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통합교육과정 개발

        강복수(Pock Soo Kang) 한국의학교육학회 1996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8 No.1

        The term curriculum refers of a series of planned activities which are intended to bring about specific learning outcomes in the students. Subject-centred curriculum, integrated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roblem-oriented curriculum are employed in medical schools. Among them, the subject-centred curriculum is the most widespread model for medical education. When the subject-centred curriculum is discussed, large doses of scientific fact ad theory and isolated fragme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with instruction, are provided through discrete courses and independent medical disciplines that cover such classical subjects as anatomy, physiology,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The emphasis is on learning the disciplines rather than their application to the practice of medicine. Faculty and students began to question the relevance of content and meaningful learning. As knowledge grew, it became impossible for the body of medical knowledge to be contained within one discipline. These factors led to a demand for the integrated medical curriculum. Integration is the combining of different parts to from a whole, which is meaningful. To integrate is to make whole or complete by the organization and bringing together of separate parts.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rm integration usually relates to the organization and teaching of subject matter in the form of horizontal integration or vertical integration in order to achieve meaningful and relevant experiences for the learner. The integrated curriculum attempts to fuse independent disciplines into a more unified whole.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novative curriculum such as integrated curriculum or problem-oriented curriculum should be adopted to renovate the existing conventional discipline-based curriculum in established medical schools.

      • KCI등재

        미술과 교육에서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 통합, 그 논의와 실제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7

        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면서 그 당위성이 소리 높여 주장된다. 그러나 정말 교육적 가치가 있도록 통합 내용이 조직되어 실행되고 있는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 1, 2학년의 ‘즐거운 생활’ 통합이나, 고학년 교육과정 통합으로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주제 중심 통합, 혹은 프로젝트 학습의 사례를 보면 미술과 교육 내용은 미술과의 주요 학습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타 교과의 학습을 도와주는 보조적, 혹은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다른 교과의 학습 내용은 미술 표현 활동의 제재나 주제와 관련하여 발상의 내용을 좀 더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에 많은 부분 한정된다. 더 극단적인 경우에는 미술과 학습 내용은 주요 교과의 통합에 삽입되어 딱딱한 학습에 지루함을 덜어주는 역할에 머물기도 한다. 이렇게 교육과정 통합에서 미술과의 주요 개념이나 내용은 배제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이 연구되어야 한다. Numerous studies on curriculum integration have centered on the theme or the topic. In large part of such cases the art education contents are limited to the secondary and instrumental role for the learning of the other disciplines, and the contents of the other disciplines are simply expected to enrich the subject of art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important concepts and principles, or the key ideas in Art Education, and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t disciplines. This type of curriculum integration can be classified as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as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is necessity and to explore the instruction example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no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its type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Next,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s pos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argue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discipline in Art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struction examples in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painting and design, and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the different disciplines including a korean folk art work; Art Education, Langage art, Social studie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김주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ncept of integration as a organizational principle for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degree of integr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e level of integration in a separate content area was high only in Literature among the six areas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integr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was relatively high than any other pairs of areas that showed remarkably low level of inter-integ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limitation to consider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Low level of curriculum integration debases learning efficiency and draws language education toward low-level of knowledge or drill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a way to strengthen the curriculum integration :1) There is a strong need to apply the concept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in developing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2) The aims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refined and specified throughout grade levels. 3)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with various specialties should participate not only developing but also cross-checking curriculum contents of each area in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조직 원리로서 통합성의 개념을 활용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정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영역 내 통합성은 문학 영역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영역은 모두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 간 통합성은 읽기와 쓰기 영역의 통합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고 다른 영역 간의 통합성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과정에서 통합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교육 내용의 통합성이 떨어지게 되면 학습의 효율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언어 학습이 단편적인 지식이나 기능 학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편성에서 교육 내용의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 교과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학년별로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영역별 전문가에 의존한 교육과정 개발을 지양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이 논문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를 통합교육과정 이론의 역사적 변천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이 “미분화된 학습자의 심신 발달에 맞는 교육과정”이라는 주장과 “생활 중심이 가정에서 학교로 옮겨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교육 내용을 생활과 경험 중심으로 배열하는 교육과정”이라는 의미가 타당한 것인가를 현대 학습과학 이론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진보주의 시대에 사용된 생활주제 중심의 중핵교육과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점은 우리나라에서는 통합교과가 형식적 교과의 지위를 가지며, 국가가 각 통합교과의 생활주제를 결정하고,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체제이었고, 진보주의 시대에는 교사가 학생의 생활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체제이었다. 학습과학 연구들은 학생들의 인식의 통합이나 경험의 통합에 교과의 역할이 크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교과의 구조를 중시하면서, 교과내, 교과간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활용을 고무하고, 아는 지식을 가지고 유연하게 사고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해’를 목표로 하는 초학문적(meta-disciplinary) 교육과정 접근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기존의 통합교과들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군으로 재편이 가능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thesis analyzed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ppear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earched for the directions of the better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irst,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s "integration of experiences" and "integration of knowing" was analyzed and discussed by studying the experimental research performed in the field of the science of learning which included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brain science, etc.). Expertise and expert knowledge, learning and transfer, child's early learning and brain research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inally,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study of the validity of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 few directions of the revis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status and values of the existing subject matters categorized as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 Drake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경진,노일순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으로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의 대표적인 모형인 Drak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온타리오 주의 사례는 학교 교육과정 내에 ‘큰 아이디어(Big Idea)’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선택된 전공과정의 심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과의 통합시도, 미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합 적용 등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교과과정 내에서 또는 개인별 심화연구까지 통합을 통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Drake 모형에 기반한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온타리오 주의 ‘정보학 개론’ 과목을 국내 과학영재학교의 유사과목인 ‘정보과학’ 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Drake 모형의 탐색 망, KDB 우산, 최종 과제 만들기 단계를 차별화하면 과학영재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과목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재들이 학습해야 할 학습 목표, 이해를 보여줄 평가계획, 타학문 또는 실세계 문제와의 통합 경험제공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perspective. To this end, the study analysed the Ontario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based on a Drake’s Integration Model which is typical model of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to Science Gifted Academy in Korea. Through showing the possibility of enrichment on the selected majors, integ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nd solving the future problems by the integrated curriculum centered on ‘Big Idea’, the Ontario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gave suggestions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in or through individual research and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The application of the Ontario's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tudies" to “Information Science” in Science Gifted Academy in Korea could be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the Drake’s Integration model is applied to the Gifted by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navigation network, KDB(Knowledge-Do-Be) umbrella, and the final interdisciplinary task. From this result, we could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should be considered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for the Gifted, the plan of evaluation to demonstrate big understanding and big idea, the integ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or real-world problem, as well as the need of teachers council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based on the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be utilized in Science Gifted Academy.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 통합운영에서의 난점과 해결과정에 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김성수 ( Kim Sungsu ),이형빈 ( Lee Hyoungb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교육과정 통합운영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이라는 교육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초등학교와는 달리 중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통합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교과 중심의 분절적 교육과정이 중등학교의 오랜 관행으로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통합운영에서의 난점과 해결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내부 연구자와 외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중학교 교사들은 대체로 교육과정 통합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 간 협력이 부재한 학교문화, 교육과정 운영을 일회성 행사로 인식하는 경향, 진도 나가기 식 수업의 관행, 학생 서열화 중심의 평가관 등으로 인해 1차 실행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성찰한 후 2차 시행에서는 교과 간 협의의 강화, 다양한 주제 중심의 상시적 운영, 학생 중심의 수업 방식 도입, 수행평가 활성화 등 평가방식의 변화 등을 통해 보다 성공적으로 교육과정 통합운영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중학교에서 교육과정 통합운영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학교구성원들의 인식의 변화,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형성, 교육과정 통합의 일상적 운영, 수업 및 평가 방식의 변화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curriculum integration is necessary for students` whole growth. Unli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unfamiliar with a curriculum integration. It is because middle school teachers are familiar with the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is study performs the action research with outer researcher and inner researcher on the difficulty and solu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The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But there were many difficulty in the first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because of non-cooperative culture, curriculum integration as one-time event, textbook-centered teaching, measurement for laking students. After reflection in action, the second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It is because of the cooperation between subjects, the ordinary implementation of various theme-centered curriculum,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activ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eacher`s recognition, make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mplement the curriculum integration steadily, innovate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 the succes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와 가치

        진영석 ( Young Seok J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3

        교육과정 통합은 적어도 인식론적 측면과 윤리학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검토될 수있다. 전자의 측면에서 보면, 엄밀한 의미의 교육과정 통합은, 허스트의 논의에 잘 나타나 있듯이, 인식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허스트가 그의 논의에서 형이상학적 실재를 배제한 데에서 초래된 결과이다. 성리학에서처럼 그것을 인정한다면, 교육과정 통합은 경험적 수준에서는 성립할 수 없지만, 형이상학적 수준에서는 문자 그대로의 엄밀한 의미로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다. 후자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과정 통합이 지향하는 가치는, 듀이의 논의에 잘 나타나 있듯이, 흔히 실제적 문제해결에 의하여 규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규정에서는 교육 본래의 가치에 해당하는 ``훌륭한 사람``이 충분히 존중되지 않는다. 성리학에서 말하는 ``교과공부를 통한 심성함양``은 그 점을 교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에는 두측면에서의 올바른 설명이 불가분의 관련을 맺으면서 한꺼번에 들어 있다. 교육과정 통합의 기원이 듀이의 이론에 있다면,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은 그 좋은 대안이 된다고 보아야 한다. Curriculum integration requires a close examination from at least two aspects. One is the epistemological aspect, and the other is the ethical one. From the former aspect, it seems that curriculum integration, understood in its strict sense, is a something unintelligible, as is undoubtedly suggested in Hirst`s thesis concerning the forms of knowledge. However, it is made intelligible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While Hirst rejects the metaphysical reality and inevitably leads to the thesis of the irreduciblility of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offers the view that the unity of all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Mind-Heart, that is, ``the unmanifested or primordial mind``, which is cultivated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From the latter aspect, curriculum integration is often valued by its practical utility in everyday life, as is evident from Dewey`s theory of curriculum. In this view, knowledge is not valued for its own sake and little attention is paid to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However,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clearly shows that the pursuit of knowledge leads us to the sagehood which might be said to be the proper state of educated person. In brief, the explanations of curriculum integration from the two aspects find their true forms in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and in it they constitute an integrated whole. And if the idea of curriculum integration originates from Dewey`s theory of curriculum,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could be said to present a viable alternative to it.

      • KCI등재

        중국 초등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융합수업 모형 분석

        Jiuxiang Li,김선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최근 중국 기초교육 개혁의 주된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실행을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융합교육과정 정책 자료와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 관련 문건, 그리고 중국학자들의 초등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최근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중국 융합교육과정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융합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융합수업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지역 교육청과 학교 수준의 융합수업 모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2001년 교육과정 개혁을 통해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되었으며, 이를 기본 바탕으로 이후 개정과 보완을 통해 실질적인 운영과 실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심화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였다. 2014년 개정교육과정 이후에는 핵심역량을 구심점으로 하는 주제 중심 융합교육과정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과목 지식의 학제 간 연결을 넘어서 생활과 교수방법 측면에서의 총체적인 통합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융합수업을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스포츠, 노동, 과학기술 영역을 융합교육과정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초등교육에서는 융합교육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융합수업 설계를 위한 수업모형을 활발히 연구하려는 추세에 있지만, 아직은 대체로 실험단계에 놓여 있으며, 향후 각 지역의 학교 단위로 점차 박차를 가하여 다양한 지역에 균형 있는 확산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it which has recently become a critical issue in Chinese educational reform. It focuses on Chinese educational reform polic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2000 to present, as well as the model develo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provided by region and school levels in China. For this inquiry, materials such as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0 and school districts in China were thoroughly reviewed. Also, it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work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models of it produced mainly by Chinese scholars. China introduc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reform in 2001. After that, it had been expended in depth to enable opera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in 2014, Key-skills and subject-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became central points on curriculum issues. It was noticed that the Chinese curriculum emphasized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learning process beyond the simpl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of subject knowledge. It is found that school subjects such as Sports, IT & science, and labor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among school subject matters than previous curriculum. In order to help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 schools or pilot schools were selected and being tried to study activel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but it is yet at the beginning, and the balanced spread toward each local school unit is expected to accelerate.

      •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저해 요인

        김재복 ( Jai Bo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에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발전과 현장 적용에 크게 기여할 `통합교육과정학회`의 창립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지식의 구조와 통합, 교과의 연결과 통합적 지도, 지식의 넓이와 깊이, 내용의 발전적 배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상별로 연구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그것이 적용될 때에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교과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 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측면에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및 과제와 저해 요인에 대한 해소 방안이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is made in the academia. This induces uncertainty an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affecting schools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major focus of this paper is devoted to an examination of issues to be considered in putting curriculum integration into effect. Four issues are addressed for the future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1) the rela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and curriculum integration, (2) the practical models of integrating the content of school subjects, (3) the ways of expanding and deepening knowledge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narrowly defined knowledge within a specific subject, (4) reorganizing and restructuring knowledge from separate subjects into curriculum organization considering its sequence and structure. Finally, practical problems in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are posed such as: teacher recruitment and identity, discipline-based subject, subject statues and histories, assessment structures, and etc. This paper provides some ideas to resolve those problems.

      • KCI등재

        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

        김해경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7 No.-

        A study to revise ‘Jeulgaeun Saengwhal’ was conducted to prepare 2009 curriculum revision. Jeulgaeun Saengwhal is an integrated subject of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tract elements of physical education from Jeulgaeun Saengwhal and to include the extracted elements in the newly-established subject, Physical Education. Since the new name to replace Jeulgaeun Saengwhal is under search, it is named temporarily as Integrated Subject B. The result of study was not reflected on 2009 curriculum revision. However, as there has been criticism against the revision of curriculum without profound study and discussion, to study the proposal of Integrated Subject B will be helpful to prepare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in advance. In this study, curricula of art related subjects in the United States, Japan, England, France, Germany, Finland are analyzed to compare with the proposal of Integrated Subject B. By comparing the curricula of the other countries with the proposal of Integrated Subject B, the problems and the way to improve of Integrated Subject B are discussed. Generally, the proposal of Integrated Subject B is presented in detail, specially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comparing with the curricula of the other countries. Because a detailed curriculum may limit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it is needed to be studied about the optimum level of particulars. And,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to maintain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extracting physical education from Jeulgaeun Saengwhal, Integrated Subject B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Jeulgaeun Saengwhal, such as play-centered and active. Also,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is more limited than Jeulgaeun Saengwhal. Rather than keeping the superficial format of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 B can be separated into art and music to provide the solid foundation of the subjects for later learning.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위해 즐거운 생활과 개정 관련 연구가 이루어졌다. 즐거운 생활과는 통상적으로 음악, 미술, 체육과의 통합 교과로 여겨져 왔는데 이 중 체육과적 요소들을 분리해 내는 것이 개정 시안의 주요 내용이었으며 교과명이 미정이므로 통합 교과 B라고 부르게 되었다. 통합 교과 B는 2009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되지는 않았으나 교육과정 개정이 심도 깊은 연구와 논의 없이 이루어진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던 만큼 다음 교육과정 개정을 미리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통합 교과 B의 시안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미술과에 해당하는 여러 나라의 1, 2학년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통합 교과 B 개정 시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