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이제화 ( Jea Hwa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 11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전문성 인식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전문성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다. 전문성 인식 정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수준, 평균보수,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30세 이상,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기혼여성, 평균보수 140만원 이상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아 전담보육시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교사의 근무경력, 근무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근무경력이 1-5년 미만의 교사, 11시간 이상의 장시간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셋째,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인식 정도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this purpose,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job stress in 110 teach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located in Daegu, were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more than moderate. The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wed difference due to teacher`s age, schooling, average remuneration, marital status. Specifically,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was highest in the case of age over 30 years old, schooling over graduate from 4-year university, married women and average remuneration over \1,400,000. Second,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little lower than moderate. And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job career, working hours. Job stress was highest in the teacher with work career in 1-5 years and teachers working long time over 11 hours. Third, teacher at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The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ffected job stress. In the lower factor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order of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awarenes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정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thical awareness, ethical prac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ose three facto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by 43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validated by mea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ethical awareness was high, practice was relatively low, and eth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wareness. Second,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 among ethical 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thical practice, and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teachers.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a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practi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 직무만족도의 경향성 및 세 변인 간 상관관계, 그리고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평균 및 t검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은 높고 직무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교직윤리 실천은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와 교직윤리 실천,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실천의 증진을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강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한경인(Han, Kyung in),남혜진(Nam, Hye jin),이현주(Lee, Hyunjoo),박승희(Park, Se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심층면담을 통해 장애이해교육의 현상, 쟁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해 그들의 경험을 귀납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으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5명과 특수교사 5명으로 구성된다. 이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참여자 검토를 통해 내적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3가지 주제영역: 장애이해교육의 실행 현상, 장애이해교육의 역할과 기능, 장애이해교육의 최선의 실제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모두 8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입장과 실시 경험에 대한 다각적 묘사와 더불어 장애이해교육의 성과와 문제점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이해교육의 현 상황을 질적연구 방법으로 교사 개인의 경험과 통찰에 기반한 의견과 평가로 점검하였으며, 그 결과 장애이해교육 실시의 긍정적 성과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문제를 ‘재정의’해서 제기한다. 그것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장애이해의 불확실성을 어떻게 넘어서게 할 것인가라는 중대한 쟁점을 지적한다. 즉 교사들의 장애의 상식적 이해를 넘어서 장애이해의 정교화와 심화를 목표로 하는 교사를 위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conducted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inquir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including 5 inclusive teachers and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ternal validity was ensured through the member check. Results: Three main 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implementation aspect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roles and function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uncertainty about the best practices in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ere were 8 sub-themes derived from the three main themes. In addition, accomplishments and barriers in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as well as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teachers were described.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inquiry based on teachers" experiences and insights. The results redefined the issues of current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by identifying accomplishments and barriers. Additio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e necessity of refined and intensiv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that resolve the uncertainty of teachers" awareness about disability. Finall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provid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과 민감성의 매개효과

        김효정 ( Kim Hyo-jung ),강수경 ( Kang Su-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과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와 M-plus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주요변인들의 경로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Bootstraping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은 아동권리인식과 민감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민감성은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의 관계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아동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권리인식과 민감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민감성과 아동권리인식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아동권리존중 실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kills,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eachers’ sensitivity and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sensitivity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surveyed were 293 childcare teachers in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 and M-plus7 programs for statistical proces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nd bootstrapping method suggested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hildcare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sensitivity. Second, the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directly affects on the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ird, regarding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kills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sensitivity was observed. Fourth,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kills on their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showed significant dual mediation effects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sensi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was intended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practi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 KCI등재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및 문화성향 간의 관계

        차효첨(CI XIAOTIAN),이유미(Lee You-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은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문화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서 중국 허베이성(河北省)에 있는 스자좡시(石家庄), 헝수이시(衡水), 창주시(沧州), 한단시(邯郸), 탕산시(唐山), 바오딩시(保定) 지역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교사 6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아동권리인식의 하위요인 중 ‘폭력과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표현의 자유와 참여의 권리’를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중국 유아교사의 문화성향 하위요인 중 ‘집단주의’ 수준이 ‘개인주의’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문화성향은 모두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국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문화성향은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11.9% 설명하였다. 특히, 문화성향 하위요인 중 ‘집단주의’ 성향은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아동권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중국의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문화성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문화성향의 가치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life satisfaction, and cultural trends.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689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Shijiazhuang, Hengshui, Cangzhou, Handan, Tangshan, and Baoding areas in Hebei Province, Chin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Results First, the 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s. It is reported that among the underlying factors i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s right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right to protection from violence and abuse” has the highest level,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will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is the lowest. Among the underlying factors of the teachers’ cultural tendency, the level of “collectivism” is higher than “individualism”. The survey shows that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is low. Seco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s rights, life satisfaction, and cultural trends are all meaningful. Third, the life satisfaction and cultural trends of the teachers are 11.9%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Conclusions Especially of the cultural trend of “collectivism” in the underlying factors, it is speculated to be the main factor of perception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s rights. This research which has great research significance, is aimed at the teachers who have gradual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 s rights.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s, life satisfaction, and cultural trends, and proves the cultural trends of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s.

      • KCI등재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현(Seo Hyun),이승은(Lee Seung 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을 포괄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구체적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들의 다문화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이었고, 다문화적 효능감은 대부분의 문항에서 ‘보통이다’에 응답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다문화적 이해도를 보였으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가진 교사의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의 목표 관점은 인간관계 중심 관점에 동의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다문화 인식 분석 결괴를 근거로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소규모 현장적용 연구결과, 다문화 태도,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이해도 점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학을 담당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한 교사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할 수 있다.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be prepared to teach children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a)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multicultural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b) to develop an preliminar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MEPECT), (c) to examine the effects of MEPECT on kindergarten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and(d) to provide teachers, administrators, and teacher trainers with methods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when working with culturally diverse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113 teachers of kindergarten in Jenonnam Province using four parts of questionnaire: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isconception, and the perspective of purpo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strong sensitivity toward issues of cultural pluralism in the classroom. Second, they showed relatively moderate level of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they knew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concepts well. Fourth, they agreed with the goals of human relation centered multicultral education most strongly. Fifth, MEPECT based on data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designed. And 36 teachers were trained for 30 hours. Sixth,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MEPECT on kindergarten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The teachers in the treatment group achie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in multicultual awareness. Children need to be a good citizen in multicultural society. To educate children to be multicultural citizen, teachers must have high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re is a strong need to conta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re/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Teachers’ Negative Attitudes and Limited Health Literacy Levels as Risks for Low Awareness of Epilepsy in Turkey

        Yilmazel Gulay 대한예방의학회 2023 예방의학회지 Vol.56 No.6

        Objectives: For students with epilepsy, schools are a critical environment for managing the disease properly. This study examined awareness of epilepsy, attitudes toward epilepsy, and health literacy among school teachers in Turkey.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city in Turkey with 1408 public school teachers from June 2021 to September 2021.Results: The median scores of the scales were 5, 29, and 32 for epilepsy awareness, epilepsy attitudes, and health literacy, respectively. Epilepsy awareness was higher in women, and epilepsy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in women than men (<i>p</i><0.05). While epilepsy awareness was higher in primary school teachers, epilepsy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i>p</i><0.05). Epilepsy awareness was lower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odds ratio [OR], 1.27; <i>p</i><0.05), those who did not have an individual with epilepsy in their family/social environment (OR, 1.57; <i>p</i><0.001), those who did not have a student with epilepsy in their class (OR, 1.45; <i>p</i><0.05), and in those who had not witnessed an epilepsy seizure (OR,1.19; <i>p</i><0.05). Compared to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epilepsy, epilepsy awareness was 1.36 times lower in those with negative attitudes (<i>p</i><0.001). Epilepsy awareness was 1.92 times lower in those with limited health literacy than those with adequate health literacy (<i>p</i><0.001).Conclusions: In this study, low epilepsy awareness, negative epilepsy attitudes, and limited health literacy were common among teacher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anels, workshops, and health training on epilepsy should be organized for school teachers and included at regular intervals in certified first-aid practic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부경,정희정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4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230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4.0. Scheffe's post hoc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social conditions: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in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empowerment,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and toddl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rights in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interaction, the empowerment and interac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empowerment. Thir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rights and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In conclusion, growing teachers’ awareness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in order to have high quality interaction is essential. Also, raising teachers’ empowerment with the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에재직 중인 보육교사 23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인식은 연령, 교사경력,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임파워먼트는 연령, 교사경력, 학력, 직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경력,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유아 권리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 상관관계, 임파워먼트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 상관관계,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 간에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 임파워먼트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질 높은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해 보육교사의 영유아에 대한 권리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과동시에 영유아교육기관의 조직 관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어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와 과제

        김백희(Kim Baek Hee)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50

        최근 급격한 사회변화와 다양한 국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생겨남에 따라 한국어 교사의 다양한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 교사들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국어 교사가 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등을 살펴보고, 현직 한국어 교사들에게 받은 설문지의 결과를 통해 어떤 재교육이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인가를 고민했다. 한국어 교사들에게 실시한 설문조사는 성별, 나이, 경력 등을 질문하는 기초조사와 한국어 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그리고 요구조사로 이뤄져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참여한 한국어 교사의 수가 적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한국어 교사들이 원하는 재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서 의의가 있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구성내용 등에 대해 검토할 수 있었고, 추후 계속적인 연구로 이어가려 한다. 효과적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상황대처능력과 국어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워크숍과 특강자리를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또 시·공간적인 제약이없는 국가적 차원의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누구나 접근할 수있는 평등하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논문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어 교사 재교육의중요성을, 2장에서는 한국어 교사들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와 요구조사에관한 내용을, 3장에서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 재교육의방향과 한국어 교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Amidst rapid societal changes, and with a rising number of Korean learners being of different nationalities, diverse skills are required to become a Korean teacher. This research study asserts that retraining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Korean teachers’ core competencies.There are several ways to become a Korean teacher. This study covers the Korean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nd considers how re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to be more practical and helpful to Korean teachers based on their responses to the survey. The survey covers the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of Korean teachers such as their gender, age, career, and their awareness and requirements about Korean language retraining. Al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o this survey, it is still important as it identified their preferred retraining program direction, as well as the program’s contents in detail. Through this survey, the retraining program direction and its contents could be reviewed, and we aim to build upon this study in the future. To retrain Korean teachers more effectively, the following proposals have been put forward. Primarily, workshops and extended learning courses should be arranged in a more systematic manner. Through those the teachers can acquire abilities to handle potential problems arising at their workplaces in addition to deeper linguistic knowledge about Korean. Moreover, at a nation level, online retraining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enable sustainable and fair education that is widely accessible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Chapter 1 covers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Korean teachers to improve their core competencies, and Chapter 2 covers the Korean teachers’ awareness of requirements pertaining to retraining. Chapter 3 outlines the retraining program direction and how it should be carried out to enhance the teachers’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윤희,임원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teaching flow on th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345 preschool teachers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teaching flow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was also significant. Second, analysis of the relative strength of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teaching flow in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reveal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s a sub-variable among teaching flow was the most prominent predictor of th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followed by ethics for preschoolers among teachers' ethical awareness as well as specific plans among teaching flow.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based on newl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s, desirabl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care quality.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경기도와 충남지역의 보육교사 34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 및 교수몰입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위변인 간의 상관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높을수록, 교수활동 중 몰입경험이 많을수록 교사는 영유아와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수몰입의 하위변인인 내적동기, 교직윤리의식 중 영유아에 대한 윤리, 교수몰입 중 구체적 계획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현장에 필요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발달시키고 나아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