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 동결 정자의 apoptosis, oxidative stress, DNA integrity에 관한 연구

        김수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impact of freezing-thawing process on apoptosis, oxidative stress and DNA integrity in addition to sperm conventional parameters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sperm separation techniques (Glass wool [GW] filtration and Percoll density gradient [PDG] centrifugation) on removal of cryo-damage in canine sperm. And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sperm conventional parameters (progressive motility, viability and abnormality) and advanced parameters (membrane integrity, apoptosis, ROS production and DNA integrity), and correlations among advanced parameters. Five healthy and sexually mature dog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semen was obtained by digital manipulation, cryopreserved and thawed. After thawing of cryopreserved semen, sperm conventional parameters such as sperm motility, viability and morphological defects were evaluated for comparison with fresh semen. Sperm membrane integrity (HOS test and 6-CFDA/PI fluorescent test), apoptosis (Annexin V [AN]/PI assay),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DCFDA/PI assay) and DNA integrity (SCSA) were also evaluated before and after freezing-thawing process. And thawed semen was treated by sperm separation techniques using glass wool and Percoll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m on removal of cryo-damaged sperm, and was also evaluated like the preceding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H₂O₂ stimulation test and recovery rate were evaluated in treated samples. Freezing-thawing process decreased motility, viability, normal morphology and membrane integrity in canine sperm as previously reported (p < 0.05). This process also decreased AN-/PI- sperm, and increased apoptotic index,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of viable sperm and DNA fragmentation (p < 0.05). In the correlations among parameters,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PI-, CFDA+/PI- and HOST responsive sperm,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poptotic index and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of viable sperm. Abnormal morpholog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PI+ sperm and apoptotic index,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FDA+/PI- and HOST responsive sperm. The sperm samples treated by GW filtration after thaw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perm motility, viability, normal morphology, membrane integrity and AN-/PI- sperm compared with whole samples (before filtration) (p < 0.05). In basal ROS level of viable sperm fraction, the GW filtrated sampl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sperm with high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and MFI value compared with whole samples, whereas PDG centrifuged samples jus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MFI value compared with whole samples (p < 0.05). When H₂O₂ stimulation was given in two separation groups, PDG centrifuged viable spermatozo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creasing rate in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compared with GW filtrated viable spermatozoa (p < 0.05). DNA fragment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hole and the two sperm treatments (p > 0.05). The recovery rate of progressive motile, viable, CFDA+/PI-, AN-/PI- and DCF-/PI- sperm was higher in GW filtrated samples than PDG centrifuged samples (p < 0.05). In the correlations among parameters,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FDA+/PI- and HOST responsive sperm,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PI+ sperm. In particular, viability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sperm with high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of viable sperm fraction. Abnormal morphology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all advanced parameters. In the correlations among advanced parameters, increase in apoptotic index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rease in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of viable sperm, but not correlated with the others. Increase in intracellular H₂O₂ level of viable sperm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rease in DFI,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rease in HOST responsive sperm. In conclusion, the freezing-thawing procedure significantly affects membrane integrity, apoptosis, ROS production and DNA integrity as well as conventional parameters in canine semen.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se parameters be used as an additional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of sperm quality after freezing-thawing in canine semen. And these cryo-damages can be improved by treatment of GW filtration after freezing-thawing. It is considered that GW filtration may rather lower the risk of selecting sperm with abnormal function for ART. 이 연구는 개의 정액에서 동결이 일반적인 정자성상 뿐만 아니라 apoptosis, 산화적 스트레스, DNA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으며 동결·융해 후 glass wool (GW) 여과와 Percoll density gradient (PDG) 원심분리법과 같은 정자처리기법이 동결 손상된 정자의 제거에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정자성상과 정자 세포의 apoptosis, 산화적 스트레스, DNA integrity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자에 대한 기존의 일반 성상 검사를 포함하여 정자 핵 및 정자막의 손상과 대사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여 그 결과 생존성과 수정능력이 높은 정자를 선별하는 기초자료 및 선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서 5 마리의 성견 (Beagle 4 두, 슈나우저 1 두)을 사용하여 수지법으로 정액을 채취하였고 채취한 정액은 Sweden 배지를 이용하여 동결하였다. 정자의 동결전과 동결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자 운동성, 생존성, 기형율과 같은 일반적인 정자성상 검사를 수행하였고 정자 세포막의 온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HOS test와 6-CFDA/PI fluorescent test를, apoptosis를 조사하기 위하여 Annexin V (AN)/PI assay를, 세포 내 H₂O₂ 수준 조사를 위하여 DCFDA/PI assay를, 그리고 DNA 온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CSA와 같은 검사들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융해된 정액은 생존성과 정상형태율이 높은 정자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glass wool과 Percoll 처리 후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정자들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개 정자의 동결-융해 과정은 정자의 운동성, 생존성 및 세포막의 온전성을 감소시켰으며 기형율을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p < 0.05). 또한 동결 및 융해 후 동결 전 희석정액에 비해 AN-/PI- 정자의 감소가 나타났고, 정자의 apoptotic index와 살아있는 정자의 세포 내 H₂O₂ 수준 및 DNA fragmentation의 증가가 나타났다 (p < 0.05). 평가인자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개 정자의 전진 운동성과 생존성은 AN-/PI-, CFDA+/PI- 그리고 HOST 반응 정자들과 positive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apoptotic index와 살아있는 정자 중 높은 H₂O₂ 수준을 가진 정자율과는 negative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형율은 AN+/PI+ 정자, apoptotic index와는 positive 상관관계, CFDA+/PI- 및 HOST 반응 정자들과는 negative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융해 후 GW 여과에 의해 처리된 정자는 처리하지 않은 정자보다 운동성, 생존성, 형태학적 정상 정자율, 세포막 온전성 그리고 AN-/PI- 정자율에서 증가를 나타냄으로써 이 방법을 통해 더 양호한 정자를 선별할 수 있음이 인정되었다 (p < 0.05). 세포 내 H₂O₂ 수준 검사 결과, H₂O₂로 자극하지 않은 경우, GW 여과된 정자는 대조군에 비해 살아있는 정자에서 높은 수준의 H₂O₂를 가진 정자율 및 Mean Fluorescence Intensity (MFI)에서 감소를 보였으며 (p < 0.05), PDG 원심분리된 정자도 대조군에 비해 MFI에서 감소를 보였다 (p < 0.05). GW 및 Percoll 처리군을 H₂O₂로 자극하였을 경우, PDG 원심분리된 정자는 GW 여과된 정자에 비해 높은 H₂O₂ 증가율을 보였다 (p < 0.05). 그러나 GW 및 PDG에 의해 처리된 정자의 DNA fragmentation율은 대조군의 DNA fragmentation율과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정자 처리 후 전진 운동성, 생존성, CFDA+/PI-, AN-/PI- 및 DCF-/PI- 정자의 회수율 비교에서, GW 여과군은 PDG 원심분리군보다 정자수의 높은 회수율을 보임으로써, GW 여과군은 PDG 원심분리군에 비해 전진 운동성, 생존성, 세포막 온전성, apoptosis, ROS 평가에서 더 양호하며 더 많은 수의 정자를 회수할 수 있음이 인정되었다 (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인자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개 정자의 전진 운동성과 생존성은 CFDA+/PI- 및 HOST 반응 정자들과 positive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AN-/PI+ 정자와는 negative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존성은 살아있는 정자 중 높은 수준의 H₂O₂를 가진 정자율과도 negative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poptotic index의 증가율은 살아있는 정자의 H₂O₂ 증가율과 positive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살아있는 정자의 H₂O₂ 증가율은 DNA fragmentation index (DFI) 증가율과 positive 상관관계를, HOST 반응 정자 증가율과는 negative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동결-융해 과정은 개 정액의 일반적인 정자 성상뿐만 아니라 정자 세포막 온전성, apoptosis, ROS 생성 및 DNA 온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자의 핵 상태 및 대사기능을 판정하는 방법들은 동결·융해 후 정액의 질을 평가하고 정자의 생존성과 수정능력을 판정하는데 보다 정확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정자의 동결 손상은 동결-융해 후 GW 여과 처리에 의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체외수정 및 ICSI와 같은 번식공학에 적용시 보다 생존성과 수정능력이 높은 정자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자의 핵 상태와 대사기능의 변화를 조사한 최초의 보고로서 향후 적절한 동결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개 동결정액의 수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자 처리방안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현대일본어에 있어서의 경어운용 분석 : 일본어 상용문을 대상으로 하여

        김수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어표현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상호 존중에 근거한 상대방이나 장면에 배려해 구별하여 쓰는 말투를 의미한다. 경어의 역할은 사람이 언어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의사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 할 때 단순히 그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나 주위의 사람과 스스로와의 인간관계?사회관계에 대한 마음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이다. 동시에 경어는 언어를 사용하는 그 장면의 상황에 대한 다른 사람의 마음을 표현하는 경어표현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어는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이나 주위 사람과 자기 자신 사이의 인간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 가를 표현하는 작용을 갖는다. 경어는 평소에 주의 깊게 말하면 사회생활이나 인간관계의 다양화가 깊어지는 일본어사회에 있어서 사람과 사람이 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확실한 인간관계를 구축해 가기 위해 현재도 미래도 경어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 한국어의 경어는 장면이나 인칭에 관계없이 일정한 경어로 나타나는 절대경어(絶對敬語)라면, 일본어의 경어는 상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어의 경어란 언어의 한 형태로서 좁은 의미로는 표현주체가 상대 혹은 화제의 인물을 경어의 대상으로서 생각한 경우에 이용되는 언어형식을 말하는 것이며, 넓은 의미로는 경의를 가지든 그렇지 않든 모든 대인관계에 있어서 사용되는 장면이나 인칭의 상호관계에 따라 경어사용이 달라지는 상대경어(相對敬語)이다. 이렇듯이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표현은 다양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경어의 사용이란 韓?日 양국의 언어생활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경어를 바르게 사용함으로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本稿에서는 우선, 경어의 대표적인 학자들이 제시한 경어분류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文化?의 『敬語の指針』를 중심으로 경어의 입장을 살펴보고 『敬語の指針』의 5분류에 중심을 둔 일본어 비즈니스 상용문을 분석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경어를 고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경어표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의 경어의 올바른 지도법으로 학습자를 지도하기 위한 것이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경어 교육의 개선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 차이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어는 상대가 높은 사람이라고 생각되면 모두 높이는 것이 원칙인 절대 경어지만, 일본의 경어는 자신의 사람이냐, 외부의 사람이냐에 따라 경어 쓰임이 달라지므로 이러한 현상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둘 째, 일본어의 경어는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경어의 사용으로 인해 인간관계?사회관계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경어의 인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해야 할 것이다. 셋 째, 경어의 기본 어휘에 속하는 「いらっしゃる」「おっしゃる」「召し上がる」「なさる」「くださる」「ご?になる」「伺う」「いただく」「?る」「申す」「おる」「いたす」「?見する」 등을 암기하여 적극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표현들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사용함으로서 경어를 이해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 째, 기본적인 경어 어휘를 이해하고 심화학습으로 나아가 경어를 집중적으로 연습하면 일본인과의 대화에서는 물론이고 일본 비즈니스 업무상에서의 문서 작성을 할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 째, 현장에서 강의하는 경험에 의하면 학생들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 경어 표현이라고 자주 들어 왔는데,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일본어의 경어에 대한 지식을 넓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ACT 기반 가치명료화 집단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화병 증상, 분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김수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ACT를 기반으로 한 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화병 증상, 분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가자들은 화병 증상을 호소하는 40세 이상의 여성들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 집단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ACT 기반 가치명료화 집단은 8주 동안 주 1회, 2시간 씩 참여 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화병 증상 척도,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심리적 안녕감, 가치로운 삶의 지수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추후 8주가 지난 시점에서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에 한하여 추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CT 기반 가치 명료화 집단은 화병 증상, 상태분노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추후 평가에서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분노억제, 심리적 안녕감 및 가치로운 삶의 지수는 평균의 변화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성 분노는 평균과 통계적 효과에서 모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ACT 기반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중년 여성들의 화병증상과 상태분노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논의 부분에서는 ACT 기반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용어: 화병, 분노, 삶의 질, ACT 기반가치 명료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on Hwa-Byung symptoms, anger, and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 middle aged women with Hwa-Byung symptoms and they were divided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each 10 person.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or 8 weeks which consists of once a week two hour session on treatment gro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the Hwa-Byung symptom scale, the STAXI-K, the PWBS, and the VLQ were administered(pre/post) 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8-weeks the follow-up assessment were administered only to treatment group to examine if the effect persi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wa-Byung symptoms and state anger scores of treatment group were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ere maintained at 8-week follow-up. The scores of suppressoin of ang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LQ were chang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re was no change in the level of trait anger This study showed that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produced significant reductions in Hwa-Byung symptom and state anger. The usefulness of ACT-baced value clarification group program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신라 문양전 연구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김수희 경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Silla Design Brick - Centering on Gyeongju Region - Kim, Su - Hee Department of Resources Studies The Graduate School Gyeong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ang, bong won) (Abstract) Our country's brick was manufactured and used mainly from three kingdoms period, by being influenc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China's Hansagun. Through the period of Guknae castle in Goguryeo and the period of Hanseong in Baekje, the brick in the early days can be examined. What the brick came to ente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can be said to be around 2nd~1st century when Hansagun was installed. Along with the spreading i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roof-end tile, it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our country's architectural culture and residential life. The manufacturing technique in brick and the method of stamping design in three kingdoms period were progressed with similar stage to Korea's traditional roof-end tile. It was confirmed to be consistent in several aspects. The technique at that time can be presumed through the excavated relics. With ente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colorfully brick culture comes to be blossomed by absorb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brick in Goguryeo and Baekj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plore its value and to examine about the process of a change in design brick, which is estimated to be pavement brick, by researching into brick, which had been used as the architectural sub-material along with roof-end tile in building architecture from the old times. Especially through a research on Simun(施文:carving design) technique in design brick, which was excavated in Gyeongju, it analyzed and inquired into each attribute, thereby having been able to obtain the following decisions. First, a fact that the design brick was manufactured and used even in Silla region during three kingdoms period was proved by the excavated relic. Second, a method of stamping the upper design of the excavated brick in Gyeongju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e mould for roof-end tile and the mould for brick. The mould for roof-end tile had been used from three kingdoms period up to unified Silla period. The mould for brick is estimated to have been used from the late 7th century when the brick had been manufactured and started to be used in earnest due to building Silla's royal capital and temple. Third, the design, which had been prevailed the most in the design material during ancient Silla period, is lotus design. The floral medallian is carved design as the material that had not been seen in ancient Silla period when is the previous period, along with the use of the mould for brick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brick of floral medallian can be seen to be characteristic that is indicated in the design bric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Simun(施文:carving design) technique in ancient design brick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Simun technique in Korea's traditional roof-end tile. Owing to the use of mould for brick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design brick comes to be independently developed in light of design.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김수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an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ppeared by sex and how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ppeared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in each sub-sca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by young children’s sex.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i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ppear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sex? 2. How di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ppear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sex? 3. How di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ppear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in each sub-sca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young children’s sex? 3-1. How did teachers’ perceptions on conflicting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appear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sex? 3-2. How did teachers’ perceptions on close relationships to young children appear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sex? 3-3. How did teachers’ perceptions on dependant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appear and were there any differences by sex?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1 young children aged five (143 boys and 138 girls), attending 11 classes of eight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aejeon. The averaged age of the children was 61 months (61 months for boys and 62 months for girls). To measure teacher-child relationships,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 developed by Pianta (2001) and translated by Dan (2011), was used. And the 'Teacher's Skill Checklist,' developed by McGinnis and Goldstein (1990) and translated by Yu(2010), was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From collected data, the mean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calculated. And t-tests were performed to test any differences by sex. To test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sex, F-tests with LSD post-hoc tests and t-tests were performe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ir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to be low in conflict, high in closeness, and medium in dependency. Regarding difference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sex, teachers perceived conflicting relationships to be higher with boys than girls, close relationships to be higher to girls than boy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dependent relationships. Secon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above average. Regarding the sub-scales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friendship-making skills was found to show the highest mean, followed by the school-related skills, dealing with stress, dealing with feeling, beginning skills, and alternatives to aggressi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higher in girls than boys (p<.001).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conflicting relationships were found i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on the whole and in all the sub-scales including beginning skills, school-related skills, friendship-making skills, dealing with feeling, alternatives to aggression and dealing with stress (p<.001). Regarding the differences by sex, young children of the ‘medium’ conflicting group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on the whole (p<.05) and in the sub-scales of school-related skills (p<.01) and dealing with stress (p<.01). Significant differences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close relationships were again found i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on the whole and in all the sub-scales including beginning skills, school-related skills, friendship-making skills, dealing with feeling, alternatives to aggression and dealing with stress (p<.001). Regarding the differences by sex, young children of the ‘medium’ close group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sub-scales of school-related skills (p<.05) and dealing with stress (p<.05). Young children of the ‘low’ close group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sub-scales of school-related skills (p<.05), friendship-making skills (p<.05), and dealing with stress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dependent relationships were found i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on the whole and in all the sub-scales. Regarding the differences by sex, however, young children of the ‘high’ dependent group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sub-scales of dealing with feeling (p<.05) and dealing with stress (p<.05). Young children of the ‘medium’ dependent group also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on the whole (p<.01) and in the sub-scales of school-related skills (p<.001), friendship-making skills (p<.01), alternatives to aggression (p<.05), and dealing with stress (p<.001). Finally, young children of the ‘low’ dependent group showed differences by sex in their pro-social behaviors in the sub-scales of school-related skills (p<.05), friendship-making skills (p<.05), and dealing with stress (p<.05).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며, 교사-유아 관계의 각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그 경향성과 성차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유아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2.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 교사-유아 관계의 각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1.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2.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3.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사립 유치원 11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81명(남아: 143명, 여아: 138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61개월(남아: 61개월, 여아: 62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ianta(2001)가 제작한 교사용 교사-유아 관계 평가(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단현국(201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평정하기 위하여 McGinnis와 Goldstein(1990)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정 척도(Teachers Skill Checklist)를 유은정(201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성차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지각 정도와 성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과 사후 검증(LSD),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교사-유아 관계에 대해 갈등은 낮고, 친밀감은 높고, 의존은 보통 정도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관계에서의 성차는 교사가 여아보다 남아와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남아보다 여아와 더 높은 친밀감을 느끼며, 남아와 여아의 의존 정도는 비슷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을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친구관계 기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관 적응 능력, 스트레스 다루기, 감정 다루기, 사회생활 기본 능력,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서의 성차는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셋째,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서의 성차는 갈등이 ‘높음’ 집단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집단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p< .05)와 하위 요소 중 기관 적응 능력,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적응 능력: p< .01, 스트레스 다루기: p< .01.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서의 성차는 친밀감이 ‘높음’ 집단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집단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요소 중 기관 적응 능력,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적응 능력: p< .05; 스트레스 다루기: p< .05. ‘낮음’ 집단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요소 중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적응 능력: p< .05; 친구관계 기술: p< .05; 스트레스 다루기: p< .05.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서의 성차는 의존이 ‘높음’ 집단의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요소 중 감정 다루기,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다루기: p< .05; 스트레스 다루기: p< .05. ‘보통’ 집단의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p< .01)와 하위 요소 중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적응 능력: p< .001; 친구관계 기술: p< .01;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p< .05; 스트레스 다루기: p< .001. ‘낮음’ 집단의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요소 중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적응 능력: p< .05; 친구관계 기술: p< .05; 감정 다루기: p< .05.

      • 가야금 산조의 유파에 관한 연구 : 김창조 계열 산조를 중심으로

        김수희 圓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melodic relations between Kim Chang-jo, who is recorded as the pioneer in Gayageum Sanjo in a modern sense, and Kim Juk-pa, Kim Byeong-ho, Ghang Tae-heung, and Choi Ok-sam, who are known to be in his line. While it can be defined differently , a theme melody in Western music generally refers to the vital being that determines differentiation and unity among pieces, the ground for development, and so on. In other words, no musical piece can be created without a theme melody. When the general logic of this "theme"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anjo, it is doubted that the types of Sanjo after Kim Chang-jo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line. The doubt about the strong homogeneity between Kim Chang-jo and Sanjo after him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ong with empirical facts I naturally acquired through performance over several decades and the analytical review of predecessors' works. In addition, Sanjo from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with Kim Chang-jo has his principal or central melodies be present as they are, or in a varied and expanded form, in each important passage throughout the structure of its framework; for this reason, it can contain the factors with different meanings in terms of content differentiation from that of Kim Chang-jo. Re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conceptual ambiguity of the so-called "school" by which masters make transmission to their disciples. In this stud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Kim Chang-jo's Sanjo and that of Kim Juk-pa, Kim Byeong-ho, Ghang Tae-heung, and Choi Ok-sam known to be in his line to identify similar-melody relations in a beat of pieces, and an attempt was made to find similar melodies on the basis of the primary melody, with microtones treated as Sigimsae excluded from the primary melody. Similar melodies also included identical and modulated ones, those in the octave relations, and those partially varied on the basis of the main tones. Since Kim Chang-jo's Sanjo is divided into Jinyangjo, Joongmori, Joongjoongmori, and Jajinmori movements, only the movements in these beats were addressed for the other Sanjos. As a result, Kim Juk-pa's Sesanjosi, Kim Byeong-ho's Eotmori and Danmori, Ghang Tae-heung's Sesanjosi, and Choi Ok-sam's Hwimori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between Sanjo of Kim Chang-jo's line and his Sanjo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in percentage: 1. Kim Juk-pa's Sanjo 22 beats (22%) out of 100 in Kim Juk-pa's Jinyangjo are similar to 23 beats (23.96%) out of 96 in that of Kim Chang-jo, 18 beats (28.13%) out of 64 in his Joongmori are similar to 18 beats (26.87%) out of 67 in that of Kim Chang-jo, 19 beats (44.19%) out of 43 in his Joongjoongmori are similar to 19 beats (34.55%) out of 55 in that of Kim Chang-jo, 23 beats (25.56%) out of 90 in his Jajinmori are similar to 24 beats (9.96%) out of 241 in that of Kim Chang-jo, and 64 beats (44.14%) out of 145 in his Hwimori are similar to 69 beats (28.63%) out of 241 in Kim Chang-jo's Jajinmori. 2. Kim Byeong-ho's Sanjo 21 beats (29.17%) out of 72 in Kim Byeong-ho's Jinyangjo are similar to 19 beats (19.79%) out of 96 in that of Kim Chang-jo, 10 beats (30.10%) out of 33 in his Joongmori are similar to 12 beats (17.91%) out of 67 in that of Kim Chang-jo, and 7 beats (38.88%) out of 18 in his Joongjoongmori are similar to 9 beats (16.36%) out of 55 in that of Kim Chang-jo. 43 beats (40.57%) out of 106 in his Jajinmori are similar to 30 beats (12.45%) out of 241 in that of Kim Chang-jo, and 28 beats (34.15%) out of 82 in his Hwimori are similar to 24 beats (9.96%) in Kim Chang-jo's Jajinmori. 3. Ghang Tae-heung's Sanjo 23 beats (24.47%) out of 94 in Ghang Tae-heung's Jinyangjo are similar to 14 beats (14.58%) out of 96 in that of Kim Chang-jo, 9 beats (15.52%) out of 58 in his Joongmori are similar to 7 beats (10.45%) out of 67 in that of Kim Chang-jo, and 7 beats (21.21%) out of 33 in his Joongjoongmori are similar to 7 beats (12.73%) out of 55 in that of Kim Chang-jo. 36 beats (14.88%) out of 242 in his Jajinmori are similar to 26 beats (10.79%) out of 241 in that of Kim Chang-jo, and 7 beats (11.11%) out of 63 in his Hwimori are similar to 14 beats (5.80%) in Kim Chang-jo's Jajinmori. 4. Choi Ok-sam's Sanjo 30 beats (35.71%) out of 84 in Choi Ok-sam's Jinyangjo are similar to 30 beats (31.25%) out of 96 in that of Kim Chang-jo, 13 beats (20.31%) out of 64 in his Joongmori are similar to 17 beats (25.37%) out of 67 in that of Kim Chang-jo, and 5 beats (16.67%) out of 30 in his Joongjoongmori are similar to 5 beats (9.09%) out of 55 in that of Kim Chang-jo. 18 beats (11.69%) out of 154 in his slow Jajinmori are similar to 15 beats (6.22%) out of 241 in Kim Chang-jo's Jajinmori and one beat in Joongjoongmori, and 16 beats (10.19%) out of 157 in his Jajinmori are similar to 22 beats (9.13%) in that of Kim Chang-jo. In conclusion, Sanjos in Kim Chang-jo's line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n their overall stream: First, they contain more identical melodies than similar ones in lower beats of Jinyangjo or Joongmori, with lots of identical melodies contained irregularly after Jajinmori. Second, each Sanjo shows the same melodic type as that of Kim Chang-jo in Jajinmori and Hwimori. Third, the melody that starts each movement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Kim Chang-jo. Fourth, the part similarly varied for each Sanjo is shown variously every movement. As analyzed above, Sanjos in Kim Chang-jo's line are dependent on his melodies and are tied to the contents of his "theme" melody. They only differ in the musical atmosphere by performers' emotions and Sigimsae, addition of new tunes and variation, and expression method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factual examples can also be found easily in other Sanjo genealogies of traditional music. It is a human limitation that even the same education contents at the same place in the same time frame are differently accepted by transmittees due to personal differences i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There is also no exception in interpretation of other types of art.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Kim Chang-jo's tunes are played in the original form or are varied, expanded, and arranged according to disciples' subjective views. This leaves some room for reconsidering the insistence on the independent concept of their own "school" in Kim Chang-jo's line. I also know that the analysis had partiality and incompleteness. The incompleteness is concerned with the degree to which the methodology can be proved in objective numerical values in terms of Sanjos in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with Kim Chang-jo, whether it is suggested by predecessors or by m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differentiation of Sanjo in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s insisted by predecessors can lead to doubt about the instructional value of oral transmission, including tradition and transmission, and their stay in Kim Chang-jo's melodies can lead to another doubt about the qualification of the seniors in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escape from confusion about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with Kim Chang-jo among current generation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mplement and correct this incomplete study. 본고에서는 근대적 의미에 있어서의 가야금 산조 효시로 기록되고 있는 김창조와 김창조 계열 산조로 알려진 김죽파, 김병호, 강태홍, 최옥삼의 선율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의가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서양음악에 있어서 주제 선율이란 악곡간의 차별화와, 통일성과 전개 전제의 바탕 등을 결정하는 생명적 존재를 의미한다 즉, 주제 선율 없이는 악곡 성립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주제>라는 일반적 논리를 산조의 전승과정에 적용할 경우, 김창조 이후의 산조들이 원류인 김창조와 차별화 되는 산조라고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창조와 이후 산조들 간의 긴밀한 동질성에 대한 의문은 논자가 수 십 년간의 연주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한 경험적 사실과 선고(先考) 분석검토와 더불어 본고에서의 연구결과로 얻어진 결론이다. 부언컨대, 김창조와의 사승관계(師承關係)에 있는 산조들은 그 산조 틀의 전체적인 구조로 살펴 볼 때, 김창조의 주요 선율 또는 중심 선율이 중요한 대목마다 그대로 존재하거나 혹은 변주, 확대되어 성립하는 것으로 이 이유로 인하여 김창조 산조와의 내용적 차별성에 관해 이의적(異議的)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승관계에 있었던 제자들이, 그들의 제자들에게 전승하고 있는 소위 <유파>라는 개념의 모호성은 재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의 차별성 여부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김창조 산조와 계열 산조로 알려진 김죽파, 김병호, 강태홍, 최옥삼 산조의 유사선율 관계를 악보에 기준하여 각 한 장단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시김새로 처리되는 미분음은 주선율에서 제외하고, 주선율을 토대로 하여 유사 선율을 찾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유사 선율은 동일한 선율인 경우와 변조(變調)된 선율인 경우, 옥타브 관계에 있는 경우, 주요 구성음을 기준으로 일부 변주된 경우의 선율형도 포함시켰다. 김창조 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악장으로 구분되므로 나머지 산조들도 이들 장단으로 연주되는 악장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즉 김죽파의 세산조시와 김병호의 엇모리, 단모리, 강태홍의 세산조시, 최옥삼의 휘모리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김창조 계열 산조와 김창조 산조의 유사성을 분석한 백분율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김죽파 산조 김죽파의 진양조 총 100장단 중 22장단(22%)이 김창조의 진양조 총 96장단 중 23장단(23.96%)과 유사하고, 중모리 총 64장단 중 18장단(28.13%)이 김창조의 중모리 총 67장단 중 18장단(26.87%)과 유사하며, 중중모리 총 43장단 중 19장단(44.19%)이 김창조의 중중모리 총 55장단 중 19장단(34.55%)과, 자진모리 총 90장단 중 23장단(25.56%)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총 241장단 중 24장단(9.96%)과 유사하며, 김죽파의 휘모리 총 145장단 중 64장단(44.14%)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241장단 중 69장단(28.63%)과 유사하다. 2. 김병호 산조 김병호의 진양조 총 72장단 중 21장단(29.17%)이 김창조의 진양조 총 96장단 중 19장단(19.79%)과 유사하고, 김병호의 중모리 총 33장단 중 10장단(30.30%)이 김창조의 중모리 총 67장단 중 12장단(17.91%)과 유사하며, 중중모리 총 18장단 중 7장단(38.88%)이 김창조의 중중모리 총 55장단 중 9장단(16.36%)과 유사하다. 자진모리 총 106장단 중 43장단(40.57%)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총 241장단 중 30장단(12.45%)과 유사하며, 김병호의 휘모리 총 82장단 중 28장단(34.15%)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24장단(9.96%)과 유사하다. 3. 강태홍 산조 강태홍의 진양조 총 94장단 중 23장단(24.47%)이 김창조의 진양조 총 96장단 중 14장단(14.58%)과 유사하고, 중모리 총 58장단 중 9장단(15.52%)이 김창 조의 중모리 총 67장단 중 7장단(10.45%)과 유사하며, 중중모리 총 33장단 중 7장단(21.21%)이 김창조의 중중모리 총 55장단 중 7장단(12.73%)과 유사하다. 자진모리 총 242장단 중 36장단(14.88%)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총 241장단 중 26장단(10.79%)과 유사하며, 강태홍의 휘모리 총 63장단 중 7장단(11.11%)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14장단(5.80%)과 유사하다. 4. 최옥삼 산조 최옥삼의 진양조 총 84장단 중 30장단(35.71%)이 김창조의 진양조 총 96장단 중 30장단(31.25%)과 유사하고, 중모리 총 64장단 중 13장단(20.31%)이 김창조의 중모리 총 67장단 중 17장단(25.37%)과 유사하며, 중중모리 총 30장단 중 5장단(16.67%)이 김창조의 중중모리 총 55장단 중 5장단(9.09%)과 유사하다. 늦은 자진모리 총 154장단 중 18장단(11.69%)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총 241장단 중 15장단(6.22%)과 중중모리 1장단과 유사하며 최옥삼의 자진모리 총 157장단 중 16장단(10.19%)이 김창조의 자진모리 22장단(9.13%)과 유사하다. 결론적으로 김창조 계열의 산조들은 전체적인 흐름에 있어서 첫째, 속도가 느린 진양조나 중모리 이후는 유사 선율보다 동일선율 비율이 높으며 자진모리 이후는 다수의 동일 선율이 불규칙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둘째, 자진모리, 휘모리에서는 김창조와 동일한 선율형이 각 산조에서 동일하게 보이고 있다. 셋째, 각 악장의 시작선율은 대체로 김창조 산조와 유사하게 시작된다. 넷째, 각 산조마다 유사 변주된 부분도 각 악장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상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김창조 계열 산조들은 김창조 선율에 의존적이며, 김창조 <주제>선율의 내용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연주자의 감성과 시김새, 새로운 가락첨가와 변주, 표현 방법에 따라 음악적 분위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적 사례들은 전통악계의 타 산조 전승계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승에 따른 피전승자의 이수내용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의 동일한 교육내용도 개인의 상황적 이해 차이로 다르게 기억에 각인되는 것은 인간의 한계이기도 하다. 또한 기타 예술의 해석에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김창조 가락은 전수받은 제자들의 주관적인 견해에 따라 원곡대로, 또는 변주, 확대, 편곡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김창조 계열이기는 하지만 그들만의 <유파>라는 독립적 개념을 주장하는데 대하여 재고의 여지를 갖는다. 더불어 논자는 본 논문의 연구 분석에 있어 부분적인 점과 미진한 부분들이 있었음을 인지하고 있다. 미진한 부분은 선고(先考)들의 주장이거나, 논자의 주장이거나 간에 김창조와 사승관계의 산조들에 있어서의 연구방법을 어느 정도에서 객관적인 수치로 증명할 수 있느냐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는 것이다. 이 연계 연구의 중대성은 사승관계의 산조들이 선고들의 주장과 같이 차별화 된 것이라고 할 경우, 이것은 전통과 전승이라는 구비전승(口碑傳承)의 교습적(敎習的) 가치에 의문을 갖는 결과가 될 것이며 또는 논자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김창조 선율에서 머문다고 할 경우, 이것은 사승계열 선인들의 자질을 의심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당 세대들 간에 벌어지고 있는 김창조 사승관계 여부의 혼란에서는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미진한 연구에 자책(自責)과 질정(叱正)을 청허(聽許)하며 다음으로 미루는 송구한 마음을 남기고자 한다.

      •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김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s a function of sex, including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attachment toward parents and peers . A total of 405 high school students(Mage=16.3, SD=.71)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Parenting Behavior Scale(Barber, Stolz & Olsen, 2005),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Raja, McGee & Stanton, 1992) and Self-Esteem Inventory(Coopersmith, 1967).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s a function of sex of parents or adolescents. Both boys and girls perceived mothers' supportive behavior and attachment toward mothers higher than those of fathers. Girls perceived higher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whereas boys perceived hig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of adolescents in self-esteem. 2. Peer attachment and maternal suppor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self-esteem, whereas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self-esteem. 3. Adolescents' perceived parent at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Specifically, parenting behaviors such as higher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less psychological control lead to adolescents' higher parent attachment and in turn to adolescents' higher self-esteem.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 predicting adolescent's self-esteem.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성 또는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 및 또래애착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는 한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청소년 4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부모의 지지, 행동적 통제, 심리적 통제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부모의 지지 척도는 Schaefer(1965)의 CRPBI(the Child Report of Parent Behavior Index)를 Barber, Stolz와 Olsen(2005)이 개정한 것을, 부모의 행동적 통제는 Barber, Stolz와 Olsen(2005)이 사용한 것을,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Schaefer(1965)의 CRPBI(the Child Report of Parent Behavior Index)에 기초하여 Barber(1996)가 개발한 PCS-YSR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을 각각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을 측정하기 위해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에 기초한 Raja, McGee와 Stanton(1992)의 IPPA-개정본(IPPA-R)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7)의 SEI(Self-Esteem Inventory)를 전귀연, 장도현(1984)이 번안한 문항 중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에 관한 26문항만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서 변인들 간의 반복측정 다변량분석, 독립t검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적 양육, 행동적 통제, 부모애착에서 부모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남녀 청소년들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지지적 양육을 많이 한다고 지각하였으며, 아버지보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그러나 행동적 통제에서는 부모의 성 및 청소년의 성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아버지의 행동적 통제는 청소년의 성에 따른 지각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어머니의 행동적 통제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이외에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애착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또래에 대한 애착이 더 많은 것으로 지각된 반면, 자아존중감은 남녀 청소년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남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또래애착이었고 다음으로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이었던 반면,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어머니의 행동적 통제이었고 그 다음은 또래애착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에 대한 애착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여 부모가 청소년 자녀에게 지지를 많이 할수록, 자녀의 행동을 관리 감독할수록, 심리적으로 억압하지 않을수록, 부모와의 애착이 높고 이것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과 남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았고, 아버지의 지지적 양육과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에 대한 애착 또한 매개적 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또래에 대한 애착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가 자녀에게 지지를 많이 할수록, 자녀의 행동을 관리 감독할수록, 심리적으로 억압하지 않을수록, 또래와의 애착이 높고 이것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에서 부모의 성 혹은 청소년의 성에 따른 유의한 성차를 나타냈으며, 부모의 양육행동은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매개적 역할로 인하여 간접적으로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