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연관 분석을 이용한 부동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승철,이승재,한종호 한국부동산연구원 2009 부동산연구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2005년도 산업연관표에 근거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부동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세 가지 내용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산업에서의 생산 혹은 투자가 다른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공급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부동산산업에서의 공급지장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산업 산출물 가격변동이 다른 산업의 산출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부동산산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 및 해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함으로써 부동산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한다. 또한 전방연쇄효과 및 후방연쇄효과와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부동산 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4467원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1887원 유발한다. 부동산산업의 1원 공급지장으로 타 산업에서 0.4781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끝으로 부동산산업의 10% 가격인상이 타 부문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224%로 분석되었다. The real estate industry in Kore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 (I-O) analysis to role of the real estate industry in the national economy for the year 2005, with specific application to Korea.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hree topics in its application. First, the impacts of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in real estate industry on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of other sectors are explored by using demand-driven model. Second, the impacts of the supply shortage in real estate industry on other sectors are looked into by using supply-driven model. Third, the impacts of the rise in real estate industry's price on prices of other products are discussed by using Leontief price model.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al estate industry by taking this industry as exogenous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In addition, inter-industry linkage analysis i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to other industrie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real estate industry has 1.4467 production-inducing effect, 0.4781 supply shortage effect, 0.0224 effect of price change, 0.8111 forward linkage effect, and 0.8143 backward linkage effect.

      • KCI등재

        폐기물처리 및 자원재활용서비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백민지,김호영,유승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2 No.3

        The government of each country is making a policy of expanding recycling of wastes and waste-to-energy to mitig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waste disposal & materials recycling services (WDMRS) sector using 2012 input-output (IO) table published in 2014. To this end, we deal with three sectors: waste disposal, materials recycling services, and WDMRS sectors. More specifically,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WDMRS sector are investigat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 shortage effect and the price pervasive effect are also examined employ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won in the WDMRS sector induces the production of 1.9324 won and the value-added of 0.7217 won in the national economy. Moreover,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billion won, supply shortage of 1.0 won, and a price increase of 10.0% in the WDMRS sector touch off the employment of 15.2462 persons, production loss of 2.0589 won, and an increases in overall price level by 0.0699%, respectively.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assessment of the WDMRS sector-related investment and policy.

      • KCI등재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서현,진세준,임태훈,하진희,유승훈 한국혁신학회 2017 한국혁신학회지 Vol.12 No.1

        The progress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s accelerating. Therefore, possibility of infinite data utilize is getting attention and data industry is growing actively.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inter-industry analysis using exogenous specification to investig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data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what national economy effec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explored with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shortage effect and the sectoral price effect are also analyzed with supply-driven model,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he data industry, we considered the forward/backward linkage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1 won increase of the data industry induced to increase 1.5140 won, 0.7353 won in other industries’ production and value-added creation effect, respectively. The employment- inducing effect of one billion won of production or investment in data industry is calculated to be 9.9850 persons. The data industry is classified into final primary production industry.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data industry are 0.7101 won, 0.0993% in other industries, respectively. These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olicy-making for the data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지식정보사회로의 진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데이터의 무한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산업은 활발히 성장하고 있다.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라 향후 데이터산업의수준이 국가 간 경쟁력 차이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중 데이터산업 관련 부문을 외생화한 후, 데이터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수요유도형 모형, 공급유도형 모형,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여 전 산업에서 데이터산업의위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데이터산업에 1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1.5140원의 생산유발효과, 0.7353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일으키며, 데이터산업에서의 10억원 투자 증가는 9.9850명의 취업유발효과를 일으킨다. 데이터산업에서의 1원의 공급지장 시 타 산업에0.7101원의 타격을 미치며, 데이터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10% 상승 시 타 산업에 평균0.0993%의 물가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데이터산업은 모두 1보다 낮은전⋅후방 연쇄효과를 가져 최종수요적 기초산업형인 성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데이터산업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폐기물처리 및 자원재활용서비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백민지,김호영,유승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2 No.3

        The government of each country is making a policy of expanding recycling of wastes and waste-to-energy to mitig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waste disposal & materials recycling services (WDMRS) sector using 2012 input-output (IO) table published in 2014. To this end, we deal with three sectors: waste disposal, materials recycling services, and WDMRS sectors. More specifically,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WDMRS sector are investigat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 shortage effect and the price pervasive effect are also examined employ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won in the WDMRS sector induces the production of 1.9324 won and the value-added of 0.7217 won in the national economy. Moreover,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of 1.0 billion won, supply shortage of 1.0 won, and a price increase of 10.0% in the WDMRS sector touch off the employment of 15.2462 persons, production loss of 2.0589 won, and an increases in overall price level by 0.0699%, respectively.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assessment of the WDMRS sector-related investment and policy.

      • KCI등재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동원 ( Dong Won Jeong ),한종호 ( Jong Ho Han )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2

        물류산업은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산업경쟁력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물류산업의 타 산업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복잡성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던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물류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 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물류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류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5104원만큼 유발하며, 타산업의 부가가가치를 0.1722원만큼 유발한다. 또한 물류산업의 10억원 생산은 타산업에서 2.2554명의 취업을 유발한다. 한편 물류산업에서 1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0.9387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여 공급지장효과가 제법 큰 편이다. 마지막으로 물류산업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276%로 분석되었다.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plays a major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development and to make decision na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logistics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t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logistics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because of their complications involved in computaiton.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distribution industry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induces the production of 0.5104 won and the value-added of 0.1722 wo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production of 1.0 billion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causes the employment of 2.554 persons in other industries. Third, the supply shortage of 1.0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0.9387 wo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logistics industry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0276%.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 Sik Min),임응순(Eung Soon Lim),곽소윤(So Yoon Kw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엔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9653엔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5323엔 만큼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엔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7383엔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5596%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of Japan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induces the production of 0.9653 yen and the value-added of 0.5323 ye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7383 ye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5596%.

      •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의 지식서비스산업 비교 분석

        임응순,유승훈,정군오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전 세계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업의 무게중심도 지식서비스업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핀란드는 유럽에 속해있는 국가로서 소위 경제소국이지만 정보통신분야와 지식서비스산업분야에서는 경제대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한국과 핀란드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지식서비스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결과 지식서비스산업에서의 1원 생산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유발효과는 한국 0.2731원, 핀란드 0.3493원이었으며, 타 산업에 유발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한국 0.1410원, 핀란드 0.2086원이었다.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결과는 핀란드가 한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는 한국 0.6713원, 핀란드 0.7228원이었으며, 지식서비스산업의 10% 가격인상으로 인한 물가파급효과는 한국 0.1190%, 핀란드 0.2302%로 핀란드가 높게 나타났다.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to service industry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been changing into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world widely. Finland is an economically minor country but core country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Moreover the interest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s now growing.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economic impa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etween Finland and Korea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between Finland and Korea abou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se analyses have made by dealing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s exogenous not endogenous. The results show that,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0.2731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3493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0.1410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2086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results from using demand-driven model are higher in Finland than Korea.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supply shortage effects 0.6713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72628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and sectoral price effects are 0.1190% in Korea and 0.2302% in Finland due to the price increase of 10%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 KCI등재

        한국 철강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군오(Jung, Kun-Oh),임응순(Lim, Eung-S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3

        전 세계적으로 철강산업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철강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철강산업의 철강생산량은 전 세계에서 5위를 차치하고 있어 국내에서는 철강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또한 철강산업은 국내에서 경제성장을 이끌어 온 국가기간산업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철강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들을 시계열로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철강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he steel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round the world and the demand of steel is increasing. Korea is the 5th country of steel producing in the world and the attention in the steel industry is growing. The steel industry is one of the key industry in leading the economic growth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by time-series the economic impacts of the steel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and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 KCI등재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영근(Youngkeun Chung),임응순(Eungsoon L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4

        국내 조선산업은 2009년도에는 전 세계 33.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국이 세계 제1의 조선국가이며, 한국내에서 조선산업은 국민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간산업이며,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조선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으로 수요유도형 모형과 레온티 에프가격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들 모형을 이용하면 생산유발효과,부가가치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와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분석결과 조선산업에서 1원의 생산이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0.7891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3742원으로 나타났다. 조선 산업에서 산출액 10억원에 의한 취업유발효과는 3.7808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선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10% 상승하면 타산업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009%로 나타났다.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akes 33.1% of world market. This shows that Korea is number 1 in shipbuilding. Also, this means the shipbuilding indust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shipbuilding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s demand-driven model and the Leontief price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Also, we estimate the sectoral price effect. The result of this analyses are presented: 0.7891 won in production-inducing effect, 0.3742 won in value added-inducing effect. When 1 won is produced by shipbuilding industry, 3.7808 persons in employ-inducing effect when 1 billion won is produced, and sectoral price effect is 0.0009% due to the 10% increase of price.

      • KCI등재

        한국 및 일본 집단에너지산업의 국민경제적 역할 비교 분석

        이서영,김진영,유승훈 한국에너지학회 2023 에너지공학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conomic roles of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 in South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compare the results each other. To accomplish this, the 2019 input-output table of South Korea and the 2015 input-output table of Japan is utilized. By applying demand-side model, supply-side model, and Leontief price-side models, the study examines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wage-inducing effect, employment-inducing effect, supply shortage effect, and price-induc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wage-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same investment amount in the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 were greater in Japan than in South Korea. Second, while supply shortage effects in the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 were 1.45 times higher in Japan tha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rice-inducing effects in the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 were 8 times higher in South Korea than in Jap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inter-country comparisons but also for policy-making related to the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