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이혁규(Lee, Hyugky)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한국의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에서 실행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하여 왔는지를 먼저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경향을 개관하고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한국에서 실행 연구는 1950년대에 현장 연구라는 이름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현장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1990년대 이후 실행 연구로 개칭되고 순환적이고 질적인 연구의 성격으로 변화하였다. 유아 교육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실행 연구 전통의 영향을 받아서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 논문을 실행 연구 주제, 실행 연구의 방법, 실행 연구의 개선 대상, 실행 연구의 참여자 형태의 네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 유아 교육 분야의 실행 연구는 과거 현장연구의 관행을 탈피해서 교육 현장 개선 연구의 최근 경향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특징을 보면 교수 방법을 개선하려는 기술적 실행 연구(technical action research)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연구가 지향하는 범위도 교실 실행 연구(classroom action research)의 범위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단독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 참여자들 간에 협동적인 실행은 잘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석에 터하여 실행 연구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pplied four classification standards to examine the research: theme of the silhaeng study, method of silhaeng study, scope of improvement, and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In general, the action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1990’s, applied circul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tributing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past hyeonjang researches in Korea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However, technical action research was mainly practic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and also the range of improvement that the research orientated on only hovered around the category of classroom action research. Furthermore,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 joint researches were being executed in majority but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t observed from the papers. Based on such analysi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improvement, which the action research orients on, conducting a large-scale cooperative research, and executing a dialogical an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been suggested by this study.

      • KCI등재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김희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질적 연구 패러다임 안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실행연구 개념에 착안하여, 유아교사의 정체성을 찾고 교육전문가로서의 소명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실행연구자로서의 유아교사라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실행연구를 개념화하기 위해 실행연구의 정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현장연구 개념화에 있어서의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본질적 소명으로서의 실행연구의 중심요소를 해석과 이해, 교사의 내면적 변화, 상향 이동, 협력, 실천지와 실천행위의 순환적 창조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념화가 가지는 의의를 사고의 활성화, 교사 해방, 어린이의 삶의 질 고양, 전문성의 확대와 교류, 진정한 교육적 권위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실행연구의 실행(action)의 기초를 '나를 인정하기', '이해하기', '표현과 대화하기'에서 찾고, 마지막으로 실행연구자로서의 유아교사가 직면할 수 있는 딜레마와 그 해결점을 모색하였다. In order to clarify early education teachers' identity and to improve their role performance as professionals, this study, within the context of an action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formulates a perspective which presumes early education teachers as action researchers. In conceptualizing action research, the literature on the definition of action research is reviewed, the limitations of classroom research in Korea are pointed out, and essential elements of action research are delineated: they ar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teachers' internal change, under-to-upper movement, collaboration, and circular creat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ction. The values of an action research early education are analyzed in terms of 1) activation of teachers' thinking, 2) teacher emancipation, 3)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life, 4) the precipitation of the exchanges involved in the subsequent expans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5) and the re-establishment of educational authority. The prerequisites for teachers' action of action research are identified with the acceptance of 'I' (subject), the understanding of whole contexts, and appropriate expressions and dialogues. The dilemmas in performing action research in practice and the researcher's position on those dilemmas are discussed.

      • KCI등재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조용환 ( Yong Hwan J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4

        실행연구는 ‘재현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강점을 가진 질적 연구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실행연구의 원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그 기법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는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실정에 대한 상심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실행연구다운 실행연구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실행연구를 실행연구답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그 탐구의 결과를 다음 일곱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동향 진단, 문제 분석, 향후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질적 연구를 소개하는 기존 문헌들에서 실행연구를 현장연구와 동일시하거나 현장연구의 한 가지 접근방법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둘째로, 현장연구와 실행연구는 문제의식을 공유하지만 그 문제의식을 어떻게 방법(론)으로 구현해내는가에 따라서 명확히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셋째로, 실행연구는 철저한 현장연구, 생활세계의 실질적 개선,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주체 형성,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방법(론)적 특징을 가진다. 넷째로, 질적 실행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실천주의 패러다임의 견지, 불확실성의 지혜, 협동의 진화에 최대한 유의해야 한다. 다섯째로, 실행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자-참여자 합작 실행연구, 참여자 주도 실행연구, 비판적 실행연구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여섯째로, 실행연구의 ‘실행’이 행위이론의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함께 이해되고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로, 향후 질적 실행연구에서 사전검사-사후검사 형태 효과 검증에서의 탈피, ‘3E’의 교차적이면서도 통합적인 수행, 다양하고 독창적인 분석 및 해석 틀의 개발과 적용, 이해가 아닌 설명에 치우친 문적인 연구의 지양, 문질빈빈의 존재론적 접근 등의 과제들이 요청된다. Action research is highlighted these days for its strengths in overcoming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Action researchers have tried to minimize the gap or separation between the life world and the academic world, between ordinary people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owever, we still hav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action research as well as insufficient technical know-how about action research. Grieving over such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methodological essence of action research and to examine its relevant research techniqu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result is reported along with seven items including the diagnosis of ‘state of the art,’ the analysis of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rst, we easily find papers in which action research is either confused with field research or regarded as a branch of field research. Second, action resear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field research for its methodological specialties even though the two shares some of the same problems and orientations. Third, the methodological specialties include: ① research on the practical site ② the actual betterment of the life world ③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and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④ production of grounded theories, among others. Fourth, especially in qualitative action research, we should attend to: ① keep the emancipatory paradigm ② value the wisdom of uncertainty ③ promote the evolution of collaboration. Fifth, we are asked to take note of new-brand action researches including: ①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②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③ critical action research. Sixth, we need to develop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action research along with various ‘action theories.’ Seventh, we offe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such as: ① getting out of the old ‘before-after’ effect verification research models ② performing integrative and cross-modal research practices on three ‘Es’ (Experiencing, Enquiring, and Examining) ③ developing diverse analytic tools and creative interpretation frames ④ nourishing descriptive researches based on understanding rather than explanation ⑤ furthering ontological ‘moonzilbinbin (文質彬彬)’ approaches.

      • 사회사업에서의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PAR)와 Action Research(AR) 모델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정희,안정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사회사업 조사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인간의 욕구와 문제들을 해결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여 왔다. 과학적 방법론은 인간행동의 기준을 설정하고 결과를 제시하는데 객관성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 방법론을 사회사업실천 영역에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간과해서 안 될 점은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놓고 조사연구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개입을 계량화하는데 초점을 두지 않고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두고 역량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사업 본연의 가치인 클라이언트 중심의 조사연구 접근과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메우는 하나의 교량으로서 실행연구(AR: action research)와 참여적 실행연구(PA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개념과 과정을 소개하고 한국 사회사업실천에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AR과 PAR의 개념과 역사, 실행과정을 분석하고 사회사업실천에의 필요성과 적용점을 분석해 본 결과, 필요성에 있어서는 실천현장에서의 적용용이성, 지역사회기반의 일반주의 실천접근과의 적합성, 조사연구와 실천의 통합, AR기술의 실천기술로서의 활용성 등으로 나타났다. 적용상의 이점으로는 클라이언트 문제와 욕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 다각적인 맥락에 의거한 해결방법 모색, 조사자 곧 실천가 자신의 반성과 성장, 임파워먼트 실행의 촉매제로서의 기능, 조사연구의 확대가능성, 지역사회기반의 조사연구 확대, 효과적인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있어서의 적용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현장에 AR을 도입하기 위해서 유의할 점으로 조사연구자로서의 실천가의 역량강화, 공동협력연구의 필요, 현장과 실천중심 연구를 강조하는 인센티브 제공, 구체적인 액션리서치의 한국형 모델 구축 등 4개의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aggressively used to solve and forecast many complicated anxieties and problems of human beings in Social Works Research.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preferred in terms of the objectivity in establishing the standards of human behaviors and presenting the results. However, the important fact in applying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to Social Works Practice Field is that the clients should be researched being positioned in the center.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ethod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the clients with them positioned in the center, not focusing only on the intervention measure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and course of AR (Action Research) and PA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s one of clients-centered research approaches and one bridge to connect the theory with the price, aiming at looking for the possibility to apply these methods to Social Works Practice. After the concept, history and performance process of AR and PAR were evaluated and the requirements and applications for AR and PAR in Social Works Practices were analyzed, it was recognized that AR and PAR have the advantages in the compatibility in requirements for Social Works Practices, matching with Community-based Generalist Practice, the integra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and application of AR as a practice technology and etc. The additional advantages, which were found in application of AR and PAR are that AR and PAR give th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roblems and desires of clients, the searching for the methods from various aspects and angles, the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researchers, the function as the promoter of mpowerment practice, the expandability of research, the expandability of community-based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to the efficient social welfare management systems and etc.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4 subjects to apply AR to Korean Social Work; the build-up of capability of field workers as researchers, the need for the cooperation of researchers, the incentive systems for field and practice centered researches, and the set-up for Korean AR Model.

      • KCI등재

        국내 역사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구

        지연정(Yeonjung Ji)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6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보다 더욱 방법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그동안 실행연구 방법을 쓴 논문과 학술 자료들이 어떠한 내용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역사교육에서 이루어질 실행연구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그리고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역사교육에서 1999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축적된 실행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역사 교사들이 연구의 주체가 되어 수업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실행연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실행연구 과정인 ‘계획-실행-관찰-성찰’ 단계를 1차 적용한 실행연구가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1차 적용 후에 재계획한 수업을 다시 실행하고 관찰 및 성찰하는 2차 수행 과정이 생략되어 교수・학습방안이나 프로그램의 완전한 개선과 개발을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셋째, 자료 분석 절차나 방법적 측면에서 ‘관찰 기간’, ‘삼각 검증’, ‘동료 검증’ 등 자료의 분석 과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질적 연구에서 중요한 방법론적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넷째, 실행연구 형태로는 공동 연구보다는 개인 연구자 중심의 실행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앞으로 더 확산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행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연구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자료 분석 타당도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협력적 실행연구의 확산으로 교사연구 공동체의 전문지식을 발현시키며, 교사연구자들의 노동력을 분담하여 교사연구를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previously published action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 topics, and the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from 1999 to 2022, Firstly, history teachers were utilizing action research as a means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curriculum. Second, many ac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first step of ‘planning-action-observing-reflecting’, which is an action research process. After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performance process of re-action, observing, and reflecting on the re-planned class was omitted,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rough which process the class was improved and how students' learning effects changed in detail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ird, the validity process was unclear in terms of data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so it was insufficient to verify to what ex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an effect on the educational field. Lastly, in the form of action research, there were many action research centered on individual researchers rather than collaborative research. In order for action research to spread further in history education, firs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method of action research must be preceded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outline the criteria for data analysis valid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showcas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 research community by conducting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nd to continue teacher research by sharing the labor of teacher researchers.

      • 교육 현장을 위한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 개발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실행연구의 내용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알맞은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구를 중심으로 한 기존 실행연구 모델의 단계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에서 공유되는 핵심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명하고,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수행된 실행연구 사례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진행되는 실행연구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실행연구 모델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확인과 구체화 단계에서는 실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실행 계획 단계에서는 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방안을 구상하고 준비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준비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하고 그 결과에 관한 증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다. 넷째, 성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실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 연구를 종결할지, 재실행할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연구자의 역량과 현장의 맥락에 적합한 다채롭고 심도 있는 실행연구 사례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ontent of many action researches developed so far and propose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proper for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analyzed the stages and specific content of the old action research models mainly from the West to generate findings before identifying the core procedure and content shared among action researches and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Finally, the study proposed an action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four core elements based on real action research cases. The study developed an action research model fit for the education field of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hecking and specifying a problem checks out the most important initial problem in action research and sets the research direction; second, the stage of planning an implementation designs and prepares a tentative plan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third, the stag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prepared solution firsthand and collects evidence about its outcomes in various ways; and finally, the stage of reflection investigate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b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depth and determines whether to end or reru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and profound action research cases will be accumulated fit for the competence of a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 KCI등재

        교사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교육적 연구: 실행연구의 의의와 음악교육에의 제언

        김경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5

        Action research is important research method for realizing the “teacher as a researcher” who is dedicated to educational practic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making a philosophical teacher.”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educational research with a practical property proposed by Richard Pring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action research as a typical form of a practical research. For this purpos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the researcher discusses the meaning of “reflection,” a key concept related to action research,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eacher's “self-identity.” Furthermore, while articulating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review process” of action research, the researcher also emphasizes the demand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henomena in order to achieve the public review process of action research in the context of music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researchers, who can help conceptually analyze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out the practice of music education,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field teachers who teach music should pay attention to such educational concepts and their teaching knowledge should be mutually shared and more closely scrutinized among teachers by analyzing their lessons conceptually and linguistically.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교육적 실천에 헌신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실현하는 중요한 연구 방법이며, 이는 ‘철학하는 교사 만들기’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본 연구는 리처드 프링(Richard Pring)이 제안하는 실천적 성격을 가진 교육연구의 성격을 검토하고, 그것의 전형적 형태로서 실행연구가 실천적 연구로서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의 특징을 검토함으로써 그것과 관련된 핵심 개념인 ‘반성(reflection)’의 의미와 그것이 교사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그리고 실행연구의 ‘공적 검토 과정’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음악교육의 맥락에서도 실행연구의 공적 검토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현상의 개념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음악교육의 실행 전반에서 교육 현상을 개념적으로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자들의 역할이 주요하게 작동해야 하며, 음악 교과를 담당하는 현장 교사들은 그러한 교육적 개념들에 관심을 갖고 자신의 수업을 개념적으로, 언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교육적 지식들이 교사 간에 상호 공유되고 더욱 면밀하게 분석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한다.

      • KCI등재

        국내 영어교육분야 실행연구 동향 분석

        강후동 한국영어교육학회 2016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15 across 36 masters/doctoral theses and 21 articles from journals. The research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riteria: purpose, theme, methodology, differences between such characteristics across action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to that published in disser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dissertation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study sugges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continue its upward trend; ac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more prevalent at the primary school level rather than at the secondary and university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mixed method in English educatio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mixed research in education with a 43% mixed method proportion accompanied by 55%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that action research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ll become a more meaningful and feasible tool for practitioners’ inquiries, as it provides graduate students with applied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manding school environment and writing assignments such as their thesis and research paper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aforementioned factors enlarge the existential meaning of curr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 KCI우수등재

        국외 간호학술지에서의 의료기관 내 실행연구 동향분석

        문정은(Moon, Jeong Eun),송미옥(Song, Mi-Ok),김희영(Kim, Hee Young),박현영(Park, Hyun Young),김은아(Kim, Eun A),김윤민(Kim, Yun Min),장금성(Jang, Keum Seo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16 간호행정학회지 Vol.22 No.1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ajor trends of action research from 2006 to 2013 and suggest directions for activating and advancing domestic action research in nursing. Methods: A review was made of 118 action research studies in hospital settings reported in international journals. Search from PubMed, Ovid, and CINHAL was done using analysis criteria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cus on changing outcomes of action research were analyzed. Results: The major group of researchers belonged to colleges/ universities (40.7%). Methods included use of qualitative methods (61.0%), research questions (24.6%), and use of theoretical models (35.6%). Prevalent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nterviews (20.2%), and 48.3% showed more than a 1-cycle process including spiral circulation structure. Focus of changing outcomes of the 56 papers including more than 1-cycle were practice (66.1%), environment (8.9%), client-nurse (7.1%). Conclusion: Trends in action research in nursing were identified providing necessary reasons to increase action research in nursing as follows: needs of various researchers including stakeholders as well as healthcare providers, various research designs including unconstrained reflection and writing, specific presentation of adapted theoretical models and action strategies, and quality assurance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processes and outcomes.

      • KCI등재후보

        Action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이현응(Hyune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2

        다른 교육학 분야에 비하여 HRD 분야 내에서는 액션리서치의 개념이 상대적으로 주목을 적게 받은 경향이 있다. HRD 분야 내에서 액션리서치를 하나의 ‘문제해결 기법’이나 ‘조직개발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정도로 간주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액션리서치에 대하여 매우 협소한 시각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 접근법의 본질적인 의미를 드러내지 못한다는 면에서 연구자들을 오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의 및 특성, 그리고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액션리서치를 기존의 사회과학 연구방법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제안하고 있다. 또한, 액션리서치가 HRD 연구와 학문분야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Compared to other researchers in fields related to education, HRD researchers have shown limited interest in the approach of action research. There are some scholars who describe action research as a ‘problem-solving method’ or a ‘process for gathering information within organizations.’ However, these perspectives are misleading because they are much narrower than the more encompassing use of the term and do not reflect the essence of the approach. Based on investigation of the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development, action research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that are dominant in social sciences. The implications of this method for HR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field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