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주연 전기 비평 연구 : 주체의 인식과 문학론을 중심으로

        박은송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김주연 비평문학의 형성적 질서와 비평 정신을 밝히고자 한다. 그의 왕성한 문학 활동에도 불구하고 김주연 비평문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활발히 진척되지 않았다. 1960년대 후반 평론 활동에 대한 논쟁적 평가는 김주연 비평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압도하고 있었으며, 그의 평론 활동은 독자적인 비평세계로 탐구되기보다 문단적·세대적 동질성을 지닌 일련의 비평가군을 중심으로 조감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김주연은 비평의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방법론에 의한 비평의 실천을 통해 독자적인 미학 체계의 성립이라는 비평적 문제성을 제언하였다. ‘총체적 성찰’과 ‘대타의식’이라는 상반된 평가 속에서 한국 문단의 논쟁적 구심점마다 현장 비평가로서의 독자적인 견해를 밝혀온 김주연의 비평문학을 정당하게 인식하기 위해 김주연의 견해는 그의 비평문학의 논리 내에서 우선적으로 조감되어야 한다. 문학비평은 본래 문학작품에 귀납된 것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실제 비평에서 문학작품을 초과하는 미학적 이념의 완결된 논리를 총체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보편적 방법론을 지향하면서도 변모양상이 나타남은 문학작품에서 귀납적으로 도출된 비평 논리를 개시하는 비평의 엄결한 태도로 볼 수 있다. 본고는 문학작품에 귀납되면서도 비평가의 독자적인 미학 체계를 동시에 논구하려는 김주연 문학비평방법론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주체의 인식’과 ‘문학론’을 가설적 분석소로 추출하고, 주체와 객체와의 합일을 지향하는 김주연 비평문학의 미학적 이상향을 규명한다. ‘주체의 인식’은 주체가 ‘상황’을 인식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논리이다. 김주연의 비평 논리에서 문학작품의 ‘상황’은 정치적·사회적·관습적 현실관념과 일응되는 것이 아니며 작가(시인)의식이 반영된 ‘현실’임을 기본적인 전제로 한다. 김주연의 비평문학에서 ‘현실’ 개념은 세 가지의 지시의미를 지니며, 각각ⅰ) 물적 현실 ⅱ) 의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 ⅲ) 무의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을 뜻한다. ‘현실’의 지시의미가 물적 현실을 제외하고 모두 주체와 관련된 ‘인물’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김주연의 인식론은 ‘타자와의 자기관련성’이 핵심을 이룬다. 주체의 상황 인식은 ‘무의식적·억압적 관계’를 맺고 있는 타자와의 관계가 의식화되는 계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상황인식’으로의 변화가 논해진다. 새로운 상황인식이란 ‘무의식적·억압적 관계’에서 초탈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를 삶 속에서 보다 깊이 수락하는 ‘초월’을 의미한다. ‘문학론’은 ‘인식의 형상화’에 관한 논의로 타자성을 인식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 대한 비평논리이다. ‘묘사의 일반성’과 ‘묘사의 보편성’을 통해 ‘시적 자아’와 ‘시적 대상’이 일치되는 미적 이상향을 지향한다. 한편, 김주연 문학비평방법론의 중추를 이루는 인식론에 있어서 ‘객체’와의 합일을 이룰 수 없는 인식의 한계를 인정함과 동시에 인식을 넘어 묵시를 지향하게 된다.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전북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dergraduate students. 386 college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Ego- Resilience Inventor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students had, the less Interpersonal Problems they had. Specifically,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d on coldness, socially control, self centerdness, nonassertiveness, dominance, self sacrifice and coldness was the factor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was influenced the most. ego- resilience influenced on nonassertiveness, socially control, coldness, self centerdness, over nurturant and nonassertiveness was the factor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was influenced the most. These results represented a necessary step n developing a counselling program to enha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정규직,비정규직 금융업 종사자의 조직 동일시와 조직 시민행동

        김주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 세계적 경제상황의 악화와 실물경제의 급속한 침체로 인한 경제 위기는 줄 잇는 기업들의 도산을 야기 시키며, 이는 대규모 아웃소싱과 정리해고 등의 인력 구조조정 등을 초래하에 되었다. 이로 인한 불안정한 고용형태는 직원들에게 불안감과 몰입부족, 높은 이직률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동일한 조직에서 유사한 업무를 동일한 근무시간동안 수행하면서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정규직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불안정한 고용과 같은 불이익을 당한다고 느낀다면 두집단간에 조직 동일성과 조직 시민행동에 있어 차이적이 나타 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고용형태에 따라 조직 동일시와 조직 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조직 동일시가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용형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고용형태에 따라 조직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금융권을 중심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 동일시와 조직 시민행동에 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고임금, 질높은 복리후생 등의 환경하에 근무하는 정규직의 형태의 조직 구성원이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조직 시민행동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에 따라 조직 동일시를 할수록 조직 시민행동을 할 것으로 기대 했던 가설은 비정규직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용자에게 정규직 및 비정규직의 태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 개선과 신분 보장을 위해 비정규직 보호법이 강화 되고 있는 현 시점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사회복지사의 정서노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주연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정서노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1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의 측정 도구로 정서노동,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서울특별시를 4구역으로 나누어 각 60명씩 할당표집하여 온라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의 방법과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업수준, 결혼여부, 경제수준에 따라 정서노동,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서노동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서지능 역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서노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정서노동,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기, 노년기 여성의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Unlike men, middle-aged women usually experience unstable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due to many hormone changes caused by menopause. Particularly, the burden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reases with age and for those women who do not adapt well to the rapidly changing modern world, their mental burden becomes even more severe. The longer the life expectancy of a woman, the longer the age of senescence with menopause. Since Korea is about to enter into an aging society, we shoul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women's mental health care after middle age and need attention and support for 'Self-care' so that they can adapt to changes in mind and body from the time of their menopause. Therefore, by designing a forest healing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care of middle aged women using the urb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s and applying the program to both middle and old age women, this study aim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women's mental health.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developed in May 2014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mental health through preliminary studies. The program consists of 3 stages as its module: HYU(休), HO(好) and AHA(何) and is named as Mom sallim, Maum salim - Self Care Program(Body and Mind Care - Self Care Program: BMC-SC, Patent No. 4010269340000). The HYU(休) stage consists of activities such as contacting the forests, stopping, resting, concentrating on breathing, leaving anxiety and fear. And HO(好) stage consists of voluntary activities such as facing anxiety and fear, immersion into forest and feeling happiness. The AHA(何) stage consists of self-awareness, satisfaction and gratitude related activities such as adaptation, serenity and inner peace.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recovery environment factors of the target area, and the effect was verified from September 2015 to December 2016 by applying it to women after middle ag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we performed mono-mental state examination and blood test and etc, for middle and old age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s. And for the study of people with symptoms of schizophrenia, we collected inspection data on mood swing and utilized it for the analysis. By conducting the BMC-SC program in park-type urban forests and two other forests on 83 40 to 65-year-old middle aged wome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programs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as the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 relief and mental health promotion wer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age group or menopausal symptoms, and the previous health level. After conducting the BMC-SC program in the nature park type urban forest on 34 65 to 85-year-old senile women, the mental health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and the group that participated only 4 times was worse than the preliminary test. It is considered that it has been influenced by temporal problems such as heat wave and MERS viru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mental health of the senile women who participated 8 times and 12 tim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all symptoms. Especially for somatization symptoms such as headache, muscular pain, and digestive disord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also the test results of melatonin and serotonin, which are the aging index, showed a positive tendency after the test compared to the pre-test. So, since the BMC-SC program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promotion of senile women, i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forest healing program for all middle and above age women. By conducting the BMC-SC program as a camp for 2 nights and 3days on schizophrenic patients who have been taking medicine,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This suggests that the BMC-SC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patients even suffering from schizophrenic diseas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in forests and the study has proved that the forest healing is effective in mental health promotion of women after middle age. The has also proved that the forest healing is an effective activit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is a timely study for the aging societ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make healthy society and reduction of the national medical expenditure.

      •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실재감,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지식정보사회에서의 핵심 능력 중 하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이다. 문제해결력은 최상위의 지적능력으로, 의도적 교육에 의해 길러질 수 있다(조연순, 2001a; 2001b). 이러한 의도적 교육 중 하나인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탐색하며, 최선의 해결책을 고안해 나가는 문제해결 과정을 거치는 동안 비판적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력 등을 발달시켜 고차원적인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박수현, 권성호, 2004; Duffield, 1991). 문제해결학습이란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지시나 강의를 최소화하고 학습자의 사고를 중심으로 과제 발표와 토의를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의 개념이나 해결책을 구성하게 하는 학습으로(Savery & Duffy, 1995),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이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을 요구한다(Duch, Groh, & Allen, 2001). 이러한 문제해결학습이 웹을 활용해 제공되면 문제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공유·교환할 수 있고,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동료 학습자 및 전문가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 상호간에 개념,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통해 협동학습 및 새로운 지식 구성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강인애, 이민수, 김종화, 이인수, 1999).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제시되는 문제의 특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경지식으로 활용하게 되는 영역적, 구조적 지식 뿐 아니라 계획을 세우고, 어떤 영역 지식을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메타인지적 지식이 필요한데(Belland, Glazewski, & Richardson, 2008), 학습자가 영역-특수 지식이나 메타인지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 어려움을 겪게 된다(송해덕, 신서경, 2010). 또한, 최욱(1999)에 의하면 많은 학습내용과 다양한 활동이 학습자에게 한꺼번에 제시되어 학습자가 방향성을 상실하기도 하고, 교수자와 학습자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학습내용과 활동에 대한 적절한 안내와 지도가 결여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학습자 혼자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 있으며, 선수지식이나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의 경우 학습에 대한 능동적, 자율적인 참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이철희, 조미헌, 2005). 이러한 학습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원전략으로 많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 스캐폴딩이다(전희정, 2007; Bulu & Pederson, 2010; Ge & Land, 2003). 스캐폴딩은 본래 학습자들이 혼자서 스스로 성취하기 힘든 것을 성취 가능하도록 해주는 전문가의 도움이다(Wood, Bruner, & Ross, 1976). 그러나, 웹 기반 학습이 도입되면서 학습자들을 도와주는 다양한 도구, 전략, 안내, 자원 등으로 그 의미가 좀 더 다양하게 확장되었다(Hannafin, Land, & Oliver, 1999). 스캐폴딩의 수업에 대한 효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초기에는 스캐폴딩 자체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으나(Brown & Palincsar, 1987),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스캐폴딩의 비교 우위 효과에 대한 연구(Ge & Land, 2003), 학습자 특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한 연구(전희정, 2007)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스캐폴딩 연구의 종속변인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 학습태도 등에서 학습참여도(양영선, 허희옥, 김영수, 2014), 실재감(Gasević, Adesope, Joksimović, & Kovanović, 2015)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특히, 학습자가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인식을 의미하는 실재감의 경우 웹 기반 학습에서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해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교수실재감이 있다. (Garrison, Anderson, & Archer, 2003). 선행연구에 의하면, 인지적 실재감의 수준은 문제해결과정에서 스스로 비판적 성찰, 담화를 통한 문제의 해결책 탐색을 통해 향상되며(Garrison & Arbaugh, 2007), 메타인지와 관련된 스캐폴딩을 통해서도 증가한다(Gasević et al., 2015). 한편, 본 연구의 학습 환경인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것 중 하나가 평가이다. 최정임(1999)은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의 평가는 학습 과정과 학습 결과 두 측면을 모두 평가해야 한다고 했으며, Jonassen(2004)은 문제해결기술에 대한 적절한 평가 형태로 문제해결수행 평가, 문제해결에 요구되는 요소와 인지적 기술에 대해 평가하는 구성요소 기술(component skills) 평가, 논증과 정당화 평가 3가지를 제시하면서,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조화를 이루어 모두 사용되어야 한다고 했다. 스캐폴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스캐폴딩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스캐폴딩의 비교 우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관되지 못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김주연, 이태구, 임규연, 2014; Simons & Klein, 2007), 주어진 학습 환경 및 스캐폴딩과 상호작용하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연구도 많지 않다. 또한, 지금까지 수행된 실재감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인지적 실재감이 학습효과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실재감 향상 방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전략인 스캐폴딩이나 학습자 특성 중 하나인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에 기반한 실재감 촉진 전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재감의 하위 변인을 종합적으로 촉진하는데 필요한 지원전략으로서 스캐폴딩의 효과, 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대한 다양한 스캐폴딩 유형의 비교 우위 효과 및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제해결학습에서의 평가가 연구자들마다 상이하여(Ge, 2001; Cho, 2001; Kuo, Chen, and Hwang, 2014) 대부분의 경우 최종 산출물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보인 행동을 개별 보고서나 관찰을 통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해결에서의 평가는 학습 과정과 학습 결과 모두와 관련되어야 하므로(최정임, 1999; Jonassen, 2004; Lee, 1978) 이 두 측면을 고려하여 문제해결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어떻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느냐에 따라 학습의 최종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학습자 지원전략으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스캐폴딩과 학습 결과인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캐폴딩의 특정 유형이 문제해결과정의 측면과 문제해결결과의 측면에서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과의 상호작용이 기대되며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특성인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지원적 스캐폴딩과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시하여 스캐폴딩의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실재감,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에 따라 실재감(인지적, 사회적, 교수)에 차이가 있는가? 1-2)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과 메타인지 수준(상, 하)의 상호작용 효과가 실재감(인지적, 사회적, 교수)에 있어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문제해결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에 따라 문제해결수행(문제표상, 해결책 탐색, 논증 및 정당화를 통한 해결책 선정, 점검 및 평가, 최종 해결책 산출)에 차이가 있는가? 2-2)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과 메타인지 수준(상, 하)의 상호작용 효과가 문제해결수행(문제표상, 해결책 탐색, 논증 및 정당화를 통한 해결책 선정, 점검 및 평가, 최종 해결책 산출)에 있어 존재하는가? 연구 문제 3.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1)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2) 스캐폴딩 유형(지원적, 성찰적)과 메타인지 수준(상, 하)의 상호작용 효과가 성취도에 있어 존재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을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실재감과 문제해결수행, 성취도를 선정한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스캐폴딩 유형은 Cagiltay(2006)가 종합한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캐폴딩 유형 중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특수 지식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적 스캐폴딩과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메타인지적 지식을 지원할 수 있는 성찰적 스캐폴딩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지원적 스캐폴딩이 학습이나 과제를 할 때 학습자가 고려할 것, 개념 간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안내하면서 영역적 지식, 정보, 힌트, 조언 등을 제공하는 반면, 성찰적 스캐폴딩은 학습자들에게 메타인지적 질문을 하고, 학습자가 성찰적 과정을 표현하도록 하여 성찰 행위를 명료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지원적 스캐폴딩은 설명, 개념적 질문, 도식, 참고자료, 템플릿의 형태로 제공하였고, 성찰적 스캐폴딩은 탐색적 질문, 힌트, 전문가 모델, 문제해결과정 맵의 형태로 제공하였다. 종속변인인 실재감은 Garrison, Anderson과 Archer(1999)가 제시한 것처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교수실재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문제해결수행은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여준 행동과 논증 및 정당화에 대한 개별 보고서 점수와 문제해결의 마지막 단계에서 팀별 공동 최종 해결책 점수의 합으로 측정하였다. 성취도는 문제해결학습의 평가 중 문제해결에 요구되는 요소와 인지기술에 대한 평가를 하는 구성요소 기술(component skills) 평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적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원임용고사 기출 문항 중 Bloom의 지적 영역의 교육목표 분류의 지식과 적용력에 해당하는 것을 추출하여 측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변인들 가운데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이 실재감, 문제해결수행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실재감에 차이가 있었다. 즉,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이, 교수실재감은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이 더 높았다. 또한, 교수실재감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수행에 차이가 있었다. 즉,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이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보다 문제표상과 점검 및 평가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수행에 있어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이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보다 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성취도에 있어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문제해결, 스캐폴딩과 관련이 있는 학습자 특성인 메타인지 수준을 고려할 때, 교수실재감을 더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 메타인지 수준이 낮은 학습자에게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하고,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둘째, 웹 기반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에서 문제해결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성찰적 스캐폴딩은 지원적 스캐폴딩보다 문제해결수행의 하위요소 중 문제표상, 점검 및 평가에서 학습자 수행을 더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수행에 대한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본 실험에 대한 참여가 필수가 아닌 학습자 선택이었으며, 다양한 전공과 학년으로 구성된 팀 학습, 문제해결수행에 대한 새로운 측정방법 때문일 수 있다. 셋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보다 높은 성취를 위해서는 메타인지 수준에 상관없이 지원적 스캐폴딩보다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특히, 메타인지 상인 집단은 메타인지 하인 집단에 비해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했을 때의 성취도와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했을 때의 성취도의 차이가 훨씬 컸다. 따라서, 스캐폴딩 유형만을 고려할 때는 메타인지 수준에 상관없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좋으며, 메타인지 상인 집단의 경우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성취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 목표달성, 문제접근 및 해결을 위해 토론과 같은 집단 활동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은 개별적 문제해결학습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향후에는 웹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실재감 및 문제해결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캐폴딩의 유형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최근 들어 메타인지의 구인이 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에 대한 점검, 인지에 대한 조절로 논의되고 있고, 그 중 인지에 대한 조절은 자기 조절과 공유된 조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메타인지의 구인을 반영하여 협력적 학습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공유된 조절을 촉진할 수 있는 스캐폴딩 유형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문제해결이 과정과 산출물이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수행은 과정과 산출물 모두와 관련되어야 한다는(Elliott, 1994; Lee, 1978; Jonassen, 2004) 것을 고려할 때, 앞으로는 문제해결수행을 과정과 산출물의 두 측면에서 모두 평가하고, 이러한 문제해결수행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지원전략이 어떤 것이 있는지, 지원전략들 사이의 비교 우위 효과는 어떠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스캐폴딩의 본래 속성 중 하나는 학습자에게 처음 제시된 이후 학습자가 능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서서히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스캐폴딩의 본래 속성을 반영한 환경에서의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제시되는 스캐폴딩은 많은 경우 설계자가 학습자의 어려움을 미리 예상하고 설계하여 제시하는 고정적 스캐폴딩의 형태이다. 그러나, 설계자가 미리 모든 학습자의 어려움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스캐폴딩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웹 기반 학습 환경은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이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ne of core abilities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problems based on higher and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is the highest intellectual capacity and can be developed through intentional education(Cho, 2001a; 2001b). One of intentional education is problem solving learning. It is helpful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by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during problem solving process which consists of identifying the problem, searching solutions and selecting the best solution on their own(Park & Kwon, 2004; Duffield, 1991). Problem solving learning minimizes the teacher’s directions and instructions and forms the student’s concepts or solutions by presenting tasks and discussions based on the learner’s thinking(Savery & Duffy, 1995). Problme solving learning is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it requir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ability(Duch, Groh, & Allen, 2001). When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is presented through the web, problem solvers can share and exchang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problem solving, communicate with co-learners and experts, and construct collaborative learning and new knowledge by sharing concepts and information mutually(Kang, Lee, Kim, & Lee, 1999).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presented in web-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learners are required to have not only domain and structural knowledge as background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but also metacognitive knowledge for planning and knowing which domain knowledge to use and how (Belland, Glazewski, & Richardson, 2008), and if learners are lacking in the domain-specific knowledge or metacognitive knowledge, they have difficulty in solving problems(Song & Shin, 2010). Choi(1999) reported that learners may lose their way in web-based ill-structural problem solving learning because a large volume of learning contents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re presented all once, and are unable to receive proper guidance about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because of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f learners are lacking in prior knowledge 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ely and voluntarily(Lee & Cho, 2005). One of the supportive strategies for decreasing these difficulties is scaffolding(Jeon, 2007; Bulu & Pederson, 2010; Ge & Land, 2003). Scaffolding is the support that the expert gives to help the learner achieve things that they have trouble in achieving alone(Wood, Bruner, & Ross, 1976).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web-based learning, the meaning of scaffolding has expanded to include various instruments, strategies, guides and sources to help learners(Brush & Saye, 2001; Hannafin, Land, & Oliver, 1999). In the first stage, the research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scaffolding on learning focused on the effects of scaffolding itself(Brown & Palincsar, 1987). But recently the research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various scaffolding types(Ge &Land, 2003) and research o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Jeon, 2007) were conducted, and the scope of dependent valuables on scaffolding research are expanding from achiev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o learning participation(Yang, Heo, & Kim, 2014), presence(Gasević, Adesope, Joksimović, & Kovanović, 2015). Presence, which refers to the feeling that learners are in the learning process, is considered an important variable in web-based learning. Presence consists of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Garrison, Anderson, & Archer, 2003). Cognitive presence is increased through exploring solutions with a critical reflection on oneself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Garrison & Arbaugh, 2007), as well as scaffolding associated with meticognition(Gasević et al., 2015). Meanwhile, one of consideration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environment is evaluation. Choi(1999) said that the evaluation in web-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should include both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Jonassen(2004) presented three proper forms of assessing of problem solving skills, which are asses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ssessing the component and cognitive skills required to solve problems, and assessing students’ ability to construct arguments in support of their solutions to problems. He recommended these assessments not be used separately but all together in harmon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scaffolding improve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has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but have not presented consistent research results on which scaffolding type is more effective(Kim, Lee, & Lim, 2014; Simons & Klein, 2007). Thereisfewresearchthatconsiderslearners’ characteristics interacting wi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caffolding. Also, much of research associated with presenc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s of cognitive presence on learning effectiveness and achievement,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cognitive presence. So, there is very limited research on strategies facilitating presence that take into account scaffolding, a typical strategy supporting learners in web-based instruction, or relevance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 of metacogn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advantag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which is needed to comprehensively facilitate components of presence and the relevance to learners’ metacognitive levels. Evaluation in problem solving learning varies by researchers(Ge, 2001; Cho, 2001; Kuo, Chen, and Hwang, 2014), but in most cases, the subject of evaluation is the final product or the individual report or observation of the learner’s behavior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But, evaluation in problem solving has to be conducted with consideration to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because the evaluation in problem solving should be concerned with both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Choi, 1999; Jonassen, 2004; Lee, 1978). Learning outcomes may differ depending on how effectively difficulties that the learners faced were reduced. In other words,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caffolding presented as a supportive strategy for learners an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chievement from the aspect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blem solving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icognition affected presence, achieve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web-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1. Do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affect presence?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resence(cognitive, social, teaching)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1-2.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high, low) in presence(cognitive, social, teaching)? 2. Do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affect problem solving performance?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performance(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exploration, selecting a solution with argument and justific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creating the final solution)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2-2.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high, low) in problem solving ability(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exploration, selecting a solution with argument and justific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creating the final solution)? 3. Do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sl of metacognition affect achievement? 3-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3-2.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high, low) in achievement?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caffolding types(supportive, reflective)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pres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chievement. scaffolding types were supportive scaffolding and reflective scaffolding which were reclassified as scaffolding types usabl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y Cagiltay(2006) and associated with learners’ difficulties in problem solving learning. Supportive scaffolding gave learners help on conceptual, cognitive, domain knowledge required to solve problems and was presented as the form of explanations, conceptual questions, visual materials, and templates. Supportive scaffolding gave learners help on strategies and processes required to solve problems without specific learning contents and was presented as the form of exploratory questions, hints, expert models, problem solving process map. Presence consisted of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oposed by Garrison, Anderson, and Archer(1999).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as the sum of personal report scores on learners’ behaviors and arguments, justific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final common solution score. Achievement means component skills which assess cognitive skills required to solve problems. Achievement included only cognitive domain and test item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The test items went for knowledge and application i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 MANOVA and ANCOV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and levels of metacognition on pres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sence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ere higher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than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was identified in teaching presence. 2.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on problem repres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was not identified i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3.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was identified in achievement.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eflective scaffolding wa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ve scaffolding in facilitating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web-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But supportive scaffolding wa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ve scaffolding in facilitating teaching presence in web-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When considering the levels of metcognition, supportive scaffoldings should be presented to low metacognition level students and reflective scaffoldings should be presented to high metacognition level students to facilitate teaching presence more effectively. 2. To facilitat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in web-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reflective scaffolding wa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ve scaffolding for problem repres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s of metacognition. The cause of this result was because participation in this experiment was optional, the teams consisted of various school years and majors, an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as measured by new method. 3. To increase achievement in web-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reflective scaffolding wa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ve scaffolding regardless of metacognition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in supportive scaffolding and the score in reflective scaffolding was higher in the high metacognition level group than low metacognition level group. When considering only scaffolding types regardless of metacognition level, reflective scaffolding is more effective, and for high metacognition level students, reflective scaffolding wa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ve scaffolding. For future studies several research issues are suggested: 1.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features collective activity processes such as discussions to attain a common goal, access problems and solve problems with co-workers. These features are different from that of personal problem solving learning. Therefore, in the future there will need to be study on which scaffolding is more effective to support presence enhancement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2. Recently, it is discussed that the constructs of metacognition are knowledge of cognition, monitor of cognition and regulation of cognition. Regulation of cognition consists of self-regulation and shared regulation(or co-regulation). So,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based on new constructs of metacognition will have to be carried out. 3. Considering that problem solving consist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and learners’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learning should be concerned with both the process and product(Elliott, 1994; Lee, 1978; Jonassen, 2004), going forward, problems solving performance should be assessed in terms of both the process and produc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supportive strategies facilitat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the comparative advantage effects of supportive strategies. 4. One of original attributes of scaffolding is to gradually remove as learners attain abilities. Thus, in the future research reflecting the original attribute of scaffolding should be carried out. 5. In numerous cases the scaffolding presented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was hard scaffolding which instructional designers had anticipated, designed and presented in advance. But it is difficul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to anticipate all of learners’ difficul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aptive scaffolding which presented according to learners’ response and the effect of adaptive scaffolding. 6. Web-based learning is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and requir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aborative learning ability.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o facilitat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ability.

      • 지역사회 중심의 여가 교수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주연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leisure instructions at the community level on bowling skills and social behaviors. It attempts to see if object generalization occurs in community -based leisure instructions by secondary researchers together with general students. The study targeted 3 placed at middle special classroom students, employ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Study results showed that bowling skills and social behaviors were successfully acquired and maintained, and learned skills and behaviors were generalized when they bowled with regular students.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1. Community -based leisure instructions was effective for the special educati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kill acquisition and social behaviors. - ⅴ - 2. Community -based leisure instructions helped them to learn related skills (bus rides, use of bowling alley, ability to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naturally. 3. Self-awarenes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mpacted positively. 4. Activities were an enjoyable experience. 5. Bowling is a highly appropriate program for use as a community -based activity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6. The possibility is suggested that such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regular schools with handicapped students.

      • 영재와 일반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특성비교

        김주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비교하여 그 차이와 특성을 밝혀 다중지능이론의 영재 및 일반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에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활용가능성은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통해 검증되었다. 첫째, 언어영재, 수학·과학 영재, 일반 초등학생 각 집단에 따라 영역별 지능의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과 지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각 영역별 지능이 성별요인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영역별 지능과 성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지필식 다중지능 검사지를 사용하여 초등 언어영재 학생 및 수학·과학 영재 학생, 일반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 초등학생 각 집단별로 다중지능에서 자기이해지능을 제외한 7개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수학·과학 영재 학생 집단과 언어영재 집단이 자기이해지능을 제외한 다중지능 하위 영역에서 일반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각 영재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재집단이 일반학생에 비해 8가지 지능 모두에서 유의한 정도로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수학·과학 영재집단은 언어영재와 일반학생들에 비해 지능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재능한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두 영재집단의 대인관계지능이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 영재들이 지니고 있던 지적으로만 우수한 전형적인 영재가 아니라 리더로서 갖추어야할 높은 대인관계지능을 두루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의 특성(언어영재, 수학·과학영재, 일반)과 성별에 따라 다중지능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 영역별 영재의 판별 및 교육과 일반학생의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학생의 잠재력과 특성에 맞도록 강점을 살리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ultiple intelligence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each oth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to utilize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education of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possibility to utilize was verified through largely two study issues. First, it was examine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lligence by area among the group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and intelligence.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intelligence by area varies with the factor of gend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by area and genders. For the purpose of the above study,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273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using written multiple intelligence examination test paper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sub-areas except for self-understanding intelligence between each of the groups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is, the group of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the group of language talented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7 sub-areas except for self-understanding intellig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alented children and the groups of talent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the 8 kinds of intelligence. Especially, it was indicated that the group of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had higher intelligence quotients than languag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talents. Also, it was indicated that the human relations intelligences of the two groups of talented children were commonly high thus having high human relations intelligence that must be equipped as leaders unlike the talented children in the past who had been excellent only intellectually. This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o encourage strengths and supplement weaknesses in line with students' potentials and characteristics in planning the finding and education of talent children by area and education of general students since the distribu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are indicated to vary with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nguage talented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talented childre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enders.

      • 여중생의 교복 디자인 선호도와 체형 유형에 따른 패턴 설계

        김주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It was study of school uniform pattern for middle school girls somatotype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design of middle school girls and research and analyze the somatotype of middle school girls to suggest uniform pattern that corresponds with school girls' aesthetic sense of value and fits good on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iddle school girls dissatisfied highly on design of present uniforms and they wanted to be altered was design with highest rate. So there should be some improvement in design. The items that need alternating were design, various size, and colors order. In detail, they wanted to change designs of collar and waist line etc. About items of the material, color and details, the preference to synthetic fiber was the highest which does not wrinkle easily and solid color without any pattern and different colors for each jacket and skirt were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favorite items for uniform they chose were black jacket and grey skirt. About Jackets, they wanted tailored collar, one button double adjust and waist long jacket combination. About Skirts, they wanted grey color, over knee length, and box-pleated skirt with stitches line combination. So there should be improvement in design reflected of their preference. 2. The somatotypes of the middle school girls were intended to be categorized for the highly applicable clothes design that reflects the clothes design. For this, the 3 middle schools in Jeonju were selected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317 middle school girls between the age of 12-15. The items of measurement are related to the body shape of middle school girls, clothes design and size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total of 50 items. For the basic data of clothes design was judg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body shapes related to the tops and bottoms would be rational; hence, it is classified into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body to extract the body shape consistent fa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e upper body consistent was extracted as the 4 items: upper body circumference, upper body length, breast development, and arm length. It was displayed as 75.26% explicability. The lower body consistent factors are extracted as lower body height, lower body circumference, hip length, and rear shape with 78.62% explicability. To categorize the body shape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each factor score is made into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group analysis. As a result, the upper body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with weak development of horizontal factors and long arms and ‘upper body with big breast’ with relatively short arts and developed breasts. The lower body was categorized as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with large and long hip length compared to other body shape and ‘standard lowerbody’ body shape which th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items all showed smaller value compared to the glamour body shape. 3. This study designed and present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that is suitable for the physical figure of middle school girls, providing a good fit and appearance. It finally design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after passing through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test study,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dressing test. Based on these experiments a new jacket and skirt pattern are created with the features as shown in the following. 1)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arm’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8.7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3.6cm larger than the B/6 while th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6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bust breadth was B/4+2.5cm and back bust breadth was B/4+1.5cm. ⑥ The width of the back neck was applied 8.5cm. ⑦ As to the length of a nipple, shoulder, it applied the real measurement. ⑧ The waist breadth was made 4cm larger than the waist circumference measure(W/4+1cm) ⑨ As to the height of sleeve cap height, it set it to A.H/3+1 from the armhole of jacket pattern, and as for the height of a sleeve, it applied the measurement of the sleeve length, 2)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big breast’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9.5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5cm larger than the B/6 whil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and back bust breadth was B/4+2.5cm. 3) The skirt pattern for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① The front and back hip breadth was made H/4+1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4) The skirt pattern for 'standard lower body’ ① The front hip breadth was H/4+1.7cm, the back hip breadth was H/4+0.7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With the resulting clothing, it is hoped that middle school girls would be able to develop an improved sense of social stability.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clothing industry would find this pattern a helpful tool in their pursuit of satisfying the demand of the middle school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