업 방법 또한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중·고급의 토픽 급수에 합격해야 해며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TOPIK 6급에 반드시 합격해야 한다. 전공 수업에 임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강의 내용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중도 탈락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이 같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은 물론 급수 취득의 어려움을 실생활 속에서 수시로 도움 받으면서 시험 대비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스마트 폰을 생활 밀착형 듣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시도해 보았다. 학문목적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고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듣기를 하여,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 듣기는 한국어 듣기 교재와 연관된 내용을 선정하고 인지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듣기 후 단계에서는 타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Consid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which has risen sharply since the 2000s,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teaching methods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further schooling. In order to enter a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n intermediate and advanced topic qualification is required, and a TOPIK level 6 qualification is also required to obtain a cert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understanding of major subjects of Korean learners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there are many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even the dropout rate of class is high. Given the situation present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practical method that is useful for Korean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major courses for academic purpose without difficulty and to acquire the necessary TOPIK level. This paper, therefore, focuses on smartphone that have become a necessity of life today. The generalized smartphon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medium for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cas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it was confirmed that listening to news using closed-type SNS(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smartphon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s a result, listening to news using smartphone-based SNS on the cognitive aspect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stening ability and contents of the listening material, and it will be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xpanding to other areas after listening.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 제언

        조경순(Kyung Sun Jo),이효인(Hyo In L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본다.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수에 비해 제한적인 인원만이 한국어 교육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 지원이 집중되며 상대적으로 학습 한국어 교육은 부족하다. 또한,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에 비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을 학교에서 진행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의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 기반 학습한국어 교육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 수에 따른 학급 구성, 교육 접근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맞춤형 코칭 서비스를 웹 기반 학습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반으로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음을 논의한다. In this thesis,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entering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and suggest ways to develop their skill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Since Midway Immigrant stude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have to study, not only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erformance is needed.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is examin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fewer students were recei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large imbalance in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 is placed on communi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immigra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but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glecte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chool class. In this paper, a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is proposed as a way to teach Korean language to students entering Korea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eliminate problems such as class composition and educational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stomized coaching service to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learning platform, learners can acquire systematic and ac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홍동희(Dong Heui H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본 연구는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1994년 이집트 주한국대사관에서 초급 한국어반을 개설함으로써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첫발걸음을 뗀 이후 이집트 내 대학들을 비롯해 여러 한국어 교육 기관이 설립되어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이집트는 아랍국가 가운데 한국 교육의 선두주자로서 중차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국가이기도 한데 중동이라는 지역적 제한과 외부적 여러 요인으로 인해 교육 현장의 성장과 발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에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현시점에서의 고찰과 분석,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시작 및 발전 현황을 고찰하고 현실적인 개선 과제를 제시해봄으로써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본 연구가 작게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and proposes improvement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n the future. Since 1994, when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Egypt opened a beginner Korean language class,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steadily. Egypt is also a leading coun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Arab countries, but it has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field due to regional restrictions in the Middle East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nalyze, and check currently.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and presenting realistic improvement tasks.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8 한국어문화교육 Vol.2 No.1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한국어 과목의 개설 상황 및 학습자 수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최근 일본의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공통점도 있으나 다른 문제가 있기도 하다. 고등학교에서는 교육의 기준이 없는 것과 한국어를 포함한 제2외국어 영역이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대학교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교원의 확보 및 소인원수 교육의 실현이 과제가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present state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cently classes of the Korean language have increased at high-school and university in Japan. Therefore I analyzed various data about two points of the next. (1)The number of schools which can learn Korean language. (2)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During several years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spreaded rapidly, but there is the problem that should have been got changed and improved.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it is important that these problems are settled.

      • KCI등재후보

        시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그 사회의 언어를 많이 배울 수 있는 것이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중 시작품을 택하여 외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의 문학작품을 더 빨리, 더 쉽게 이해하고 익혀서 더 많은 한국어를 알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문학작품이 고차원적인 언어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한국어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한국 문학을 학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문학 작품, 특히 시작품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다. 시 작품은 그 나라의 사상과 정서를 담고 있고, 운율적인 언어의 정제된 학습 자료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교육 등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텍스트이다.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쉬운 것부터 접근해서 언어를 익히고, 감상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서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시를 매개로 한 한국어 언어 문학의 중요한 의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목표인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 시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한국어 획득의 가능성과 실제 생활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한다. 그래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목표와 학습자들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시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 방법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부여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문학작품을 쉽게 이해하고, 한국의 정서와 관련된 언어교육에 효과를 가져 오는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한국어 사용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 방법은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방법을 찾아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This has resulted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xpanding. Therefore, focusing on communication methods has come up with for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beyond the fact that we stressed teaching grammar for years in the past.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importance shouldn't only be set on linguistic structure or morphology but also practicality in language. I have chosen a poetic genre of a literary work, which is very helpful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to make foreigners study Korean easier. This thesis is aimed at helping foreigners learn Korean sufficiently and use it practically in daily life through the studying of poetry as well as how to make use of it to teaching foreigners. This will lead to learners understanding, the profound distinctiveness of Korean due to poetry being a highly difficult product of language. Also, usage of literary works on teaching Korean will be another great key. Poetry has been partially used on teaching Korean. Since it is based on the nation's thoughts and emotions, poetry has the value of education as a refined learning material, to develop linguistic skills such as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t is a consequent significance of teaching Korean, through literary work. Therefore, studying with language education on a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will follow by finding the way to use Korean practically in daily life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gaining various skills by learning poems. It would motivate learners and bring more interest to them if the appropriate purposes and text were given in the field. Also, it would produc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use Korean in a diverse manner. This study aims find theories on education and thereby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field, and harmonize theory and reality.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 문화소통의 필요성 고찰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송재란(Song Jai R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2011년 이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정체되었지만 아직도 각국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이다. 국내 유학생 중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이 전체의 59.3%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중에서도 중국인 학습자로,그 중에서도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학습의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20년 이상 모국의 생활, 문화, 언어 등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사고는 한국어를 배우는데 누구나 예외없이 언어습득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목표언어인 한국어에 모든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모국어간섭과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중국인 학습자들도 이러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어 모음을 익히는 과정에서도 모국어간섭을 받는다. 단모음 /ㅡ/와 이중모음 /ㅢ/, /ㅗ/와 /ㅓ/의 발음에 지속적인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그들의 모국어간섭을 수용하기보다 한국어 이해만 촉구한다면 역효과가 날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필자가 가르치고 있는 교재에서 호칭어 ‘-씨’가 사용되고 있다. 호칭어에서도 한국과 중국과의 이해의 차이가 있음을 먼저 학습자에게 설명해주면서 ‘-씨’를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어교사가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학습자의 문화를 함께 수용할 때 보다 나은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늘 인식해야 한다. 이때 학습자는 상호 문화의 이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지향점일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Ever since 2011 the number of the internal foreign students have been stagnant, but many contries have interests with korean contiually. Among the interal foreign students chinese students take 53.3% of the whole students. This Essay would like to discuss about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for the beginning level chinese students. Those who have the thinking that made by the native life, culture and language over 20years must be met many difficulty in language acquisition unexpectionally.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not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as a goal, but accept the difficulty from difference of a native tongue interference and culture. Especially these difficulties are adapted to chinese language learners. For example, the chinese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 native of the tongu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 the korean vowel. They have corrupted consistantly the pronounciation of the short vowel / ㅡ/, the dipthong /ㅓ/, /ㅗ/ and /ㅓ/. In this condition, I want to discuss about the fact that teacher's demand of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without accepting their native tongue interference will make a negative effects. In the textbook which I am teaching now, the address form ‘-씨’ is in use. In this using address form, teachers must explain the difference of the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rst to the learners. Korean teachers must have their own recognition that the move effective teaching method can get by the accepting the learner's culture from the angle of the cultural relatirism. At this time learners can make remarkable progress in having the capacity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which is the tarket of the korean teaching from the understanding of mutual culture.

      • KCI등재후보

        요구 분석을 통한 학습자 중심 교수요목 설계 방안 : 중국 현지 평생교육원 학습자를 대상으로

        柳杨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의 대학 내 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교육배경 및 한국어 학습 목적을 조사하고, 이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의 교수 요목 설계 방안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한다.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수요목은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회화 중심의 수업보다는 한국어학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대학 내 설치된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의사소통 중심 수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대학 본과생을 제외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은 제대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학습시간과 요구에 맞는 교수요목 개발이 요구된다. 본고는 텐진 외국어대학교의 평생교육원 한국어 과정의 현황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수요목 내용 설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학습 목표가 한국어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나타나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요구하고 있음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학이 중심이 되는 일반대학의 한국어과정 교수요목으로는 이들의 요구를 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본고의 요구조사는 설문 대상자가 비교적 적었고, 텐진외국어대학교 평생교육원만을 대상으로했기 때문에 전국의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표할 만한 지표는 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의 설계 필요성이 드러난 만큼, 이제 다양한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많은 설문과 조사를 거쳐 데이터를 쌓고, 이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맞는 교수요목이 재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Through learners’ needs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e and plan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course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Tianjin Foreign Language Universities.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re not undergraduates. Their motives and purposes of learning Korean are involved with the real life. They recognized language as a tool for a real life so that their learning needs are focused on learning culture and everyday language through ‘conversation’.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syllabu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