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간정보 보안관리체계의 개선전략- 공간정보의 생산 ․ 관리 ․ 보급 기관을 중심으로 -

        정인훈,박홍기,김영단,최윤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1 No.6

        개방과 공유에 기초한 정부 3.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국정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항공사진의 공개해상도 등 공간정보 보안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간정보 보안관리체계가 합리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규제 철폐는 자칫 국가안보와 같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국가 공간정보 보안정책과 공간정보산업 등 시대적 여건 변화를 고려하여, 보안규제의 완화를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 보안관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의 관점으로써 법제도적 측면, 운영․관리적인 측면, 기술․시스템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특히 공간정보 보안관리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였다. 공간정보 보안체계의 문제점과 함께 해외 공간정보 보안규제 정책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합리적인 보안관리 개선 방안을 법제도적 측면, 운영․관리적인 측면, 기술․시스템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장기적인 보안규제의 완화를 위한 3단계 보안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a long-term perspective of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security regulation, such as limiting public picture resolution of aerial photographs, needs a rational improvement. However, unplanned dereg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uld lead problematic results such as national security issues because its present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 not established in reasonable mann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to meet the reducing security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 including current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polices and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From an analytical standpoint, we examined the overall aspects of legal, operation management, and technical system while we maintained especially integrated perspective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Followed by investigation of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s well as its regulation and policies in overseas, rational improvement plan of security management is proposed in the aspects of legal, operation management, and technical system. It is also suggested the three-step improvement plan of reducing regulation of security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모바일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김태훈(Kim, Tae Hoon),황정래(Hwang, Jung Rae),이상훈(Lee, Sang Hoon),나준엽(Na, Jun Yeop)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최근에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도시계획, 시설물 관리, 교통서비스 등의 활용 서비스에서 환경오염, 자원확보, u-City 등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관련 정책 개발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모바일 공간정보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부문의 역할과,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application area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urban planing, facility management, traffic service are expanded to new service area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securing resources, u-City. In particular,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in mobile environment based on smart phone, a mobil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related strategy suggestions to provide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rived strategy suggestions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strategic industry and proposed the role of puclic sector, the developmen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e construc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stepwise strategies.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개선방안

        서동조(Seo, Dong Jo),주용진(Joo, Yong Jin),김은형(Kim, Eun Hy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최근의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실적 평가체계는 개별 사업의 평가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사업간의 유기적 연결, 성과 공유 및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공간정보사업의 연차보고서와 총괄 및 조정사업보고서 등의 수행결과와 연차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국가공간정보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평가 체계에 대한 현황과 통합관리 체계개선에 대한 시사점 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은 향후 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 사업에 대한 집중관리와 관리 운영체계의 개선 및 사업성과 공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is execut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lan and the resultativ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 individual project. The evaluation system, however, is limited to providing a myopic perspective for the integrative project manage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synthesis of the performances to identify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in terms of their commonality,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d evaluation strategies for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rojects. To fulfill the purpose, annual reports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and overall management reports we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ject managers to derive the current usa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take their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existing problems, the evalu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Hopefully,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integrative management and vitalizing the sharing of project result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성 분석 및 개선방안

        최병남(Choe, Byong Nam),김진(Kim,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3

        공간정보의 작성규정 중복방지, 수요-공급 선순환 촉진 등을 위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 124개를 행(row)에, 이 법제에서 규정하는 공간정보 적용유형 9개를 열(column)에 배치한 2-모드 장방형 메트릭스(rectangular matrix)를 만들고, 2-모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적용하여 두 법제 사이 네트워크의 연결 정도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관계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토지이용관리법제 모든 법령은 공간정보 적용을 규정한다. 둘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공간정보 적용수요가 있으나, 이 수요를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추상화 수준이 다른 공간정보 수요가 있으나, 축척이 다른 공간정보 사이 일관성/일치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다. 넷째, 토지이용관리법제는 복수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적용하고, 묵시적 방식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명시적인 적용 혹은 준용이 용이하도록 공간정보법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정보법제 이외 법령의 공간정보 적용 규정을 따르는 법령도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공간정보 적용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법제 연계체계 정립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켜야 할 공간정보 적용수요와 추상화 수준수요를 중심으로 수요맞춤 기반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기반 주제공간자료 생산체계, 공간자료 일반화 및 일관성 체계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다양한 법령에서 공간정보 적용을 위한 법제 연계체계 개선방안으로 공간정보법제 중심의 다층 법제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한다.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and land use legislation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event duplicate articles of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to promote virtuous cycle of spatial data supply-demand. We created rectangular matrix with 124 laws on the land use legislation on rows and 9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regulated by those laws on columns. We then conducted 2-mode network analysis to calculate the connectivity and centrality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The analysis result confirm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gislations and its implications, as follows: (1) all laws in the land use legislation define geospatial data application, (2)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in the land use legislation is not fully identified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3) land use legislation specifies the need for geospatial data in multiple scale, and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lacks regulation to secure the consistency between geospatial data in different scale, (4) land use legislation identifies multiple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using related terminologies without fully defining them, and finally (5) some laws in land use legislation refers to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by legislations other tha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ree improvements defined by demand types of application and scale, including a customization based framework, framework based the guideline for thematic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generalization standard and consistency system of geospatial data. It also suggests establishing a geospatial data legislation-centered multi-level legislation network.

      • KCI등재

        한국-아부다비 공간정보 격차분석을 통한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발전 방안 연구

        김걸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3

        The Emirate of Abu Dhabi is swiftly rising into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by achieving economic prosperity among the Islamic cultural regions of Middle East and North Africa(MENA). Abu Dhabi Emirate is performing the conversion from oil economy to non-oil economy and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olicy. However, there are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Abu Dhabi. In order to solve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s in society and environment, Abu Dhabi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triggering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basic infrastructure for urban construction and enlarged as a blue ocean market in Abu Dhabi. However,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Abu Dhabi is not well managed in comparison to that of Korea. Especially, Abu Dhabi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it depends on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and it does not have its own systemic organization and law system. To advance into Abu Dhabi spatial data market under-controlled by global vend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and required to establish the advance methods into niche markets by considering priority order of spatial inform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ap of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bu Dhabi and Korea and suggest the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methods for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Abu Dhabi. The results of gap analyses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companies’ advance into MENA.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문화권 중에서 급속한 경제적 번영을 이룩하여 신흥선진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석유경제에서 비석유경제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환경변화로 인해 도출되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정보의 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정보는 아부다비에서 블루오션 시장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으며, 도시건설의 기본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인프라의 기반이 한국에 비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공간정보인프라의 주요 요소인 조직체계와 법률 제정이 미흡하고 공간정보 산업의 해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특징을 가진다. 세계의 다국적 기업이 장악한 아부다비의 공간정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현황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한 틈새시장 진출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성요소에 대한 현황분석을 한국의 경험에 기반하여 고찰한다. 공간정보인프라 구성요소별로 한국과 아부다비 간의 공간정보 격차를 분석하고 아부다비의 단기·장기 공간정보인프라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중동의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와 한국 간 공간정보인프라에 대한 격차분석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중동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 실내 공간 모델링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매핑에 관한 연구

        박재한(Park, Jae-Han),신용득(Shin, Yong-Deuk),장가람(Jang, Ga-Ram),백문홍(Baeg, Moon-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0

        공간의 3차원 정보화와 시각화 기술은 공간 정보화를 이루는 주요한 기술이다. 3차원 공간 정보화는 측정된 정보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를 도출하는 문제로서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논문은 실내 공간을 모델링하기 위한 3차원 매핑 문제에 대한 연구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3차원 매핑문제에서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측정한 정보를 하나의 좌표계로 통합하는 정합(Registration) 문제가 중요하다. 실외 환경에서는 GPS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절대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실내에서는 절대위치 정보를 얻기가 어렵게 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위치정보 없이 시각적 특징 정보와 3차원 점군(Point Cloud) 정보를 같이 활용하여 정합을 수행하여 하나의 좌표계로 통합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을 위한 R&D 혁신 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황정래(JungRae Hwang ),송기성(KiSung Song),권회윤(HoeYun Kwon),이수지(SooJi Lee),최현상(HyunSang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최근 공간정보가 자율주행차, 드론, AR/VR 등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기반 인프라로서 기술발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공간정보 활용 수요자 중심의 공간정보 중장기 R&D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정보 관련 기술, 정책, 시장 동향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분야 최신 트렌드를 조사·분석하고,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 지원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중장기 R&D 혁신 로드맵을 수립한다.

      • KCI등재

        3차원 정밀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이기성(Lee, Ki Sung),정인훈(Jeong, In Hun),최윤수(Choi, Yun Soo),김상봉(Kim, Sang B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1

        도심지에서 초고층 건축물 및 지하시설물과 연계된 복합건축물 등 건축물이 대형화·복합화 됨에 따라 공간정보 서비스 대상영역의 범위가 실내공간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내공간정보의 경우, 구축된 실내공간정보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인증 기준이 부재하여 이에 따른 검증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 품질검증 방안을 마련하여 2014년도 구축된 영등포역의 실내공간정보에 대해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의 방법 및 기준에 대한 검증실험을 통해 균일하고 완성도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류 발생 빈도가 높은 유형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체계를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buildings in the downtown area, such as the complex building connected to the skyscraper and the underground facility, have become large and complex, the range of target domain of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is rapidly expanding to the interior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is change will create various demands of service such as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base safety, the management of facility, and the interior navigation in the future, along with spread of mobile devices an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s for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certification standard of the established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data quality, so preparing the certification standard is urgent. Thus, this study reviewed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 cases and prepared measures for quality verification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to conduct a verification test of the Yeongdeungpo Station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established in 2014. As a result, through the verification test of the method and standard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quality certification suggested by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form and higher quality data could be classified, and the types of error high frequently occurring could be investigat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관련규정 개선방안

        최병남,김건수,박소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4

        Regulations on map publication of the management act and on framework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he infrastructure act could potentially caus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geospatial data. This is due to overlapping scope and vagu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cts. This research suggests first of all redefining scope of these acts with geospatial data life cycle (i.e., acquisition/creation - development/application - sharing/distribution) to address abovementioned issues. The management act is limited on acquiring and producing locational and attribute data of a real-world object. The infrastructure act is then focused on building environment for enabling geospatial dat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dditionally, scope of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is suggested as provision and distribution of geospatial data to private sector. All three acts should also address seamless implementation of each scope with one another within the cycle. Second, development of national geospatial data (NGD), which is commonly used by various users, is suggested to be reflected on the management act to resolve th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map publications. This should include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the NGD, and its compliance. In particular, current regulation of map publication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placed with automatic prod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based on the NGD.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suggests defining components of framework data under the infrastructure act as geospatial data that are used as background, reference, and bas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regulations for its acquisition and management.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framework data which would be designed to be interoperable with those of NGD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flected on the infrastructure act.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은 자료구축의 중복, 비효율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두 법 조항의 규정대상범위가 중첩되고, 관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법 규정의 대상범위를 다음과 같이 자료 생애주기(취득/생성-구축/활용-공유/유통) 기반으로 재정립할 것을 제시한다. 관리법의 대상범위를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객체의 위치와 속성 자료(공간자료)를 취득하거나 설정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기본법의 대상범위를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자료의 구축 및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활동영역으로 한다. 진흥법의 대상범위를 공간자료를 이용한 민간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지원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생애주기 전 과정의 끊김 없는 상호연계를 각 법에 규정한다. 둘째, 지도 등의 간행 규정에 의한 중복, 비효율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공통 사용하는 국토기본정보 구축을 관리법에 규정한다. 이와 연계하여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와 준수 규정도 함께 반영한다. 관리법에 국토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고객맞춤 자료 자동생산 및 유지관리를 규정하고, 지도 등의 간행 규정을 대체한다. 셋째,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개선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떤 (공간)자료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바탕, 기준, 기초 자료 역할을 하는 공간자료를 기본공간정보 구성요소로 기본법에 정의한다. 이와 연계하여 기본공간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 및 준수 규정을 기본법에 반영하되, 이것들을 관리법에 규정한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과 상호 연계하여 도출한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표준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경희(Kim, Kyung Hee),최원욱(Choi, Won Wo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의 핵심 인프라로서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간정보는 서로 다른 도메인 데이터 모델의 공간정보 측면을 통합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및 상호운용성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고, 영국의 공간정보 유형별 용어 정의, 유럽연합의 공간정보인프라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OGC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메인 간 공간 정보 기반 스마트시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대응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과 「국가공간정보기본법」,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을 대상으로 도메인 간 연계를 위한 표준 적용 관련 근거 조항을 추가하고, 데이터 상호 연계·교환 기술기준과 공공부문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에 필요한 협력체계 구성을 제안하는 조항 등을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s a core infrastructure of smart city and digital twin,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integral part to integrate geospatial aspect of different domain data models. In this study, problems and issues a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and interoperability related to smart cities and geospatial data, and the definition of terms by type of geospatial data in the UK, framework for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 data modeling in the European Union and OGC, etc. are present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cases to secure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based smart city between different domain fields, a clause of the laws,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that can be basis for applying a standard for inter-domain linkage, was added. The technical standards for data interconnection and exchange and provisions proposing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which is necessary for building data interoperability in the public sector were presented as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