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홈 자동화를 위한 지능적인 상황인지 시스템

        임태훈,신상욱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4

        Context awareness using intelligent system is emphasized in order to provide automatic services in home automatic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lligent context-aware system for home automation. To implement home automation, we first collect various events occuring in user's home, which are saved as a case form. We use the saved data as a training data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then apply to intelligent context aware system for home automation. This system provide "right situations do right things" for user. Also this system has intelligent ability. 상황 인식을 통한 지능적인 시스템은 홈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강조된다. 본 논문에서 홈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홈 내부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 별로 수집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케이스 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으로 학습을 시켜서 지능적인 홈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러한 지능적인 홈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스스로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서 거주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랑스 유럽회의주의(Euroscepticism)의 근원에 관한 연구 국민주권주의와 초국가주의의 충돌을 중심으로

        임태훈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ty is to demonstrate that the substance of the French Euroscepticism is the defense of national sovereignty, of which origin is the clash between national sovereignty and Supranationalism for several centuries. By analyzing that, this study aims also at suggesting a better understanding and solutions of the French Euroscepticism. The French Euroscepticism appeared to overcome negative effects of the premodern Supranationalism of Europe. It was also in order to guarantee the complete independence of sovereign states from supranational powers. In this context, France under Richelieu, Mazarin and Louis XIV fought out desperately the supranational power of the Pope and the Emperor of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the Social Contract Theory of Rousseau destroyed the legitimacy of the unelected supranational powers. And Napoleon removed definitely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France under de Gaulle resisted against the European federalization based on Supranationalism. Considering this and in order to the solve the French Euroscepticism, the European integration of today should be much more democratic and show that it w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fense of national interests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F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본질이 국민주권주의 수호이며,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근원이 수세기에 걸친 국민주권주의의 반(反) 초국가주의 투쟁이라는 점을 증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국민주권주의는 전근대 유럽 초국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초국가세력으로부터 주권국가의 완전한 자주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7세기 초반부터 프랑스는 리슐리외와 마자랭 그리고 루이 14세의 지도아래 교황과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초국가적 권력과 통제에 강력히 저항하였다. 18세기에 등장한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초국가주의 세력의 정통성을 부정하였다. 19세기에는 나폴레옹이 신성로마제국을 강제해체하였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프랑스는 드골의 지도아래 초국가적 권력을 지향하는 유럽연방주의 추진을 적극적으로 방해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때, 프랑스 유럽회의주의의 해결을 위해서는 오늘날 유럽통합이 민주성을 더욱 확보하고, 프랑스의 국익추구 및 민족성보전과 장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 KCI등재

        매일신보를 통해 본 3․1의 정치와 ‘균(菌)’, ‘음(音)’, ‘문(文)’의 상상력

        임태훈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e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that the collective imagination and the diffusion of discours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disturbance are diverted to the political assets of colonial power, focusing on articles reported in the Maeil Shinbo between 1918 and 1920. Governing power requires an enemy. A task important as much as fighting with an enemy and actually winning is to create ourselves with strong power that can attack anything. Maeil Shinbo was the media of the empire that spread its symbol and discourse.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were also a crisis and an opportunity. the collective imagination and the diffusion of discours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disturbance are diverted to the political assets of colonial power. If the disturbance was temporary crisis, the epidemic was recurring regularly so that it was a meaningful network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entire social spectrum of society. Disinfection is definitely a matter of defining the state of “social stability” Thus, beyond sterilization and admiral, the comprehensive measures to take issue with the political purity of ‘the sound’ and ‘the Writing’. As “state of exception” easy to rule and mobilization, there was nothing useful more than infectious disease to justify the operation of the colony. The study sought to trace the concept of “infectious diseas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an inhuman person replaced to political assets through Maeil Shinbo. The fear of infectious diseases was not just unique to Korean. An infectious disease as the fundamental fear to shrink everyone regardless of nationality, class, gender or age and the fear of the nature was mobilized as a powerful medium that unites members in the country. It is hard to find literary works of the time which have described the immunologic crisis and the dynamics of politics during March first Movement better than Meail Shinbo. Even the few novels could explain just the mood. But compared to the novel, the pages in Maeil Shinbo from 1918 to 1920 clearly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infectious diseases and politics. In the midst of infectious disease happened for several months and persistent crisis, Maeil Shinbo was a media that made the imagination of a activated or contracted particular code circuitry. 이 연구는 1918년에서 1920년 사이에 매일신보(每日申報)에 보도된 기사를 중심으로, 전염병과 소요 사태의 관계를 둘러싼 집단적 상상력과 담론 확산력이 식민 권력의 정치적 자산으로 전유하는 메커니즘을 문제 삼는다. 1919년의 3․1 운동은 1918년에서 1920년 사이, 식민지 시기 전체를 통틀어 식민지 방역 시스템이 최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전개됐다. 이 문제를 동시기 소설이 약간의 암시와 분위기를 풍기는 수준에서 다뤘던 것에 비해, 매일신보는 전염병과 정치의 상관관계를 뚜렷이 드러내 보인다. 총독부는 어떤 상황에서도 식민 권력은 지엄하게 작동된다는 것을 이 신문을 통해 표현해야 했다. 3․1 운동을 장기간 비중 있게 보도한다는 것은 식민 권력의 위기를 총독부가 자인(自認)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통치 권력의 우월성을 가장 높은 빈도로 미디어에 노출하는 작업이었다. 매일신보 지면에 표현된 ‘총독부’는 방역과 소요 진압 모두에서 전승을 거둔 승리자였다. 이를 위해 이 신문은 활성화되거나 위축되는 특정한 코드의 상상력을 회로화한 미디어가 되었다. 그 회로 위에서 구성되는 조선과 식민 권력의 상상적 표상을 균(菌), 음(音), 문(文)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쓰레기장의 다크 에콜로지와 문학의 기록 : 난지도 소재 소설의 재발견

        임태훈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2

        쓰레기 처리에 관련된 제도와 기술 일체는 집단적 기억상실증과 정신 조작의 문화 장치다. 종량제 봉투와 분리수거장, 화장실의 배수구와 정화조, 하수종말처리장과 광역 쓰레기매립장이 현대인의 사회적 신체와 정신을 구성한다. 이 연구는 쓰레기의 역사와 문학의 접점을 찾는다. 문학은 필연적으로 장소에 관한 기록이고, 온갖 시공간에 엮인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집중하므로, 모든 것이 쓰레기가 되어 흘러가는 세계에 어떤 강도(强度)로든 반복적으로 반응한다. 쓰레기로부터 결코 도망칠 수 없는 장소에서 이 문제는 한층 비판적으로 인식된다. 이연구에선 난지도에 대한 소설인 정연희의 『난지도』(1984), 유재순의 『난지도 사람들』 (1985), 황석영의 『낯익은 세상』(2011)를 중심적으로 다룬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난지도의 역사와 난지도 소재 소설을 분석한다. 난지도가 지나온 100 년의 역사를 파괴적 에너지의 경합 방식, 부서지고 망가진 뒤의 잔여들에서 전개되는 인간과 비인간의 복잡한 얽힘 관계에서 정리한다. 그리고 1978년부터 1993년까지의 난지도에선 쓰레기로 이뤄진 인공 지층 위의 삶을 재해석한다. 그들이 오염된 물을 마시는 방법, 쓰레기 퇴적층의 밀도와 강도를 관리하고, 발밑에서 뿜어나오는 가연성 가스와 화재에 대응하는 방식을 주목하며, 물, 바람, 공기, 흙, 풀, 벌레의 생태를 한데 엮어 사유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본 연구는 ‘쓰레기장의 다크 에콜로지’라고 부른다.

      • KCI등재

        ‘지정학적 SF’ 연구를 위한 시론

        임태훈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3

        Geopolitics has been a significant driving force in shaping global SF literary history since the 19th century, surpassing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s impact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Korean SF stud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ry history, SF is often discovered and evaluated based on its relev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the importance of SF in relation to the imagination spurred by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crises of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major powers, has not been fully acknowledged or investigated.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rigins of various imaginative and historical movements incorporated into science fiction and the reasons behind the repeated stifling and overlooking of science fiction creation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we propose a problem-setting framework called ‘Geopolitical SF’. This framework envisions potential wa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crises, and radical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hegemonic plans and territorial constraints of major powers. The threshold of imagination that constrains both creators and readers also arises from geopolitical crises. In the theoretical stage, we will first address three questions. Why should it be called ‘SF’ instead of ‘Science Fiction’? What specific evidenc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geopolitics’ in the early formation of SF? How does geopolitics both enable and suppress ‘extrapolation’ as a creative technique in SF? Subsequently, this paper will summarize the issues of ‘geopolitics’ present throughout Korean SF created and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le rediscovering the genealogy of 'Choi In-hoon's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geopolitical SF. Through Choi In-hoon's 「The Governor's Voice」(1967-1976), Lee Moon-yeol's 「The General and the Doctor」(1989), and Ko Jong-seok's 「They Don't Say That in My Hometown!」(2008), we will explore the connections of ‘geopolitical SF’ in South Korean literary history. Engrossed in speculative writing experiments influenced by the gravitational pull of geopolitical fatalism, the Cold War, and colonialism on the Korean peninsula, Choi In-hoon's writing serves as a progress report on the impossible imagination and though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emergence of colonial modern literature to the 1960s. Choi's writing deserves credit for the intermittent publication of science fiction in South Korean literary history, as it actively embraces geopolitical risks and underdevelopment complexes while confronting history and reality. ‘지정학’은 19세기 이후 세계 SF 문학사의 형성 과정에서 과학기술 이상으로 중요한 발생 동인이었으나 한국 SF 연구사에선 외면받아온 주제였다.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SF는 과학기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발굴되고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열강에 둘러싸인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위기로부터 추동된 상상력과 SF의 상관성은 그 존재감이 충분히 인식되지 못했고, 연구 역시 미진한 단계다. 이것은 SF에 혼융된 여러 상상력과 역사적 정동의 원류를 묻는 작업인 동시에, 남한에서 SF를 창작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위축되고 우회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설정의 틀을 본 연구에선 ‘지정학적 SF’로 정의한다. ‘지정학적 SF’는 열강들의 패권 구도와 영토의 제약에 근거하여, 다가올 미래에 벌어질 수 있는 전쟁, 국내외 안보 위기, 그로 인한 급격한 사회 변동을 상상한다. 창작자와 독자 모두를 억압하는 상상력의 임계점도 지정학적 위기에서 비롯된다. 시론적 단계에선 세 질문에 우선 답한다. ① 어째서 ‘Science Fiction’이 아니라 ‘SF’라고 써야만 하는가? ② SF 초기 형성 단계에서 ‘지정학’의 중요성을 증명할 구체적 사실은 무엇인가? ③ 지정학은 SF의 창작 기법인 ‘외삽법’을 어떻게 활성화하는 동시에 억압하는가? 이어서 식민지기에 창작 발표된 한국 SF 소설을 관통하는 ‘지정학’의 문제를 정리하는 동시에, ‘최인훈적 글쓰기’의 계보를 지정학적 SF의 관점에서 재발견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론, 냉전과 식민주의를 중력처럼 의식하며 사변적 글쓰기 실험에 몰두했던 ‘최인훈적 글쓰기’는, 식민지기 근대 문학 형성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동안에 한반도에서 불/가능한 상상력과 사유에 관한 중간 결산 보고에 해당한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저개발 콤플렉스를 적극적으로 끌어안고 역사와 현실을 직시하는 SF가 남한 문학사에서 단속적(斷續的)으로나마 발표될 수 있었던 것 역시 ‘최인훈적 글쓰기’의 공이었다.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1967~1976), 이문열의 「장군과 박사」(1989), 고종석의 「우리 고장에선 그렇게 말하지 않아!」(2008)를 통해 남한 문학사에서 ‘지정학적 SF’의 연결선을 발굴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