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松菊里文化의 石器 編年 = Chronological Study of Stone Tools in the Songguk-ri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9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complimenting and re-examining the chronology of the Songguk-ri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ased on pottery and dwelling pits, rather focusing on stone tools. Firstly, I classified these stone tools using the attribut...

      This paper aims at complimenting and re-examining the chronology of the Songguk-ri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ased on pottery and dwelling pits, rather focusing on stone tools. Firstly, I classified these stone tools using the attributes which a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s reflecting the time difference. Secondly, transition of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were examined in the Hoseo, Honam and Yeongnam areas.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ome parallels between the types of stone tools, basically they show the similar changes with time both in cemetery and settlement sites. The chronological periods are established by the appearance of grooved axes and triangle harvesting knives, which divide the phase Ⅰ from Ⅱ, and Ⅱ from Ⅲ, respectively. This way of changing can be explained by development of function and labor-saving in production, being raised from development of food acquisition such as crop cultivation and hunting/gathering, increase of armed conflicts, establish of stone tool mass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chronology, the stone tools in the Late Bronze Age seem to be gradu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Early Bronze Age, without any simultaneous appearance of new stone tool kits. Possibly it supports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s to the origin of Songguk-ri culture. However, only by this study on stone tool analysis, it is quite difficult to lead a definitive conclusion to this controversy as the opposing diffusion theory has been advocated based on the other materials such as pottery and subsistence patter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토기 연구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송국리문화의 편년에 대하여, 기존의 주거형을 중심으로 한 분류를 보완할 수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

      본고에서는 토기 연구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송국리문화의 편년에 대하여, 기존의 주거형을 중심으로 한 분류를 보완할 수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목되었던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송국리문화 석기를 기종별로 형식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분류된 석기 형식들이 송국리문화의 주요 분포 지역인 호서, 호남, 영남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형식 간 공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묘 부장품과 주거지 출토품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형식 간의공존 기간은 인정되지만, 어느 정도의 일정한 변화 방향을 경향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석기 변화의 획기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을기준으로 삼았는데, 유구석부 등장 이전의 1단계, 유구석부 등장 이후의 2단계, 삼각형석도가 등장하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대체로 석기는 기능이 발달하고 제작이 간략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농경이나 수렵 등에 있어서 생계 방식의 발전, 전쟁의 증가, 석기대량 생산 체제의 확립 등과 관련된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또, 형식학적으로나 공반 관계를 통해 볼 때 전기 형식으로부터 점진적으로진행되었으며, 새로운 기종의 등장이나 새로운 형식이 일시에 나타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석기의 변화상은 전기로부터의 계기적 발전을 주장하는 송국리문화 자체발생설을 지지하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석기와 같은 특정 유물의 분석만으로해당 문화의 기원 문제를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유구와 유물의 세밀한 분석과 함께 기원지로 추정되는 지역의 고고학적 상황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明承烈,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물질문화의 다양성 검토" 호서고고학회 (31) : 70-99, 2014

      2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3 金承玉, "호남지역마한주거지의편년" 11 : 2000

      4 최승희, "한반도 출토 환상·다두석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5 손준호, "한반도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6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성락, "한반도 마제석촉의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8 안승모, "한국 반월형석도의 연구 : 발생과 변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9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10 손준호, "청동기시대후기석기의변화상" 2012

      1 明承烈,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물질문화의 다양성 검토" 호서고고학회 (31) : 70-99, 2014

      2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3 金承玉, "호남지역마한주거지의편년" 11 : 2000

      4 최승희, "한반도 출토 환상·다두석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5 손준호, "한반도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6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성락, "한반도 마제석촉의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8 안승모, "한국 반월형석도의 연구 : 발생과 변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9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10 손준호, "청동기시대후기석기의변화상" 2012

      11 전미영, "청동기시대의 영남지역 마제석부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12 양혜진, "청동기시대송국리문화취락의폐기양상연구" 8 : 2011

      13 손준호, "청동기시대 전쟁의 성격" 중부고고학회 10 (10): 5-26, 2011

      14 손준호,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에 대한 초보적 검토" 호남고고학회 36 : 37-62, 2010

      15 황창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3 : 5-24, 2012

      16 김범철, "청동기시대 前-中轉移期 生計經濟戰略의 추이 - 湖西地域‘ 先松菊里○○’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44 : 63-77, 2013

      17 송만영,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중기편년의 재검토 - 취락 편년을 중심으로-" 중앙문화재연구원 7 : 43-79, 2010

      18 宋滿榮, "중기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성격 : 서남한지방을 중심으로"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19 김례환, "의주군원하리에서원시유적발견" 2 : 1959

      20 박미현, "유병식 마제석검의 전개와 지역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1 이재흥, "울주덕신리572-6 유적" 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2011

      22 전호태, "울산조일리고분군 Ⅱ" 울산대학교박물관 2013

      23 이일갑, "울산길천유적" 동양문물연구원 2013

      24 李宗哲, "쌍미늘石槍小考" 湖南文化財硏究院 7 : 2006

      25 유병록, "수혈건물지조사방법론Ⅱ" 17 : 2004

      26 배덕환, "송국리형주거지집성Ⅱ" 서경문화사 2010

      27 손준호, "송국리형주거지집성 Ⅴ" 서경문화사 2010

      28 양영주, "송국리형주거지집성 Ⅳ" 서경문화사) 2010

      29 김규정, "송국리형주거지집성 Ⅲ" 서경문화사 2010

      30 나건주,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경기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8 (8): 51-84, 2009

      31 김승옥, "송국리문화의 지역권 설정과 확산과정" 호남고고학회 24 : 81-112, 2006

      32 황재훈,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회 75 : 109-145, 2012

      33 이홍종, "무문토기와 야요이 토기의 실연대" 한국고고학회 (60) : 236-254, 2006

      34 湖南文化財硏究院, "망덕유적" 2002

      35 손준호,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한국고고학회 62 : 90-113, 2007

      36 황기덕, "두만강류역과동해안일대의유적조사" 6 : 1957

      37 安在晧, "동북아청동기문화조사연구의성과와과제" 학연문화사 2009

      38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달성평촌리·예현리유적" 2010

      39 박지희, "남한지역 유구석부의 형식변화와 실험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기능변화 추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40 庄田愼矢, "남한 청동기시대의 생산활동과 사회"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41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괴산학생중앙군사학교부지내유적" 2012

      42 석광준, "고고학자료집 4" 1974

      43 송만영, "강원 영서, 영동지역 청동기시대 편년 병행 관계 -석촉 형식 분류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29 : 5-36, 2012

      44 곽종철, "가야고고학의새로운조명" 2003

      45 李弘鍾, "麻田里遺蹟" 高麗大學校埋藏文化財硏究所 2004

      46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鷄龍立岩里遺蹟" 2008

      47 우리文化財硏究院, "馬山網谷里遺蹟" 2010

      48 金載元, "韓國支石墓硏究" 國立博物館 1967

      49 崔淑卿, "韓國摘穗石刀의硏究" 13 : 1960

      50 下條信行, "韓半島考古學論叢" すずさわ書店 2002

      51 孫晙鎬, "韓半島出土半月形石刀의變遷과地域相" 17 : 2002

      52 宋永鎭, "韓半島 南部地域의 赤色磨硏土器 硏究" 영남고고학회 38 : 27-64, 2006

      53 金正基, "靑銅器및初期鐵器時代의竪穴住居" 34 : 1996

      54 金旼志, "靑銅器時代開始期의漢江中上流地域石器樣相" 嶺南大學校大學院 2012

      55 安在晧, "靑銅器時代泗川梨琴洞聚落의變遷" 51 : 2009

      56 金元龍, "靈岩郡月松里의石器文化" 24 : 1963

      57 金承玉, "錦江流域松菊里型墓制의硏究" 45 : 2001

      58 尹昊弼, "銅劍墓와그被葬者의性格에관한硏究" 慶南大學校大學院 2000

      59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金海栗下里遺蹟 Ⅱ" 2009

      60 孫晙鎬, "遼東·韓半島の石斧" 111 : 2010

      61 朴淳發, "遼寧粘土帶土器文化의韓半島定着過程" 1 : 2004

      62 예맥문화재연구원, "華川居禮里遺蹟" 2013

      63 이형원, "華城泉川里靑銅器時代聚落" 한신대학교박물관 2006

      64 朴辰一, "粘土帶土器, 그리고靑銅器時代와初期鐵器時代" 1 : 2007

      65 이석범, "磨製石鏃을 통한 嶺南地域住居址의 編年" 한국청동기학회 (10) : 22-60, 2012

      66 平郡達哉, "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 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2006

      67 안재호, "無文土器時代의對外交流" 17 : 2001

      68 손준호,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의 性格" 한국고대학회 (31) : 137-160, 2009

      69 손준호, "湖西地域 磨製石劍의 變化相" 호서고고학회 20 (20): 1-27, 2009

      70 이홍종, "湖西地域 無文土器의 變化와 編年" 호서고고학회 (23) : 110-143, 2010

      71 황재훈, "湖西-湖南地域松菊里式土器의 時·空間性" 한국고고학회 (77) : 5-46, 2010

      72 嶺南文化財硏究院, "淸道陳羅里遺蹟" 2005

      73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淸道華里遺蹟" 2013

      74 金元龍, "永同楡田里支石墓의特異構造와副葬品" 12 : 1960

      75 배진성, "檢丹里類型의 成立" 한국상고사학회 48 (48): 5-28, 2005

      76 안재호, "檢丹里遺蹟 再考" 한국청동기학회 (14) : 66-100, 2014

      77 배진성, "柱狀片刃石斧와有溝石斧의再檢討" 2012

      78 根木修, "木製農耕具の意義" 22 (22): 1976

      79 장용준, "有節柄式石劍으로 본 無文土器時代埋葬儀禮의 共有" 한국고고학회 (72) : 36-71, 2009

      80 文化財硏究所, "晋陽大坪里遺蹟" 1994

      81 釜山廣域市立博物館福泉分館, "晋州貴谷洞대촌遺蹟" 1998

      82 石毛直道, "日本稻作の系譜(上)" 51 (51): 1968

      83 沈奉謹, "日本彌生文化初期의磨製石器에대한硏究" 6 : 1989

      84 李健茂, "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 一潮閣 1992

      85 유병록, "慶尙南海岸의松菊里文化" 2009

      86 이홍종, "忠南地域松菊里型住居址의調査成果와課題" 2 : 2003

      87 慶南大學校博物館, "德川里" 2013

      88 李熙濬, "形式學的方法의問題點과順序配列法의檢討" 14-15 : 1983

      89 李亨源, "弓洞" 忠南大學校博物館 2006

      90 이석범, "嶺南地域粘土帶土器段階의石器樣相" 2012

      91 林孝澤, "居昌·陜川큰돌무덤" 東義大學校博物館 1987

      92 文栢成, "密陽前沙浦里遺蹟" 東西文物硏究院 2011

      93 金承玉, "如意谷遺蹟" 全北大學校博物館 2001

      94 下條信行, "大陸系磨製石器の時代色と地域色" 8 : 1995

      95 유병록, "大邱東川洞聚落遺蹟" 嶺南文化財硏究院) 2002

      96 孫晙鎬, "地域·文化の考古學" 下條信行先生 退任記念論文集 2008

      97 朴東百, "咸安梧谷里遺蹟" 昌原大學校博物館 1995

      98 海東文化財硏究院, "咸安德南里遺蹟" 2013

      99 李亨源, "可樂洞類型新考察" 4-5 : 2001

      100 宋滿榮, "南韓地方農耕文化形成期聚落의構造와變化" 2001

      101 朴宣映, "南韓出土有柄式石劍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2004

      102 安在皓,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 嶺南地方의 資料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103 全眞賢, "南江流域無文土器時代扁平片刃石斧硏究" 慶南大學校大學院 2012

      104 김병섭, "南江流域下村里型住居址에대한一考察" 4 : 2011

      105 董眞淑, "半月形石刀의一考察" 釜山博物館 8 : 2001

      106 손준호, "北韓地域 靑銅器時代 磨製石器의 變化相" 호서고고학회 (14집) : 25-54, 2006

      107 金權中, "北漢江流域 靑銅器時代 住居 類型과 中期 設定 試論" 한국문화사학회 (22) : 7-38, 2004

      108 李亨源,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호서고고학회 (24) : 58-93, 2011

      109 羅建柱, "中西部地方松菊里類型形成過程에대한檢討" 2 : 2005

      110 이동희,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호남고고학회 35 : 47-7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59 0.81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