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敵) 을 이용한 북한의 주민 결속 메커니즘 연구: '고난의 행군' 시기를 중심으로

        최종환,엄현숙,이우영 북한연구학회 2019 北韓硏究學會報 Vol.23 No.1

        The paper analyzed how North Korea tried to bring about solidarity among its people through the media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The study analyzed the North‘s profiganda to redefine the enemy and persuade the publ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termination’ as a mind action of the mind. The study analyzed articles in pages 1 to 3 of the 『Rodong newspaper』, which deals with North Korea's enem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orth'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was first, when it intentionally turned its attention to outside enemies to resolve internal instability, which was closely linked to promoting stability in the regime.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also turned out to be a form of obsession or overstatement.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North Korea has shown that it is trying to break through the crisis by actively promoting its own identity and ideas. During the ‘Arduous March’, the propaganda using the enemy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ecame a key driver to demand specific actions from the people beyond the concept of unilaterally conveying the leader's message and to enhance the cohesion of the system. 이 논문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언론을 통하여 어떻게 주민의 결속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마음 작용으로서의 ‘결의’에 주목하여 적(敵)을 재 정의하고 대중을 설득하기 위한 북한의 프로파간다에 주목하였다. 연구는 북한의 적을 다룬 『로동신문』 1~3면 내 기사(article)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우선, 내부의 불안정성 해소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심을 외부의 적에게 돌림으로써 갈등을 조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체제 안정을 도모하려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난의 행군’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또한, 현재에 대한 집착 또는 과대평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자신만의 정체성과 사상을 적극 내세워 위기를 돌파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다음으로, 지도자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개념을 넘어 주민들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고, 체제 결속력을 높이는 핵심 동인이 되었다.

      • KCI등재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 -"적(赤-敵) 만들기"와 "비국민"의 계보학

        강성현 ( Sung Hyun Kang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이 글은 적(赤-敵) 만들기의 역사적 구성과 비국민의 계보학의 차원에서 아카와 빨갱이의 탄생을 분석했다. 아카와 빨갱이는 둘 다 사람의 속성을 ‘빨강(赤)’이라는 색깔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리고 그 의미가 일차적으로 공산주의자를 속되게 지칭하는 것이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의미가 완전히 열린 채 부정의 낙인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러나 동시에 두 용어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아카는 포섭의 대상이거나 ‘배재한 채 포섭’하는 대상이었다. 1935년을 전후한 아카의 탄생은 애초 사상검찰의 권력 증대 차원에서 시도된 것이었다. 중일전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전되면서 당국이 포섭을 거부하는 아카(비전향자)를 예방구금을 통해 격리시키는 방식으로 배제했지만, 매우 제한된 수였으며 적어도 담론상으로는 이들에 대한 포섭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다. 또한 아카가 전시 방첩상 이적행위자에 대한 낙인으로도 작용했고, 태평양전쟁 말기에 일부 담론상에서 ‘배제’, ‘박멸’이라는 용어가 잠깐 등장하기도 했지만, 이것이 실제 아카로 낙인된 존재들을 죽음으로 동원했던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빨갱이는 친일과 단선단정 세력이 자신들을 ‘청산’하려는 자기-아닌-존재들을 적과 이단으로 만들기 위해 활용하기 시작한 이름-용어였다. 생존이 걸린만큼 매우 적대적으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 전후 내전 상황에서, 즉 국가건설, 혁명, 봉기, 내전이 교차하는 예외상태(비상사태)적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동원했다. 빨갱이여서 죽었고, 또한 죽어서 빨갱이가 되었다. 그리고 아카는 중일전쟁기에 젠더화된 스파이 담론과 결합하였다. 아카-스파이의 성적 대상화는 흥미를 유발시켜 시선을 집중시키고 국민방첩 교육을 극대화시켰으며, ‘총후부인’의 올바른 여성상을 제시하는 기능을 했다. 태평양전쟁기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여성 스파이 이야기보다 직접적으로 국민방첩 실천의 심득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에도 빨갱이와 간첩의 젠더화담론은 일정 정도 연속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유혹하는 빨갱이와 간첩의 이야기는 유혹과 그 위험성에 대한 경계를 환기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에 대한 극복, 정복의 논리로 절멸과 섬멸을 시사했다. 태평양전쟁기 ‘국외전쟁의 후방’인 식민지 조선과 정부 수립 전후 내전상태로 점철된 남한의 상황은 분명 적(赤-敵)에 대한 차원이 다른 적대성을 만드는 힘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reation of ‘Aka’ and ‘Bbalgangi’ as a historical formation of enemy-red making and geneology of non-nation. Aka and Bbalgangi are common with to define one’s characteristic using color ‘red’. As primary meaning, both terms depreciate communist, and the more remarkable common feature is that both open to interpretation and function negative stigma. However, these are different in signification. Aka was the target of inclusion or, at least of ‘inclusion but exclusion’. Around 1935, the creation of Aka was originally attempted to increase increasing power of Thought-Prosecutor. Sino-Japanese war spread out to Pacific area, Japanese colonial authority preventively detained Aka(the unconverted) and excluede them from society, but this was limited case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was expressed in discourse. Also, Aka functioned the stigma on (profiting) enemy in wartime counterintelligence, and extremely negative terms like ‘exclustion’, ‘extermination’ appeared for a little while, but these didn’t exterminate Aka. However, Bbalgangi is differentiated from Aka since it means the readily-condemned criminal, even as the ‘criminal must be killed’. As it shows, the name-term Bbalgangi already bear the extinction, extermination and possible genocide within. This is a result from radical, extreme signification of Bbalgangi on state of civil war,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ROK government, throughout the process of building a state, revolution and its anti-revolution, rebellion and repression on it; a state of exception.

      • KCI등재

        역내 교통의 (불)가능성 혹은 냉전기 아시아 지역 기행

        장세진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organization of regionalism by examining the Asian travel journals written by South Korean elites in the post-colonial era (1945~1960). Such re-organization concerns the demarcation of ‘I-We’ beyond the nation-state. In other words, I looked into how the sign of former ‘Orient/Asia’ changed when it was put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cold war narrative spread out on a global sca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vel journals, it became clear that the most conspicuous change was that ‘Asia’ as an organic unit had been rapidly dissolved with the urgent agenda of making a nation-state. What the travelers witnessed in Asia was the ‘post-colonial’ power of the U.S., and ubiquitous universality of America located at the core of cold war narrative. Not every newly born nation-state, however, regarded the U.S. the same way South Korea did. The cold war narrative was being differently appropriated incompetition with the post-colonial orientation in many other Asian countries. This is the complicated context in which the travel journals for Asia were located. In reality, the travel journalsproduced after the Korean War made a symbolic tie among the few anti-communist countries instead of a collective-security system that ended in failure among all Asian countries. In short, what the travel journals for Asia showed was the serious breakup of Asia in dichotomy of comrade/enemy that originated from the excess appropriation of cold war narrative in South Korea. A comrade is made by the existence of an enemy. For example, India, the leader of non-allied Asian countries is one typical case that travel journals represented as an enemy in a cold war narrative. The backwardness of Asia was the only thing which was regarded in common among Asian countries within the context of the modernization theory that originated from the U.S in 1950's. With the failure of political solidarity, what remained was the gaze of economic exploitation for Asia.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sia was the name of those who were gazed upon.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아시아 지역 기행문(1945~1960)을 대상으로 탈식민 시기 리저널리즘의 재편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나-우리’의 경계 확정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과거 우리의 최대치였던 ‘동양/아시아’의 외연과 내포가 탈식민 직후 전 지구적 규모의 냉전 서사와 조우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그 내용을 변경, 쇄신하였는가를 묻는 일이다. 이 시기 아시아 지역 기행문을 살펴 본 결과, 가장 먼저 나타났던 변화는 국민국가 건설이라는 급박한 과제 앞에서 과거 아시아라는 단위의 유기적 통일성이 급속히 해체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여행자들이 아시아 지역에서 직접 목격한 것은 탈식민적 파워이자 냉전 진영 논리의 구심점으로서 편재하는 미국의 보편성이었다. 그러나 모든 신생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을 같은 방식으로 바라보았던 것은 아니었다. 미국 발 냉전 서사는 아시아 각국의 탈식민적 지향과 경쟁하면서 상이한 방식으로 전유되고 있었다. 당시 남한에서 생산되었던 아시아 지역 기행문은 바로 이러한 국내외의 복잡한 정치적 맥락 안에 놓여 있었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생산된 역내 기행문은 현실 정치 차원에서는 결국 성사되지 못한 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집단 반공 동맹을 대신하여, 유사한 노선을 추구하는 몇몇 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상징적 유대를 구축하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요컨대, 당시 아시아 기행문이 보여준 것은 냉전 서사의 과잉 전유에 기인하는, ‘적’과 ‘동지’로 극명히 분열된 아시아 상이었다. 물론 이때 ‘동지’는 ‘적’의 존재에 의해 완성되는 것으로, 특히 비동맹 아시아 국가들의 리더였던 인도는 적의 좌표에 놓이며 가장 적대적으로 재현된 대표적 사례였다. 한편 미국 발 근대화 이론의 영향 속에서 ‘아시아적 정체성(停滯性)’만이 유일한 아시아의 공통성으로 인식되었다. 정치적 연대가 실패한 자리에 오직 아시아에 대한 도구적 이윤 창출의 시선만 남은 상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당대 남한 사회에서 아시아란 ‘응시당한 자’의 이름, 바로 그것이었다.

      • KCI등재

        한국 보수언론의 담론정치: ‘송두율 간첩 사건’을 중심으로

        강국진,최종환,김성해 한국사회역사학회 2022 담론 201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media’s discourse politics which aim at shaping public opinion. For this, the case of making Song Du-yul professor as a public enemy was chosen. Total of 102 articles from those conservative newspapers such as the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were analyzed.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Media’s discursive strategy focused on making distinction between the enemy and the frie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lternative discourses were thoroughly excluded by ignoring various opinions based on historical facts. The research team hopes to initiate developing alternative discourses for the sake of peace and democracy by this study. 이 연구는 한국 보수언론이 사설과 칼럼 등을 통해 여론에 개입하는 담론정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사례로 ‘해방 이후 최대 간첩 사건’으로까지 불렸던 ‘송두율 교수 사건’을 선정했다. 분석자료는 송 교수가 귀국한 2003년 9월 이후부터 법원의 항소심 판결이 나온 2004년 7월까지 보도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 기사 102건이다. 분석결과, 보수언론의 현실 규정은 ‘아군과 적군’, ‘우리와 저들’이라는 이분법으로 재단되는 것이 밝혀졌다. 논리적으로 어긋나는 정보는 배제하기도 했다. 보수언론의 간첩 담론이 특정한 고정관념과 왜곡된 현실 인식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을 밝힌 이 연구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안 담론이 활성화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미국 헌법상 조약 형성과 전쟁에 관한 권한들

        임지봉(Jibong Lim)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2

        보통 한 국가는 국내무대뿐만 아니라 국제무대에서도 국가 자격으로 많은 활동을 하고, 그 국가의 헌법에서는 그러한 활동의 근거가 되는 권한들의 행사 요건, 방법, 범위 등에 대해 근거규정들을 두고 있다. 특히 미국과 같은 연방국가에서는 연방 행정부를 이끄는 대통령, 연방의회, 연방 대법원이 이러한 국제관계의 권한들에 대해 여러 권한들을 나누어 가진다. 본 연구는 미국 연방헌법상 국제관계의 권한 중 조약의 체결 및 비준 동의권과 전쟁에 관한 권한의 배분에 대해 연방헌법상의 관련 조항들과 미국 연방대법원의 주요판결들 및 이를 통해 귀납된 법리들을 중심으로 자세히 분석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 연방헌법상의 조약 체결과 비준 동의 및 전쟁에 관한 권한 규정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국제관계의 권한 행사와 관련된 여섯 개의 미국연방대법원 주요 판결들을 시기 순으로 자세히 분석해본다. 1920년의 Missouri v. Holland 판결, 1936년의 United States v. Curtiss-Wright Export Corp.판결, 1948년의 Woods v. Cloyd W. Miller Co. 판결, 1952년의 Youngstown Sheet & Tube Co. v. Sawyer 판결, 1979년의 Goldwater v. Carter 판결, 2004년의 Hamdi v. Rumsfeld 판결이 그 여섯 개의 판결들이다. 그 후에 조약의 체결 및 비준 동의권과 전쟁에 관한 권한의 배분에 대해 미국 연방대법원의 주요판결들의 분석을 통해 귀납된 법리들을 국제관계에서의 권한들, 조약과 행정협정, 전쟁에 관한 권한들을 중심으로 자세히 규명해본다. A nation plays an active part in international arena in a national capacity as well as in domestic areas. The Constitution of the nation has some provisions on the scope and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national powers as constitutional grounds. Especially, the constitutional powers in the international areas are divided among the President, the Congress and the Supreme Court based on the Separation of Powers doctrine.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principles of law on the international powers such as Treaty-Making Power, Treaty-Consenting Power and War Powers in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the concerned major decisions by the U.S. Supreme Court as well as the concerned provisions in the U.S. Constitution.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overview the provisions on the Treaty-Making Power, Treaty-Consenting Power and War Powers in the U.S. Constitution at first. Then, it will analyze in details the six major decisions by the U.S. Supreme Court on the issue including Missouri v. Holland in 1920, United States v. Curtiss-Wright Export Corp. in 1936, Woods v. Cloyd W. Miller Co. in 1948, Youngstown Sheet & Tube Co. v. Sawyer in 1952, Goldwater v. Carter in 1979, and Hamdi v. Rumsfeld in 2004. Based on the analyses above, this paper will inductively explore the legal principles on the constitutional power divisions in the international areas focusing on the issues of treaty, executive agreements and the war powers.

      • KCI등재

        晉文公의 論功行賞과 介子推의 龍蛇之歌

        金榮洙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1

        <晉語>는 시간적 순서에 따른 역사 기술이 아니라 사건이 중복되거나 넘나들고 있으며, 占卜을 통한 길흉 예측과 결과를 통한 교훈적인 의미를 강하게 드러내는 사서이다. 重耳는 43세에 국외로 망명하고, 19년 동안 각국을 전전하며, 62세에 晉나라에 돌아와 9년 동안 재위하면서 제환공에 이어 제2의 覇者가 되어 尊王攘夷와 繼絶存亡의 질서를 구축해 나갔다. 그는 망명생활 동안 자신을 따르던 유능한 신하들(狐偃,趙衰,介子推,顚頡,魏武子 등)의 조언과 그의 仁德과 능력을 알아본 일부 제후들의 도움, 아내의 헌신적인 내조, 그리고 진목공 등의 절대적인 후원 하에 귀국하여 발빠르게 정적을 제거하고 정치적인 안정을 이루었다. 진문공은 초나라와의 싸움에서 초성왕과의 약속대로 三舍를 물러나면서도 城濮戰鬪에서 승리하여 패자가 되었고, 踐土의 會盟을 주도했다. 明君良臣의 이상적인 경지는 난세에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반대로 난세라야 신하로서의 참 모습이 드러나기도 한다. 진문공의 논공행상의 과정에서 介子推의 은둔과 焚死는 功成身退의 모범적인 사례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군주가 새겨야 할 소중한 교훈이기도 하다. ‘割其腕股 以啖重耳’의 이야기는 개자추의 衷心을 드러내는 극단적인 사례이자, 진문공의 고난을 극대화하는 언급이기도 하다. 동시에 이같은 사례는 신하들의 충성심을 가늠하는 극단적인 행위로서 찬양과 비난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오랜 망명 생활 동안 신하들과 동고동락 하면서 얻은 처세의 교훈, 각국 군주들의 환대와 냉대, 모욕을 참고 克己하는 자세, 신의를 지키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 등은 모두 체험과 소통을 통해 얻은 값진 것이며 신하들의 引導와 警戒를 받아들인 진문공의 업적인 것이다. ‘Jin-heon-gong(晉獻公)’ was the monarch who stabilized the country ‘Jin(晉)’ after long civil war. He had 8 sons and ‘Sin-saeng’(申生:Crown Prince) , ‘Chong-yi(重耳,晉文公)’ and ‘Yi-o(夷吾,惠公)’ were major characters among them. But after his getting new queen ‘Yeo-hee(驪姬)’ the tragedy began. ‘Yeo-hee’ slandered ‘Sin-saeng’ to die for making her own son ‘Hae-jae(奚齊)’ become the crown prince and expelled ‘Chong-yi’ and ‘Yi-o’ and tried to kill them. On the edge of death those two brothers got separate and they also struggled to fight each other to get the power. When ‘Chong-yi’ was 49-years-old he lived in exile for 19 years wandering many countries. After that he came back to his country ‘Jin(晉)’ and reigned the country for 9 years as the most big power-holder right after ‘Je-hwan-gong(齊桓公)’ under the rule of ‘Jon-wang-yang-yi’(尊王攘夷:Respect the emperor and defeat enemy) and ‘Gye-jeol-jon-mang’(繼絶存亡:carry on family line and revive the lost)Wise king and good subjects(明君良臣) are hard to exist during turbulent age but it is also the best timing to find out what they really are. Gae-jachoo(介子推 - one subject)'s hiding and death are not only the role model cases of that it is virtue for subject to get out of main stage when he made a big contribution especially for his king's work(功成身退), but also the values that all subjects should to follow and keep. A story that during the king Jin-moongong's exile, the loyal subject Gae-jachoo slashed his thigh for feeding the king(割其腕股 以啖重耳) is a case of showing Gae-jachoo's loyalty toward his king but it is also a mentioned story of maximizing Jin-moongong(a King - 晉文公)'s hardship too. At the same time, this kind of case shows an extremely loyal behavior toward king and leaves to both evaluation from people - 'worthy of praise' and also 'worthy of criticism'. The lesson of being worldly wise through conversation with courtiers during long exile times, enduring other’s insult and keeping faith and repaying one’s kindness are all precious things are to be done by ‘Jin-moon-gong’s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It is also ‘Jin-moon-gong’s great achievement to accept his courtiers’ advice and warning.

      •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나타난 북디자인 특징

        정은혜(Jung Eunhye) 한국디자인사학회 2022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890년 화가 휘슬러(James Abbott McNeill Whistler)가 ‘휘슬러 대 러스킨 명예훼손 소송 사건’을 계기로 펴낸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의 북디자인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휘슬러가 활동하던 19세기 말 영국 빅토리아 시대는 인쇄기와 인쇄술의 발달로 책의 대량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보다 저렴하고 가벼운 책들이 출판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출판사는 양적 성장에만 치중하여 책의 완성도나 창의성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이러한 기술적 대량 생산 방식에 반대하는 모리스(William Morris)를 중심으로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책을 소규모로 제작하는 움직임도 생겨났다. 모리스의 노력은 책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의 책은 대중에게 읽히는 책이라기보다 상류층의 서재를 채우는 장식품으로 변질되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러한 영국의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은 당시 북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었다. 휘슬러는 당대 출판 산업의 흐름에 맞게 실용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북디자인 방식을 고민했지만, 모리스가 추구하는 고급스럽고 장식적인 표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휘슬러는 지면에 모든 요소를 제대로 배치한다면 값비싼 종이나 새로운 서체, 특수하게 만들어진 잉크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쉼표의 위치나 텍스트의 배열, 여백의 대비 등 기본적인 타이포그래피 요소를 중시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힌 휘슬러의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나타난 북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적 가치와 실용성을 위해 천이나 가죽이 아닌 평범한 갈색종이를 이용한 장정을 시도했다. 둘째, 딱딱하고 경직된 대칭적 조판 구조를 탈피하여 비대칭 배열의 레이아웃을 사용했다. 셋째, 여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입체적 공간성을 부여하고, 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넷째, 의도적인 텍스트의 배치로 대비를 주어 저자의 메시지를 보다 극대화했다. 다섯째, 저자의 글을 그림으로 설명하거나 해석하지 않았으며, 최소한의 나비 일러스트레이션을 의미 있게 적용했다.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저자로서 휘슬러는 자기주장과 사실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심했다. 이를 위해 오늘날 북디자인에서 통용되는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원리들을 독자적인 표현 방식으로 활용했다. 휘슬러의 북디자인 표현 방식은 저자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지면에 반영하기 위해 북디자인의 역할에 집중한 결과였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작업한 『적을 만드는 고상한 방법』에 어떤 디자인적 의의가 숨어 있는지 고찰하고 그를 북디자이너로 재조명함으로써, 19세기 말 영국 북디자인의 흐름을 좀 더 세밀하게 이해하고 입체적으로 통찰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ook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which was published in 1890 by the painter James McNeill Whistler over the libel suit of Whistler v. Ruskin. In the late Victorian er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Whistler was quite active, a new printing press appeared and papermaking technology was further developed. Mass production of books became possible, while cheaper and lighter books were now the mainstream of the publishing industry. However, against this trend of mechanization, there was a movement to produce aesthetic and artistic books on a small scale. Although Whistler considered a practical and attractive publishing method suitable for the industrialization era, he was not interested in the luxurious and decorative expressions pursued by William Morris. He believed that if all elements were properly placed on a book’s pages, there would be no need for expensive paper, new typefaces, or specially tailored inks. Rather, he focused on the most basic typographic elements, such as the location of commas, the arrangement of text, and the contrast of blank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ity, he tried binding his work using plain brown paper rather than cloth or leather. Second, an asymmetric layout was used by breaking away from the stiff and rigid symmetrical typesetting structure. Third, he intended to give three-dimensional spatiality and effective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book to the reader by actively utilizing blank spaces. Fourth, the author"s message was maximized by providing contrasts with intentional text arrangements. Fifth, the author"s writing was not explained or interpreted with pictures, and a minimal number of butterfly illustrations was applied meaningfully. Whistler"s book design method was the result of concentrating on the role of book design in relation to expressing the author"s text in an effective way. By exploring what kind of meaningful design is hidden in his book The Gentle Art of Making Enemies and reilluminating him as a book design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flow of British book desig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a more detailed and insightful way.

      • KCI등재

        김춘수의 포스트모더니즘 시

        김두한(Kim Doo-han)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2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Kim, Chun Soo’s nonsense poetry and postmodernism. Kim, Chun Soo’s nonsense poetry connotes characters of postmodernism - play, anti-interpretation / misinterpret, uncertainty, signifiant, accident, destruction / deconstruction, breakup, inter-text etc. That is not because it com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xterior but because the internal enemy and inertia of itself. Since it is so Kim, Chun Soo’s nonsense poetry is not transplantation literature, it makes up postmodernism.

      • KCI등재

        丙子胡亂 江華島 함락의 원인과 책임자 처벌 - 金慶徵 패전책임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

        허태구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3

        Critically examined in this article is Na Man-gab/羅萬甲's Byeongja-rok/丙子錄(The Byeongja-year Journals, which have been consulted for many years as a crucial text that recorded the real reasons for the fall of the Gang'hwa-do defense line. Although this text has been consulted as an academic resource, it actually has some problems to be considered as an impartial and objective source of information. Keeping that in mind, this author tried to find ou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reasons that forced the Joseon government to suffer a catastrophic defeat, and results of such analysis suggests that the Gang'hwa-do defense posture was breached and neutralized not because the leading commanding officer was incompetent but because the Joseon military capabilities were far behind those of the Qing/淸 forces. This discovery also suggests that the Joseon government's discussions after the war that led to placing political blames on certain commanders and also to punishing people who were deemed responsible, was not a process that was solely based upon objective wartime performance evaluations. When the Qing forces arrived at the island, the commanding officer(“Gangdo Geomchal-sa, 江都檢察使," Inspector and patrol officer of the Gang'hwa-do island) Kim Gyeong-jing/金慶徵, while only commanding a small infantry unit, displayed many errors in judgment and other than that also committed a variety of mistakes. So he was found guilty for not doing his job competently in a time of war. Yet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defending the island, and overseeing all military matters related to that task, was at the time placed on the shoulders of an officer named Jang Shin/張紳, who was serving as the Gang'hwa-do prefect and commanding officer of the Naval troops(“江華留守兼舟師大將"), as indicated in many historical texts. It was in fact Jang Shin, and not Kim Gyeong-jing, that had to receive the ultimate blame. Yet, even after Jang Shin was executed, people demanded that Kim Gyeong-jing be executed as well. There was an ongoing conflict between high ranking officials who supported the idea of calling a truce (主和派, led by Kim Ryu/金瑬) and the Remonstrations officers who blamed them for that idea(斥和派), inside the Joseon government at the time. The attacks upon Kim Gyeong-jing was in fact a political attack upon his father Kim Ryu, as well as Kim Ryu's position inside the government. Kim Gyeong-jing was not directly involved with the task of defending the Gang'hwa-do island, but he was summarily executed nonetheless. And the reason he was executed even when he was not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fall of the defense line, was because he acted like a person that was trying to save his own neck even after Gang'hwa-do fell and Joseon was defeated. He ran away, leaving the crown-princess(世子嬪), the son of the crown prince(元孫), other princes(大君) and even his own mother behind. That was not only a failure to uphold his own duties as a commanding officer defending a crucial post at the Gang'hwa-do island, but also a betrayal to his own parents and his moral obligations as a person. Such betrayal was simply inexcusable, even more than his military failures. In short, Kim Gyeong-jing was executed not because he was punishable by death for his lack of military competence, but because he was punishable by death for his lack of morality and just character. 이 논문은 강화도 함락의 원인을 기술하는 데 활용된 대표적인 사료인 羅萬甲의 丙子錄을 비판적으로 독해함으로써, 이 저술이 史料로서 갖고 있는 한계점을 부각하였다. 그리고 敗戰의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강화도의 함락이 지휘관의 역량보다는 朝․淸 양국 간의 현격한 戰力 차이에서 초래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종전 후 강화도 함락의 책임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사안이 단순히 전투상의 功過만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淸軍의 상륙 당시 江都檢察使 金慶徵은 소수의 육군 병력을 지휘하면서 다수의 판단 착오와 실책을 저질렀다. 그러나 軍務에 대한 기본적인 책임은 여러 사료에서 강조되고 있듯이 江華留守兼舟師大將 張紳의 몫이었다. 장신의 처형 이후에도 朝野의 여론은 김경징의 처형을 집요하게 주장하였다. 그배경에는 종전 이후 패전의 책임을 둘러싸고 벌어진 金瑬 등의 主和派 大臣과 이를 공격하는 斥和派言官 간의 갈등이 내재하고 있었다. 김경징에 대한 공격은 아버지 김류의 전쟁 책임 및 정치적 입지와 긴밀하게 연관된 정치적 사안이었다. 강화도 방어 작전의 중심 역할과는 거리가 있었던 김경징이 끝내 처형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함락 이후 그가 보인 保身的 태도와 행적 때문이었다. 世子嬪과 元孫, 大君, 老母 등을 남겨두고 홀로도주한 행위는 강도검찰사의 임무와 책임뿐만 아니라 父母에 대한 義理마저 저버린 敗逆한 행위였다. 요컨대 김경징의 처벌은 군사적인 측면의 책임보다 도덕적․의리적 측면의 책임을 물어 시행된 것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