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지역산업정책이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민석(Min-seok Kim),안기돈(Gi-don 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한국정부는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이 시작되는 1999년부터 연평균 약4,970억원을 지역산업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속적인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강화에 기여했는지 알아보기 보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에서 2016년 조사한 ‘대전지역 혁신자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테크노파크와 기술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 측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기술혁신정량지표인 특허의 결정요인과 슘페터가설 모형에 기초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종속변수로 특허수를 선택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변수(매출액, 매출액 제곱, 수출액, 영업이익)와 R&D변수(R&D인력, R&D자금), 그리고 대전테크노파크의 지원여부와 벤처기업지정여부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전테크노파크 지원이 기업의 특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육성정책이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역산업육성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바이오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을 위한 내용분석 연구: 홍릉강소특구와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점으로

        박규홍(Kyuhong Park),김현우(Hyunwoo Kim),김태형(Taehyung Kim),구병석(Byeong-Seok Koo),박연수(Yeonsoo Park),송창현(Changhyeon S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코로나19의 영향에서도 K-바이오 산업은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한국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성적표는 투자 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혁신 클러스터와 바이오 산업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 방법론을 통해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클러스터 성장 단계에 따른 요인과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조건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였고, 결과를 기반으로 바이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보았다. 시사점에서는 최근 강소특구로 선정된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의 예를 활용하였으며, 주관 기술핵심기관인 KIST의 사례를 통해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리하여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많이 다뤄지지 않은 강소특구의 사례를 연구주제로 삼았으며, 출연연구소가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Even under the influence of Corona 19, the K-Bio industry recorded the highest performance ever. However,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Korean bio industry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to investment. In this paper, content analysis for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innovation clusters and bio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necessary to create a bio-innovation ecosystem. Through this,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cluster growth stag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the creation of the bio-cluster were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 bio-innovation ecosystem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implications, the example of the Hongreung bio-cluster, which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Innotown, was used, and the role of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was organized through the case of KIST.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Innotown, which has not yet been covered much, was tak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lan for the role that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김재영,황정재,박재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 한국기술혁신조사(KIS 2016)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저해요인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KIS 2016 데이터의 제조업 기업 수는 4000개였는데 이 중 혁신 설문에서 제시한 혁신 저해요인 중 아무것도 겪지 않았다고 답한 기업과 응답이 누락된 기업을 제외한 3159개 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혁신 저해요인으로 자금 문제, 기업 역량요인, 필요 요인 총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자금 문제와 기업 역량 요인의 경우 혁신 제품의 시장 출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 요인의 경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혁신 성공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소기업의 기술 혁신 장애물과 경영 혁신 간의 관계

        문희진(Hee Jin M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경영 혁신이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지만, 소기업은 여러 제약 때문에 이 혁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힘들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소기업은 기술 혁신 활동 중에 직면하는 방해 요소들인 혁신 관련 지식 부족, 낮은 혁신 동기, 시장 상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경영 혁신을 도입함을 주장한다. 2016 한국기업혁신조사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여 세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혁신 관련 지식 부족, 시장 상황의 어려움은 조직 구조와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영 혁신 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혁신 관련 지식 부족은 조직 구조 변화와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시장 상황의 어려움은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를 야기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While the impact of management innovation on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is growing, small firms may find it difficult to actively introduce this innovation due to their own constraints. Based on 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this study argues that small firms are likely to introduce management innovation to address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low motivation to innovate, and difficult market conditions that are faced d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Three results were fou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First,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and the difficulty of market conditions affect positively the introduc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which represents change i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way in which work is performed. Second,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uctural change. Third, the difficulty of market situ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 in the way of doing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변화 방향 제언

        이승규(Seung-kyu Yi),용태석(Tae-seok Yong),김진경(Ji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고에서는 OECD의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 이하 BLI)와 COSTII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 관점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에 활용되는 정도가 OECD 34개국 중 최하위였다. 과학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5개 부문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환경>성과>네트워크>활동>자원 순으로 높았지만 한국의 역량 수준은 OECD 34개국 중 역량별 순위가 활동>자원>성과>네트워크>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의 첫 번째 변화 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균형적 포트폴리오 확보라고 할 수 있다.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자원, 활동 부문 역량 중심에서 탈피하여 환경, 성과, 네트워크 부문의 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지원제도, 문화, 다양한 협력 역량 등의 강화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국민수요조사와 해외동향을 바탕으로 세부역량 강화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변화 방향은 변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포트폴리오의 전문적 관리와 활용 기반 마련이다. 혁신역량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야 한다. 그 출발은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관리 체계와 전담 조직 운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칭)과학기술기반사회혁신지수’ 등의 개발,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운영 등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변화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사회적 활용 극대화를 위해 사회와의 소통과 연계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은 과학기술만의 힘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부연구개발비 총액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재정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삶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재정이나 시민사회 분야와 같은 사회혁신역량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의 환경 부문 역량의 연계 방안은 국민 삶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역문제, 사회적경제, ODA 등 다양한 분야 사회정책과의 연계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Korea "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weak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by using OECD" s Better Life Index (BLI) and COSTII. As a result,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as the lowest among the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5 sectors that co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re ranked in order of environment>performance>network>activity>resource, but Korea"s competency level was ranked in order of activity>resource>performance>network>environment among 34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first chang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securing a balanced portfolio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rowth of innov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environment, performance and network sector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capacity of resourc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culture, and various co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based on national demand research and overseas trend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detailed capacity. The second direction of change i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hang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rtfolio. Based o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we should build a system that promotes effective policies and projects. The departure can be a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management specializ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innovation index" and the operation of "Social Problem Science Technology Policy Center" are given as examples. The third direction i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linkage with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social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of the peopl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government R & D expenditures is slow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vestment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raised. The linkage of social innovation capacity such as finance and civil society field with high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can bring synergy effect to improvement of people"s life. The linkage with social policy in various fields such as regional problem, social economy, ODA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al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계 기술혁신 논의의 흐름과 변화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과학과 기술』을중심으로, 1968-2017

        이주영,정효정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한국에서 ‘기술혁신’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기관지인 「과학과 기술」 기사에서 등장한 ‘기술혁신’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과 기술」은 1968년 이후 꾸준히 발간되었기 때문에 한국 과학기술사회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이 연구에서는 1968년 이후 「과학과 기술」에 실린 기사들 중 제목에 ‘기술혁신’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기사의 전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시간적으로는 1968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기술혁신’과 동시출현하는 키워드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 개념은 꾸준히 국가 주도의 산업 발전을 위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업, 생산에 국한되어 있던 기술혁신 개념은 1980년대를 거치며 다양한 연구개발 분야 및 이해관계자들을 이어주는 키워드로 변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changed in South Korea. We conducted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n articl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 magazine publish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since 1968. With writers and readership from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ies, government officers, as well as citizens, Science and Technology is a suitable archival source to represent discourses relating to South Korean use of the term ‘technological innovation'. We used all the articles from 1968 to 2017 that include the term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ir title. Also, we analyzed the keywords that co-occur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by the fram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The term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been understood as a leading factor for government-driven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the 1960s. Nevertheless, the meaning of the term evolved over time. In the 1960s and 70s, ‘technological innovation’ referred to the introduction, assimilation, and transfer of technology. However, since the 1980s it has acquired a more multilateral meaning, connecting various industrial sectors and interest groups. This conclusion reveals that the meaning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ot static, but rather it is constructed over tim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y of Korea.

      • Network-DEA를 활용한 한국 지역혁신체제의 효율성 진단과 결정요인 분석

        엄익천,천세봉,엄지영,안지혜,이현익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그동안 지역혁신체제론의 관점에서 효율성을 진단하고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①지역혁신체제의 내부 처리과정 고려 미흡과 ②연구개발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효율성의 자료포락분석 모형 설정, ③투입·산출지표 설정의 타당성 부족, ④산출된 효율성 지수의 민감도 분석 소홀 등의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5~10년 이내의 단기간으로 접근함에 따라 지역혁신체제의 효율성이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그 역동성을 상세히 고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6년(1999년~2014년) 동안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자료포락분석(Network Data Envelope Analysis: DEA)의 2단계 접근법(two-stage approach)을 활용해서 한국 지역혁신체제의 효율성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①지역혁신체제의 경제적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술사업화 촉진 제도적 기반 강화, ②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전략적인 역할분담과 협력체계 활성화, ③지역혁신체제의 총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별 차별성을 고려한 장기적인 접근, ④지역혁신체제의 효율성 모니터링을 위한 통계적 기반 구축을 한국 지역혁신체제의 주요 효율성 개선방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