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학사고 발생 시 필요한 합리적인 대피소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김보민(Bo-Min Kim),서민수(Min-Su Seo),김기석(Ki-Sug Kim),이익모(Ik-Mo Lee),천영우(Young-Woo Chon) 한국위험물학회 2019 한국위험물학회지 Vol.7 No.1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n off-site sequence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plans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but data related to shelters for systematic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in January 2019, the government produced and distributed a comprehensive guide for residents notification and evacuation. However, it does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shelter. in this study, four types of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the Resident Evacuation Provision Chemical provided in the comprehensive guidebook. Next, the concentration and time of reaching the cloud by section of the material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probability of death if residents evacuated to the Evacuation Line was calculated. Based on this, the range of influence of the changing mortality probability was confirmed and the critical line was derived when the shelter was not installed and the shelter was selected from the critical line. As a result, tables were derived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intervals for the installation of shelters from the critical line of materia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Critical Line confirmed that areas with a death toll of more than 10% even if shelters were installed at 100m intervals. This may limit the distance between a residential complex and a business site,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cident damage minimization measures to reduce the distance.

      • KCI등재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지진해일 긴급대피소 입지 적정성 평가

        배경완(Bae Kyung wan),박형준(Park Hyung jun),전선민(Jun Sun min),정주철(Jung Ju chu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는 지진해일 대비 긴급대피장소의 입지 적정성을 안전취약계층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해일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재난 발생 전에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지진해일의 경우 신속한 대응(대피)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긴급대피소의 접근성 부분을 사전에 평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피에 취약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주민대피지구 내 안전취약계층은 긴급대피소까지 1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가? 라는 연구질문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진해일의 위험성이 큰 부산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부산광역시 내 지진해일 주민대피지구와 긴급대피장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GIS 네트워크 분석 및 중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부산시의 긴급대피장소는 안전취약계층의 관점에서 신속한 대피가 불가능한 곳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총 주민대피지구 대비 약 38%의 지역에서 10분 이내에 긴급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없었다. 특히 안전취약계층이 밀집하고 있는 위험지역에 상대적으로 긴급대피장소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부산시는 지진해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향후 지진해일 대비 주민대피계획 수립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고려를 통해 긴급대피장소의 입지를 선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재난계획과 도시계획의 연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priety of location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 in terms of vulnerable people. Since Korea is no longer safe from tsunami, it needs to be prepared before the disaster. Especially, in case of tsunami, rapid response (evacuation) is essential,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the emergency shelter in advance. In particular, it needs to be considered about vulnerable groups to evacuate in order to minimize loss of life.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Can the vulnerable groups in the evacuation area reach the emergency shelter within 10 minut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the tsunami evacuation zone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as the case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which has a great risk of tsunami. We employed network analysis and overlay analysis by ArcGIS. Results showed that som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are located in a inappropriate sites for vulnerable groups. It was impossible to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site within 10 minutes from the area of about 38% of the total resident evacuation district in this study.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mergency shelter is insufficient in the area where the vulnerable groups are concentrate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arthquake tsunami, Busan City should make efforts to select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by considering the vulnerable classes when establishing a resident evacuation plan against the tsunami.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preparedness planner and urban planner should be enhanced.

      • KCI등재

        주민보호조치를 위한 국내 방사선비상 개입준위 산출

        이종태,이관엽,강병위,오기훈,김창규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4

        정당성 및 최적화 개념이 도입된 비용-이득 접근법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방사선비상시 주민보호조치를 위한 개입준위 설정방법을 이론적으로 유도하였다. 부지특성 자료인 각종 보호조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선량회피로 얻어지는 금전적 값을 이용하여 옥내대피, 소개, 일시이주 및 영구정착에 대한 방사선 개입준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IAEA가 권고한 개입준위가 우리나라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의사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개입준위의 범위를 옥내대피 5 - 10 mSv/2일, 소개 25 - 130 mSv/주, 일시이주 15 - 90 mSv/ 월 및 영구정착 600 - 3,500 mSv/평생 과 같이 제안하였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의 방사선 개입준위 기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기준치를 개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ervention levels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in a radiological emergency are theoretically derived by the cost-benefit approach with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nd optimization. Intervention levels on the sheltering, evacuation, temporary relocation and permanent resettlement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are estimated with the cost to protective countermeasures and the value from dose averted which are the site specific parameter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IAEA guidelines for intervention levels are applicable to the radiological emergency in Korea. Optimum ranges of 5 - 10 mSv/2days for sheltering, 25 - 130 mSv/week for evacuation, 15 - 90 mSv/month for temporary relocation and 600 - 3,500 mSv/lifetime for permanent resettlement for intervention levels are also provided. The result can be applied as useful data to update intervention levels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Korea.

      • KCI등재

        GIS를 활용한 천안지역 대피시설의 현황 및 수용능력 분석

        이희원(Lee, Hee-Won),성민호(Sung, Mi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9

        최근 북한의 각종 도발로 인하여 유사시 긴급대피시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북의 도발대비 접경지역의 경우 인구에 비해 278곳의 대피시설이 부족하고, 장기체류가 가능한 2등급 대피시설의 부족은 더욱 심각 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천안시 동지역의 모든 대피시설현황을 파악하여 그 수용범위를 가시화하고, 수용가능인원을 분석하였으며, 구도심(성정동, 중앙동, 문성동)지역의 2등급 대피시설에 대하여는 GIS의 버퍼분석을 통한 대피가능범위와 실제 수용가능인원을 산출하여 추가로 필요한 2등급 대피시설의 면적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구도심지역의 2등급 대피소는 해당지역 인구의 약 56%(30,657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25,546m2의 대피소 면적 이 추가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South Korea people and government pour growing interest on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due to recent threatening of North Korea provocation. However, survey says the border area suffers lack of 278 shelters compared to population, needless to say the lack of class-2 shelter in case of provocation. Firstly, this study visualized the evacuation buffer area and summarized acceptable population for all class (1~4) shelters in Cheoan neighbor(dong). Specifically, for the class-2 shelter coverage in old downtown neighbor (Sungjung-dong, Jungang-dong, Munsung-dong), this study calculated evacuation excluded population and deficient shelter area through GIS buffer analysis. As a result, the old downtown needs 25,546m2 shelter area more that can accommodate 56%(30,657man) of the population.

      • KCI등재후보

        민방위 사태에 대비한 비상생활지원 키트 개발 연구

        김태환,박남희,여욱현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민방위 사태 발발시 준비 방안의 하나로서 비상생활지원 키트를 개발하여 국민의 안전과 안녕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준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민방위대피소에서 짧게는 2시간부터 길게는 6일 정도를 생활하는 것을 감안하면 시설이용자들의 기본적인 생존권을 위해 비상생활지원용 식량 및 기타 물품이 필요하다. 1인당 3일 최소 비상생활지원키트는 개인용 무게는 4.85kg, 국가 및 지자체(정부)는 2.65kg을 분담하게 하고 그 구성은 총 8개 분류 26개 항목으로 식품, 피복, 화생방용품, 방한용품, 개인위생용품, 의약품, 공구, 통신용품 등으로 구성한다.

      • KCI등재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김상균,남현정,신상영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대상으로 생활인구(유동인구)를 측면에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후, 접근성 취약지역에 추가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을 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GIS 네트워크분석 기반의 최적화 모형인 입지배분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배분방법은 일정한 시간 내에 신속한 이동이 중요한 대피시설의 성격에 비추어 ‘Maximize Coverage(수요영역 최대화)’ 방법을 적용하였고, 대피를 위한 한계 거리 및 시간기준은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500m(7.5분), 1,000m(15분), 1,500m(22.5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지역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피와 일시적인 체류를 위한 옥외 대피장소의 기능을 고려하여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월등히 많고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크게 부족한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서울 중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 기준으로 볼 때 접근성이 취약한 집계구 수와 인구 수가 훨씬 많고 비율도 높았으며, 접근성 취약지역에 가용한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에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상지역의 특성상 잠재적인 대피인구 전체의 접근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유동인구로 인해 주·야간 인구 차이가 심한 서울 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생활인구 첨두시간대를 적용하여 실제 대피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불리한 취약지역을 식별하고 신규 대피장소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석유화학단지 내 화학물질 누출사고 발생 시 주민 대피 지원방안 - 충청남도 서산시를 중심으로 -

        조성,고승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1

        이 연구는 석유화학산단의 화학사고 발생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불안 가중과 사고 확산에 대비한주민 대피구역의 확보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부가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 등록평가관련 법률을 개정하여 위해관리계획서 상에 주민 소산 계획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전용대피소 지정은 전무한 실정이다. 화학사고 발생 시 최적의 대피를 위해서는 이동을 최대한 자제하는것이 최선이므로 현재 위치에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적 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피 장소는 현재민방위 시설과 재난대피 시설이 지정되어 있는데, 화학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 시설을 화학전용시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의 특성에 적합한 방재물품을보완하고 차단시설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광역단위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 수립이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사고예방 측정 모니터링을 비롯한 예방관리와 사후 대피지원 및 이동훈련 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 KCI등재

        민방위 사태에 대비한 비상생활지원 키트 개발 연구

        Taehwan Kim,Namhee Park,Wookhyun Ye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민방위 사태 발발시 준비 방안의 하나로서 비상생활지원 키트를 개발하여 국민의 안전과 안녕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준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민방위대피소에서 짧게는 2시간부터 길게는 6일 정도를 생활하는 것을 감안하면 시설이용자들의 기본적인 생존권을 위해 비상생활지원용 식량 및 기타 물품이 필요하다. 1인당 3일 최소 비상생활지원키트는 개인용 무게는 4.85kg, 국가 및 지자체(정부)는 2.65kg을 분담하게 하고 그 구성은 총 8개 분류 26개 항목으로 식품, 피복, 화생방용품, 방한용품, 개인위생용품, 의약품, 공구, 통신용품 등으로 구성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