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공간정보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표준화방안 및 활용성에 관한 연구

        석철호(Seok, Cheol Ho),강유라(Kang, Yu Ra),장용구(Kang, In Joon),강인준(Jang, Yong Gu)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현재, 국내에서의 건설분야는 지상영역에서 지하공간개발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하공간개발 추진시 난개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들은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하공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하정보들의 활용이 급증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의 지하정보는 기관별 개별적으로 구축관리 하고 있어 통합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하공간정보의 통합 활용이 필요한 시점에서 지하정보들의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통합 DB표준화가 반드시 실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각의 지하정보들을 기반으로 지하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통합 표준화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지하공간정보 통합 표준화 내용으로는 지층별 표준화, 단위체계 표준화, 지하공간정보 연계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활용성 검토를 위해 각 기관의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높은 활용성이 검증 되었다. Today, the domestic construction area has changed from the ground development area to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rea. In addition, the problems of sprawling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underground space have become significant. In the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which helps to understand underground space, will be on the sharp rise. However, the underground information in Korea is separately established and managed by each institution,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at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underground space is integrated, it is required to perform the integrated DB standard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ntegrated infrastructur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In this work, this researcher studied a plan of us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integrated infrastructur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As a result, this work suggested standardization of each geologic stratum, standardization of unit systems, and standardization of the connection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ndardization contents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integration. To examine its availabilit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experts of each institution. As a result, the suggested plan was found to be have high availability.

      • KCI등재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요구사항을 반영한 서비스 제공 방안

        김근한(Kim, Geun Han),전철민(Jun, Chul Min),정휘철(Jung, Hui Cheul),윤정호(Yoon, Jeong 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를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공간화 할 수 있으며, 시계열 변화에 따라 계속적으로 누적되는 모든 데이터들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활용체계를 공간 빅데이터라 정의하였다. 따라서 공간 빅데이터는 기존 빅데이터와 분리하여 구분할 것이 아니라, 기존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활용체계 안에서 공간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요구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를 포함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해야 하고,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와 향후 구축될 공간정보까지 고려할 수 있는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치별 시계열 변화의 탐지는 물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빅데이터 관련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공간정보가 아닌 빅데이터 또한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공간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 빅데이터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빅데이터들과 공간 빅데이터의 연계가 가능한 분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샘플링 포인트 생성 및 속성정보 추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빅데이터와 연계된 공간정보의 활용 증대는 공간정보 산업 및 기술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f big data and spatial big data, spatial big data was defined as one part of big data, which spatialize location information and systematize time series data. Spatial big data, as one part of big data, should not be separated with big data and application methods within the system is to be examined. Therefore in this study, services that spatial big data is required to provide were suggested. Spatial big data must be available of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is in need of services that considers present and future spatial information. Not only should spatial big data be able to detect time series changes in location, but also analyze various type of big data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spatial data. To successfully provide the requirements of spatial big data and link various type of big data with spatial big data, methods of forming sample points and extracting attribute information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big data is expected to at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atial data industry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 단사진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기술연구

        한성만(Han, Soung Man),유충현(Yoo, Chung Hyeon),위광재(Wie, Gwang J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3차원 가상현실, 실감정사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건물 및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제작이 중요하다. 최근 급격한 도시발달로 인해 요구되는 공간정보는 정밀도, 정확도 외에 신속성까지 요구하고 있다. 신속한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Tool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방법으로 3차원공간정보 제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3차원 입체시 장비와 다년간의 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했다. 최근 낱장의 항공사진을 이용해 3차원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외에서 출시되었으나 적지 않은 금액의 라이선스 비용, 꾸준한 기술지원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폭넓게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함에 있어 경험이 적은 기술자도 간단한 기술교육만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고가의 입체시 장비 없이도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신속하게 만들어 낼 수 있으나 제작된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및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규정’을 준수하며 성과의 정확도는 작업규정 내의 묘사오차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다양한 모습의 빌딩이 존재하는 여의도로 선정했으며 본 소프트웨어로 생성한 건물을 DXF포맷으로 내보내기 한 후 도화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작업규정에 만족하는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nd structures in order to produce 3D virtual reality, real sense orthoimages, etc. We require not only precision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ut also promptness of it, because of rapid urban development recently. In order to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quickly,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bout the production tool are crucial. It is necessary to have expensive 3D stereoscopic equipment and skilled technicians who have a lot of experiences abou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3D spatial information production in the conventional ways. Although the software for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a single aerial photograph has been released overseas, it has not been used widely in the field due to high-priced license and difficulty of steady technical suppor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the accuracy of the result is within the permissible error tolerance range and the result complies with the "Aeronautical Photogrammetric Survey Regulations" and the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advantages of these technologies are that skilled experts can access easily with data and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rapidly without expensive stereoscopic equipment.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Yeouido where various buildings are located, and the buildings created by this software was exported as DXF format. The accuracy of data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drawing dat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satisfying with the digital map prod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개선방안

        서동조(Seo, Dong Jo),주용진(Joo, Yong Jin),김은형(Kim, Eun Hy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최근의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실적 평가체계는 개별 사업의 평가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사업간의 유기적 연결, 성과 공유 및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공간정보사업의 연차보고서와 총괄 및 조정사업보고서 등의 수행결과와 연차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국가공간정보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평가 체계에 대한 현황과 통합관리 체계개선에 대한 시사점 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은 향후 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 사업에 대한 집중관리와 관리 운영체계의 개선 및 사업성과 공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is execut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lan and the resultativ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 individual project. The evaluation system, however, is limited to providing a myopic perspective for the integrative project manage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synthesis of the performances to identify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in terms of their commonality,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d evaluation strategies for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rojects. To fulfill the purpose, annual reports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and overall management reports we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ject managers to derive the current usa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take their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existing problems, the evalu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Hopefully,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integrative management and vitalizing the sharing of project result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실내 공간 모델링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매핑에 관한 연구

        박재한(Park, Jae-Han),신용득(Shin, Yong-Deuk),장가람(Jang, Ga-Ram),백문홍(Baeg, Moon-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0

        공간의 3차원 정보화와 시각화 기술은 공간 정보화를 이루는 주요한 기술이다. 3차원 공간 정보화는 측정된 정보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를 도출하는 문제로서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논문은 실내 공간을 모델링하기 위한 3차원 매핑 문제에 대한 연구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3차원 매핑문제에서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측정한 정보를 하나의 좌표계로 통합하는 정합(Registration) 문제가 중요하다. 실외 환경에서는 GPS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절대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실내에서는 절대위치 정보를 얻기가 어렵게 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위치정보 없이 시각적 특징 정보와 3차원 점군(Point Cloud) 정보를 같이 활용하여 정합을 수행하여 하나의 좌표계로 통합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을 위한 R&D 혁신 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황정래(JungRae Hwang ),송기성(KiSung Song),권회윤(HoeYun Kwon),이수지(SooJi Lee),최현상(HyunSang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최근 공간정보가 자율주행차, 드론, AR/VR 등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기반 인프라로서 기술발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공간정보 활용 수요자 중심의 공간정보 중장기 R&D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정보 관련 기술, 정책, 시장 동향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분야 최신 트렌드를 조사·분석하고,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 지원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중장기 R&D 혁신 로드맵을 수립한다.

      •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간정보 보안관리체계의 개선전략 - 공간정보의 생산·관리·보급 기관을 중심으로 -

        정인훈,박홍기,김영단,최윤수,Jeong, In Hun,Park, Hong Gi,Kim, Young Dan,Choi, Yun S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6

        개방과 공유에 기초한 정부 3.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국정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항공사진의 공개해상도 등 공간정보 보안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간정보 보안관리체계가 합리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규제 철폐는 자칫 국가안보와 같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국가 공간정보 보안정책과 공간정보산업 등 시대적 여건 변화를 고려하여, 보안규제의 완화를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 보안관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의 관점으로써 법제도적 측면, 운영 관리적인 측면, 기술 시스템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특히 공간정보 보안관리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였다. 공간정보 보안체계의 문제점과 함께 해외 공간정보 보안규제 정책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합리적인 보안관리 개선 방안을 법제도적 측면, 운영 관리적인 측면, 기술 시스템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장기적인 보안규제의 완화를 위한 3단계 보안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김태훈(Kim, Tae Hoon),황정래(Hwang, Jung Rae),이상훈(Lee, Sang Hoon),나준엽(Na, Jun Yeop)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최근에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도시계획, 시설물 관리, 교통서비스 등의 활용 서비스에서 환경오염, 자원확보, u-City 등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관련 정책 개발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모바일 공간정보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부문의 역할과,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application area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urban planing, facility management, traffic service are expanded to new service area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securing resources, u-City. In particular,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in mobile environment based on smart phone, a mobil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related strategy suggestions to provide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rived strategy suggestions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strategic industry and proposed the role of puclic sector, the developmen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e construc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stepwise strategies.

      • KCI등재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 공간정보기술 수요에 관한 연구: 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이정구(Lee, Jung Ku),탁제형(Tak, Je Hyung),김성곤(Kim, Seong Gon),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0 No.1

        스마트시티는 도시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 방식 중의 하나로, ICT를 활용하여 문제의 현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수행한다. 공간정보는 ICT를 활용한 분석이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의 역할을 담당한다. 스마트시티는 정책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지자체마다 적용하는 ICT와 공간정보에 차이가 있으며, ICT의 변화가 빨라지면서 공간정보기술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를 구축 중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기술을 식별하고,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공간정보기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mart city is one of the problem-solving methods to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problem phenomenon are performed using ICT. Spatial information plays the role of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analysis using ICT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Since smart cities include both policy and technological elements, there are differences in ICT and spatial information applied to each local government that builds smart ci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mand for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quired by smart city services for local governments that are building smart cities, and through this, identifi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and space that is recognized as important. I wanted to check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국가공간정보 목록 작성에 관한 연구

        김태우,윤홍식,송문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4

        In the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Portal, a large amount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ed or hel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registered and circulated.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our life, it is required to create and manage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Currently, NSDI classifies spatial information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users to find the information that they want among huge amounts of spatial information that are produced or possesse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Especially, There are 28 kinds of spatial information data sets regarding public order and safety in NSDI. These data sets are about 1.1% of the total 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was prepared, and inventory information on digital topographic map, satellite image, and digital elevation model was surveyed based on basic spatial information as a basis of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In addition, layer information included in various thematic maps is cataloged according to disaster characteristics such as geological, or geographical features.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는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대량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우리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공간정보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목록의 작성·관리가 요구된다. 현재 국가공간정보포털에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따라 7개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다. 일반 사용자들은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막대한 양의 공간정보 가운데에서 찾고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다. 특히, 공공질서및안전 분야의 경우 1.1%에 해당하는 28종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를 위한 공간정보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공간정보 활용의 기본이 되는 기본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수치지형도, 위성영상, 수치표고모델에 대한 목록정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종 주제도에 포함된 레이어 정보를 지질학적, 지형학적 등 재난특성 별로 목록화 하여 산사태 위험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