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화점」에 나타난 건국신화적 神婚 기원 연구 - 충렬왕대 麗蒙 습합정권 송도가 형성의 역사적 맥락과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의 역사적 실체를 통해 -

        권도경 부경역사연구소 2016 지역과 역사 Vol.- No.39

        This paper is the study to inten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he sacred wedding in <Ssanghwajeom>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ormation of the congratulatory song for the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in the regin of the king Chungyeol and the historical substance of SsanghwajeomㆍSamjangsaㆍwellㆍpub.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built the theoretical premise that the direct origin of <Ssanghwajeom> is not the folk festival song by the indecent language between man and woman but is the sacred wedding song of the country’s birth myth that the nation founding group has rationalized own royal authority by and it is the result that the origin of the country’s birth myth of <Ssanghwajeom> was specified as the royal authoritive mythical song of the king Chungyeol who became the progenitor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by accommondate immigrant group from Yuan dynasty is <Ssanghwajeom>. Under this premise, this paper read the congratulatory lyric context of the country’s birth myth that the folklore sacred wedding song changed to the praise song of the court for the king through the historical distinctiveness of the king Chungyeol who combined the royal family of the previous Korea to be subject to the military government with immigrant group from Yuan and became the progenitor of the the Korea-Mongol’s fusion government. Secondly, this paper proved the historical substance of SsanwhajeomㆍSamjangsaㆍwellㆍpub through the fact that HoihoiabiㆍSamjangsajuㆍwell’s dragonㆍpub’s man was choose on purpose as fictional sacred correlative of the immigrant group affiliated to Mongol came from Yuan and combined with the indigenous group of Korea. 본고는 「쌍화점」에 나타난 건국신화적 神婚 기원을 충렬왕대 麗蒙 습합정권 송도가 형성의 역사적 맥락과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의 역사적 실체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부정적 음란욕망론이나 뜬소문 경계론, 풍요민속론 등 「쌍화점」에 대한 기존의 주제론들이 해명해 내지 못했던 지점, 즉 남녀음사를 핵심 모티프로 하는 「쌍화점」이 어떻게 궁중의 왕실송도가가 될 수 있었으며, 해당 역사적 배경이 왜 하필 충렬왕대였던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충렬왕대 려몽습합정권의 역사적 신성맥락과 몽고이주집단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이 지닌 신성상징을 통해 해결해 내고자 한 연구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쌍화점」의 직접적인 기원이 민요의 층위에 있던 男女淫事의 민속제의요가 아니라 해당 민속제의요가 건국 주체 집단의 신성왕권을 합리화하기 위한 건국신화적 神婚歌로 전이된 층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건국신화적 신혼가 기원이 元 나라 이주세력을 수용함으로써 고려 토착민과 원 이주민 통합왕조의 개창자가 된 충렬왕의 왕권신화적 왕실의례요로 특수화 되어 실현된 것이 바로 「쌍화점」이라는 이론적 전제를 구축했다. 즉, 민요의 보편적인 무속풍요제의요로 존재하던 男女淫事謠로서의 「쌍화점」이 궁중 예악의 국왕 송축가ㆍ찬양가의 층위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민속적 男女神婚이 왕권과 관련된 남녀신혼의 층위로 전환될 수 있는 보편적 차원과 특수적 차원의 인식적 전제기반이 요구된다는 입론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본 연구는 충렬왕이 고려무신집단에 예속되어 있었던 전대 고려 왕실을 동아시아의 정치ㆍ문화적 선진세력인 원나라 지배세력을 의도적으로 도래시킨 후 고려의 토착왕실과 결합시킴으로써 실질적인 高蒙 통합계 고려왕권을 연 中興始祖가 된다는 충렬왕조의 역사적 특수성에서 민속적 남녀신혼가 궁중 예악적 국왕 송축가ㆍ찬양가의 층위로 전이되었다는 건국신화의 송도가적 맥락을 읽어내었다. 다음으로 회회아비ㆍ삼장사주ㆍ우물용ㆍ술집아비가 원나라에서 도래하여 고려 토착집단과 결합한 몽고계 이주집단의 허구적 신성상관물로서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쌍화점ㆍ삼장사ㆍ우물ㆍ술집이 충렬왕대에 몽고로부터 전래된 문예적ㆍ종교적ㆍ군사적 산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역사적 실체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역사인물을 활용한 축제개발:장영실 사례

        정강환 ( Jeong Gang Hoan ),노용호 ( Roh Yong Ho ) 부경역사연구소 2004 지역과 역사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ientific festival programs based on history. To develop programs, this study researchers used various methods including history books about Jang, Young-sil, surveys from potential visitors, consultings from history experts. This study provided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based scientific programs. This study also analyzed resources and provided SWOT of this festival, strategy model based on target market, and positioning for the festival.

      • KCI등재

        부산의 임진왜란 기념물 조성과 도시경관화

        양흥숙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0

        Imjin War(1592-1598), which broke out from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Korea) in 1592, turned almost every area of Joseon into a battlefield. The War has been emphasized particularly in Dongnae (Busan) due to Dongnae’s historical relationship with Japan even after the war area and in order to remember the devastating experience of war. Since the end of the Imjin War, the War has been represented in Busan in various forms including shrine, bronze statue, memorial tablet, monument, etc. These various monuments have become a part of Busan’s urban landscape.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statues(a total of three statues-two bronze statues and one stone statue) of three figures (Song Sang Hyun, Yun Heung Sin, Jeong Bal) from Imjin War have been maintained on the main streets which pass through the city. In addition, the bronze statue of Yi Sun Sin, who has become a symbol of Korea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figure of Korea, has been erected in Yongdusan Park, a space for Busan citizens. Thus, Imjin War is routinely experienced and remembered by the citizens. All these monuments were developed by the past administration with the political purpose to expand nationalism anti-communist ideology to the people. The intent was to have the citizens collectively remember the Imjin War and recognize it as an identical experience. In effect, however, the memory of Imjin War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erson recalling the memory, the local network passing down the memory, and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memory is represented. In addition, memories other than the familiar national ones were highlighted. In summary, the memory of Imjin War were represented in Busan by way of summoning histor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which is also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Busan identity. 임진왜란으로 조선의 거의 모든 지역은 전쟁터가 되고 폐허가 되었다. 동래(부산) 지역은 전쟁의 참혹한 경험, 전쟁 이후의 일본과의 역사적 관계 속에서 임진왜란이 강조되어 왔다. 임진왜란은 전쟁이 끝난 이후부터 동래(부산)에서 사당, 제단, 동상, 비, 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었고, 현재까지 도시경관으로 자리하고 있다. 임진왜란을 재현한 기념물 가운데 특징적인 것은 시내를 관통하는 중앙대로변에 세워진 송상현, 정발, 윤흥신의 像이다. 그리고 가장 민족적인 인물로 표상되는 이순신 또한 공공장소인 용두산공원에 동상으로 세워져 있다. 대로변, 공원에 임진왜란 인물들의 상이 세워져 시민들은 일상적으로 임진왜란을 경험하고 있다. 모두 지난 정부의 애국국민 만들기, 반공이데올로기 확대 등의 정치적 목적에 의한 것이 많았다. 임진왜란이란 동일한 경험을 집단적으로 기억화하여 시민들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억을 하는 사람에 따라, 기억을 전승하는 지역사회에 따라, 재현하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기억은 재구성될 수 있었다. 또한 익숙하게 반복되는 국가 기억과는 다른 기억들이 부각되기도 한다. 이것이 현재적 관점에서 역사를 소환하는 방식이며, 또한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

        염정섭 부경역사연구소 2016 지역과 역사 Vol.- No.38

        As the main entrance explaining the late Joseon society, we can point out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nd peasant society theory. Meanwhile most researchers of Korean history largely based on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Key element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maybe sprout of capitalism thoery. Sprout of capitalism thoery argued wealthy managerial peasants during 17-19 century Joseon society as a type of capitalist tenant who managed a lot of arable land. But Sprout of capitalism thoery has a problem in that it would have to apply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histor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s into Korean history. The emergence of capitalism in agriculture was the unique phenomenon confined to the UK in world history, that is a downside to sprout of capitalism thoery. The presence of wealthy managerial peasants needs to go through the new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n wealthy managerial peasants could be re-established as a historical existence. Peasant society theory explained that the peasants are self-reliant farming farmers no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re are lots of question about peasant society theory esp. maturity of peasa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don’t explain the problems of modern East Asia. Finally 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establish the contents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that we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overnance system. 조선 후기 사회 성격을 설명하는 주요한 입장으로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을 지목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에 대한 성격 규정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그동안 한국사 연구자들의 이해는 대체로 內在的 發展論에 입각한 것이었다.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요소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 맹아론은 17~19세기의 조선 사회에 자본가적 借地農, 즉 경영형 부농의 성립하고 성장하였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맹아론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발전이 서양사의 역사발전단계론을 한국사에 적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등장이 세계사에서도 영국에 국한된 현상이었다는 점도 자본주의 맹아론에 불리한 점이다. 경영형 부농의 존재 유무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실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실증의 측면에서 비판하는 것이다. 경영형부농의 존재를 밝힌 양안의 성격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경영형부농의 존재는 새로운 역사적 논증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역사적 존재로 재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농사회론은 農民 대중의 자립적 농업경영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18세기 이후 1950년대까지 조선사회의 성격을 소농사회로 규정한다. 그런데 小農이 과연 조선 후기에 특별히 성숙된 것인지 의문이다. 그리고 조선사회의 農法 변화에서 더욱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던 것은 14세기 후반 벼농사 연작법의 정착이라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소농사회론은 일면적인 분석결과의 혐의가 짙고 게다가 동아시아의 ‘근대’에 대한 설명이 거의 不在하다는 점도 문제점이다. 내재적발전론의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배체제의 변화를 파악하는 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야사(加耶史) 연구의 흐름과 안라국사(安羅國史)

        백승옥 ( Beack Seoung-ok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이 글의 목적은 현 경남 함안에 존재했었던 안라국의 역사를 향후 어떻게 연구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안라국사 연구의 중장기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최근까지 진행된 가야사 연구의 흐름과 안라국의 역사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① 가야 각국들 간의 존재형태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그동안 『三國遺事』의 五伽耶條 등을 근거로 가야제국은 연맹체의 형태로 존재했었다고 설명되어 왔다. 가야전기에는 김해의 금관가야가 중심이 된 가야연맹체가, 후기에는 고령의 대가야가 중심이 된 연맹체가 존재했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맹체론 속에서는 안라국사가 제대로 정립될 수 없다. ② 안라국의 내부구조를 밝히는 작업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안라국의 국가발전단계를 논할 수 있을 것이다. ③ 안라국이 존립하고 또 존재할 수 있었던 기본 동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하여 안라국의 해양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지리적 환경과 진동만을 통한 바다로의 진출과 관련한 연구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④ 안라국의 대외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안라국과 백제, 고구려, 신라, 倭와의 관계는 물론, 다른 가야 諸國들과의 관계와 그 속에서 안라국의 위상 등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⑤ 그 외에 안라국과 관련된 地名과 인명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way how to research the history of Anraguk which had existe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Haman county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it requires long term perspective and plan to study Anraguk histor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gathered the flow of Anraguk history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until a recent date and arranged the history of Anraguk. As a result, we believe that the following issues are to be resolved. ① The arrangement about the existence forms among Gaya countries is needed. Meanwhile, Gaya empir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form of federation on the basis of Ohgayajo(五伽耶條) in Samgukyusa(三國遺事). It has been described that in the early of Gaya, Geumgwan Gaya of Gimhae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and in the late Gaya, Daegaya of Goryeong was the center of the federation. But the history of Anraguk cannot be established properly in this theory of federation. ② We should focus more on the task to illumin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nraguk. It will enable us to discuss the stage of development of Anraguk. ③ The researches about the dynamics which made Anraguk exist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the marine nature of Anraguk should be noted on. The study regarding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at the time and the expansion to the ocean through Jindong bay should be added. ④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foreign relations of Anraguk. The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Gaya countries(諸國) and the status of Anraguk among them as well as relationship between Anraguk and Baekje, Goguryeo, Silla, Wae(倭) should be progressed. ⑤ The studies about place names(地名) and human name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임진왜란과 민족 구성원의 확대 - 왜란기 항왜(降倭)를 중심으로

        허준 ( Hur¸ Joon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9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투항한 ‘降倭’로 불리는 일본인들이다. 애초에 침략군으로 조선에 온 그들에게 조선인들의 태도는 부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조선의 위정자들은 곧 그들의 전략적 유용성에 주목하였고 ‘항왜’는 倭軍과 싸울 아군으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전쟁이 끝나고 나서도 항왜 중 상당수는 조선에 남아 조선인으로서의 삶을 이어갔다. 降倭에 대한 조선인들의 반감은 전쟁이 끝나고도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민중의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조선 조정은 항왜에 대해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태도와 정책을 유지하였다. 그것은 항왜의 戰功이 조선 위정자들의 국가 수호에 대한 노력과 능력을 증명하는 유의미한 증거로 제시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조선 조정은 항왜에게 한국식 이름과 관직을 내리고 거주지를 확보해 주었다. 항왜는 이제 조선의 문화를 숭앙한 충성스러운 국가의 신민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현재 한국 민족의 일원으로 발전하게 된 역사적 성원의 하나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조선 시대에 나타난 항왜의 정체성 전환 과정을 통해 ‘민족’의 출현을 역사적 기원에서 찾는 원초론적 관점에 한계가 있음을 드러냄과 동시에 ‘민족’을 단순히 근대 이후의 산물로 정의하는 근대론적 관점의 문제 또한 지적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angwae, the Japanese who surrendered themselves to Chosŏn Korea during the Imjin War. Chosŏn people initially showed their negative attitudes toward hangwae who came to Korea as “invaders.” But after they found the usefulness of hangwae, the Chosŏn ruling elite often expected that hangwae would fight Japanese armies as a part of the Korean military. After the Imjin War, many hangwae remained and lived in Chosŏn Korea as Chosŏn people. However, the antagonism of Chosŏn people against hangwae lasted long even after the war. Despite the collective anger, the Chosŏn ruling elite kept their favorable policy toward hangwae because they believed that hangwae could be the crucial evidence verifying the elite’s efforts and competence to protect their people. Thus, they gave hangwae Korean names, official titles, and the places to live. Now, hangwae are remembered as those who sincerely admired the culture of Chosŏn Korea and as a part of the origin of current Korean nation. Delving into the issue of the identity transformation of hangwae during the Chosŏn period,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about a primordialist vision of the nation as timeles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modernists’ assumption that developments associated with modernity were crucial to the origin of national consciousness cannot be universally applied to all states.

      • KCI등재

        신라기 中祀 南海祭場과 교통로와의 관계

        심민정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1

        In the Busan area, the castle ruins of Geochilsan-gun are located at the site of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in Suyeong-gu.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researching documents related to Geochilsan-gu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ancestral rites to the sea god was held in the southern sea, and this rite was located in the Baeksan area of Suyeong-gu, Busa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laces where ancestral rites were held to the god of the sea were located in key points of water and land transportation. The priestly place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seas are all being prepared at the end of the sea in the territory of Silla. The place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 of the southern sea is connected to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by land transportation called Donghaetong. Through this place, Geochilsan-gun(Dongnae) was economically, administratively, and militarily connected to Gyeongju, and it also played a role in holding national ceremonies and ment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area,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 of the South Sea, is a place of ceremonial border located on the border of the sea, showing both openness and closedness in the maritime traffic route. Hyeongbyeon, which is regarded as the location of the ancestral rites to the god of the southern sea,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Suyeong River and the sea meet. Also, if you climb Suyeong River, pass the point connecting to the mainland, and go northwest, you will pass Castle of Dongpyeon and meet Hwangsan River of the Nakdong River where ancestral rites are held to the gods of the southern river. And to the south, it meets Busan Port. It is very important as it is located in a key point where all land, sea and rivers are in contact. 부산 지역에는 거칠산군의 치소성으로 볼 수 있는 성터가 수영구 병무청 자리에 소재하고 있다. 거칠산군성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사료는 대단히 소략한 상황이라 이 치소성이 존재할 당시 신라, 혹은 통일기 신라의 역사·문화 등을 구체적으로 모두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관련 역사·문화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문헌조사와 연구 과정에서 당시 거칠산군의 기능 중 하나였던 中祀 四海祭를 실시했던 남해 제장 兄邊이 부산 수영구 백산 일대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해 제장은 신라의 영역 중 육지와 바다의 경계 지역에 마련되고 있다. 수·육상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경계 지역과 수도 왕경으로의 연결성, 해당 지역이 침해받지 않고 안전하게 지켜져야 한다는 신라의 의식 등이 반영되어 있다. 南海 제장이 신라의 왕경인 경주와 연결되는 육상 경로는 東海通이다. 이곳을 통해 거칠산군은 왕경과 경제·행정·군사적으로 연결되었으며, 국가제사 제장의 역할까지 겸하면서 정신적 소통까지 함께 하였다. 그리고 남해제장은 해양경계에 위치한 경계제사지로 해상교통로상의 개방적·폐쇄적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남해제장의 소재지로 비정되는 형변은 수영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수영강을 거슬러 올라가 육지와 연결되는 지점을 통과하여 서북쪽으로 이동하면 동평현성지를 거쳐 南瀆 제장이 위치한 낙동강 黃山河와 만나며, 남쪽으로는 釜山浦와 만난다. 이처럼 陸·海·江을 모두 접촉하고 있는 요지에 위치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근세 세계화(archaic globalisation)의 맥락에서 본 조선시대사

        신상원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유럽 내에서 조선시대사 연구는 한국학 (Korean Studies)이라고 하는 분과 아래에서 행해지고 있다. 한국학은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 등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지역학의 하나이다. 당연히 이런 종합적인 이해를 위한 노력으로 인해 다양한 주제와 시기를 넘나들므로, 한국학이 다루는 범위는 아주 넓다. 당대 한국과 역사 속의 한국,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까지 포함하는 학문 분야인 것이다. 한국학의 조선시대사 연구는 이런 넓은 범위 안의 한 분과이다. 유럽 내에서 한국의 관심 증가에 따라 이런 한국학과 그 분과인 조선시대사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전근대시기 보다는 근대 그리고 현대시기에 집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근대시기 연구에서는, 조선후기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며, 고대시기나 고려시기는, 원래부터 연구가 많지 않은 분야인 전근대 시기에서도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는 의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영미권의 세계화 연구 경향에 따라 연구되어, 세계사와 동아시아사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사를 보는 경향이 크다. 본 논문은 최근의 이런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들을 통해, 세계화의 맥락에서의 한국사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Within Europe, scholar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re actively engaged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Korean Studies, as an area of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various facets of Korea, including it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history. Consequently, Korean Studies encompasses a broad spectrum of topics and historical periods, spanning from contemporary Korea to its rich historical past and even its future. Studying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is expansive field within Korean Studies. As interest in Korea continues to burgeon in Europe, research endeavours focusing on Korean Studies and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undertaken by scholars in the discipline, are steadily gaining momentum.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Europe predominantly centr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with relatively less emphasis on the pre-modern era. Moreover, within the pre-modern period, there is a prevailing concentration on the late Chosŏn period, while the ancient and Koryŏ periods occupy a relatively smaller niche within this field of study. Despite these tendencies,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in Europe yields substantial and insightful findings. These outcomes are frequently situated within a global and East Asian historical context, aligning with prevailing academic trends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This research endeavours to explore the history of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isation, drawing upon rece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within the European academic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