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김주연 전기 비평 연구 : 주체의 인식과 문학론을 중심으로

        박은송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김주연 비평문학의 형성적 질서와 비평 정신을 밝히고자 한다. 그의 왕성한 문학 활동에도 불구하고 김주연 비평문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활발히 진척되지 않았다. 1960년대 후반 평론 활동에 대한 논쟁적 평가는 김주연 비평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압도하고 있었으며, 그의 평론 활동은 독자적인 비평세계로 탐구되기보다 문단적·세대적 동질성을 지닌 일련의 비평가군을 중심으로 조감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김주연은 비평의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방법론에 의한 비평의 실천을 통해 독자적인 미학 체계의 성립이라는 비평적 문제성을 제언하였다. ‘총체적 성찰’과 ‘대타의식’이라는 상반된 평가 속에서 한국 문단의 논쟁적 구심점마다 현장 비평가로서의 독자적인 견해를 밝혀온 김주연의 비평문학을 정당하게 인식하기 위해 김주연의 견해는 그의 비평문학의 논리 내에서 우선적으로 조감되어야 한다. 문학비평은 본래 문학작품에 귀납된 것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실제 비평에서 문학작품을 초과하는 미학적 이념의 완결된 논리를 총체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보편적 방법론을 지향하면서도 변모양상이 나타남은 문학작품에서 귀납적으로 도출된 비평 논리를 개시하는 비평의 엄결한 태도로 볼 수 있다. 본고는 문학작품에 귀납되면서도 비평가의 독자적인 미학 체계를 동시에 논구하려는 김주연 문학비평방법론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주체의 인식’과 ‘문학론’을 가설적 분석소로 추출하고, 주체와 객체와의 합일을 지향하는 김주연 비평문학의 미학적 이상향을 규명한다. ‘주체의 인식’은 주체가 ‘상황’을 인식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논리이다. 김주연의 비평 논리에서 문학작품의 ‘상황’은 정치적·사회적·관습적 현실관념과 일응되는 것이 아니며 작가(시인)의식이 반영된 ‘현실’임을 기본적인 전제로 한다. 김주연의 비평문학에서 ‘현실’ 개념은 세 가지의 지시의미를 지니며, 각각ⅰ) 물적 현실 ⅱ) 의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 ⅲ) 무의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을 뜻한다. ‘현실’의 지시의미가 물적 현실을 제외하고 모두 주체와 관련된 ‘인물’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김주연의 인식론은 ‘타자와의 자기관련성’이 핵심을 이룬다. 주체의 상황 인식은 ‘무의식적·억압적 관계’를 맺고 있는 타자와의 관계가 의식화되는 계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상황인식’으로의 변화가 논해진다. 새로운 상황인식이란 ‘무의식적·억압적 관계’에서 초탈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를 삶 속에서 보다 깊이 수락하는 ‘초월’을 의미한다. ‘문학론’은 ‘인식의 형상화’에 관한 논의로 타자성을 인식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 대한 비평논리이다. ‘묘사의 일반성’과 ‘묘사의 보편성’을 통해 ‘시적 자아’와 ‘시적 대상’이 일치되는 미적 이상향을 지향한다. 한편, 김주연 문학비평방법론의 중추를 이루는 인식론에 있어서 ‘객체’와의 합일을 이룰 수 없는 인식의 한계를 인정함과 동시에 인식을 넘어 묵시를 지향하게 된다.

      • 셰익스피어 희곡 <햄릿>의 음악적 서사 표현 연구 : 리스트의 교향시 <햄릿>과 차이코프스키의 환상서곡 <햄릿>을 중심으로

        박은송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희곡의 서사가 음악으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서 동일한 희곡을 표제로 삼은 리스트의 <Hamlet, Symphonic Poem No. 10>과 차이코프스키의 <Fantasy Overture ‘Hamlet’ Op. 67a>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희곡 <햄릿>의 장면 분석을 일차적으로 진행하고, ‘인과관계’와 위베르스펠트의 ‘행위소 모델’을 적용하여 여섯 개의 주요 장면을 분석하였다. 이후 희곡의 서사와 악식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리스트와 차이코프스키가 각기 세익스피어의 희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햄릿의 여섯 개의 주요 장면들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두 작품은 모두 희곡 <햄릿>의 서사에 기초하여 희곡의 외적 스토리, 인물의 내적갈등, 희곡의 분위기와 시·공간을 음악으로 묘사하였지만 두 작곡가의 음악적 서사 표현 방법은 상이하였다. 리스트는 음악의 기본적인 틀인 형식보다 희곡의 서사를, 차이코프스키는 희곡의 서사보다 음악의 구조와 형식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리스트는 음악의 구조적인 틀을 무시한 채 자유롭게 음악적 서사를 전개하였고, 차이코프스키는 소나타 형식이라는 음악의 구조적인 틀 안에서 음악적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처럼 동일한 시대, 동일한 희곡을 보고 쓴 표제음악임에도 결과는 교향시 <햄릿>과 환상서곡 <햄릿>으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두 작곡가의 성장 배경, 문화적 배경, 개인적 성향 등과 관련 있으므로 그들의 삶과 성장과정을 함께 탐구하는 것은 작품 분석의 실마리를 찾게 해준다. 음악을 하나의 기호로 여긴 본 연구는 희곡 <햄릿>의 드라마를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두 음악의 구조와 서사에 대한 분석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행위소 모델을 통한 희곡 분석은 인물들 간의 내재적 관계와 극적 행위의 진행 흐름을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작품의 통합적 이해를 돕고 음악 분석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고찰이 음악과 대본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승효과를 내야하는 음악극을 창작하는 작업에 의미 있는 참고 사례가 되길 바란다.

      •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박은송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목표 언어의 모어 화자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을 갖추기 위해서는 목표 언어의 발음, 문법, 어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용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와 사용능력까지 수반되어야 한다. 호칭어는 언어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는 영역으로, 해당 언어의 사회언어적 규칙(sociolinguistic rules)을 제대로 이해하고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적절한 호칭어 사용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심지어 해당 언어의 모어 화자와의 의사소통에서 실패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호칭어의 사용에 관여하는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신장을 위해서는 올바른 호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호칭어 교육이 상대적으로 미진하다는 점을 문제제기로 삼았다. 특히 여러 호칭어 유형 중에서도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호칭어의 개별형태와 각각의 사용규칙을 분석하여 제시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그 중에서도 현대 한국사회에서 호칭어로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성+이름+씨’('LN+FN+ssi'), ‘이름+씨’('FN+ssi'), ‘성+이름+님’('LN+FN+nim'), ‘이름+님’('FN+nim'), ‘직위+님’('title+nim'), ‘성+직위+님’('LN+title+nim'), ‘성+직위’('LN+title')의 의미와 용법을 비교, 분석할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의 의미와 사용조건을 검토한 후, 사회언어학적 방법론(sociolinguistic methodology)에 따라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하여 호칭어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의 사용규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이 사용되는 호칭어 유형은 크게 직위결합형 호칭어와 이름결합형 호칭어로 구분되는데, ‘씨’는 이름결합형 호칭어로만, ‘님’은 이름결합형 호칭어와 직위결합형 호칭어 양쪽으로 사용된다. 직위결합형 호칭어의 개별형태는 ‘직위+님’, ‘성+직위+님’, ‘성+직위’ 세 가지이며, 이름결합형 호칭어의 개별형태는 ‘성+이름+씨’, ‘이름+씨’, ‘성+이름+님’, ‘이름+님’ 네 가지이다. 이들 호칭어의 의미와 용법을 존대, 친밀감, 격식성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일반적인 사용규칙을 정리할 수 있었다. 직위결합형 호칭어의 존대 정도는 ‘직위+님’, ‘성+직위+님’, ‘성+직위’ 순서로 낮아지며, 상대방의 나이와 직위가 높을수록 존대의 정도가 높은 호칭어 형태를 사용한다. 직장과 같이 직위가 나이에 우선하는 곳에서는 일반적으로 직위 순으로 존대의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낮은 직위이면서 연상인 상대방에게 존대의 의미가 없는 호칭어의 사용이 어려울 경우, 특히 상대방이 10-20년 연상일 때는 ‘님’을 붙여서 호칭하며, 이때는 주로 ‘성+직위+님’으로 호칭한다. 직위결합형 호칭어 가운데 ‘직위+님’이 ‘성+직위+님’보다 친밀감의 정도가 높으며, ‘성+직위+님’과 ‘성+직위’는 업무관계에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친밀감이 낮은 편이다. 한편 격식성의 정도에서 본다면 직위결합형 호칭어의 세 가지 형태는 모두 업무 상황에서 주로 쓰이기 때문에 격식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름결합형 호칭어의 존대 정도는 ‘씨’가 붙은 형태의 호칭어가 ‘님’이 붙은 형태의 호칭어보다 낮다. 본래 직위명에 붙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님’이 이름 뒤에 붙어서 사용된 배경에는 ‘씨’의 존대 기능이 약화되어 그 자리를 ‘님’이 대신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이 동급 관계에 있거나 아랫사람이면 ‘씨’로 호칭해도 무방하나, 윗사람에게는 ‘씨’의 사용이 부담스럽게 느껴져서 ‘님’을 사용하여 호칭한다. 친밀감에 있어서 성과 이름을 모두 부르는 경우보다 성을 붙이지 않고 이름만 부르는 형태가 친밀감이 높다. 즉 ‘성+이름+씨’, ‘성+이름+님’보다 ‘이름+씨’, ‘이름+님’이 친밀감의 정도가 높은 호칭어이다. 이름결합형 호칭어의 친밀감과 격식성은 비슷한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즉 성을 붙이지 않은 형태가 성을 붙인 형태보다 격식성이 더 높다. 그러나 친족명사형 호칭어(kinship terms/kinship addressing)나 ‘이름+아/야’('FN+a/ya')에 비해 ‘씨’와 ‘님’이 결합된 이름결합형 호칭어는 상대적으로 격식적인 호칭어이다. 친족명사형 호칭어와 ‘이름+아/야’는 친밀감이 극대화된 호칭어로,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호칭 접미사 ‘씨’와 ‘님’을 포함하여 한국어의 다양한 호칭어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성격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호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한국인과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고도의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더욱 많은 후속 연구들이 나와서 한국어의 다양한 호칭어들을 더 구체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사용규칙을 정립하는 것이 호칭어와 호칭어 교육 연구 분야의 과제이다.

      •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화 및 우선순위

        박은송 공주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general, curricula for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development models, academic skill approaches, and functional curricula. Although these curricula have been traditionally applied to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ndicated these curricula were not suitable to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ecological approaches as a way to substitute or complement these curricula. Ecological approaches are designed to have the students prepared so that they can live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in diverse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s in the communities where they live. To this end, the skills necessary for each of the students to live in his/her home, school, and community shall be first selected and taught to them in actual environments. The actions required to achieve this purpose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curricula areas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territorialized; second, the ecological inventories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all be prioritized; third, the ecological inventory areas and priority inventorie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presen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3 persons selected from teacher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ve sound knowledge of the curricula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ents, workers in organizations relat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s by group was as follows; 110 teachers (27.3%), 110 parents (27.3%), 87 workers in organizations relat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21.6%), 96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3.8%).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ecological inventory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consisting of 96 questions in four areas including leisure/entertainment (14 questions), housework/home (44 questions), community (21 questions), and occupation (17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e-mails, mail, and personal visits, and were collected in the same method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 and the AMOS 7.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the ecological inventory area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ere indicated to be 18 inventories in the area of home/housework; 16 inventories in the area of occupation; 20 inventories in the area of community; 8 inventories in the area of hygiene; 11 inventories in the area of leisure; and 9 inventories in the area of safety. Second, the priority inventorie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a, within each of the areas and for all the area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y inventor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 were indicated to be hygiene; safety; ; leisure; community; and home/housework in this order of precedence. Third, and in conclusion, the authors six ecological inventory areas to develop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nd also schematized and presented the priority inventories by ecological inventory area, within each of the areas and for all the areas thereby proposing a frame for developing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생태학적 목록을 영역화하고, 교수목표를 결정하기 위해 교육과정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목록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중도 지체장애학생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지체장애학교 교육과정 구성과 관련이 깊은 네 그룹 즉, 지체장애학교 교사, 학부모, 지체장애 관련 기관 종사자 및 성인 지체장애인으로 총 403명을 목적표집 방법에 의해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에 관한 조사지」로서, ① 여가/오락(14문항), ② 가사/가정(44문항), ③ 지역사회(21문항), ④ 직업(17문항)의 4개 영역 9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12.0 for Windows)와 AMOS(v.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태학적 목록의 영역과 우선순위는 위생 영역(8개), 안전 영역(9개), 직업 영역(16개), 여가 영역(11개), 지역사회 영역( 20개), 가정/가사 영역(18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학적 목록의 전체 우선순위는 ‘대소변 처리하기’, ‘몸의 청결 유지하기’, ‘화장실 사용하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어른에게 알리기’, ‘양치하기’, ‘세수하기’, ‘안전 규칙 지키기’, ‘응급/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옷 입기/벗기’, ‘성적인 학대 피하기/알리기’ 등의 순으로 위생 영역과 안전 영역의 생태학적 목록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본다면, 중도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위생 영역과 안전 영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동료모델링이 정신지체 학생의 생활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박은송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er-modelling study through video media on learning of life skil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second, to identify in which aspects (perception, definition and fun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life skills) the peer-modelling is more effective in learning life skill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15 students, who are in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onsisting of three groups; subject group 1(5 students), subject group 11(5 students) and control group(5students). Three programs of functional life-centered guidance programs issued by the National special Education Board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tents edited in a videotape centering around the chosen programs were displayed to the subject group I and n, and general class types were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peer-models used in the programs were male students in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ere the subject students are in for the subject group I and male students of same age in a general middle school for the subject group Ⅱ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eer-modelling study using video media on learning of life skil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etween three groups. Thus, the difference between models had no effect on learning. 2.In the effect that the used programs had, the modelling groups( subject group I and 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3.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aspects of life skill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s used. 4.The life skill guidance progra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life skills of students who are in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5.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n learning of life skills through video media was high, particularly, in the functional aspe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reshness rather than familiarity to model had more effect, that the life skill guidance programs using video media were more effective in learning life skills than general class types, and that the education using videotapes has more effect on the functional aspect because it contained more dynamic contents than a static educa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groups used in the study may not hav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because of short period of study and a small number of population.

      • 연극영화학과 대학 입학 실기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연기 전공을 중심으로

        박은송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o less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very first undergraduate department of theatre and film was established in South Korea. However, the typical format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s lasted for years with almost no major changes. Contrary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 aspire to study theatre and film, the format and the number of day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re limited in nature. The pressure to show a lot about their talent in such a short amount of test time makes it hard for the applicant students to learn the basic skills for acting. They just memorize and repeat their assigned monologue over and over again, just like a machine. Unfortunately, however, even this simple strategy often fails when there is any unexpected variable on exam day. As described so far,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ften fails to differentiate the acting levels of students in a reliable manner, which is why luck, not skill or talent, is said to be what matters most in preparing to enter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So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to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has been fairly heightened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going on about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the fundamental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are getting worse as th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gets fiercer in general. Since the subject of theatre has been adopted as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f South Korea since 2018 and so more students now can pursue their acting career earlier on, the problems of the practical test taken to enter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need to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Otherwise, it is very likely that the current situation will lead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education of real acting skills and that of fake ones that are just for preparing for practical tests. Ku’s argument claims that one of the most notable changes in the 2015 Korea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is the heightened status of theatre education(3). And this suggests that South Korea’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o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which is currently problematic, should be brought back into the spotlight and closely discussed by the public. This research has tried to move its focus beyond the simple issues found in the types of assessment to the limitations and other practical problems of practical tests under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to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in South Korea and thereby analyze the causes. In terms of the three main function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hich are the functions of education, selection, and socialization, this research has looked into the problems foun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o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and has mad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m by examining some overseas exemplary cases. This research aims to make contributions to reforming the way a practical test is done under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o the theatre and film department in South Korea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st, and thereby it is hoped that in the near future the practical test can serve the role of a stepping stone connecting between the theatre education integrated into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since 2018 and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theatre and film. 연극영화학과가 최초로 설립된 후 약 60여 년이 흘렀다. 하지만 입시 시험의 유형은 큰 변화 없이 수년 간 이어져 오고 있다. 연극영화학과 입시생의 수는 늘어가지만, 입시 유형이나 시험 일수는 한정적이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으로 많은 입시생이 입시를 준비하는 곳에서 정작 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독백이 정해지면 기계처럼 그것을 수백 번 수천 번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이조차도 시험 당일에 혹시 모를 변수가 생기게 되면 오랜 시간 준비해 온 소중한 기회를 놓치게 된다. 시험의 변별력이 떨어지고 합격의 기준을 알 수 없어 연극영화학과 입시는 실력이 아니라 운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국내 연극영화학과 입시 시스템에 대한 문제 제기는 많이 언급되고 있지만,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와 시도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반면, 교육 현장과 입시 현장에서 일어나는 근본적인 문제는 입시 경쟁률이 높아질수록 더욱 극대화되고 있다. 2018년부터 연극이 중등 교육 과정에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되면서 연극교육의 폭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이 연극영화학과 입시 실기시험의 문제점들은 속히 해결돼야만 한다. 연기 교육과 연기 입시 실기시험을 위한 교육이 서로 별개의 것이 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구민정은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연극의 교육적 위상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것이다(3).”라고 말했다. 이처럼 연극의 교육적 위상이 높아진 중요한 시기에 연극영화학과의 입시시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연극영화학과 입시 실기시험의 문제점을 평가 유형에만 국한하지 않고 국내 입시제도에서 발생하는 연극영화학과 입시실기 시험의 한계점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입시의 세 가지 기능인 교육의 기능, 선발의 기능, 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연극영화학과 입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 연극영화학과 입시실기 시험의 모범사례를 통해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국내 연극영화학과 입시 실기 시험이 2018년부터 시행된 정식 교과목으로의 연극 교육과 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의 연극 교육을 연결하는 징검다리가 될 수 있도록 시험의 유용성과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국내 연극영화학과 입시 실기시험을 개혁하는 일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 부부갈등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박은송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행동이 부부갈등과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부부갈등의 해소 및 부모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양육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부갈등이 부모의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만 5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수도권 내에 거주하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40명이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 카이제곱을 산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부모의 양육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부부갈등이 많을수록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행동 중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가 감소하고,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부모의 양육행동 중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는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거부적 태도는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제적 태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부갈등은 부모의 양육행동을 완전매개로 하여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부부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올바른 양육행동 및 부모역할에 대한 부모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on marital conflict and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Specific study questions related to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parents affect parenting behaviors? Second, how do parenting behaviors affect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Third, how does marital conflict affect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through mediation of parenting behaviors? A total of 240 paren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5 were selected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Cronbach alpha coefficients and chi-square,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among the parenting behaviors, affectionate attitudes and autonomous ones were influenced negatively by marital conflict, and rejecting ones and controlling ones were affected positively by marital conflict. Second, among the parenting behaviors, affectionate attitudes and autonomous ones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rejecting ones had negative effects on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controlling on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Third, it was found that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by completely mediating by parenting behavior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resolving marital conflict and programs on proper parenting behaviors for increasing emotion regul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