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

        염정섭 부경역사연구소 2016 지역과 역사 Vol.- No.38

        As the main entrance explaining the late Joseon society, we can point out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nd peasant society theory. Meanwhile most researchers of Korean history largely based on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Key element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maybe sprout of capitalism thoery. Sprout of capitalism thoery argued wealthy managerial peasants during 17-19 century Joseon society as a type of capitalist tenant who managed a lot of arable land. But Sprout of capitalism thoery has a problem in that it would have to apply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histor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s into Korean history. The emergence of capitalism in agriculture was the unique phenomenon confined to the UK in world history, that is a downside to sprout of capitalism thoery. The presence of wealthy managerial peasants needs to go through the new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n wealthy managerial peasants could be re-established as a historical existence. Peasant society theory explained that the peasants are self-reliant farming farmers no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re are lots of question about peasant society theory esp. maturity of peasa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don’t explain the problems of modern East Asia. Finally 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establish the contents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that we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overnance system. 조선 후기 사회 성격을 설명하는 주요한 입장으로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을 지목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에 대한 성격 규정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그동안 한국사 연구자들의 이해는 대체로 內在的 發展論에 입각한 것이었다.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요소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 맹아론은 17~19세기의 조선 사회에 자본가적 借地農, 즉 경영형 부농의 성립하고 성장하였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맹아론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발전이 서양사의 역사발전단계론을 한국사에 적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등장이 세계사에서도 영국에 국한된 현상이었다는 점도 자본주의 맹아론에 불리한 점이다. 경영형 부농의 존재 유무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실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실증의 측면에서 비판하는 것이다. 경영형부농의 존재를 밝힌 양안의 성격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경영형부농의 존재는 새로운 역사적 논증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역사적 존재로 재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농사회론은 農民 대중의 자립적 농업경영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18세기 이후 1950년대까지 조선사회의 성격을 소농사회로 규정한다. 그런데 小農이 과연 조선 후기에 특별히 성숙된 것인지 의문이다. 그리고 조선사회의 農法 변화에서 더욱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던 것은 14세기 후반 벼농사 연작법의 정착이라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소농사회론은 일면적인 분석결과의 혐의가 짙고 게다가 동아시아의 ‘근대’에 대한 설명이 거의 不在하다는 점도 문제점이다. 내재적발전론의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배체제의 변화를 파악하는 점이다.

      • 국제개발원조(ODA)의 전략적 오류와 아프리카의 딜레마 - 검은 피부, 하얀 가면 -

        조원호(CHO Won-ho) 한국외교협회 2024 계간 외교 Vol.- No.149

        1960년대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2가지 근본적인 과업에 직면해 있었다. 국가 형성과 경제 발전이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국가역량을 확충하기보다는 개인적 통치로 아프리카의 번영을 가로막고 미래를 창조할 시간을 낭비했다. 유엔 1차 개발연대(1960∼1970) 이후 여러 가지 개발 담론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개발 담론과 경제 이론은 작동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전제조건이 잘못설정되었기 때문이다. 포스트 개발론자들은 선진국은 개도국 개발에 대해 관리할 권한이 있다는 생각을 배척한다. 그들은 개발담론이 선진국의 우위와 개입과 간섭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국가 간 경제, 사회 문화의 차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프리카의 기존 개발 담론에 대한 도전의 수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자본주의적 개인주의에 의한 경쟁과 전통 공동체주의의 연대, 농업 생산성 향상과 식량 수입, 공식경제와 비(非)공식경제, 유럽의 지식체계와 아프리카 지식체계,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 간 진퇴양난에 빠져있다. In the 1960s, the independent states of Africa have confronted two fundamental tasks. The one was state-nation building. But Africa leaders appeared to have been stealing its prosperity and wasting its future instead reinforcing national capacity by personal rules. The other was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first UN development decade(1960-70), various development discourses have been produced. But development discourses and economic theories have not worked, in particular, because of incorrect precondition of intervention. Post developmentalists reject the idea that the North has the right to administer development to the South. They insist that development discourses have ignore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as a way of justifying the advantage of superiority and legitimizing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Africa increasingly challenges established development discourses. But, Africa is in dilemmas between competition of capitalist individualism and solidarity of inherited collectivism,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ood products imports, formal economy and informal economy, western knowledge systems and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an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 KCI등재후보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발견 -츠루미 카즈코의 내발적 발전론의 형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Zhu Lin(朱 琳)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By the Meiji Restoration, Japan accomplished its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nation state with tremendous speed. As a consequence, the appearance of society changed greatly and people enjoyed a more abundant and prosperous life-style as a result of the reform of politic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technology. However, on the other hand,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rushed to become a colonial power under the slogan of ‘rich nation and strong army,’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was affected by the negative effects produced by modernization such as pollution, nuclear plant accidents, and international antagonisms resulting from the competition for resources. However, these problems are not only faced by Japan all nations that have developed along the lines of the Western model of modernization. Considering this ‘negative legacy,’ this paper looked back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adopted by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outlin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theory of development from within the country as proposed by Tsurumi Kazuko (鶴見和子; 1918~2006). Tsurumi Kazuko uncovered new meanings of identity based on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rough investigation of Japanese folklore and by confronting the severe health problems caused by industrial pollution. This paper traced this process of re-evaluation and examined the pattern of indigenous modernity in post Second World War Japan. 메이지유신을 계기로 일본은 엄청난 스피드로 근대화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그결과 정치제도의 혁신과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사회적 풍모가 일신되고, 사람들은 보다 풍요로운 생활스타일을 손에 넣은 한편, 전전(戰前)의 일본은 ‘부국강병’이라는 슬로건 하에 식민지주의에 돌입하고, 전후에는 공해문제, 원전사고나 자원을 둘러싼 국제적 대립을 야기하는 등, 근대화가 초래한 부정적인 영향을받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들은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라 서양적 근대주의의 노선을 따라 발전해 온 나라들 및 발전도상국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는 근대화의 이러한 ‘부정적인 유산들’을 염두에 두면서, 전후의 일본의근대화론을 돌아보고, 츠루미 카즈코(鶴見和子)의 내발적 발전론의 형성과 변천을개관하였다. 츠루미 카즈코는 일본민속학이나 미나마타병(水俣病)에 관한 조사등으로부터 주체성, 공동체로서의 지역의 연대관계 및 공생사상을 찾아냈는데, 이 글에서는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김원 ( Won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 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그 반면교사는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에 등장했 던 ‘한국적인 것’의 창안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쿠데타 초기에 박정희 정권은 한국사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서구적인 것에 대한 불신이 강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 직후 민족주체성의 회복을 슬로건으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지식사회에서도 1967년을 기점으로 정체성론, 반도론 등 식민사관을 극복하려고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문학론을 구체화 시키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경쟁이 일어난 배경은 중미수교, 동아시아 데탕트 그리 고 주한미군 철수 등 안보위기와 근대화에 따른 대중문화와 사회적 균열의 확대라 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적인 것의 발명으로 한국적 인간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그리고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 했던 문화-문예정책 그리고 급격히 확산된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개입을 전개했 다. 문화정책은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우수성, 밝은 미래상 복원 등을 통해 창조적인 민족-국난극복의 의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년문화, 호스티스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함하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단속은 대중들의 욕망 과 감정을 한국적인/민족적인 것으로 대체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한국적인 것의 창안을 통해 국가/민족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 하려는 의도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정부와 엘리트의 의도와 달리, 대중들은 대중문 화를 소비하며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구성하려고 했다. 확산된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여공, 도시하층민, 식모, 청소년처럼 한국적인 인간형이나 민족문화의 의미 망에서 벗어난 주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 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Korean’ rooted from invention of ‘Things Korean’ in era of Park, Jung-Hee government. After military coup, Park, Jung-Hee government regarded Korean History as negative past and had strong distrust about ‘the western’. But concern about ‘Things Korean’ increased in the name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late 1960s. From 1967 academic society stressed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of national-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this point the competition bega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The historial background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were crisis including asian detente, withdrawal of US forces in Korea and rapid social cleavages after modernization in 1960s. The purpose of inventing of ‘Things Korean’ were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The government evolved culture-art and literature policy performed by Ministry of Cultur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rts Council Korea and populr culture policy including censorship of movie, television drama, media. The purpose of culture policy was restoring creative national identity, spirit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es by stressing excellence of national culture and brighter image of fu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host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for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But the intention of inventing ‘Things Korean’ for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was half of the success. Unlike intention of government and elite,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popular culture. Like factory, urban lower group, housemaid, there exited various different and heterogeneous subject escaping from national identity enforcing by government in expanding terrain of popular culture.

      • KCI등재

        松菊里文化의 石器 編年

        손준호 호서고고학회 2015 호서고고학 Vol.0 No.32

        This paper aims at complimenting and re-examining the chronology of the Songguk-ri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ased on pottery and dwelling pits, rather focusing on stone tools. Firstly, I classified these stone tools using the attributes which a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s reflecting the time difference. Secondly, transition of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were examined in the Hoseo, Honam and Yeongnam areas.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ome parallels between the types of stone tools, basically they show the similar changes with time both in cemetery and settlement sites. The chronological periods are established by the appearance of grooved axes and triangle harvesting knives, which divide the phase Ⅰ from Ⅱ, and Ⅱ from Ⅲ, respectively. This way of changing can be explained by development of function and labor-saving in production, being raised from development of food acquisition such as crop cultivation and hunting/gathering, increase of armed conflicts, establish of stone tool mass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chronology, the stone tools in the Late Bronze Age seem to be gradu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Early Bronze Age, without any simultaneous appearance of new stone tool kits. Possibly it supports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s to the origin of Songguk-ri culture. However, only by this study on stone tool analysis, it is quite difficult to lead a definitive conclusion to this controversy as the opposing diffusion theory has been advocated based on the other materials such as pottery and subsistence patterns. 본고에서는 토기 연구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송국리문화의 편년에 대하여, 기존의 주거형을 중심으로 한 분류를 보완할 수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목되었던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송국리문화 석기를 기종별로 형식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분류된 석기 형식들이 송국리문화의 주요 분포 지역인 호서, 호남, 영남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형식 간 공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묘 부장품과 주거지 출토품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형식 간의공존 기간은 인정되지만, 어느 정도의 일정한 변화 방향을 경향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석기 변화의 획기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을기준으로 삼았는데, 유구석부 등장 이전의 1단계, 유구석부 등장 이후의 2단계, 삼각형석도가 등장하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대체로 석기는 기능이 발달하고 제작이 간략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농경이나 수렵 등에 있어서 생계 방식의 발전, 전쟁의 증가, 석기대량 생산 체제의 확립 등과 관련된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또, 형식학적으로나 공반 관계를 통해 볼 때 전기 형식으로부터 점진적으로진행되었으며, 새로운 기종의 등장이나 새로운 형식이 일시에 나타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석기의 변화상은 전기로부터의 계기적 발전을 주장하는 송국리문화 자체발생설을 지지하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석기와 같은 특정 유물의 분석만으로해당 문화의 기원 문제를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유구와 유물의 세밀한 분석과 함께 기원지로 추정되는 지역의 고고학적 상황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발견

        쮸린(Zhu Lin),진종현(번역자),조성환(번역자)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메이지유신을 계기로 일본은 엄청난 스피드로 근대화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그 결과 정치제도의 혁신과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사회적 풍모가 일신되고, 사람들은 보다 풍요로운 생활스타일을 손에 넣은 한편, 전전(戰前)의 일본은 ‘부국강병’이라는 슬로건 하에 식민지주의에 돌입하고, 전후에는 공해문제, 원전사고나 자원을 둘러싼 국제적 대립을 야기하는 등, 근대화가 초래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들은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라 서양적 근대주의의 노선을 따라 발전해 온 나라들 및 발전도상국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는 근대화의 이러한 ‘부정적인 유산들’을 염두에 두면서, 전후의 일본의 근대화론을 돌아보고, 츠루미 카즈코(鶴見和子)의 내발적 발전론의 형성과 변천을 개관하였다. 츠루미 카즈코는 일본민속학이나 미나마타병(水俣病)에 관한 조사등으로부터 주체성, 공동체로서의 지역의 연대관계 및 공생사상을 찾아냈는데, 이 글에서는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By the Meiji Restoration, Japan accomplished its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nation state with tremendous speed. As a consequence, the appearance of society changed greatly and people enjoyed a more abundant and prosperous life-style as a result of the reform of politic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technology. However, on the other hand,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rushed to become a colonial power under the slogan of ‘rich nation and strong army,’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was affected by the negative effects produced by modernization such as pollution, nuclear plant accidents, and international antagonisms resulting from the competition for resources. However, these problems are not only faced by Japan all nations that have developed along the lines of the Western model of modernization. Considering this ‘negative legacy,’ this paper looked back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adopted by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outlin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theory of development from within the country as proposed by Tsurumi Kazuko (鶴見和子; 1918~2006). Tsurumi Kazuko uncovered new meanings of identity based on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rough investigation of Japanese folklore and by confronting the severe health problems caused by industrial pollution. This paper traced this process of re-evaluation and examined the pattern of indigenous modernity in post Second World War Japan.

      •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강봉원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3 新羅文化 Vol.41 N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Scythian horse-riders and the appearance of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Based on the prestigious artifacts such as crown, rings, necklaces made with gold and/or silver, various kinds of bronze vessels, Roman/Persian glasses that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cythian horse-riders' invasion/migr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ir unique tombs anywhere in the Silla territory.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Scythian polities and Silla Kingdom in terms of the time and space. Second of all, although some exotic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ey are not the material manifestation of the ‘horse-riders' migration,' but the by-products of ‘long-distance exchange' or ‘culture contact' in one way or another. In addition, although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terms of artifact motifs and burial structures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be the results of either parallel development that took separately place in each region at different time or superficial observations and/or arbitrary interpretations made by the horse-rider theoris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horse-rider theorists have been too much emphasi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rial structures discovered in each region. As a consequence, the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d or over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paper emphasizes that some of Korean researchers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role of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now is the time for Korean researchers to make a shift from ‘diffusion and/or migration' to ‘processual point of view' to interpret the culture change in the Silla Kingdom in specific and throughout Korean histories in general.

      • KCI등재

        兪吉濬作「地制議」의 구조와 특징

        김형근(Kim, Hyoung-kun)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3

        This article analyze the Jijaeu, Discourse on Land System, written by Yu Kil-chun in 1891. Generally in Korean historiography, it is thought that the Jijaeu is his land System reform plan or a series of fiscal reform plan for expansion of finance in Joseon-Korean government. There were few studies which was dealt with the Jijaeu. The old research had accepted the typical frame that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In other words, the old research was aimed at contradicting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by constructing Indigenou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proprietary relations,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anagement. Professor Kim, Yong-Seop’s works represent the above research trend. This article do not criticize the old trend but suggest another characteristic by re-analyzing the Jijaeu. I attempt to divide the text to three part and present the main theme of every paragraph. Based on my analyzing, it is clear that structure of the Jijaeu is strong and thorough. Also I try to analyze in two point of view: the one is digitize and Propose Totalized Number, the other is revising old system, adapting new system. Though my article propose, I hope that my preliminary attemp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u Kil-chun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