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9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강현석, "학교 현장, 국가·사회의 요구사항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3

      4 박창언,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71-93, 2014

      5 이미숙,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6 최진영, "국가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 통합의 과제와 개선방향"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7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 이상은, "각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적 교육과정(Cross-Curricula) 접근 방식 분석: 영국, 호주, 캐나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9-79, 2008

      9 Ministèere de l'ÉEducation, "Quéebec education program: Secondary school education, cycle one" Ministèere de l'ÉEducation 2004

      10 Ministèere de l'ÉEducation, "Quéebec education program : Secondary school education, cycle two" Ministèere de l'ÉEducation 2007

      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강현석, "학교 현장, 국가·사회의 요구사항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3

      4 박창언,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71-93, 2014

      5 이미숙,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6 최진영, "국가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 통합의 과제와 개선방향"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7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 이상은, "각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적 교육과정(Cross-Curricula) 접근 방식 분석: 영국, 호주, 캐나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9-79, 2008

      9 Ministèere de l'ÉEducation, "Quéebec education program: Secondary school education, cycle one" Ministèere de l'ÉEducation 2004

      10 Ministèere de l'ÉEducation, "Quéebec education program : Secondary school education, cycle two" Ministèere de l'ÉEducation 2007

      11 Ministere du I'Education, "Quebec education program: Preschool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Ministèere de l'ÉEducation 2001

      12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P21 framework definitions"

      13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04"

      14 CIDREE, "Crossing-curricular themes in secondary education: Report of a CIDREE collaborative project" Consortium of Institutions for Development and Research in Education in Europe 2005

      15 QCA, "Cross-curriculum dimensions: A planning guide for schools"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2009

      16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1st century skills map-Ma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