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례문화 변화에 따른 추모환경 예측분석

        강민경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 환경에 적합한 추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장례문화의 변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변인을 분석한 까닭은 장례지의 부족, 제례의 간소화, 장묘지에 대한 법적 · 제도적 개선,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 등으로 추모 환경의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일상에서 추모 장소의 수요는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는바, 이에 대한 추모 환경의 제반 조건과 디자인 요소가 무엇인지 가늠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는 장례문화의 변인을 취합하여 죽음의 유의미한 가치를 되새기고, 살아 있는 자의 현재를 반추하는 장소를 만들기 위해 추모환경의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추모환경의 디자인 요소는 장소적 요소, 행위적 요소, 제도적 요소, 상징적 요소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요소들을 시간(시대), 장소(무덤의 형식과 내용), 행위(종교적 절차, 제례 의식 및 인식)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의 발달과 네트워크 문화의 확산으로 장례지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선 가상 추모공간으로의 확대를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가상 추모공간에 대한 요구는 삶과 죽음의 이분법적 관점을 벗어나 새로운 양식의 장례문화를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도시에서 묘지와 추모공간이 분리될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미래 변화 키워드를 도출하여 데이터 기록 보관관리, 참여형 추모를 위한 문화공간의 결합 여부, 추모 장소와 장례지에 대한 서비스 디자인 등의 수요를 예측하여 도심의 추모환경을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미래의 도심 추모환경을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사회변화의 움직임보다 빠르게 준비하여 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환경의 역할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of funeral culture to create a memorial environment fit for urban contexts. Those variab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would be inevitable to change a memor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hortage of funeral sites, simplification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funeral and cremation sites, and changes to the perceptions of death. Most of all,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a memorial place in daily life will continue to increase, which calls for basic data essential to the examination of general conditions and design elements of a memorial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thus analyzed the design elements of a memorial environment to ruminate upon the significant values of death by putting together the variables of funeral culture and create a place for living people to reflect upon their present. The design elements of a memorial environment were categorized into place, act, institution, and symbol elements. Each of them was examined according to time(period), place(forms and content of tombs), and act(religious procedures and the ceremonies and perceptions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The analysis results predict that funeral sites will expand to virtual memorial space beyond the physical limit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xpansion of network culture. The demand for virtual memorial space, in particular,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funeral culture in a new style beyond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f life and death. The present study thus proposed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between cemeteries and memorial space in cities and wrote a scenario for urban memorial environments by identifying future change keywords and anticipating such demands as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data records, combination of cultural spaces for participatory remembrance, and service designs for memorial places and funeral sites. A public environment is expected to play the roles of proposing various possibilities for an urban memor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making faster preparations than the movements of social changes, thus offering service in advance. Keywords : memorial environment, urban memorial place, funeral culture

      • 미술 감상교육 통합지도교육방안 연구 : 미술과 국사교과의 통합을 중심으로

        강민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은 그 시대 문화의 산물이며, 문화는 교육을 통하여 전달된다.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교육과정을 통합하고자하는 교과의 통합적 접근이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지식의 생성배경과 적용할 수 있는 발생학적 지식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기에 하나의 교과가 아닌 통합적인 지식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통합교육은 전통적인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전인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분과주의 수업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분과 주의적 교육이 그 교과의 체계성과 깊이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합교육에 비해 정보와 기능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자기 스스로 새로운 발견이나 창조, 총체적인 사고력과 안목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그렇기에 미술교육도 언어, 역사, 과학, 사회, 음악 등과 더불어 보다 창의적인 미술, 생각하는 미술을 만들기 위해선 통합지도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미술과에서 미술 감상은 감성과 지각을 통해 미술작품의 미적,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이해하는 내면화의 과정이며 인간의 지성과 감성이 함께 반영되는 ‘통합적 활동’이다. 미술교육의 목적이 올바른 인격형성과 조화로운 정서 함양에 그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기에 감상지도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으며, 미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미술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상 교육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을 시도함으로 미술교과만의 독창성도 가지며 여러 가지 상황 속의 미술을 응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능력을 기르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미술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감상하고 이해함으로써 주변국의 역사왜곡으로부터 대처 할 수 있는 역사의식을 높여 민족의 자유로운 자주성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승, 발전시키고 학습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작품의 맥락과 배경이 되는 조형의식과 민족정신을 학습할 수 있게 미술 감상을 통한 통합지도를 모색하였다. 미술 교과와 국사 교과의 통합에 기대되는 효과 및 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과의 폭 넓은 연계적 이해와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다. 둘째, 교과의 반복을 피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타 교과와의 학습내용을 이해하므로 통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넷째, 학습자에게 흥미와 관심을 심어줄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에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미술작품을 감상함으로 시대의 문화와, 사회, 예술을 보다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고, 미술품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각 교과가 가진 성격을 유지하며 연관성이 있는 교육과정을 통합하고, 분절된 교육과정이 아닌 유동적인 형태로 교육함으로 학습자의 자아실현통합에 기여하기 위함에 그 의의가 있다. Arts are the product of culture of the period and culture are conveyed by education. This is the reason education is so important. There are serious efforts to develop the ways of teaching the students by integrating individual subjects in order to deal with such a rapidly changing situ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embryology of intelligence that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knowledge, not on the fragmentary one was suggested as a basis on this topic. In other words, integrated knowledge that is built up on the background of knowledge is strongly required. Integrated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f the limits of education that has been conducted until recently.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way of lessons that deal with each separated subject even though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is said to settl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Lessons that are related to only one subject have advantage of helping to understand it more systematically and deeply. On the other hand, they are insufficient for developing the abilities to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and skills and for raising the general thinking power and the insight. Furthermore they confine the abilities for self-learning and self ?discovering. On this account the need for integrating art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history, science, social studies, and music is requested, which can be expected to help the art education be ways to improve the student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Appreciating the art works is an integrated process to recognize the aesthet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art works which requires intellectual aspect as well as emotional one. Moreover the importance of teaching how to appreciate the art works is increased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teaching art which forms the students’ great personality and cultivates their balanced sentiment. In short, a lesson on appreciating the art works are needed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art and the art wor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ways to keep the originality of the art education and to improve application of art in various situations by integrating art and history. It can also provide the countermeasures against distortions of history by other countries by inspiring the students with historical consciousness of Korea and help the students have strong identities of the nation. This can be achieved by recognizing the sense of the nation and the beauty which are the backgrounds of learning. The effects and advantages that are expected to get from integrating art and history are the followings. 1. The students will have not only aesthetic experience but also a comprehensive knowledge of art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2. The efficiency of lessons will increase with a huge selection of topics with new topic which makes lessons diverse. 3. The students’ thinking power will be enhanced by learning and understanding other subjects. 4. The lessons will provide the students with chances to have interest in learning and to experience self-controlled learning. This study, that is, focuses on proposing the effective ways for the students to approach art, culture, and society of their times with interest and to understand history properly through the art work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ntegrating separated subjects with deeply involved with each other and with keep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for contributing to the students’ self-realization.

      • 보 운영 방법에 따른 강의 수량 및 수온 변화에 관한 모델 연구

        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has been conducted in recent years. The large-scale river engineering project dredged sediments and installed three multi-functional weirs in the South Han River, which is expected to change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of the river. The impoundment restricts water flow of the river and results in the settlement of particulate material on the river bed. The longer the hydraulic residence time taken on the upward weir, the greater the potential for incoming nutrients and sediments to settle on the river bed. The accumulated pollutants, caused by settling of particulate material, impart a consistent nutrient loading to the overlying water column. The movement of nutrients through the sediment-water interface has essential influence on the nutrient quality of overlying wat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the environmental change occurred by the project has impacts on the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of the river. In this study, a 50 km long river section including three multi-functional weirs; Kangchun, Yeoju, Ipo was selected as a study site. I selected an integrated system supporting 3-D, time varying modeling, GEMSS, to represent larg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hydrodynamic and transport. I analyzed the effect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ree weirs surface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using the model appropriate for South Han River. Based on the model results, the scenario analysis was conducted for weir operating. Scenario 1 is that water is being released by over flowing above the weir. Scenario 2 is that water is being released by opening the under gates of the weir. Scenario 3 is that water is being released by opening the flood gates of the weir. Result of mixing pattern by weir operation, surface layers of the upward stream dominantly mixed to downward stream by scenario 1. Under layers of the upward stream dominantly mixed to downward stream by scenario 2. All layers of the upward stream completely mixed to downward stream by scenario 3. Also, model results indicate that hydraulic condition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have differences by three weir operating. Weir operation influence water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which affect water quality of the river.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 weir operatio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From this study, the three-dimensional time variable water quality model could successfully simul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hydrodynamics in weir constructed area of South Han River. So we can expect that this study becomes useful to management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weir constructed area of South Han River. 4대강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다기능보는 각종 용수의 취수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는 수리시설로,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시설이며 형태에 따라 가동보와 고정보로 나누어져 운영된다. 하지만 보 설치구간은 하천바닥 준설작업으로 인해 기존 하천의 바닥경사보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되고, 친수공간 활용 및 가뭄시 용수 확보를 감안하여 하천별 보 및 일정 관리수위가 계획되어 유지되므로 하천과 호수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 설치가 주변 수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물을 정체시켜 퇴적물의 축적량을 증가시키고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보의 운영방식에 따라 수량과 수체이동이 결정되기 때문에 수체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인 요인 이외에 인위적인 인자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보 설치구간의 수자원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인들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모델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수리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과 호소의 특징을 모두 재현할 수 있는 수리·수질모델을 선택해야한다. 보 설치에 의한 수체의 수리·수질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 모델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3차원 모델은 X, Y, Z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해석함으로써 공간적인 변화성을 잘 모의하고 실제 수체의 거동을 가장 근접하게 모델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가 설치되는 지점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해 3차원 수리·수질모델인 GEMSS를 선정하여 보 설치 구간의 수체를 재현하고, 각 보의 방류랑에 의하여 변화하는 수량을 반영하는 수위를 살펴보았다. 이후 수체내의 이동 현상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수온과 전기전도도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남한강 보 설치구간의 평상시, 유지관리시, 홍수시의 세가지 가동보 운영조건에 따라 월류식, 부분개방식, 완전개방식으로 수체 이동을 고려한 모델을 구축하여 수리 변화를 파악하였다. 보의 운영방식에 따른 수체의 흐름 특성 분석 결과, 월류식인 평상시에는 각 보 상류의 상층수가 보를 지난 후 하류로 넘어가면서 수직적으로 혼합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부분개방식인 유지관리시에는 각 보 상류의 하층수가 보를 지난 후 하류로 넘어가면서 수직적으로 혼합되었으며, 완전개방식인 홍수시는 각 보 상류의 상층과 중층의 물이 보를 지난 후 하류로 넘어가면서 수직·수평적으로 혼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보의 운영방식에 따라 보 상류에서 보를 지나 보 하류로의 수체의 움직임이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체의 흐름 차이를 통해 각 보 구간의 표층 수온과 전기전도도의 분포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가장 상류부인 강천보 구간은 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간이므로 수온 및 전기존도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주보, 이포보, 이포보 하류 구간에서는 보 운영방식에 따라 수온 및 전기전도도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이포보 하류 구간이 그 차이가 가장 컸는데, 이는 수체가 세 개의 보를 지나며 종합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모의 결과 월류방식인 평상시와 완전개방식인 홍수시에는 수온 및 전기전도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부분 개방식인 유지관리시에 수온 및 전기전도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 운영 조건에 따른 수온과 전기전도도의 수리적 차이를 통하여 퇴적물의 용출 조건 변화와 같은 수환경 변화에 의해 부유사, 동반오염물질의 이동으로 수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EMSS를 이용한 수질 예측을 통하여 기존 적용 모델과의 비교로 수질예보기법 등 수질예보 신뢰성을 향상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렇듯 본 연구는 수량의 변화, 온도 변화, 유기물의 유입 등에 따른 보 설치 지역 환경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고, 향후 보 운영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 하여 보 유지 및 운영관리를 위한 정책결정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 모차르트 오페라의 여자주인공에 대한 음악사회학적 연구 : 로렌조 다 폰테 대본의 오페라 부파를 중심으로

        강민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heroines of the opera buffa <Le Nozze di Figaro>, <Don Giovanni>, <Cosi fan tutte> written by Lorenzo da Ponte (1749-1838) among operas of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In 18th century, the advent of the philosophy of Enlightenment had leaded so many social changes such as the fall of the feudal class society and the life style of women. Not only Noblewomen, who had allowed all the decisive power to the men and lived passively inside a family, gradually started to get out of the house, but also the social position of the women of the lower classes was risen to almost the same level of the one of men. This social changes entirely had influenced opera that is a composite art reflecting the trends in society. Especially, the opera buffa that had reflected the states of life of common people and satirized the real society and the discord among social classes is good for researching the conditions in those days. Investigating the figure of women at that time shown on the opera buffa can be beneficial to performers by letting them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ppeared on opera. This paper considers the social background and the special feature of the style of music at the opera buffa at first and then, studies the libretto of Lorenzo da Ponte, the trait of the operas of Wolfgang Amadeus Mozart. Moreover, this paper examines the heroines of the each opera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the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the life style of women in the 18th century European society. Susanna of <Le Nozze di Figaro> follows the master obediently, but shows a bold front opposing to unfair demands of the count. Both the jaunty and brisk melody and lively rhythm show her witty and quick personality. La contessa always looks passive and temperate as a model of a woman of the upper classes. This aspect is clearly appeared on the A-B-A form aria. Marcellina is an old greedy woman servant but, shows maternal affection after unveiled as a mother of Figaro at the latter half. Additionally, she shows an aspect of a woman of the lower classes, taking the lead in the feminist movement as a spokeswoman of womanly voice. That aria lets us know that is the music of the lower classes by having three-quarters time minuet dance rhythm. Donna Anna of <Don Giovanni> looks upper classes noblewoman who is not temperate and stable and concurrently calm and rational in contrast. Anger is expressed with fast rhythm of an eighth note, but gradually shows moderate anger with sequential melody. She is a model of a woman of the upper classes following custom rather than her own thoughts. In contrast, Donna Elvira acts more freely and passionately without hiding her feeling although she is also a woman of the upper classes. A jumping to the great compass and the usage of the form of the Baroque aria show strong spiritual strength. Zerlina, the only woman who has the character of the opera buffa, is a farmwoman and her low social position is presented with simple composition, harmony, melody, and accompaniment. The fact that she was tricked by the temptation of Don Giovanni for a moment shows her yearning for aristocracy in her heart. Fiordiligi of <Cosi fan tutte> is conservative and virtuous and she is represented with the opera seria constituents of splendid and technical melody. Fiordiligi is described as a model of a woman of the upper classes following moral principles of woman by being restrained from social customs of those days. In contrast, Dorabella acts openly and lively while having a weak sense of virtue and she is represented with the light and bright six-eights time, barely played to a noblewoman. Despina, a woman servant of two sisters, shows the figure of admonishing her master with a more outstanding sense for the real than noblewomen. Her characteristic is more improved one of Susanna's. This shows the gap of social rank between noble people and common people had been narrowed. In music, that shows the lower classes with sixth-eighth note dance rhythm, simple accompaniment, and the brisk melody. The above three opera buffa show the changes of society and the aspects of women in the 18th century. The social position of the lower classes had been raised and the complaints of women about the unfair society had been increased with influence of the philosophy of Enlightenment. The upper classes women, who ought to be elegant and temperate all the time, started to express their desire for the deviation set in the side of their heart. The lower classes women also show the picture of taking the social changes more actively. Wolfgang Amadeus Mozart had utilized the earnest and refined opera seria music form for the noblewomen and the dance rhythm of minuet and simple music form for the lower classes women in order to describe their social position respectively. 본 논문은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오페라 중 다 폰테(Lorenzo da Ponte 1749-1838)의 대본에 의한 오페라 부파(opera buffa)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돈 조반니(Don Giovanni)>, <여자란 다 그런것(Cosi fan tutte)>을 선정하여 이 오페라의 여자 주인공들을 음악 사회학적 시각에서 연구해보았다. 18세기는 계몽주의사상의 도래로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들이 일어났는데 봉건주의 계급사회가 점차 무너지기 시작했고 여성들의 삶의 모습도 바뀌기 시작했다. 남성에게 모든 결정권을 주고 집안에서 수동적으로 생활해야 했던 귀족여성들도 점차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고 하층계급의 여성들은 남성과 거의 동등한 위치까지 올라갔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시대를 반영하는 종합예술인 오페라에도 고스란히 담겨지게 된다. 특히 오페라 부파는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반영하고 계급간의 갈등과 현실사회를 풍자한 장르로 당시 시대의 모습을 연구하기 좋은 오페라이다. 오페라 부파 속에 드러난 당시 시대의 여성의 모습을 연구하는 것은 오페라의 인물의 올바른 성격이해를 도모하여 연주자에게 연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오페라 부파의 사회적 배경과 음악 양식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중 모차르트 오페라의 특징, 다 폰테 대본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당시 18세기 유럽사회의 계몽주의 사상과 여성들의 생활상을 알아봄으로서 본 연구의 토대를 완성하고 각 오페라의 여자주인공들을 분석하였다.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Susanna)는 주인에게 순종하는 모습이지만 백작의 옳지 못한 요구에는 대항하는 대담한 모습을 보여준다. 경쾌하고 발랄한 선율과 생기 있는 리듬에서 수잔나의 재치 있고 순발력 있는 성격을 알 수 있다. 백작부인(La contessa)은 전형적인 상류층 여성으로 항상 절제하고 수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런 특징은 ABA 형식 아리아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마르첼리나(Marcellina)는 늙은 하녀로 탐욕스럽고 억센 여성상이지만 후반에 피가로의 어머니로 밝혀진 이후로는 모성애 넘치는 어머니상으로 변한다. 또한 여성의 목소리의 대변인으로서 여성운동에 앞장섰던 하층계급의 여성상을 보여준다. 3/4박자의 미뉴에트의 춤곡 리듬의 아리아로 하층계급의 음악임을 알 수 있다. <돈 조반니>의 돈나 안나(Donna Anna)는 상류층 귀족 여성으로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지 못하고 불안정적인 심리 상태도 보이지만 냉정하고 이성적인 모습이 대립적으로 나타난다. 잦은 조바꿈과 고음의 빠른 리듬으로 격화된 분노를 표현하지만 순차적인 선율로 절제된 분노를 보인다. 자신의 생각보다는 관습을 따르는 전형적인 상류층 여성상이다. 그의 반해 돈나 엘비라(Donna Elvira)는 상류층 여성이지만 돈나 안나보다 자유롭게 행동하며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열정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넓은 음역의 도약과 화려한 선율의 바로크 아리아 양식의 사용으로 강한 정신력을 보여준다. 유일한 오페라 부파의 성격을 가진 여성인 체를리나(Zerlina)는 농촌처녀로서 단순한 조성과 화성, 선율, 반주 등으로 체를리나의 낮은 사회적 지위가 나타난다. 돈 조반니의 유혹에 잠깐 넘어간 것은 그녀의 마음속의 귀족세계에 대한 동경을 보여준다. <여자는 다 그런 것>의 피오르딜리지(Fiordiligi)는 보수적이고 정숙한 성격으로 음악적 부분에서는 화려하고 기교적인 선율의 오페라 세리아적인 요소가 많이 보인다. 피오르딜리지는 당시 관습에 얽매여 여성의 덕목을 지키고자한 전형적인 귀족여성상으로 그려진다. 반면 도라벨라(Dorabella)는 개방적이고 활발하며 정조를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음악적으로 귀족여성에게 잘 보이지 않는 6/8박자의 가볍고 밝은 아리아가 쓰여졌다. 두 자매의 하녀 데스피나(Despina)는 귀족여성들보다 뛰어난 현실감각을 보이며 자신의 주인을 훈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전의 수잔나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성격으로 18세기 계몽주의 사회에서 귀족과 평민의 계급 관계가 많이 좁아진 것을 느낄 수 있다. 음악적으로는 6/8박자의 춤곡리듬과 단순한 반주와 가벼운 선율 등으로 하층계급의 음악양식을 보인다. 위 세 편의 오페라 부파를 통해 18세기의 여성의 모습과 변화상을 살펴보았는데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하층계급의 지위가 조금씩 올라가고 있었고 여성들의 목소리도 점차 커져 불공평한 사회에 불만을 갖기 시작했다. 항상 우아하고 절제된 모습을 지켜야 하는 상류층 여성들도 자신의 마음 한편에 있는 일탈의 욕망을 조금씩 표출 하고 있었으며 하층계급의 여성들은 사회의 변화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모차르트는 귀족여성에게는 진지하고 세련된 오페라 세리아적 음악 양식을 쓰고 하층계급의 여성에게는 미뉴에트 등의 춤곡리듬과 단순한 음악양식으로 각 인물의 사회적 지위를 음악적으로 나타내었다.

      • Highly water soluble gadolinium nanoparticles doped with bifunctional chelate as a tumor targeting T1 MRI theranostic agent : 두 가지 기능의 리간드가 결합된 고(高) 수용성 가돌리늄 나노 입자의 T1 자기공명영상 테라노스틱 조영제로서의 연구

        강민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상의학은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각종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편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해부학적 형태 변화 및 기능학적 정보를 영상화하여 질병 진단에 이용한다. 이런 영상의학이 최근에는 나노 기술과 결합되어 질병의 초기 발생부터 분자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여 병의 원인을 찾아내는 진단을 넘어서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기술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환자의 개별적 특성 및 질병의 상태에 맞는 약물의 종류와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맞춤형 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핵심의료기술의 하나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신개념으로 테라노시스 (Theranosis = Therapy + Diagnosis)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처럼 치료와 진단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진단 및 치료용 나노입자를 테라노스틱 나노입자라고 한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가돌리늄 나노 입자의 형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종양 표적 및 치료 기능을 가지는 벤조사이아졸을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합하여 기본 구조체를 설계함으로써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T1 MRI 조영제를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이러한 기본 구조체의 합성 및 유효성을 여러 가지 분석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높은 자기이완률을 가지는 자기공명영상(MRI) 진단 이미지를 얻기 위해 가돌리늄을 나노 입자의 형태로 기본 구조를 삼았으며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코팅하여 가돌리늄이 이온 상태일 경우 가지게 되는 최대 단점인 독성을 줄임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물질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노 입자의 표면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종양 표적 및 치료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벤조사이아졸을 DOTA 리간드와 결합하여 진단 및 치료 기능을 가지면서 수용액에서의 용해성과 안정성도 증가시키도록 구조체를 설계 및 합성하였다. 이 구조체는 TEM, SEM, XRD, FT-IR, TGA 등의 기본 분석을 통해 잘 합성되었음을 확인함은 물론 T1과 T2 강조영상 시퀀스를 사용한 MRI 촬영을 통하여 r1 및 r2 relaxivity도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저분자 조영제들보다 높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합된 벤조사이아졸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양 표젹성 및 종양 세포의 증식 억제 정도를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벤조사이아졸이 결합되지 않은 나노 구조체에 비하여 높은 종양 표적 및 종양 세포의 증식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가돌리늄 나노 구조체는DOTA 리간드와 결합된 벤조사이아졸(DO3A-BTA)을 가돌리늄 나노 입자에 결합시켜 용해성이 높고 안정적이면서도 종양 표적 및 치료가 가능하여 MRI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T1 테라노스틱 조영제라고 할 수 있다.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적 실행 연구

        강민경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과 경제, 사회를 고민하며, 함께 잘 살기 위한 공동성의 가치를 예술을 통해 표현하는 예술 실천의 사례들, 예술이 예술가 ‘자신’의 문제에 머물지 않고 ‘조직’과 ‘공동체’, ‘사회’로 확장되는 과정 속에서 예술의 사회적 의미, 그 중에서도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현재 예술 실천의 모습들을 찾아보았다. 지속가능발전을 구축하는 3가지 축인 환경, 사회, 경제와 만나는 예술적 실천들의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며 지금 여기, 우리 주변에서 미래를 고민하는 예술의 형태들을 찾고, 그 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searched for cases of artistic practice which express the values of collectivity that allow for better communal living through arts while thinking of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long with the social meaning of arts within the process in which arts moves beyond the problems of the artist’s ‘self’ and expands into ‘organization’, ‘community’, and ‘society’ and in particular, current arts practices conducted from a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observing various cases where artistic practices meet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which are the three axes that construct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rtistic forms that give serious thought to the future right here and right now, from our surroundings, and it attempts to discuss its direction.

      • 류마티스 관절염을 억제하는 물질의 탐색 및 기전 연구

        강민경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heumatoid arthritis is an autoimmune disease that causes chronic inflammatory in the joints and causes fatal disorders in the joints. There are various inflammatory factors in the joint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and Nitric Oxide (NO) are the major caus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system. However, if it is overproduced, it will cause an inflammatory reaction. Thus, it is important to regulate TNF-α, IL-6 and N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inhibiting inflammatory by using 628 kinds of natural products in the RAW 264.7 cells induced by LPS. As a result of screening, Cassia angustifolia Vahl was selected. Cassia angustifolia Vahl is widely used as laxatives. It is toxic to humans and can be used as a small amount of drug, and can not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food. Therefore, several biolog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inhibitory effect of Cassia angustifolia Vahl methanol extract (CAM) on rheumatoid factor.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RAW 264.7 cells was induced by LPS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inflammatory factors was confirmed by MTT reduction assay, NO production assay, Morphological assay, ELISA assay. As a result, inhibition of rheumatoid arthritis related factors of Cassia angustifolia Vahl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was confirmed. Thus, Cassia angustifolia Vahl was given to the possibility to a natural drug material.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이며 관절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겨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안에는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이 생성되어 있다. 주로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α, IL-6와 NO가 주원인인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면역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잉으로 생산되면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은 염증으로부터 이어지며 과잉 생산되는 염증 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자생하는 628종의 천연물자원을 대상으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염증억제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screening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센나엽을 선별할 수 있었다. 센나엽은 통변효과가 뛰어나 주로 완하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람에게 독성이 있어 소량의 약물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식품의 원료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생약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센나엽 methanol 추출물(CAM)의 류마티스 관련 인자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생물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의 염증반응은 LPS로부터 유도하였고, MTT reduction assay, NO production assay, Morphological assay, ELISA assay를 통하여 염증 인자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PS로부터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센나엽의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인자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바이다.

      •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 연구

        강민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습자의 문학 작품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하여 서사를 창작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물의 삶을 구상하는 방법으로서 서사 확장에 주목하였고,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의 개념과 유형 및 의의를 밝히고, 둘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모형을 탐색하며, 셋째, 지도 모형에 따라 지도를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동화 원작 확장은 동화 작품을 읽고 원작의 등장인물이나 설정을 가져와 전편, 속편, 외편 등의 형태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 주체는 캐릭터를 기반으로 동화 작품을 이해하면서 인물과 인물의 삶에 대해 고찰한다. 또 원작으로부터 메타이야기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세계를 구현해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은 문학적 상상력의 제고, 문학 생산주체로서의 경험, 궁극적으로는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확대를 돕는다. 동화 원작 확장에서 '캐릭터'는 확장의 중추 기제로 작용한다. 동화 원작 확장의 유형은 '후속 이야기', '선행 이야기', '파생 이야기', '교차 이야기'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동화 원작을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의 지도 모형을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작문 및 서사 창작 흐름을 따라 '작품 세계 인식', '가능 세계 탐색', '허구 세계 구체화'의 순서로 전개된다. 작품 세계 인식은 기존 작품의 세계관을 수용하는 단계로, 작품 내용 이해, 인물 분석, 캐릭터 중심의 사건 재인식의 과정을 거친다. 가능 세계 탐색은 창조하고 싶은 세계를 상상하여 구상하는 단계로,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펼치고 원작에서 변형 혹은 유지할 요소를 선택한다. 허구 세계 구체화는 이를 언어로 텍스트화하는 단계이며, 스토리 구상, 주제 설정, 플롯 짜기, 초고 쓰기 및 고쳐 쓰기, 작품 교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를 설정하고 지도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는 지도의 방향과 내용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작품 내용 파악 및 인물 분석을 통한 작품 세계 인지',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통한 세계 구현', '창조할 세계의 텍스트화'로 설정하였다. 지도 과정을 상세화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송파구 소재 G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의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각 1차시와 「종이 봉지 공주」를 제재로 6차시, 「떠버리 루이스」를 제재로 10차시, 총 18차시(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후 본 지도 방안이 서사 창작에 가져오는 유의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지, 학생활동지 및 작품, 학생 소감문, 교사의 수업관찰일지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실제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은 학습자의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심화, 문학 상상력의 제고, 서사의 인과성 인식 및 확보에 기여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서사 창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선호도를 높였다. 셋째,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화된 서사 창작 방식으로 학습자의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서사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동화 원작 확장 방식이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창작에 임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서사능력 향상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at occur in learner’s accepting litera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focused on the expansion of narrative as a way of conceiving the life of a person. I designed a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I actually did it applie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reveal the concept, type and significanc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Second, to explore a narrative writing teaching model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Third, to plan teaching according the teaching model and to analyze the results.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means to read fairy tales and to bring a character and setting of the original and to make a new story in the form of prequel, sequel and spin-off. The creative subject considers the life of characters and characters while understanding fairy tales based on characters. In addition, They will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realizing new world by exercising meta story imagination from original work. The writing of narrative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helps to enhance literary imagination, experience as a subject of literary production, ultimately to expand human understanding and global awareness. In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ies, 'character' acts as a central mechanism of expansion. The typ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was set to four kinds: 'sequel story', 'prequel story', 'spin-off story', and 'crossover story'. Therefore, I designed a teaching model of narrative writing by expanding the original story. Following the flow of general writing and narrative writing, it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Perception of work world',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and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The perception of the work world is the stage of accepting the world view of the existing work, and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work, analyzing the character, and re-recognizing the character-oriented event. The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is the stage of conceiving and imagining the world that students want to create, spreading the meta - narrative imagination and choosing the element to transform or maintain in the original story. The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is a step of textizing it into language, and it includes story design, theme setting, plotting, super high writing and rewriting, and art exchan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et goals for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embodied the teaching process. The goal of narrative creative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eaching, to 'Grasp the content of the story and acknowledgment of the story world through the character analysis', 'realize the world through meta storytelling', ‘Text of the world to create’. The teacning process was detailed and applied to actual education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students from one class in G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Seoul. The pre-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18 times (2 sessions) in 6 times with 「The paper bag princess」 and 10 times 「Loudmouth lou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change of the instructional method, I analyzed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student activities and works, student’s review, and the qualitative data of teacher’s observation log. The results of applying and analyzing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contributed to the learner's deepening of human understanding and world recognition, the enhancement of literary imagination, and recognition and securing causality of narrative. Second, it improve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learner's narrative writing and increased the preference. Third, it has satisfied the learner's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rough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dea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expanding of fairy tales can be a means of improving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learner by being led by the learner as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