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담론윤리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와 적용 방안

        허윤회(Heo, Yunho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5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의 당위적 고민은 담론윤리를 도덕 교육에 구현함으로써 일부 해결 가능하다. 담론윤리의 도덕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 과정에서 제기된 질문에 대해 금기 및 권위가 적용되지 않는 절차적 ‘공정성’을 습득한다. 둘째, 참여자는 단독적으로 결정하는 독백적 방법을 지양하고, 상호주관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더 나은 논증’을 추구하는 ‘보편성’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참여자는 상대방을 동등한 인격으로 대하며 상대방 의견을 경청하고 거기에 답변하고자 임하는 ‘상호성’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담론윤리는 구체적이지 않은 추상성, 이상적 상황만을 고려하는 비현실성, 합의에 대한 불완전성 등의 문제가 나타나 도덕교육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회된 방법으로 도덕교육 내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소극적 적용 방안으로써 학생들 스스로가 본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소통 할 수 있는 ‘담론 교실’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담론윤리의 간접적 적용 방법으로 ‘넛지(Nudge)’에서 추구하는 숙고적 선택 방안을 도덕교육에 접목하여, 담론윤리가 갖는 도덕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Moral education should consider about the way students think and learn on their own. The normative dilemma of this ethical education can be solved by implementing discourse ethics in mo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in moral education of discourse ethic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acquire procedural ‘fairness’ which doesn"t apply taboo or authority to the questions raised in the dialogue process. Second, the participants can sublate monology method which is a unilateral method of making a decision, and foster ‘universality’ which pursue ‘better argument’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Third, participants can learn the ‘interoperability’ that can treat their opponents the equivalent status, listen to each other"s opinions and respond to them. However, discourse ethics is difficult to apply to moral education because of it"s lack of concrete abstraction, unreality as only ideal situation is considered, and the inadequacy of the agreements. Therefore, this thesis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 moral education in a roundabout way. First, as a passive measure it discussed ‘discourse class’ which allow students to freely communicate with their own ideas. Next, as a indirect application measure of discourse ethics, it discussed the moral education"s significance that discourse ethics gets by grafting rational method of selection that is pursuing in ‘Nudge’ on to moral education.

      • KCI등재

        연구윤리교육에서 연구부정행위와 연구윤리 주제 분류

        김태경(TaeKyoung Kim),장동익(Jang Dong-i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3

        연구 윤리교육의 내용은 연구 윤리 주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연구 윤리 주 제 그 자체를 연구 윤리 교육의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연구 윤리 교 육의 내용은 다양한 학문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정 학문에서 흔 히 발견되는 연구 부정행위는 여타의 학문에서는 전혀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연구 윤리 주제와 연구 윤리교육이 밀접하지만 별개의 내용으로 구성 되어야 할 필요성을 탐색해 볼 것이다. 그리고 학문의 특성에 따라 여러 연구 부정행위가 학문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모습을 조명해 볼 것이다. 연구 윤리 부정행위들이 각 학문의 특성에 따라 어떤 윤리적 문제점을 보이는지 해명하고, 이를 통해 특정 부정행위가 학문 의 특성에 따라서 연구 윤리교육에서 중시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표 절은 사실학문의 사실적 자료에서는 흔히 발생하지 않지만, 가치의 학문의 비사실적 자료 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여, 표절이 어떤 학문영역에서 강조되어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런 특징에 따라서 연구자 개인의 도덕성에 중점을 두어야 할 연구 윤리교육과 연구 주제에 중점을 두어야 할 연구 윤리 교육을 개괄할 것이다.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are fully dependent on research ethics subject. But Contents of research ethics subject is not same as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because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composed of on consideration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other many sciences. Here I will show there is a need that research ethics education are composed of on independent on research ethics subject 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nd it is shown that research cheating is differed on oth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sciences and thereby we can know which research cheating is emphasized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it is known here we should acknowledge there are the morality of individual researcher and the morality of research subject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윤리교육 일고찰

        서은숙(Seo Eun-So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본고는 한국 사회 전체 인구의 2.8%가 넘는 140만 여명의 다문화 인구와 전체 초·중·고 학 생의 거의 1%를 향해가는 40,000명에 가까운 초·중·고 다문화 학생 및 2,000명에 가까운 북 한이탈 청소년 교육에 대비해 학교 도덕과 교육을 통한 보다 학문적이고 전문적인 다문화 윤 리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아, 도덕과 교육을 통한 다문화 윤리교육 의 방안을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 학교 다문화 교육의 실태, 도덕과를 통한 다문화 윤리 교육의 원리, 방법 등의 내용으로 다루었다. 2009 개정 교육 과정 이후 앞으로의 학교 도덕과 교육을 통한 다문화 윤리교육의 원리는 첫째, 한국 문화정체성 교육이다. 이는 현행 민주시민교육과 연계하여 한국인으로서의 문화 정체성을 갖게 하는 교육이다. 다문화 윤리 교육의 두 번째 원리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교육 으로 문화 간 국제 이해 교육〔다문화 이해 교육〕이다. 이에는 생명존엄 및 인권 교육, 다종 교 교육, 다중정체성교육, 소수자 교육, 융합학문〔학제적〕교육 등이 있다. 한편, 다문화 윤리 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첫째, 다양한 교수·학습 매체 및 방법을 모 색하는 것이고, 둘째, 다양한 다문화 윤리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방법이며, 셋째,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방법 및 체험 학습, 봉사활동 등을 통한 통합적인 방법이 있다. This article aims at trying to find out principle and method in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in secondary and high ethics education. Up to now, the rate of multi cultural family’s population are growing. Since 5years, they are 2.8% of total population of Korea. The number of multi cultural students is almost 40,000 and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is almost 2,000 in Korea. In global world society, there were several accidents related to ethnic conflicts. Recently in Korea, that kind of accident occurred. In view of this, we need to make programs to unify various cultures in secondary and high education. Besides, as a new school education’s problem, the rate of school dropout is rising among multi cultural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Until now, some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y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unification, and several public, private organizations. In their programs, firstly,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ubjects (Korean, social studies, moral education etc.) in according to individual curricula, secondly, teacher research study programs, thirdly, education for student of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In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there are several principles. Firstly,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is Korean culture identity education accorded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ly,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is inter cultural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multi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that principl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lti religion education, multi identity education, minority educati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Now,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need to be enforced by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kills, teacher research study, and international studies research and professionalizing in University. In view of this, we need to make expert in department dimension related to ethics in University. Before everything, it is necessary to bring up expert for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For this, it is urgent to open lectures related to multi cultural ethics education something like Asian Studies(including Korean studies), International studies, multi cultural education strategies and so on in the department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And also, we need to manage many centers and institutes to educate and research multi 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 family students as a 1:1 exclusive coordinator or consultant.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의료해석학``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원용해서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생명의료영역에 해석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이유는 우선 생명현상을 자연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탄생과 성장, 죽음에 대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명은 설명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라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생명의 과학적 의미, 철학적 의미, 해석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의료해석학의 관점에서 인간이 내러티브 텍스트로서 간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의료영역에서 바른 진단은 과학적 자료 못지않게 환자와 의사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텍스트가 갖는 비중을 고찰하였다. 생명의료영역은 순수과학으로서가 아니라 해석학적 기획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레더(Drew Leder)의 주장을 논거로 삼고, 내러티브 텍스트가 의사와 환자의 지평융합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해석은 의사와 환자를 주종관계로 서열지우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성을 토대로 자기이해와 행동으로 이전된다는 점에서 윤리학적 관점을 동반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모델로서 내러티브 탐구가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해석을 하는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목적은 모든 인간은 흠이 있다는 점을 수용하고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탐구와 해석을 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명의료현장에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과정과 유비될 수 있다.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직접 환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듯이 생명의료윤리 주제들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내러티브를 활용해서 탐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n the view of hermeneutics. I tried to explore the advantage of the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biomedical area is helpful to understand human life phenomenon. We can``t understand fully the human birth, growth and death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has its limits. Life and disease is not only the scientific object but also human life`s experience. Hermeneutics is an instrumental argument for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clinical hermeneutics and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human life,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text, The role of narrative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and ethics in narrative inquiry, Narrative analysis in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courses. There is an ontological and ethical meeting point in narratives. Comprehension is both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phenomenon. Physician and the pati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intersubjectivity in narratives. Teachers and students can meet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s experience and the truth in their narratives.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clinical field and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similar narrative space, physicians are require to understand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linical field and the patient to make ethical judgments.

      • KCI등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배려윤리 요소 반영 방안

        김혜진(Kim, Hye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는 배려윤리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재정의하고,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배려윤리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배려윤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기존 도덕과 배려윤리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까지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및 평가,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배려윤리 요소 반영을 위해 ① 성격·목표·내용 체계와 관련하여 ‘배려’개념 재정의와 범위 설정의 확대, ② ‘배려적 사고하기’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 필요, ③ ‘배려윤리’를 실천할 수 있는 내러티브 수업방식 및 5C 배려활동과 같은 구체적인 수업 방법 안내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데 있어 ‘배려윤리’와 관련한 체계적인 내용 요소 및 교육 방법을 구성하는데 기초 연구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new ethics education curriculum by redefining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the ethics of care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exist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of care education in the exist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e nature, goals, content system, and teaching/learning, evaluation,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eaching of ethics education curriculums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separately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s such, in order to reflect the elements of the ethics of care in the new eth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① Re-defining the concept of ‘care’ and expanding the scope setting in relation to the nature, goals, and content system, ② The necessity to present a concrete method of ‘caring thinking", ③ Guidance for narra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practice the ‘ethics of care" and concrete teaching methods such as 5C care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ethics of care’-related systematic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methods when revising the ethics education curriculum hereafter as a basic study.

      • KCI등재후보

        윤리교육 지식에서의 "한"의 공공소통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전통윤리교육은 생태주의 사고방식의 대두, 여성주의 사회운동, 서구중심의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문화 다원주의 등의 도전을 받아 서구 중심의 합리주의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이제 윤리교육 지식은 맥락존중 보편화용의 정신으로 개신하면서 ``한``의 통사정 소통방안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전통윤리교육 지식의 변화와 확충에 의하여 타자를 존중하고 진실과 아량에 근거한 공공소통 방안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된다. 윤리교육 지식에서 횡단매개의 홍익의 개신소통은 21세기의 윤리교육 지식의 다양성과 공공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미래의 예측 불가능성, 절대적으로 현재화할 수 없는 시간흐름은 유한자아를 넘어서야 되는 타자의 흔적이 되면서 ``한``으로 매개하는 가운데 타자의 새로운 발견은 자아 동일시의 개념화를 벗어나 있다. 자아와 타자의 일정거리를 매개하고 연결하는 윤리교육 신지식은 시대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윤리교육 지식추구에 있어 타인의 외재성을 열망하고 소통하려는 태도에서 타자에로의 초월이 가능해진다. 타자지향의 열망은 자아를 벗어나려는 초월과 연계되며 자아와 타자를 이어주고 살리는 횡단매개 가치를 존중하게 된다. 새로운 윤리교육 지식은 이러한 분리의 거리를 인식하면서 이들 사이를 횡단 매개하는 가운데 대화하고 협력하여 공공소통으로 나아가게 한다. 자기중심의 내면성에서 윤리적 타자에로 개신하는 윤리교육 신지식은 홍익의 개신교육의 정초에서 비롯한다. 개신교육은 타자존재의 발견, 본질 너머로의 대화, 공동의 협력, 존재보다 선한 것으로의 소통으로 이루어진다. 윤리교육 지식의 개신은 타자얼굴과의 소통으로 이루어진다. 이 개신이 「천부경」에에서는 ``공사공매(公私共媒)``의 공공소통으로, 단군사상에서는 삼명매개의 홍익소통으로 나타난다. We can say the trans-versality of Han(□) in ethical education knowledge is transformation process through divine communication, cultural communication, spiritual communication. The trans-versality of Han`s spirituality and locality is practical co-existence in the context of ethical education knowledge. The Han`s mind of Korean is triple phenomenon of trans-versal awareness of heaven-earth-human. It is intermediation of ethical education expansion as Glo-na-cal mind-set. The returning movement of Han mind manifests a triple self-identity in heaven-earth-human, one based on trust of something that is not subject to confirmation except in the language and experience of Han. But in Han`s thought this locality of faith is related to a claim for spiritual renewal light. One-for-the-other is real situation for Korean-selves. Human beings suffer privately the passivity of given responsibility. Han`s thought has Glo-na-cal ethical value that requires each individual to suffer its own responsibility for co-existence, its own indebtedness to the other through public communication of triple dimension of Han. Despit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danger of man-made disasters, however, there is hope and promise for humanity. Surely, our vulnerable human condition raises frightening questions and causes great anxiety and insecurity, but it is undeniable that spiritual communication has engendered a process of human liberation that has fundamentally redefined who we are and what we can become. Hope lies in the heightened awareness of publicity and responsibility to the other to define their faith in light of transform communication. There is also convergence among ethical education knowledges in responding to the crises of the Second Axial-Age: the depletion of resources, environmental degradation, feminist movement, cultural pluralism, annihilation by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rime and disease, just to mention a few.

      • KCI등재

        다문화 윤리교육의 쟁점과 방향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일반론이 아니라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의 설계와 적용이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 윤리교육이 무엇이고 어떤 연구 영역을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윤리교육을 ‘(윤리학 및 정치철학에 근간을 둔) 다문화 윤리학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이슈와 사건을 활용하여 윤리적 탐구 능력과 성찰적 태도를 함양하고, 타인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및 실행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그런 다음, 다문화 윤리교육의 연구 영역을 ‘다문화 윤리학 차원의 쟁점을 다루는 기초 영역’과 ‘도덕과교육의 목적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활용하기 위한 응용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영역별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vestigate its research domains and answer critical questions posed in these domains. For the purposes, firstly, this article defines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s education for not only developing intercultural ethical inquiry and reflective attitudes using moral dilemmas and ethical issues in a multicultural context, but also cultivating moral traits such as moral motivation and moral will to respect and care for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Besides, this article devide research domains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to two major parts ― a basic domain that deals with philosophically and educationally essential issue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nd an application domain to meaningfully us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 then,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several questions posed in these two do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