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 - 동아시아 발전 모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분석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그동안 중국 국내외에서 개혁기 중국 경제발전 방식은 기존 경험과 얼마나 유사하며, 다른가라는 논쟁이 제기되었다.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또 다른 한 형태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2004년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개념이 제기된 후, 새로운 ‘중국 발전모델’의 출현에 관한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발전모델을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발전모델의 적실성 혹은 실체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유사성을 지님과 동시에 동아시아 발전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중국적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모델과의 유사성 및 중국적 특수성이 공존하는 혼합적 발전 방식이 바로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이라 설명했다.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pattern whether it is similar with former development pattern of other countries or not. Some scholars contended that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nother version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Since the concept of "Beijing Consensus" was presented in 2004, however, scholar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new Chinese Development Model.<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he findings are Chinese Development Model has its own particularit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although it has some similarity. Consequently,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 mixed model where Chinese distinctiveness and general aspect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coexist.

      • KCI등재후보

        금융자유화와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전형

        김형기(Hyungkee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금융자유화는 영미형 모델(Anglo-American model)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반면, 금융억압(financial repression)은 동아시아 발전모델(East Asian development model)의 주요한 구성 요소다. 따라서 금융자유화는 동아시아 발전모델에 파괴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금융자유화는 기업 부문에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의 요소들을 도입시켰다. 주주자본주의는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 경영의 주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주주자본주의는 그 원칙들에 내재된 단기주의(short-termism)로 인해서 장기적인 투자를 저해한다. 이 연구는 금융자유화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 발전모델이 어떻게 전형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글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이 영미형 모델의 요소들을 결합한 혼성모델(hybrid model)로 전형되었다고 주장한다. 금융자유화는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수반했다. 그 전형이 낳은 결과는 발전모델의 이행(transition)이라기보다는 하이브리드화(hybridization)였다. Financial liberalization was the most distinctive in the Anglo-American model. By contrast, financial repression was a major ingredient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hus, financial liberalization would be a destructive force for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Financial liberalization introduced the elements of shareholder capitalism into the corporate sector. In shareholder capitalism, maximization of the shareholder becomes a major goal of management. Thus, it depressed long-term investment because of the short-termism inherent in the principles of shareholder capitalism.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has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It is argued that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has transformed into a hybrid model in which the elements of the Anglo-American model were grafted onto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Financial liberalization was followed by labor market flexibilization. The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has been hybridization rather than transition.

      • KCI등재

        근현대 세계경제와 동아시아모델: 캘리포니아학파를 중심으로-

        전홍석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9 韓中關係硏究 Vol.5 No.3

        Since the late 20th century, China and East Asia have been rapidly rising as the sphere of influence to compete with the United States, the country with hegemony, through the repeated economic political expansion. This infinite growth engine deviated from ‘modernism – Western model’ and set the ‘post modernism – East Asian model’ in the Western academic world, serving as a momentum for creating various discourses over it. In the context of modern world economy(world system), this study preveniently reviewed the Western model and Great Divergence developed based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n developing pathways of the East and the West based on the discourse of California Schoo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trace and modernize the postmodern ‘dynamics of the East Asian model’. The modern ‘Western system model’ is a unity-centered system created and expanded to relegate (East) Asia to the subject of the European history standard and to justify ruling power of the West. Thus, it is meaningful that California School attempted to establish a multicentric and interconnected view of the world through studies of the ‘East Asian model’. The revisionism researchers of California School critically recasted the theory of the Industrious Revolution and proto-industrialization based on the Smithian Dynamics, and judged that the economy of China and East Asia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was in the Smithian growth stage, which was much more advanced than Europe. This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developing pathway of East Asian as labor-intensive industrialization’ in the Western academic world. It further leads to phenomenon analysis and future outlook on sudden rise of China and East Asia, suggesting a multilinear and multiple modern(modernism) model’ to abolish the West’s monopoly on the modern(modernism) model. Most of all, it is noteworthy that their studies elevated East Asia as the eco-friendly labor-intensive civilization while they criticized the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and U.S. hegemony. In short, the studies of the revisionism group that aims for convergence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system will be a valuable knowledge foundation to formulate an independent and postmodern ‘East 20세기 후반 이래 중국과 동아시아는 정치경제적 팽창을 거듭하면서 세계헤게모니 국가인 미국을 대체하는 세력권으로 급부상했다. 이러한 무한한 성장활력은 서구학계에서 세계체제 분석상 ‘근대화(modernization)—서구모델’을 이탈해 ‘탈근대화(postmodernization)—동아시아모델’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세계경제(세계체제) 맥락에서 산업혁명을 의제로 전개된 서구모델, 대분기(Great Divergence)론 등을 선행적으로 검토했다. 그런 다음 캘리포니아학파의 담론지형을 중심으로 동서양의 두 발전경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탈근대적 ‘동아시아모델의 동학(the dynamics)’을 추적해 현재화하고자 했다. 근대 ‘서구식 체제모델’은 (동)아시아를 유럽적 역사표준의 타자로 격하시키고 서구의 지배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확장된 단일중심체제다. 따라서 캘리포니아학파(California School)가 ‘동아시아모델’ 연구를 통해 세계보편사로서 다중심의 상호 연결된 세계상을 확립하고자 한 시도는 의미심장하다. 캘리포니아학파의 수정주의 연구자들은 ‘스미스형 동력(the Smithian Dynamics)’을 명제로 근면혁명론, 원공업화론 등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산업혁명 이전 중국과 동아시아의 경제를 유럽보다 더 고도화한 스미스형 성장(the Smithian Growth) 단계에 있었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이것은 서구학계에서 ‘노동집약적(labour-intensive) 산업화로서의 동아시아발전경로’로 집약, 유형화된다. 더불어 오늘날 중국과 동아시아의 급부상이라는 현상분석과 그 미래전망, 곧 근대(성)모델에 대한 서양의 독점을 폐기하려는 다선적ㆍ다중적 근대(성)모델의 제시로까지 이어진다. 무엇보다 근대 산업문명과 미국 헤게모니를 비판하면서 동아시아를 친환경의 노동집약적 대안문명으로 격상시켜 논구한 점들은 특기할만하다. 요컨대 동서양 두 체제의 융합을 지향하는 수정주의 그룹의 연구는 21세기형 주체적이고 탈근대적인 ‘동아시아식 체제모델’을 구상하는 데 유익한 지식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Which Economic Model is more Competitive? The West and the South after the Covid-19 Pandemic

        Vladimir Popov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20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33 No.4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were able to deal with the coronavirus pandemic much better than most Western countries. Both the number of infections and the mortality rate were lower than in Western countries by two orders of magnitude. Besides, economic recession associated with the pandemic is likely to be much deeper in the West than in the South. These developments give new arguments to the views that East Asian economic and social model is more viable than the Western model. This paper argues that East Asian model is superior to the other models in the Global South at least in the catch up development and possibly even in the innovations beyond the technological frontier. The crucial features of the East Asian economic model are relatively low income and wealth inequalities, strong state institutional capacity (as measured by the murder rate and the share of shadow economy), high patriotism and trust in the government institutions. In short, the East Asian model is based on solidarity and priority of collective interests more than on guarantees of individual rights and competition.

      • KCI등재

        동아시아 모델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색

        이윤미(Yoonmi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이 연구는 ‘동아시아모델’이 교육에서도 유형화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동아시아모델은 사회과학에서 주목되어 왔지만 합의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며, 교육분야에서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교육이 하나의 모델로 조명되기 위해서는 국가들의 교육발전경로와 제도에 대한 역사적-구조적 분석이 필요하며, 국외-국내, 교육외-교육내 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했다. 이러한 분석 관점에 기초해서 동아시아국가(사회)의 교육제도 형성과정과 교육체제의 특징을 검토하였고 그 일치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각 국 사례가 보여주는 다양한 일치점들은 동아시아교육이 하나의 모델로 성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사회변화에 따라 기대되는 새로운 요소들(문화적 다양성, 시민사회 성장)에서 나타나는 차이들은 정치적 권위주의 및 경제적 생산주의에 기반하여 성립된 동아시아교육 모델의 변화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so-called “East Asian model” has emerged since the 1980s in social science literature, focusing mainly on the extraordinary economic success of Japan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in societies such as Taiwan, South Korea, Singapore and Hong Kong, or the Four Asian Tigers. China, allegedly, has recently joined the ranks of these societie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practicability of constructing an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which parallels the path of economic development. By employing a research perspective focusing on the historical-structural approach, attention is paid particularly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ix systems. The paper suggests that a construction of an East Asian model of education is possible given the similarities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evolvement of the society and education in each case. Yet, however, some crucial differences appear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and the notions of cultural (or ethnic) homogeneity. These differences are crucial in so far as they may directly challenge some of the fundamental aspects of the East Asian model, possibly leading to the change of the model itself.

      • KCI등재

        서구적 동아시아 복지국가 담론의 한국에 대한 적용 가능성 연구

        나병균 ( Byong Kyun N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서구적 시각에서 제시하는 동아시아 복지국가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복지국가의 구조적, 유형적 특성을 그러한 비판과 비교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동아시아 복지모델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유교주의 복지국가 개념을 가지고는 오늘날의 역동적이고 독특한 동아시아 사회의 성격과 특징을 담아내기 어렵다. 동아시아 국가로서 한국 복지국가(레짐)는 서구 와 북구 복지국가들에 비해 기원, 형성배경, 정책노선 그리고 정책행위자의 차원에서 아주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복지모델 연구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 복지국가(레짐)의 기원과 발전은 권위주의적 발전국가개념과 이론적 준거 틀의 범위 안에서 이해와 설명이 가능하다. 역사적으로 1980년대의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1990년대 말의 금융위기는 한국의 복지정책과 제도 발전에 기여하였다.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복지정책과 제도들은 많은 유사점들을 지니고 있다. 이 국가들 간의 비교연구는 동아시아 복지국가에 대한 새로운 이론 발전에 의미 깊고 유효한 결과들을 가져다주게 될 것이다. 개별 국가들에 대한 사례연구와 복지국가 연구자들 간의 국가 간 상호교류의 활성화는 새 동아시아 복지모델 개발에 매우 중요시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course of East Asian Welfare Models and its applicability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elfare State(regime). The Confucianist Welfare State, representing East Asian Welfare Models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current features and dynamics of east asian welfare states. Compared to the western and northern european welfare states, the Welfare State(Regime) of Korea, one of the east asian countries show the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its origin, the background of formulation, the orientation of the policy and the actors. Thus, a new approach to examine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is need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origin and the growth of the Korean Welfare State(Regime) can be understood and explained in the boundary of concept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uthoritative Developmental State; Historically, the democratization of the 1980s and the financial crisis of the end of 1990s in Korea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welfare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Korea. Japan, Taiwan and other east asian counties, such as Hong Kong and Singapore have many similarities with Korea in terms of welfare policies and institutions. Comparative studies of these countries can create significant and useful results to develop a new concept and model of East Asian Welfare States. Case studies and active academic exchanges among welfare state researchers in these east asian countries are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East Asian Welfare State Models.

      • KCI등재

        ‘한국형 개발모형`이 필요한가?

        정연승 ( Yeon Seung Chung ) 한국경제학회 2016 한국경제포럼 Vol.9 No.3

        한국은 국제개발협력을 하면서 한국의 개발 경험을 독자적으로 전수하려고 한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한국의 개발 경험을 ‘동아시아 개발 모형`의 일부로 전수한다. 일본을 위시한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 중국의 경제 개발 방식들 간에는 공통점이 많지만, 다른 점들도 있다. 이 논문에서 ‘동아시아 개발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한국의 개발 경험을 찾고자 한다. 한국은 민간대기업을 앞세워 산업화를 이룩하였는데, 민간대기업이 기업가적인 역량을 축적하여 기계, 전자, 화학 등 기술산업에서 선진국기업과 대등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점에서 한국은 다른 동아시아 경제와 다르다. 한국의 개발 경험을 온전히 전수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어떻게 민간대기업 주도로 개발을 하였고 어떻게 민간대기업이 기업가적인 기업이 되었는가를 이해하여야 한다. 17세기 후반 이래 소농사회 형성, 식민지기 공업화, 한반도에서 냉전의 국제정치적역학과 한국 정부의 수출촉진, 중화학공업화, 대기업 간의 경쟁 유도, 연구와 개발로 유인 정책 등이 민간대기업의 출현과 성장, 기업가적인 기업으로 변신에 중요하였다. Korea has tried to transfer the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s to developing countries. But internationally the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s ar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East Asian Model of Developmen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the development experiences among Japan, Korea, Taiwan, Singapore and China. It seems that Korea claims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Model of Development` without clearly establishing differences with the other East Asian developing economies. This paper offers a difference of ‘the Korean Model of Development`. Korea is unique among the East Asian developing economies in having several large private business groups which can compete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on equal terms in the technology industries like the machine, electronics and chemical industry.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heritage of the small-farm society since the second half of 17th century, the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cold war environment after World War II, the Korean government policies of export driving, heavy chemical industrialization, R & D inducement and encouraging competition among large firms made Korea`s large private firms start new industries continuously and become entrepreneurial. The fact that th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foster large private entrepreneurial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y could be a point differentiating ‘the Korean Model of Development` from ‘the East Asian Model of Development`.

      • KCI등재

        동아시아 복지국가 모형 연구동향

        현외성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1 공공정책연구 Vol.28 No.2

        동아시아 국가의 복지국가 모형 연구는 이론적 실천적인 측면에서 서구 사회복지정책의 비교연구 혹은 복지국가의 비교연구에서 1980년대 이후 관심이 증대되어왔다. 특히 에스핑 앤더슨의 복지국가레짐연구 이후 동아시아 복지국가모형연구는 가속화되었는데, 과연 서구와는 차이점이 무엇인가 혹은 유사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대표적인 연구동향을 본 논문에서는 유교주의 복지국가, 발전주의 혹은 생산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복지국가 레짐유형에 따른 복지국가로 구분하여 각각의 연구동향과 그 비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향후 동아시아 복지국가 모형연구와 연관한 쟁점과 과제를 몇 가지로 요약하였다. 국가별 복지국가 발달차이, 자료축적과 비교연구방법의 문제, 유형론의 한계, 국가간 비교연구 교류의 진작 등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190년대와 2000년데 들어와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면서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동아시아의 복지국가 모형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big concern on the welfare state model of East Asian countries has been increased in western comparative social welfare policy or comparative welfare state of the academic world since the 1980s. Especially after Esping-Andersen's welfare state regime study, the research of the welfare state model of East Asian states were speeded up. 'What i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East Asian states between traditional west welfare states' was the great important point of every studies in comparative social welfare policy and welfare state. In this paper three the research categories on the welfare state model of east asian countries were presented : Confucian welfare state model, development or productive welfare state model, and welfare state regime model. A few important issues of the future in comparative social welfare policy or comparative welfare state of the academic world were also proposed. Those were as follows ; welfare state developmental difference of each East Asian country, the problems of comparative study method and data accumulation, limitation of typology study, stimulation of comparative study among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한국발전모델」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백종국(Jong Gook Back)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1

        전후 제3세계 국가 중 유일하게 급속한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모델로 간주되는「한국발전모델」에 대한 토론은 한국인들을 위하여 또한 한국의 경험에서 교훈을 얻으려는 여타 제3세계 국가들을 위하여 유익하다. 그러나 관련 개념들의 역사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한국모델의 강조는 정치적 구호에 그치기 쉽다. 이 논문은 한국모델의 정립을 위한 목적으로 정치학계에서 제출되었던 한국모델의 역사를 개발경제학의 도입, 종속국가론의 확산, 그리고 외환위기 하의 동아시아 모델론 논쟁의 순서에 따라 비판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복지와 공동체의 개념을 중심으로 수렴되고 있는 최근의 토착적 모델에 관한 학술적 노력들을 소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공동체적 경로를 통해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이 한국모델의 경로의존성에 부합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The debate on the Korean model of development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future of Korean people but also for the Third World countries who want to get some lessons from this unique case in which rapi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were possible simultaneously. However, without systemic understanding of major concepts and logics, the emphasis on the Korean model would result in a political slogan.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Korean models of political science in Korea according to thehistorical debates of developmental economics, dependency theory, and the East Asian model in the era of financial crisis. It also provides a discussion on a tendency of convergence on welfare and community in current discussions of the Korean models. It argues that increasing welfare through the communitarian ways is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path-dependence of the Korean model.

      • KCI등재후보

        The East Asian Model: Restatement

        Jene-K. Kwon 한국비교경제학회 2004 비교경제연구 Vol.11 No.1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helps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East Asia. This study posits that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is the foundation of the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The policy-augmented‐human capital is the human capital with a road map for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model the ability to formulate and execute effective economic policy is treated as a part of human capital. A country is poor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human capital or the absence of coherent road map, or due to misleading road map. The East Asian economies were successful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human capital guided by an effective road map. Once this key proposition is accepted, other propositions fall into place: that is, industrialization can be viewed as a process of portfolio diversification strategy in which the size and composition of diverse productive industries is a function of the level of human capital. And, over time, changing size and composition of a country’s portfolio of productive industries are not entirely spontaneous but an intended outcome of industrial policy.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a prosperous economy has a better chance of achieving democracy than the other way around, but human capital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successful industrial policy. In other words,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in promoting the efficiency of market coordination cannot be taken for g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