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金剛經』의 주요 經句에 대한 一考

        이대성(Lee Dae seong)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9 불교문화연구 Vol.10 No.1

        This treatise stands for a serial paper concerning ‘The Main Logic and Explanation on the Diamond Sūtra appeared in Bulgyo Munhwa Yeongu(Vol. 9), Dec. 2008. The Diamond Sūtra is transcribed into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Sanskrit. Vajracchedikā means eliminating all delusions. Prajñāpāramitā stands for the Perfection of Wisdom. Consequently, the Diamond Sūtra represents the most noble sūtra which makes us attain the Perfection of Wisdom by eliminating all delusions such as the four illusions of the ego at that very moment like a stroke of lightning. By the way, the enlightenment of Sakyamuni seems to be the Dharma of pratītya-samutpāda which means interdependent co-arising. The Dharma of pratītya-samutpāda represents the nature of reality as to the universe which reflects on our pure mind attained by removing all delusions. Admiring the mind of purity which makes us enlighten the Dharma, the Diamond Sūtra stresses the need of recovering the pure mind unsupported by practising the six perfections. In order to recover the mind of purity, the Diamond Sūtra demonstrates in details both the way to elevate ourselves by aiming at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and the way to save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In brief, the essence of Buddhism is to be said to teach both the way to attain the enlightenment and the way to save sentient beings. This paper deals with the topics such as the logic of denial, the ultimate aspect of truth and the secular aspect of truth, the four illusions of the ego and the explanation of the main passages on the Diamond Sūtra. Though the Diamond Sūtra explains in details the ultimate aspect of truth by a verbal picture, as it cannot transcend the limit of speech, it cannot but deny the speech through the logic of denial. The logic of denial on the Diamond Sūtra seems to lead us to enlighten the unspeakable aspect of truth.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ogic of denial on the Diamond Sūtra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such as a topic of Seon. Among the above topics, the four illusions of the ego are the most important topic because someone who has set out in the vehicle of a Bodhisattva has to remove the four illusions of the ego. Then what are the four illusions of the self in the Diamond Sūtra.? ① ātma-saṃjñā(the notion of a self): the concept of the self as real; the illusion that in the five skandhas there is a real self such as ātman, Brahman or God. ② sattva-saṃjñā(the notion of all beings): the concept that all beings have reality; the illusion that all beings have the self born of the five skandhas. ③ jīva-saṃjñā(the notion of a living soul): the illusion that there exists the eternal and unchangeable living soul. ④ pudgala-saṃjñā(the notion of a person): the illusion that a human being has the ego such as ātman or jīva as an individual self. In short, Buddhism rejects the heretical view that a real self exists. The doctrine of five skandhas refutes the fallacy of ātma-dṛṣṭi. Buddhism advocates anātman(Non-self). Self means substance; therefore, non-selfness stands for non-substantiality. 1) Non-existence of the permanent self: Our body and mind consists of the five elements and there is no self. 2) Non-substantiality of all elements in the dharmas: Elements exist only by means of the union of conditions. There is no eternal and unchangeable substance in them. In the Diamond Sūtra, it says that tathatā is synonymous with ‘destruction of Object. And why? Because the ‘non-Arising means the ultimate truth. Therefore if in a Bodhisattva the notion of a self, all beings, a living soul, or a person should take place, he could not be called a Bodhi-being. 이 글은 『불교문화연구』 제9집에 실렸던 「금강경의 핵심논리와 그 해석」이라는 논문의 연속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9집에서 다루지 않았던 금강경의 四相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히 해설하였으며, 또한 지난번에 밝혔던 금강경의 ‘주요 經句의 검토와 해석’에서 충분히 고찰하지 못한 부분을 다루었다. 금강경을 범어로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라고 표기한다. Vajracchedikā는 ‘무엇이든지 잘라버릴 수 있는 것’의 의미이며, Prajñāpāramitā는 반야바라밀 즉 ‘더없이 完全한 智慧’를 뜻한다. 따라서 ‘금강경’은 일체의 相(saṃjñā)을 벼락처럼 찰나에 잘라서 제거해 버림으로써 ‘더없이 完全한 智慧’를 증득하게 하는 최고로 고귀한 經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세존의 깨침은 ‘緣起法’을 증득하여 성불하셨다. 연기법은 온갖 욕망과 번뇌를 멸절시킴으로써 더없이 淸淨한 마음의 거울에 비친 온 우주의 實相이다. 金剛經은 이러한 진리를 깨닫는 마음을 ‘淸淨心’이라고 찬양하면서, 육바라밀의 실천을 통하여 집착하지 않는 ‘깨끗한 마음’을 회복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청정심을 회복하기위해서 금강경은 불교의 중요한 문제인 上求菩提와 下化衆生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자세하게 반복해서 설명하고 있다. 불교의 중요한 본질은 깨침과 그 깨침에 입각한 중생구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金剛經의 핵심주제인 ‘卽非의 論理’와 ‘眞俗二諦의 중도적 相卽’에 관한 철학적인 내용을 살펴본 뒤에 지난번 논문에서 지면관계로 다루지 못했던 부분을 ‘主要經句의 검토와 해석’에서 다루었다. 특히 금강경의 ‘四相’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히 언급하였다. 금강경은 언어를 통하여 진리를 설하면서도 그 언어의 한계를 인식하여 또다시 그 언어를 부정해버리는 ‘卽非의 論理’로써 언어를 초월한 깨달음에의 체험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깨달음을 증득하여 일체 중생을 제도할 것을 서원한 보살이 우선 시급히 선결해야할 일이 四相을 제거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금강경의 我人四相의 의미를 먼저 검토하여 명확한 뜻을 알고 나서야 일체의 산냐를 제거하는 일이 가능할 것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선사들과 학자들이 나름대로 깊이 연구하여 四相의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印度의 사상과 역사를 깊이 이해하는 동시에 폭넓은 자료와 통찰력에 입각해서 정의를 내리는 것이 가장 타당하리라고 생각한다. 無上正等正覺이라는 깨달음을 증득하여 모든 중생을 제도하고자하는 대승의 보살은 마땅히 다음과 같은 그릇된 四相을 제거해야 한다. 즉 ①我相(ātma-saṃjñā, self): ‘五蘊으로 이루어진 우리 인간과 이 우주에 궁극적 실체로서의 아뜨만(ātman)이나 브라흐만(Brahman) 혹은 그 어떤 절대자로서의 神(God)이 존재하고 있다는 착각’ ②衆生相(sattva-saṃjñā, all beings): ‘살아있는 모든 有情들에게도 相續하는 궁극적인 실체가 존재하고 있다는 착각’ ③壽者相(jīva-saṃjñā, a living soul): ‘불생불멸의 영혼이 존재한다는 착각’ ④人相(pudgala-saṃjñā, a person): 아뜨만(ātman)내지는 지와(jīva)와 같은 ‘윤회의 주체로서 생멸을 초월한 영원한 개체적 個我(pudgala)가 존재한다는 착각’ 등의 四相을 보살은 마땅히 제거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불교의 핵심은 無我思想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체의 중생을 제도하겠다고 서원을 세운 대승의 보살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주재하는 불변의 주체로서 상정하고 있는 我를 부정하여 ‘나’라는 실체를 절대로 인정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것을 人無我라고 한다. 흔히 범부들은 제법의 존재에 대해서도 實我가 있다고 상정하는데, 법도 또한 인연 화합으로 생긴 假法임을 밝힌 것을 法無我라고 한다. 이처럼 일체의 相을 제거하여 淸淨心을 증득함으로써 人無我와 法無我를 깨달아서 수승한 지혜와 큰 사랑이 어우러진 無上正等正覺을 성취한 성자를 우리는 여래라고 부른다. 따라서 만일 어떤 사람이 無我思想에서 이탈하여 諸法과 有情에 영원한 實體나 불변의 주체인 我가 있는 것으로 착각하여 有見에 빠져있을 경우에 우리는 그를 보살이라고 부를 수 없다.

      • KCI등재

        <고전읽기와토론> 강좌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증진을 위한 노션(Notion)앱 활용 사례연구

        오진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smart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to make learners realize that they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process various types of informative knowledge and then create new knowledge in a singular fashion. This is also the purpose of learner-centered lesson desig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ase that will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Notion’ application when used as a smart-learning tool and when applying question-based learning in a program which makes use of smart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Namely, the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course. ‘Notion’ application is a new tool that has not been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smart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lesson design. The reason why I introduced ‘Notion’ into the course is because I consider it to be the best application to date for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lesson design. In fact, ‘Notion’ has a more diverse user interface than other smart learning online applications. It helps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problematic phenomena structurally and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This in turn allows them to go beyond simply memorizing or utilizing inform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utility of ‘Notion’ through three cases of 1) the access of data 2) interaction 3) self-designing question-based learning,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these use cases in regards to its to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analysis is crucia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the program on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Therefore, this case study will explor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smart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field General Education. 스마트러닝과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다양한 정보지식을 처리하고 이로써 새로운 지식을 독창적으 로 생산하는 역량을 주체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것은 학습자중심 수업설계의 목적이기도 하다. 이 연구목적은 자기주도학습을 지향하기 위해 질문기반학습으로 수업설계 된 <고전읽기와토론> 강좌에 스마트러닝 도구로서 노션(Notion)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그 교육적 의의 논점을 짚는 것이다. 노션(Notion)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러닝 연구분야와 및 학습자중심 수업 설계분야 의 선행 연구에서 주제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연구자가 <고전읽기와토론>에 노션(Notion)을 도입한 이유는 학습자중심의 수업설계를 구현하는 (현재로서는) 최적의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 다. 노션(Notion)은 학습자가 각종 멀티미디어자료를 활용하여 자기만의 학습공간을 직접 설계하는 기능을, 이런 학습자료를 관계형데이터베이스로 추상화하는 기능을, 그리고 이런 DB자료를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다수의 인원과 협업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요컨대 노션(Notion)은 다른 여타 스마트러닝 온라인 애플리케이션보다도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거나 활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학습자 스스로 문제 현상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독창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양한 UI(user interface) 기능을 포함한다. 그래서 노션(Notion)은 학습자가 문제현상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노션(Notion) 활용에 다른 학습자의 교육적 실효성에 관하여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키워드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분석했다. 그것은 ① 정보접근성, ② 상호작용, ③ 자기주도학습이다. 이러한 연구분석을 통하여 연구자는 노션(Notion)이 <고전읽기와토론> 강좌를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전개하도록 긍정적 역할을 맡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노션(Notion) 및 기타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활용 역량과 인문학 소양을 함께 함양할 수 있는 새로운 강좌 개설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이를테면 <디지털리터러시활용 고전읽기와토론>이다.

      • KCI등재

        미망사학파의 앎과 행위의 주체로서의 자아

        성청환 ( Chung Whan Sung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eory of the Self;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the Self, the poofs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the role of the self i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the Mimamsa philosophy The self in the Mimamsa school just as the orthodox Hindu schools is eternally a spiritual substance and the abode of intelligence. The theory of the self is an eternal essentially conscious entity that continues unchanged throughout its various transformations states of consciousness. Intelligence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self and differentiates from the material substances and physical organism including the mind and the sense organs. Intelligence as a core of the self eternally continues in all changing states while specific cognitions are fluctuating without making any difference to the spiritual character of the self. Mimamsakas, such as Sabarasvamin and Kumarilabhatta argue that the existence of the self can be proved from the notion of ``I`` (ahampratyaya). In other words, they advocate that the recognition of myself is identified with a part of my memories which I remembered experience in the past and now remembering it. It, thus, eventually justifies a subject of experience in memory and directly reveals the existence of self in the past and present. The expression ``I know something`` in the Mimamsa philosophy basically means the knowledge for subjective agent and simultaneously indicates its own action which can directly proved from empirical experience, that is, knowledge is for the sake of action. In other words, all actions have knowledge as a prerequisite and knowledge qualifies the agent of actions. Mimamsakas unlike some other Hindu schools advocates knowledge itself is neither motivated by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nor by itself bring about the final end. Knowledge is undertaken with correct action as its objective, and such action brings about the human goal. Thus, the theory of self discoursed in the ream of metaphysics as ontological basis is the foundation for the epistemology and ethics.

      • KCI등재

        피히테, 셸링, 헤겔에게 있어서 칸트의 자기의식의 전개

        강순전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연구 Vol.0 No.54

        This essay investigates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the German Idealism which tries to improve Kant’s concept of the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Fichte, the problem of Kant’s self-consciousness is that Kant’s categories are not deduced from the self-consciousness, but found immediately. This essay shows how Fichte solves this problem through his concept of the ego, eliminating Kant’s ‘thing in itself’ and explaining the givenness of the matter through the spontaneity of the subject. It will be then accounted for how Schelling, accepting this main ideas of Fichte, expands his subjective idealism into the objective idealism through the philosophy of identity. Final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history of improvement of Kant’s self-consciousness is nothing but a history of formation of Hegel’s ‘Notion of Notion’. 본 논문은 칸트의 자기의식 개념을 수정하면서 전개되는 독일관념론의 철학적 발전을 탐구한다. 피히테는 칸트의 자기의식 개념 이 지닌 문제를 범주가 자기의식으로부터 연역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발견된다는 점에서 찾는다. 본 논문은 피히테가 어떻게 역동적인 자아 개념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물자체를 제거하고 질료의 소여성 을 주관의 자발성으로부터 설명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그 다음 셸링 이 이러한 생각을 수용하면서 어떻게 자신의 동일철학을 통해 피히테 의 주관적 관념론을 객관적 관념론으로 확장하는지를 밝힐 것이다. 마 지막으로 피히테와 셸링에 의한 칸트 자기의식에 대한 수정의 역사가 헤겔의 ‘개념의 개념’의 형성사임을 논증할 것이다.

      • KCI등재

        여대생의 체중감량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제1보. 다이어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1. Focus on Diet Survey

        김종현 한국식품영양학회 199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1 No.2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 향상 및 운동량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증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반면 체중 감량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런 관심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나친 체중감량은 건강에도 해를 미치지만 체중감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여 제1보고로써 다이어트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1. 조사 대상자들은 19세(27%), 20세(25.3%)의 연령층이 가장 두터웠으며, 체중은 50.32±0.91kg, 신장은 160.90±0.47cm이었고, BMI는 18.73±4.89로 나타나 평균적으로 여윈 상태임을 보였다. 2. 조사 대상자들의 한달 용돈은 10∼15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의 체형은 정상이거나 마른 분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아버지만 뚱뚱하신 경우보다는 어머니만 뚱뚱하신 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들의 식태도는 하루 한, 두끼만 섭취하며, 불규칙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고, 과반수가 자신의 체형을 과대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의 기준을 바르게 선정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보였다. 4. 조사 대상자들의 실제 체중은 50.32±0.91kg이었으나 이상체중은 46.94±0.39kg으로써 이상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14). 5. 조사 대상자의 37.54%가 1997년 한 해 중 다이어트를 실시한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다이어트를 실시한 시기는 고등학교, 대학생 때, 고등학교와 대학 사이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고등학교 이후에 다이어트를 하려는 이유로는 자기 신체에 대한 기대 및 느낌 등의 주관적인 이유가 주된 원인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의 여대생이 다이어트를 실시해 본 경험(79.3%)을 가지고 있었고, 다이어트 실시 빈도는 가끔 실시하는 경우(38.25%)가 가장 많았다. 또한 다이어트의 실시기간은 일주일 미만인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체중감소량은 1∼2kg(37.69%), 2∼4kg(29.44%)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이(76.65%)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장 선호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하루 한끼 혹은 그 이상을 굶는 방법, 운동, 하루 3끼를 모두 섭취하되 열량을 줄이는 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나 결국 섭취열량을 제한하거나 소비열량을 늘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는 주로 신문, 잡지(30.86%), 가족, 친구, 친척(28.86%)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영양상태 지각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는 아버지, 어머니 두 분 다 뚱뚱하지 않은 경우일 때는 116명(42.65%)이며, 두 분 다 뚱뚱한 경우는 8명(2.95%)로 나타나 부모가 정상체중이거나 마른 경우 그 자녀의 영양자각도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자녀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04). 9. 영양상태 자각도는 자신의 체형을 적당하다, 약간 뚱뚱하다고 대답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높았다(p=0.00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status by weight loss(diet) of 287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 on questionaire about diet survey. The subjects mainly had irregularly one or two meal per a day so food behavior was not good. Over half of subjects had a tendency to overestimate body shape of self. The desired weight(46.94±0.39㎏) was significant lower than real weight(50.32±0.9)(p=0.0114). The time when diet is first tried was mainly after high school(94.51%). Mean weight loss was 1∼4㎏ but most of subjects didn't maintain the lost weight. The diet approach method tried was sequently the fasting 1 meal or the more in a day(23.61%), exercise(21.9%), restricting calories(15.85%) etc. The group who recognized the self body shape was normal or a little fat had higher self notion of health than other groups.

      • KCI등재

        자위(自衛)로서의 평화: 북한의 평화 개념

        김병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North Korea means by peace. North Korea, like any other country, has defined peace as a state without war or violence, a state of reconciliation without conflict or antagonism. However, this peace does not come on its own but is secured only by the power, especially the self-defense power based on the Juche idea. This realistic but passive notion of peace spreads confrontational view of peace over imperialism and capitalism among ordinary people. This typical concept of peace has recently led to interest in positive notion of peace that peace can be achieved through improving political relations and economic cooper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 주장하는 평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평화를 전쟁이나 폭력이 없는 상태, 분쟁이나 반목이 없이 화목한 상태로 평범하게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평화는 저절로 오는 것이 아니라 오직 힘의 의해서만 담보되며, 특히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주체사상의 자위(自衛)에 근거한 소극적 평화개념으로 정착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주의 평화관, 소극적 평화개념은 일반주민들에게 제국주의·자본주의와 대결적 평화관을 확산시켰다. 이러한 전형적인 평화관념이 최근 대외관계개선과 경제발전을 통한 적극적 평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열린 교육의 재 개념화에 기초한 열린 행정가의 지속적인 지도력

        이성은(Lee Sungeun),부희영(Boo He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yeolin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further development and sustaining of ‘yeoli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re-conceptualization, the role of the administrator will be examined, and in which direction the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should be sustained for the purpose of advancing and maintaining ‘yeolin education’ will be suggested. The the principles of ‘yeolin education’ and the goals they aspire toward will be contrasted with those of the Newtonian-Cartesian worldview. It will be argued that the goals and aspirations of ‘yeolin education’ come closer to those of contemporary science and will be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ntemporary science. In ‘yeolin education’ the relational autonomy and relational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is valued. Furthermore, the ability to conduce the situation the administrator is situated in to self-organize and transform is emphasize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leadership’ is constituted by the following components which will be further explained and developed in this investigation: (1) Public service with a moral purpose (2) Developing lateral capacity through building through networks (3) Dual commitment to short-term and long -term results (4) Defining leadership as the recycling and regulating of energy and cultivating this leadership-energy at the level of the school, district and the system as a whole and searching for concrete strategies to do this.<BR>  The future development of ‘yeolin education’ is dependent on the efforts of the administrators to develop this notion of ‘sustainable leadership’ in theory and practice, that is, in their endeavor to develop novel strategies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leadership’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본 연구는 열린 교육의 재도약과 지속을 위해 열린 교육의 개념을 재 개념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행정가에 역할을 살펴 본 후, 열린 교육의 지속을 위해 행정가의 지속적인 지도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열린 교육 강령의 지양점과 지향점을 뉴턴 데카르트 세계관과 현대 과학 세계관으로 재 개념화 하였다. 현대 과학 세계관에 비추어 행정가의 역할을 자율성을 존중하는 행정가, 상보적 관점에서의 수업지도성을 발휘하는 행정가, 그리고 자기를 조직하는 변혁적 행정가로 보았다.<BR>  열린 교육의 지속을 위해서는 최근 등장한 지속적 지도력이 요구된다는 시각에 본고에서는 지속적 지도력의 개념과 실행 범위를 살펴보았다. 지속적 지도력의 개념은 공공의 가치와 도덕적 목적 추구,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 체계적인 전략 활용, 단기간ㆍ장기간의 결과를 위한 이중의 수행, 끊임없는 조절 장치로서의 지도력으로 규정하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지속적 지도력의 범위로는 학교 차원의 지도력, 지역청 차원의 지도력과 시스템 차원의 지도력으로 보고 각 차원의 구체적인 전력을 제시하였다. 열린 교육의 확산은 행정가들의 지속적 지도력을 이론과 실천 차원에서 부단히 전략을 탐구하고 실행하는 노력에 달려 있다.

      • KCI등재

        3·1운동 원인론에 관한 성찰과 제언

        도면회(Do Myoun-hoi) 한국역사연구회 2018 역사와 현실 Vol.- No.109

        Korean historians tend to agree upon the causes that triggered the breakout of the March 1<SUP>st</SUP> Movement. It was perceived by many, that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blatant oppression as well as economic exploitation essentially gave birth to 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Koreans. And then, the U.S. President Wilson’s declaration of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1918 was coincidentally followed by Joseon King Gojong’s death. The public’s anger and frustration that had been building for years finally exploded, and the religious leaders were apparently able to channel them into a grand social movement. At first, these explanations concerning the causes of the very movement do not provide us with a clear answer to the questions, such as how a countrywide social upheaval involving the entire spectrum of Korean population was even made possible in the first place, and what was the most prominent factor that ultimately provoked the movement. Secondly, It also prevented us from further engaging in the research of several institutional as well as cultural elements that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aggravation of social problems in the 1910s. In the past, Korean historians used to suggest either Wilson’s Declaration or the Russian October Revolution as external causes of the March 1<SUP>st</SUP> movement. And in their analysis of the domestic background of the movement, they also raised several notions of either the national elites leading the charge or the general public being the main thrust behind it. Sometimes they even employed a theory that all those shout-outs that occurred in different areas were staged for different reasons and with different backgrounds. In this article, colonial oppressors’ discriminative policy, excessive and hasty implementation of modern institutions, unbearable exploitation & mobilization ofresources in Korea, and society-wide anger that had accumulated for yearstoward brute forces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are mentioned as systemicelements that caused the movement to initially form. Meanwhile, it also seems like some additional elements were in play, as landlords and religious leaders of Joseon could have been inspired by or simply inclined to utilize international elements and mobilize the Korean population, which needed a channel to vent their anger that would ultimately spark a globally unprecedented National movement. This kind of perspective employed in searching for the causes of the March 1st movement would hopefully prompt us to understand the dual nature of colonial modernity of Joseon society, which had both a ‘colonized’ aspect and a ‘modernized’ aspect.

      •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안영필,신영균 東亞大學校附設스포츠科學硏究所 1999 스포츠科學硏究論文集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recognize seriousness of juvenile problems in our society, to investigate juvenile delinquency in view of sports socialization. Survey variables consist of participating motivation, grade, home environment and pattern of participation connected with sport. This study identifies the divergence of sport environment, self a notion, anxiety, fatigue, sort value influenced by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factors of sport socialization. Through this, the study pattern between delinquency inclination and delinquent action is established. In order to prove the above hypothes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and was selected by the use of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1,773 were used on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by such statistical analysis at t & F-teat, 2-way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sport environment of home on male student, sport participationg motivation represented high in club, rich home, high academic-careered parent, athletic player experienced, positive sport participating group. 2. On female student, sport participating motivation, represented high in family, middle school 1, very rich home, high academic-careered parent, athletic player experienced juvenile. On male students, sport environment of poor home, elementary school careered father. On female student. 3. On male student, the factor which related with delinquent action of juvenile represented high in order of fatigue, self a notion, On female student, the factor which related with delinquent action of juvenile represented only in fatigu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