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홍철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한국종교 Vol.36 No.-

        우리나라에서는 근세 이후 많은 새로운 종교들이 창립되었다. 그 종교들을 신종교라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신종교의 연구가 시작된 것은 일제시대로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등의 연구물이 나와 있다. 그 뒤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다가 60년대에 접어들어서 현상조사를 중심으로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70년대부터 몇몇 학자들에 의하여 사상을 조명하는 연구업적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80년대 이후 상당한 저술과 다수의 논문들이 나오게 되었으며, 90년대 이후 이 분야의 많은 석·박사들이 배출되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이 글은 그 간의 연구업적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 내용을 크게 ‘현황’과 ‘과제’로 나누고 현황에서는 ‘신종교 연구 시대별 개략과 특징’, ‘신종교 연구의 경향성’으로 나누어 일제강점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연구 약사와 시대별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 신종교 연구에서 대두된 경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과제에서는 ‘신종교 연구상 유의할 점’을 특정종교의 교리사상에 대한 가치평가 문제와 현지조사 문제, 교리해석상의 문제 그리고 연구방법상의 문제로 나누어 보았다. ‘신종교 연구의 과제’는 연구 방법의 다양화의 문제와 공동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연구단체ㆍ학회ㆍ연구소활동의 활성화 문제로 나누어 신종교 연구에서 문제시 되는 몇 가지 유의해야 될 점을 지적해보고, 연구자들이 안고 있는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와 과제

        노길명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3 한국종교 Vol.36 No.-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란 사회학의 관점과 이론 그리고 방법론을 ‘신종교’에 적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종교사회학의 연구 내용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신종교는 물론 종교사회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성과가 극히 빈약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논하기보다는 연구대상과 기존 이론의 적용 그리고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신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는 첫째, 사회사 또는 사회운동사적 관점에서의 연구와 둘째로는 종교사상사 또는 사회사상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 그리고 셋째로는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대상으로서의 신종교의 정의상 문제에 있어 사회학자들은 신종교를 주로 제도화의 측면에서 정의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종교사와 관련시켜 본다면 신종교의 역사성과 제도화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아야 하며 ‘종파’규정의 문제와 ‘신영성운동’으로 불리는 대체 종교의 문제역시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의 기존 이론의 활용 방안과 신종교 실태조사방법상의 문제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지에 대해 논함으로써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전개되는 종교운동으로서의 신종교가 한국사회의 구조나 변동과 갖는 관계를 연구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홍글자』 소설과 영화의 지향점에 대한 비평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

        김기섭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6 No.-

        이 논문은 영미문학 작품의 최고봉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주홍글자』 소설과 이를 각색한 영화의 지향점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공통성에 초점을 두고 먼저 분석하되 두 작품을 각각 저자의 창의성이 반영된 별개의 작품이라고 인정하고 차이점의 분석과 비평을 하기로 한다. 나다니엘 호돈의 소설은 청교도주의에 대한 직접 비판은 없지만 주인공 헤스터 프린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판적 시각에서 문제점을 드러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롤랑 조페의 영화는 소설과 비교하여 배경, 등장인물, 모티프, 이야기 구성이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유사성을 인정한다. 하지만 펜으로 쓴 소설과 카메라로 쓴 영화는 근본적으로 장르가 다를 뿐 아니라 세부 이야기 내용도 일부 다르게 각색되어 있다. 영화가 소설 저자의 드러나지 않은 행간을 미세하게 읽어내서 더 직설적이고 과감하게 표출하고 있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점을 문학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두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간인 17세기, 공간으로서는 뉴잉그랜드, 패러다임인 청교도주의라는 상황을 다루고 이어서 두 예술 작품이 공통적으로 나타낸 인물의 성격과 사회적 관계라는 양면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두 작품 이야기의 차이점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고 종합하여 분석해 본다. 이로서 작품 안에서 공시적 공감을 추구한다. 최종적으로 비평가 입장에서 두 작품의 지향점에 대한 문제 제기와 비평을 시도한다. 이로서 작품 밖에서의 통시적 비판과 대안도 동시에 추구한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문학 비평들이 주로 했던 작품 안에서의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적 비평에서 좀 더 나아간다.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나 알베르 까뮤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인물과의 대비, 마틴 루터 95개 조항 반박문의 종교 자체에 대한 외향적 비판 방식과의 차이 비교, 문학 작품으로서 성경의 관점에 대한 작품의 입장 분석 등을 통해 외연을 넓혀서 검토해본다. 이를 통해 작품 밖으로부터 작품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요구와 압력의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래서 작품의 지향점이 공통적으로 종교 자체의 정면 비판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근본적 문제점을 제기한다. 작품에 대한 문제 제기와 현재적 의문을 종합해 문학은 사회적 책임 중 특히 종교적으로도 일정 부분 비판, 견제, 대안 제시의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청교도주의와 같은 전통적인 종교 개념에서는 물론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시대, 조선과 고려시대, 그리고 오늘날 종교 개념을 확장하여 시민종교 등을 포함하여 확장된 종교 개념인 종교 또는 신념(religion or belief) 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좀 더 넓게 사유의 위상을 확장한다면 작품과 유사한 시대인 조선시대의 유교 사회에도 유교 종교개혁이나 문학에 의한 종교적 변화가 있었다면 조선은 멸망이 아닌 다른 발전의 길을 갈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잠정적 가설을 설정해 보고 이를 증명하는 후속 연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를 일반화시켜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을 설정하여 그 성립의 타당성과 근거를 작품 내외에서 제시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종교문맹의 문제점에 대하여 인문학적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하나의 응용 가능한 범주로 제시하면서 특별히 『주홍글자』와 같은 영미문학... This thesis seeks to analyze the novel The Scarlet Letter which is regarded as a major work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and its movie adaptation, pos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Focusing on commonality is accordingly the first approach to analysis, and the difference is the next for more analysis and criticism recognizing that they are isolated respectively containing each creativity. Not directly criticizing Puritanism, Nathaniel Hawthorne’s novel indirectly looks on problems with a critical eye through the protagonist Hester Pryn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oland Joffe’s movie generally follows the novel faithfully in terms of background, characters, motifs, and the story’s structu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regarding adapted details between the novel written by pen and the movie created by camera. Within reason, literary theory deals with the points of the movie directly by audaciously exposing things by reading between the lines in the novel. Presenting the context such as the time period, the 17 Century, the place, New England, and the paradigm Puritanism is followed by the bilateral analysis between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their social relations in the two works. Doing so, it tries discern the synchronic sympathy with the works. It furthers lis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comes to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eventually poses questions and makes criticisms as a critic. Furthermore, it simultaneously pursues diachronic criticism and its alternative. This goes further than previous criticisms that mostly stayed within the work. Perspectives are expanded and contrasts and comparisons can be made between characters in different works such as Colin Wilson’s The Outsider or Albert Camus’ The Stranger; the extroverted criticizing way to the very religion of Martin Luther’s 95 theses, the attitude embedded in the work with the point of view that the Bible is literature, etc.. Through which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demand and pressure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is also searched for. Eventually the direction points to that those two works are commonly silent about squarely criticizing the Puritanism per se results in the fundamental issue. Comprehending the problems raised and presenting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terature should take social, particularly religious, responsibility for presenting criticism, restraint, or its alternative. That can also be applied to Martin Luther’s age of Reform, the Joseon or Koryo period, and the enlarged modern concept of religion or belief including civil religion as well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ligion like Puritanism. Expanding the topology of thinking, the same research is seemingly possible enough by establishing the temporary hypothesis that the Reform of Joseon Confucianism or religious change caused by contemporary literature could have presented Joseon with an alternative to maintain society in a prosperous manner. So for the third alternative generaliz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 hypothesis of the socio-religious responsibility of literature takes a position to provide the feasibility and its rational and reasonable basis. As an applied example for this issue’s extens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illiteracy, the necessity of non-confessional religious education in an applied category particularly draws a strong possibility of non-confessional English Bible Study with English literature like The Scarlet Letter. By which this article’s criticism tries to expose a face of fundamentally limitless possibility of literature with proof hopefully expecting it to be a well-established theory.

      • KCI등재

        한국근대 민족종교 원초자료 연구와 LOD시스템화의 과제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한국 근ㆍ현대 종교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가장 큰 한계는 무엇보다도 연구의 토대가 될 문헌적 자료를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특히, 근대 민족종교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해방이후 많은 학자들이 역사와 사상사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개별적인 연구업적이 산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자료가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였다. 근대 한국사회의 종교지형이 어떻게 형성되어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선, 1860년대 조선조 후기 개항기를 거쳐 일제치하(1910~1945)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대화과정의 혼란과 격동시기에 일어난 민족종교운동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집된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시기의 종교정책에 대한 연구를 위해선 대한제국시기 한국통감부에서 간행된 종교에 관한 잡건철(宗敎ニ關スル雜件綴)(1905-1909)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 문서는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 행정과 관련된 공문서철로서 「종교의 선포에 관한규칙」을 포함하여 일제의 종교법규 및 통감부의 종교와 관련한 행정,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현황과 동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에서 발간한 『사상월보(思想月報)(1931-34년)의 후속지인 『사상휘보(思想彙報)(1934-43년)의 기사에는 1930-40년대 일제의 사상통제와 탄압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근대한국 민족종교운동과 문화에 대하여 ①시간을 축으로 한 역사적 원초자료(Raw Data)에 대한 조명, ②원초자료에 대한 주제중심의 심층적 비교분석, 그리고 ③공간적 차원에서 일본과의 연동성을 다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단순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아닌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토대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는 데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limitations in past and present studies on modern Korean religions is based upon the difficulty of accessing original literary sources that should be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Especially, as for the study of modern ethnic religions, even though many scholars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ir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ideology after liberation, fundamental materials were not comprehensively arrang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religious topography in modern Korean society was formed and changed, there is a great need for basic researches on the ethnic religious movement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of confusion and turbulence during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from the latter period of ports being opened in the 1860’s of the Joseon Dynasty to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indexes, have original texts translated, and interpret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a filtering system. This kind work in which a data base is created can help us maximize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and enhance and promote better quality research and study. For the study of religious polic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Joseon Chong"dogbu)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File of Miscellaneous Matters on Religions (1905-1909), which was issued by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Joseon Tong"gambu) during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is document is a public document file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Japanese religious missionaries in Korea. It is a precious material that allows us to know about the regulations on religions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relation to religions of Japan, and then current situation of that time to propagate Japanese religions in Korea as well as ‘Regulations about the Proclamation of Religion.’ Furthermore, in articles of The Collection of Reports on Ideologies (Sasang-huibo, 1934-1943) which was issued following the Monthly Report of Ideologies (Sasang-wolbo, 1931-1934) issued by the Inspection Bureau of the High Cour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 can find valuable materials which clearly reveal how ideologies and circumstances were suppressed and controlled by Japan.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ximize research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by creating a data ba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indexes, th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and the interpretation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based on a filtering system. We should carry such works concerning ethnic religious movements and culture of modern Korea through the an understanding and clarification of the historical raw data in terms of time, through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raw data by theme, and through a multi-dimensioned illumination on interoperability with Japan in terms of space. By doing such research works, we can not only supply simply basic materials but achieve academic products based on comprehensive and specialized foundation research.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과 특징

        허남진(Heo Nam Ji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2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 특히 계룡산 신도안이 성지로서 인식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신종교 성지의 특성을 규명해고자 한 것이다. 한국 신종교 성지구획의 지표는 한국 신종교의 성지관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국 신종교의 성지의 외연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조의 종교체험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여시바윗골과 용담정, 증산교의 대원암, 원불교의 영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교조와 성인의 행적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최제우와 최시형의 생가터, 은적암, 내원암, 용담성지, 통일교의 범냇골, 증산교의 동곡약방, 원불교의 영산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 등이 해당된다. 셋째, 교조와 성인의 유해가 묻혀있는 장소이다. 증산교의 삼청전, 최제우의 태묘, 최시형과 손병희의 묘소, 원불교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넷째, 종교사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이다. 천도교의 봉황각, 대종교의 청파호, 원불교의 영산 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섯째, 현세의 이상세계 건설지이다. 통일교회의 청평성지, 증산교의 용화동, 일원산 기도원의 일월산, 산성기도원의 동래산성, 세계일가공회와 새일수도원 및 세계종교연합법황청의 계룡산 신도안 등이 해당된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specificall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Sindoan of Mt. Gyeryong-San (鷄龍山 新都案) as a sacred sit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list of indicators for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This study arrives at the conclusion that these indicators determining the sacred sites for new Korean religions can be understood as holding ideas about the sacred sites of new Korean relig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se indicators are as follows. First, a sacred site may be a place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eligion’s Founder. Second, it may be a place related to doctrines and the Founder’s activities. Third, it may be a place where doctrine and the Founder’s remains are buried. Fourth, it may be a location of meaningful historic religious events. Fifth, it may be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ideal world (Utopi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new Korean religions in Sindoan, Mt. Gyeryong-San and the nature of utopian thought can be said to be simply embodied as a place of existence and a place for construction of a Utopia, in combination with the longing for the ideal of the people.

      • KCI등재

        인류세 시대의 지구와 종교 - 지구종교론의 모색 -

        허남진,이우진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한국종교 Vol.51 No.-

        이 글은 현재 범학문적 담론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류세 담론’을 통해 ‘지구종교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류세 담론의 중심축에 자리하는 ‘지구와 인간의 새로운 성찰적 관계를 모색’하는 입장에 따라, 지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지구종교론’을 검토해 보았다. 지구에 대한 인식은 ‘기계론’과 ‘자연지배’라는 새로운 입장이 근대 세계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하기 전만 하더라도, 창조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이자 부모로서의 지구서사론’은 어느 문화권에나 이야기되어 왔다. 이와 같이 지구와 인간을 절대적인 의존관계로 바라보았던 인식은 과학혁명 이후 심각히 약화되었다. 더욱이 상업주의, 산업화, 기술화를 거쳐 ‘자연지배’의 입장은 더욱 강화되었다. 이제 인간은 지구의 관계에 있어서 인간을 ‘행위주체자’로서 자리하게 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지구에 거주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지만, 인간은 ‘지구에 거주하여 이 지구를 보살키고 구원’하거나 ‘지구를 탐구ㆍ분석하고 정복’하는 행위주체자로 자리하게 된다. 하지만 인류세 담론에서 지구는 지구시스템적 관점을 기반으로 ‘행위자’로서의 ‘가이아’로 이해되고 있었다. 더 이상 지구는 인간의 파괴와 지배에 더 이상 가만히 당하고 있지 않으며, 인간의 행위를 협박하고 저항을 드러내는 존재로서 자리하게 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인류세의 담론과 맞물려 종교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두 개의 담론을 검토하였다. 그 하나는 ‘지구정치학의 입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시민종교로서의 가이안 지구종교담론’이고, 다른 하나는 ‘지구신학의 입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지구를 위한 종교로서 지구종교론’이다. 이 두 담론 모두 인류세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지구종교론’이었다. 결론적으로 인류세의 ‘지구론’이나 ‘지구종교론’은 지구위기가 ‘지구에 대한 공경심의 상실’에서 기인한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바로 인류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교의 방향이 ‘지구에 대한 인간의 공경심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discourse on earth religions’ through ‘the Anthropocene discourse’, which currently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pan-academic discourse. In particular, from the standpoint of ‘seeking a new refl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human’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We hav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Earth and the recent emergence of ‘discourses on Earth religions.’ Even before the new positions of ‘mechanism’ and ‘natural domination’ were positioned as the core concepts of the modern world, the ‘Earth Narrative as a Nurturing Mother and Parents’ who creates and nurtures has been discussed in every culture.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is perception of the earth and human beings as absolutely dependent on each other has been seriously weakened. Furthermore, through commercialism,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ization, the position of ‘natural domination’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Now humans are positioned as ‘Agencies’ in relation to the Earth. Although humans are essentially inhabitants of the Earth, they are positioned as ‘Agencies’ that ‘live on the Earth, protect and rescue it’ and ‘explore, analyze and conquer it.’ However, in the Anthropocene discourse, the Earth was understood as ‘Gaia’ as an ‘Agecn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th system. The earth was not to sit still any longer against human destruction and domination, but was to be positioned as an entity that threatens and resists human behaviors. Next, We examined two new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the religious realm in line with these discourses of the Anthropocene. One is the ‘Gaian Earth Religion Discourse as a Civil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rthpolitics, and the other is the ‘Earth Religion Discourse as a Religion for the Ear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for Earth. Both of these discourses were ‘Earth religion discourse’ to solve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Conclusively, the ‘Earth Discourse’ and the ‘Earth Religion Discourse’ of the Anthropocene were aware of the problem that the Earth crisis was caused by the ‘loss of reverence for the Earth’.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e direction of religion had to be sought as ‘the direction to restore reverence for the Earth.’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과 종교적 지향성 비교분석

        남춘모(Nam Chun M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40 No.-

        본 조사의 목적은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과 ‘종교적 지향성’과의 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신종교 지형’을 파악하는 하나의 요인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첫째, 신앙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갤럽의 「한국인의 종교 조사」의 통계분석과 비교하여, 신종교 신자들과 기성종교 신자들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다음으로 종교적 지향성에 대해서는 신종교 교단별 비교분석을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종교적 지향성이란, 신자들이 스스로의 종교적 이념과 가치관에 입각하여, 종교의 개인적, 사회적 역할에 대해서 ‘혁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과 ‘자기수양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을 말한다. 즉 여기에서 사용하는 종교적 지향성이란 이 두 가지 신자들의 종교에 대한 인식을 가리킨다. 따라서 신종교 신자들이 가지고 있는 종교적 혁신 의식과 자기수양 의식을 교단별로 비교 분석하여, 한국 신종교의 지형을 파악하는 하나의 분석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a factor that composes the religious geography of new religions in Korea by quantitatively analyzing believers’ faith-based characteristics and religious directionality. First, I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faithful characteristics of believers of new religions and existing religions by comparing the existing data with the results reported in Korea by Gallup in 2014. Second, I will analyze the religious directionality of believers of new religions by comparing the various new religions in Korea. Believers regard religious directionality as their reformative or self-disciplinary abilities; in a sense, these represent the social role of religion, which is based on believers’ values and ideologies. In other words, religious directionality refers to believers’ recognition that there are two social functions of religion. Therefore, I will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believers’ reformative or self-discipline constructs for each new religion, and the results will be put to practical use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religious geography of new religions in Korea.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지형과 종교문화

        박승길(Park Seung Gil)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2014년 국내 인구조사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종교인구분포를 보면 가장 뚜렷한 현상 중 하나가 동불서기(東佛西基) 현상이다. 이 글은 국내 신종교운동의 종교지형의 유형과 그 특성 및 변화를 추적하여 국내 종교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학이 지배했던 조선조의 단일 종교지형에 기독교가 유입된 후, 그 충격 속에서 대항적 신종교인 동학이 탄생했지만, 동학도 역시 전통적 종교지형에서 발생한 신종교였다. 그러나 강증산이 주도한 새로운 종교운동은 동학혁명과정에서 목도한 억울한 주검들과 그들의 앙갚음을 신적 활동인 천지공사로 풀어가고자 하는 것이었다. 증산의 사후 그의 신격화는 침해자에 대한 신적 보복의 기대가 만들어 낸 종교윤리의 발전 형태 중 하나였다. 증산과의 관계나 영통(靈通)을 내세워 다양한 구제재를 차별적으로 제시하는 여러 가지 ‘신불적 유형’의 종교지형이 전북 김제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간다. 두 번째로 궨당문화가 오래 존속해 온 제주도에서는 신성들이 각 궨당 지역을 나름의 신화를 통해 신성공간화하면서, 외부의 침해자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신성을 불러들이는 방술에 치중한다. 즉 현존상태를 영속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자기 방어적인 주술과 방편을 개발하여 밖으로부터 오는 질병이나 분쟁, 침해자의 압박 등에 대처하는 수단을 가지려 한다는 점에서 ‘생신방술형’ 종교지형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교권체제를 갖춘 대규모의 조직화된 신종교 교단이 자라난 대구·경북 지역은 국내 신종교운동사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하나의 종교지형을 보여준다. 대구가 일제하에서 대도시화되면서 유입된 인구는 해방정국에서 신종교 창교 붐이 일어났을 때 중요한 신종교의 인적자원으로 활용된다. 이 지역에서는 궁리지성과 자기수련을 통해 현세의 치리권을 지닌 지도자가 조직화된 종교단체를 구성하는 ‘교권지향형’ 종교지형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종교지형은 해방 이후 신종교뿐 아니라 기성종교시장에서도 각 지형별 특이성을 낳는 주요 토양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2014 census on religious population in Korea reveals that the number of Christians is higher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whereas more Buddhists live in the eastern regions. This shows the regional disparity i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Korea. First, new religious movements based on the deification of Jeungsan should be understood as a development of religious ethics originated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ir revenge on foreign invaders. New religious movements of Jeungsan in the Jeonbuk area can be called ‘Divinizing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Second, Guindang culture in Jeju offered a special network to resolve hardship like poverty, sickness, and struggles in daily life. This kind of religious topography nourished self-fulfilling salvation. This can be called ‘Necromantic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Last, Daegu-Kyungbuk, where several new religions were systemized with powerful religious authority, was the center of new culture and missionary works of new Christianity. The intellectuals in this area found a new path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ecclesiasticism. This area can be classified as ‘Ecclesiasticism Type of Religious Topography.’

      • KCI등재

        종교적 영성의 사회적 치유역할

        박광수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한국종교 Vol.51 No.-

        Today, religious spirituality's role in healing society diagnoses the historical scars and pathological phenomena inherent in Korean socie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ims for fundamental healing. To this end, transition to a correct perception of social structure and civilization and reflection on new religions are necessary. First, to solve the historical scars from division, inter-class and inter-region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nd human society, we need to transition from a power-centered civilization to a new harmonious civilization shared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mid the divis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state, various forms of "trauma by state violence" based on mutual hostility are internalized throughout society. We need a discourse on the religious spirituality of social healing that has the resources for concrete practices to overcome these traumas. Second, we need to discuss how to realize the value of universal publicity for religious spirituality's social healing. A mature civil society's religious spirituality believes in an absolute God and has an open-minded attitude that cares for and respects neighbors. Today, the COVID-19 pandemic is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and the religious landscape and collective forms of faith. How can religious spirituality provide the fundamental energy to realize social and public values and heal the various problems of a sick society? Religion plays the role of healing a sick society by constantly reflecting on individuals and society, criticizing structural injustice, and directly engaging with society. The social practice of religion is a discourse necessary in any age. In the era of civilizational transition, peaceful and ideal society is possible in the practice of unifying public values and an open religious culture related to the spirit of global citizenship, such as post-ethnicism, post-nationalism, and post-religion. Modern society calls for a proactive life that realizes the spiritual value of peaceful civilization aiming for a world of harmony beyond civilizational conflict. 오늘날 종교적 영성의 사회 치유는 한국사회와 국제사회에 내재하고 있는 역사적 상흔, 사회의 병적현상을 진단하고 근본적 치유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 사회 구조와 문명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종교적 성찰이 필요하다. 첫째, 한국사회를 포함하여 인류사회가 안고 있는 분단의 역사적 상흔, 계층 간, 지역 상호 간의 갈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자중심의 문명에서 동서양이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화의 문명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 사회의 분단구조와 민주주의 국가의 형성과정에서 상호 적대에 근거한 다양한 ‘국가폭력의 트라우마’를 사회 곳곳에 내재화하고 있다. 이러한 트라우마의 상처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방식을 담아내는 사회치유의 종교적 영성에 대한 담론이 필요하다. 둘째, 종교적 영성의 사회적 치유를 위한 세계 보편적 공공성의 가치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시민사회의 성숙한 종교적 영성은 절대적 신에 대한 신앙만이 아니라, 이웃인 ‘너’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열린 마음의 자세이다. 오늘날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은 사회 전반뿐만 아니라 종교지형뿐만 아니라 집단적 신앙의 형태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종교적 영성이 어떻게 사회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고 병든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치유하는 원천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 종교는 개인과 사회를 끊임없이 성찰하고,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고, 직접적으로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행함으로써 병든 사회를 치유하는 역할을 수반한다. 종교의 사회적 실천은 어느 시대에서나 필요한 담론이다. 문명전환의 시대에 평화로운 이상적 사회는 탈민족주의, 탈국가주의, 탈종교주의 등 세계시민정신과 관련한 대동의 공공적 가치와 열린 종교문화의 실천에서 가능하다. 현대사회는 문명의 충돌을 넘어서 조화의 세계를 지향하는 평화문명의 정신적 가치를 실현하는 주체적 삶을 요청한다.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종교 운동의 흐름과 특징

        차옥숭(Cha Ok So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이 논문은 해방 전과 후를 나누어 신령파 집단으로 대변되는 그리스도계 신종교운동의 흐름과 한국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전 신비주의 전통은 신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몰아적(沒我的) 신비체험, 신앙을 통한 치유, 하느님과의 직접 계시를 지향하면서도 당시 제국주의의 폐해와 엄혹한 식민지 현실을 날카롭게 인지하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해방 후 형성된 그리스도계 신종교 천년왕국운동에서는 한국 땅에 지상천국이 도래할 것이라는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탈사회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첫째, 해방 전 신종교운동의 흐름을 인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김성도, 백남주, 김백문, 황국주 등 그동안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인물들의 면면을 간단히 살펴보면서 해방 후 신종교운동에 미친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6.25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전후하여 등장한 대표적인 기독교계 신종교는 나운몽의 용문산기도원, 박태선의 전도관, 문선명의 통일교로, 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둘째, 박태선의 전도관, 문선명의 통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신천지를 중심으로 일제하 그리스도교 신종교운동의 어떠한 부분들이 해방 후 신종교 운동에 계승되어 왔는지를 조명하고, 이들 신종교운동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적 특징으로는 무(巫)적인 요소를 꼽았다. 특히 해방 후 영생불사를 말하고 지상천국을 말하던 전도관의 박태선, 통일교의 문선명, 신천지의 이만희 중 박태선과 문선명은 죽었다. 교조의 죽음을 극복하지 못하는 종교는 적합성을 상실하면서 사양의 길을 걷게 된다. 교조의 죽음의 공백을 극복하고 살아남는 이유를 근대적 종교의 경제력, 정치력, 조직력에서 찾았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trend of new religious movements of Christian lineage and its Korean characteristics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 Korean Mystical tradition in the colonial period recognized harmful impact of imperialism sharply, but Millennium movement of Christian lineage in the post-colonial period often shows desocialized tendencies. This article focuses on religious figures such as Kim Sung-do, Baek Nam-ju, Kim Baek-mun, and Hwang Guk-ju to show tendencies of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colonial period. Influences of these figures on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post-colonial period are also examined, in particular Na Un-mong’s Yongmunsan Prayer House, Park Tae-sun’s Mission House, and Moon Sun Myung’s Unification Church. Some aspects of new Christian religion under Japanese rule that have preceded new religious movements of post-colonial period were also analyz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Shincheonji Church of Jesus. In addition, we look into ‘Mu (巫)’ factor, a Shamanistic aspect of those movements as their Korean characteristic. However, new religions easily decline after the death of its founders who claimed immortality and heaven on earth. Survival of new religion seems to depend on its financial, political power, and ability to organize its fol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