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강승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0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 연구물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수행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의 연구 영역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어교육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7,681편을 연구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동향, 연도별 연구 동향, 주제별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크게 ‘한국어교육 일반’, ‘한국어교육 내용’, ‘교수학습’ 등 세 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한국어교육 일반’은 여섯 가지 하위 주제로 ‘한국어교육 내용’은 아홉 가지 하위 주제로 ‘교수학습’은 열 가지 하위 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2000년 이후 새로이 등장한 하위 주제 등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losely tied to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Korean as a language.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carried thus far, academic domains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could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isting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year 2000 to present and to parse their findings into discrete academic domains categorically. These academic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a study of 7,68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ategorizing each text according to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yearly trends. The following four domai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is comprised of 6 sub-research topics, whereas Korean Education Content is comprised of 9 sub-research topics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comprised of 10 sub-research topics. Overall, it is evident that a variety of research domains have emerged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2000.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문학제재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박숙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that appear during the utiliza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in edu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ir solutions. Even though edu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a sub-sector that may be grafted onto Korean culture in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the Korean culture class is only sought in an ordinary and experiential way in actual Korean education. Also in case of utilizing the ‘literary’ materials for an actual Korean culture class, those materials are merely used for a class dedicated to improve linguistic proficiency; therefore, it is still a problem to conduct research into in order to offer a proper Korean culture class. In this paper, problems that would appear during the utilization of literary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nd their solutions were sought. First, the problems included the following: even in case of using literary works, the class was still designed as “linguistic proficiency”-oriented, and “literary works” that are recognized as “canon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were borrowed without any modification. This paper proposed an “approach to Korean culture from a storytelling perspective” as one solution. This method is focused not on the canon-oriented Korean culture class, but on the pursuit of the mean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specific situations. Accordingly, this method approach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through a semantic context without focusing on vocabulary and grammar. In particular, this paper intended to approach “Korean culture” with a storytelling method by utilizing Korean novels as a text, and this enables an easier approach.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작품을 활용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문화와 상생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분과학문임에도,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는 언어적, 수단적 방식으로만 모색· 활용되고 있다. 가장 주요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은 문학제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여전히 ‘언어능력’ 중심의 수업이 설계되고 있다는 점이며 그 다음으로 국어교육에서 ‘정전’으로 인정하고 있는 ‘문학작품’을 한국어교육에서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이 분명 다른 분과학문임에도 한국어교육에서 국어교육의 ‘정전’을 그대로 수용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한국어수업에서 ‘스토리텔링적 접근’을 대안으로 제시해 보았다. 스토리텔링의 방법이란 개별 어휘나 문법에 의존하는 독해가 아니라 의미맥락을 추론하며 독해하는 방식으로 한국문화를 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이를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로 한국 소설을 활용함으로써 ‘한국문화’ 교육을 사회역사적 의미와 복합적인 일상문화로 접근하고자 했다.

      • KCI등재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유홍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1

        Discussion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imated. Though, lots of researchers active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ttach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various. Generally, those are mainly how to use literature for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Most discussions about those are focused on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Now, the students who wants to learn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increasing. Specially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e Korean department at oversea's universiti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Koreanology in the future. Therefore, there is a enough reason to include the discussion about oversea's Korean department 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hope to active discussion about various literature teaching method of oversea's Korean department, this article try to show the course of Korean literature, which the writer did at ELTE University of Hungary.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문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동의하는 편이지만, 문학교육을 한국어교육과 연관지어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더욱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문학작품을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국내의 언어연수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미래의 한국학 전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한국어교육의 범위 안으로 적극 포함해서 논의를 진행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헝가리 엘테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 필자가 담당했던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를 보임으로써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면 한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는 현지의 실정에 맞추어 문학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경우도 강의 언어보다는 강의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두어 광의의 한국어교육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해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문학 강의의 의의를 문화교육과 문학을 위한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아보았다.

      • KCI등재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허세립,이인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7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China and Korea, many Korean enterprises enter China. And the ‘hallyu(Korean wave)’ is very popular in China recently. In terms of these, there has been a remark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o the author's knowledge, about 252 universities of China have Korean major. Lots of studies have discussed about the Korean education. As the time went by,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not able to reflect the status quo of Korean education accurately because of the limited information. This paper is about researching the issues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first part is about the distribution of Korean major and the prospects of the expansion of Korean major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design, the problems of curriculum design and its solutions. The last part discusses the distribution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s and their present study trend. There are some problems caused by unconventional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China. However, some significant progresses have been made in this area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void holding simple views of problems and approving the achievement had been made. Also building up a positive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is important. 중한 수교와 한국기업의 대거 중국 진출, 한류 열풍 등의 영향으로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해왔다. 필자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 중국 내 252개 대학에 4년제 혹은 3년제의 한국어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연구논문들이 중국대학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논의해 왔지만 기존에 발표된 통계수치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와 필자의 통계를 바탕으로, 첫째, 현재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분포 현황과 한국어학과의 양적 확장에 대한 소견. 둘째, 현재 중국대학 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 현황과 교과목 배정에 존재하는 문제점. 셋째, 중국대학의 한국학 관련 연구기관의 분포 현황과 연구 동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그간의 ‘과속’ 성장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거둔 성과 또한 충분히 인정해야 할 부분이기에 긍정적인 안목과 자세로 현존하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전망- 山東省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우영란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3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of Korean education in China 1992년 중한수교를 계기로 시작된 중국 내 한국어교육은 현재 산둥반도를 중심으로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한국어 학과가 이처럼 빠른 속도로 성장, 확대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바로 한국과의 경제, 문화교류가 날로 활발해 지면서 한국어인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이로 인해 한국어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 기타 전공 졸업생들이 보편적으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학과는 일차적 취업률이 거의 100%에 달하고 있다. 초기 각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모집지역은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0년부터 전국 범위에서 학생을 모집하게 되었으며 주요하게 한국기업체의 진출이 활발하거나 한국관광객의 내왕이 빈번한 지역의 학생들이 한국어학과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어학과의 교과목은 대학마다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모두 한국의 언어, 정치, 경제, 문화에 관련되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한국어학과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는 基礎韓國語, 高級韓國語를 제외한 기타 교과목은 현재 교재가 규범화되지 못한 상황이며 교재의 편찬문제가 급선무로 되고 있다. 중국 및 산동지역의 한국어교육은 이미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적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우선 맹목적인 학과 증설과 학생모집수의 증가가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한국어학과의 가장 큰 우세라고 인정되고 있는 취업문제도 졸업생들의 취업의 질과 취업만족도가 다른 학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일차적 취업이 100%라는 표면적인 상황에 도취되어 있을 상황이 아니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으로부터 보아 앞으로 몇 년간 한국어학과의 증설과 학생모집수의 증가는 지속될 것이다. 한국어학과는 자체의 경쟁력을 키워 교수 및 연구에서 다른 대학의 한국어학과 및 다른 외국어학과와의 경쟁에서 우세를 차지해야 하며 단순한 언어교육에서 벗어나 전문화한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또한 중국의 한국어학과들은 점차 한국학교육과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단순한 언어교육의 차원에서 벗어나 보다 높은 수준의 한국학 인재를 배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대학원교육이 보편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배도용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곧 어휘 내용 요소의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교육 어휘의 지식 영역을 이전의 언어학적 혹은 국어학적 연구 성과를 다소 그대로 옮겨온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과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이전의 언어학 혹은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정 이나 해석하지 않은 채 한국어교육에 응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교육 어휘(pedagogical vocabulary)의 측면에서 접근이었다. 그런 측면을 반영 하여 한국어교육 어휘의 내용 요소는 형식(구어/문어/단어 구성), 의미(형태와 의미/개념과 지시대상/연상 관계), 사용(문법적 기능/연어 관계/ 사용제약)의 영역에서 설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discussion about what to teach in the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setting of vocabulary content elements. This was an approach in terms of pedagogical vocabulary in that it could not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out modification or interpretation of previous linguistic or linguistic research results in Korean language vocabulary. Reflecting that aspect, the content el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as a foreign language could be established in the areas of Form (spoken/written/word parts), Meaning (form and meaning/concept and reference/associations), and Use (grammatical functions/collocations/constraints on use).

      • KCI등재후보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