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박희경 ( Hee Kyung Park ),최진영 ( Jin Young Choi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개선 방향 논의

        조상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plored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and compared the approaches to cross-curricular learning of major nations and Korea. Through this, the researcher presents specific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in Korea, whi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ross-curricular learning can be understood as a new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chooling, 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ncompasses various subjects through cross-disciplinary approaches, and as contextual curriculum contents that encompasses meaningful themes for sustainable lives of students. Next, approaches of major nations to cross-curricular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 guidelines are minimized and essential information for schools are systematically supported and guided. Second, major countries emphasize empowerment of locals and schools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hird, major nations have a small number of national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Finland, in particular, doesn't have. Finally, th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Second, cross-curricular learning is not only new curriculum contents but also new methods of instruction. Third, teacher’s curriculum authority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And fourth,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clearly defined at the level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ssential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이 연구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탐색하고 외국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비교한 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범교과 학습이란 첫째, 기존 분과적 접근의 학교 교육의 한계를 범교과적 접근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서 둘째, 다양한 교과 및 영역을 넘나들고 가로지르며 폭넓게 관련지어 이들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 방법이자 셋째,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이자 시민으로서 학생이 지속가능한 바람직한 삶을 맥락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주제를 포괄하는 교육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탐색한 각 나라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은 첫째, 국가수준에서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주제와 관련한 지침은 최소화하는 대신 단위 학교의 범교과 학습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지원 및 안내하고 있었다. 둘째, 각 나라들은 범교과 학습과 관련하여 각 나라 특유의 방식으로 지역 및 학교의 자율적 계획 및 실행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숫자가 그렇게 많지 않았고 특히 핀란드는 국가 수준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의 구체적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교육에 대한 국가ㆍ사회적 요구가 곧 범교과 학습 주제가 되는 관행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둘째, 새로운 교육 내용이자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서 범교과 학습의 의의와 가치를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범교과 학습 주제(교육 내용)와 교육 방법에 대한 단위학교 및 교사의 결정권과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넷째, 국가 수준에서 범교과 학습을 명확히 규정하고 그 계획 및 실행과 관련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 도덕과와의 연계를 통한 범교과 학습주제 현장적용 방안 연구

        박영주 ( Park Yeong-joo ),노희정 ( Noh Hui-jeong ),정원영 ( Jeong Wan-y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5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초등 도덕교과와 연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ㆍ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는 범교과 학습 주제를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공식적인 명칭으로 도입되고 통용되고 있는 개념이 범교과 학습 주제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범교과 학습 주제들의 의미 규정이나 구조화는 미흡한 실정이고 운영 프로그램조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의무 시수를 이수하는 차원에서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교과 학습 주제의 융합적 연계 운영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범교과 학습 주제가 대부분 도덕교과 내용에 부합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범교과 학습 주제와 초등 도덕교과 내용의 연계 모델로서 도덕과 중심 연계 모델과 도덕과 매개 모델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program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s by linki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elementary moral subject. In the curriculum organized around the revised curriculum, it is not easy to deal with the cross-curricular themes. Therefore, the concept of them being introduced and used as the official name in the 7th curriculum is conditioned by these cross-curricular themes. However, until now, the definition and structure of meanings of the cross-curricular themes are insufficient and even the operation program is only operated formally in order to complete the hours required by the curriculum. In this regard, this paper seeks to find a way to manage the convergence of cross-curricular them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of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school correspond to the contents of moral subjects, we propose a model of convergence link between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moral subjects.

      • KCI등재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박창언 ( Chang Un Park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해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에 대한 문제와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한 범교과 학습 주제와 수업 시수는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직접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고,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왜곡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왜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지 밝히기 위해 첫째, 교육의 자주성 원리를 토대로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 현황을 국가, 지역, 학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에 기초하여 법령, 국가 정책, 국가 교육과정, 교육청과 단위학교 및 질 관리 체제와 관련된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첫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를 법령 차원에서 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항을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교육관계법에 명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 정책 차원에서 관련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부 내에 전문 인력과 조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차원에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성격을 정립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해야 하고, 국가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에 범 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자율성 확립을 위해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청 지침에 이들 사항에 대한 학습내용, 시수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최소한의 규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 급별로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로 제시되는 이러한 사항은 학교평가와 교육과정평가 등을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과 개선 노력을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outlined by legislation and government policy which directly affect the school curriculum. They become a part of a school curriculum without the national curriculum governed by「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and「Enforce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this way they give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earning of students and distor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fir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rectly in the school curriculum are studied. Second, the demanding hours and different kinds of theme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ird, the issues and challenges are discussed in terms of legislation, government policy,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s. The suggestions are in the following. First, setting up an adjustment office or organiz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establishment of law and securing education experts to adjust the conflicts amo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third, a way to deal with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urth, including minimum provisions and guidance about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curriculum, and fifth, the continuous feedback and improvement efforts through curriculum evaluation are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한계 논의

        왕관은 ( Guan En Wang ),박창언 ( Changu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운영상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범교과 학습주제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 것이다. 이들 논의를 위해 우선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배경과 관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다음으로 범 교과학습 주제의 적용 경로로 법령과 국가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국가 교육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당화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성격을 명료히 하고,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고 하더라도, 법률 규정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사항은 교육현장 운영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래서 교육에서 국가의 통제와 단위학교의 자율의 갈등이 문제가 아니라, 입법부의 통제와 단위학교의 자율에 대한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mitations of cross-curricular themes. For this end, first, background and viewpoint of cross-curricular in national curriculum and legislation to be implemented at schools is discussed. The nature of cross-curricular is uncertain and its status is subordinated to subject area. Second,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outlined by legislation and government policy to be implemented at schools are discussed. The decision process of cross-curricular is two: legislation and government policy, national curriculum. Thir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 for integration curriculum of cross-curricular themes is discussed. Disputed questions are the nature and ground of cross-curricular, system of document forms, and instructional method and curriculum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quire coordination between legislative control and autonomy of school.

      • KCI등재

        범교과 학습에 대한 교육 전문가 및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미숙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vitaliz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professional opinions of 20 educational specialists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Educational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were principals at elementary schools and a high school, vice-principals at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professors majoring in curriculum studies and subject-matter education, etc. A survey of 622 teachers at 311 schools was performed and analyzed thoroughly. The numbers of cross-curricular themes have increased consistently up to 38 item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guidelines of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on the basis of fundamental discussions of the inclusive values and necessities of each learner rather than the reflections of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I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hat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prior neces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career education, sex education, safety education, etc. in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the autonomy of teachers to construct their own plan of instru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teach cross-curricular themes across related subject matter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범교과 학습의 쟁점 및 문제점,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해 교육 전문가들과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다 내실 있는 범교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변화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확보하였고 초 · 중등학교 교사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일반화 가능한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내용은 현재의 내용보다 포괄성 있는 학습 내용 중심으로 정련되어야 한다. 여러 교과 영역을 가로지르면서 주제를 전개할 것을 본질적 특성으로 하는 범교과 학습이 보다 의미 있게 실천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범교과 학습 내용 중 지나치게 세부적인 내용은 보다 포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 내용에 통합시키거나 교과 교육 내용에 포함시키는 방안 등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하는 범교과 학습 내용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내용인가’라는 물음에 비추어 정련되어야 한다. 전국의 초 · 중등학교 교사 대상으로 범교과 학습 내용의 교육적 적합성 판단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이라고 보는지를 조사한 결과, 학습자에게 필요하고 요구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교사들은 인성 교육과 민주 시민 교육, 환경 교육, 진로 교육, 성 교육, 안전 교육의 순으로 그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소경희(So, Kyung Hee),이상은(Lee, Sang Eun),박정열(Park, Jeong Yeol),김지영(Kim, Ji 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최근의 급변하는 사회변화는 종래에 다루어 왔던 교과 이외에 새로운 범주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범주의 학습은 대개의 경우 여러 교과 간에 걸쳐 학습이 가능한 범교과적 성격의 주제나 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과 간 통합학습을 통해서 적절히 다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사회변화 속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다루기 위한 교과간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것의 적용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교과 간 통합학습이 용이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되, 국가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는 3-6학년의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구조화하였다. 둘째, 구조화된 자료 개발 과정에 따라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예시적인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통합학습 자료를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Recently, rapid social change requires new categories of learning besides existing subject matter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se types of learning are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which can be addressed by integrated learning across sever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appropriately teach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and examine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supporting grades 3rd through 6th elementary students for whom an integrated curriculum was not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we did the following: First, we structuralized the proces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Second, w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by way of exampl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s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육과정에 대한 탐색적 고찰: 녹색성장교육을 중심으로

        지옥정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the first thing wa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the origin of the appearance of the cross curricular theme in kindergarte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The second thing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 operation method of green growth education that is one of cross curricular theme. The study method was a theoretical speculation based on the related materials. As the result of the study, four things were found out. Firstly, the cross curricular theme should be dealt in all content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ly, the origin of the cross curricular theme was social, political demands at the time. Thirdly,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growth education were found out two things like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ackground and contents. Lastly, the operation methods of green growth education were found out three things as the operation centered on existing life themes for kindergarten, the operation by the project about specific topic and the operation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anniversary day or special event. In conclusion, connection with the results, two things were suggested for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범교과적 접근 방식 탐색: 에스토니아, 핀란드,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임유나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학생 역량 함양을 강조하며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구현하고자 한 국가나 주의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범교과적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역량을 도입한 국가이자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호주, 캐나다 BC 주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가나 주 교육과정 문서 및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범교과적 접근의 위상에 있어 교육과정 구조나 진술 속에서 범교과적 역량이나 주제를 교과와 동일하게 드러내고 구현을 지원함으로써 위상을 강화하였고, 요소와 내용에 있어서는 범교과적 역량과 주제를 구체화하고 교과와의 상보적 관계 속에서 역량-범교과 주제-교과 학습 간 연계성과 유의미성을 제고하였다. 운영 방식에서는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 삶과 연계한 맥락적 학습, 역량 평가 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위상, 요소와 내용, 운영 방식 측면에서 네 가지로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oss-curricular approaches that appear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foreign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materials on Estonia, Finland, Australia, and BC Canada. As results, in terms of the status, it is reinforcing its status by revealing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or themes in the curriculum structure or statement, and supporting implementation. In terms of elements and contents,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and themes are specified, and the linkage between competencies, cross-curricular themes, and subjects learning are improved. In the operation method, topic-oriented and integrated approaches, contextual learning in connection with life, and competency evaluation are emphasized. Based on main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status, elements and contents,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ross-curricular approaches.

      • KCI등재

        학교 영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모색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와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오세섭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씨네포럼 Vol.0 No.32

        현재 학교에서의 영화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강사파견을 통한 영화교육을 큰 축으로 하여 중학교 자유학기제나 동아리시간 등을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보다 다양한 학교 영화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범교과 학습 주제를 통한 영화교육의 시행이다. 범교과학습 주제는 정규교과에서 다루기는 어렵지만, 당대의 사회적 요구를반영한 학습 주제이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10개의 주제가선정되어 있다. 장기적으로는 범교과 학습 주제 안에 영화교육이 포함되어 독립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로서는 범교과학습 주제의 원활한 학습 진행을 위해 영화교육이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도 좋다. 이를 통해 영화교육의 장점을 알리고 친근함을 높일 수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고교학점제 안에서의 영화교육이 있다. 고교학점제는문재인 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현재의 입시 위주 교육과정에서 개선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를 개설하고 선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교과가 개설된다. 따라서 영화교육은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설, 수업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영화교육은 사회 환경과 교육체계의 변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지금 한국 사회가 영화교육에 바라는 점이기도 하다. Currently, School film education focuses on film education through the dispatch of teaching artist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which is a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and club time. In this study, would like to find various school film edu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a conduct of film education through cross-curricular themes. Cross-curricular themes are difficult to deal with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but they are topics that reflect the social needs recently, and 10 topics are se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long run, cross-curricular themes include independent education including film education, now it is also a good way for film education to act as a mediator for smooth learning progress of cross-curricular themes. For this reason it will be able to inform the advantages of film education and increase famili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