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프로그램 평가 표준에 기초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 연구

        김대영(Daeyoung Kim),임승완(Seung-wan Lim)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4

        CIPP 평가 모형은 국내 연구에서 1990년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을 전후로 국내 HRD 분야의 평가 연구에도 종종 적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CIPP 평가 모형을 활용한 연구들은 CIPP 평가 모형의 외형적 접근에는 충실하지만, 대개 총괄적 기능에만 주로 초점을 두고 한두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는 점, 그리고 프로그램의 핵심 가치를 반영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토록 하는 것에 소극적이며, 평가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불충분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JCSEE의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충실히 이행하여 평가의 질을 확보하고자 노력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검토, 논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평가 사례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 가운데 무엇을 어떻게 준수하였는지,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어떻게 이행하였는지, 그리고 평가 오 · 남용의 가능성을 줄이고 바람직한 평가 활용 촉진을 위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 프로그램 평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esearches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began to emerge in Korea in the 1990s and the model has been often applied to HRD evaluation researches before and after 2010. The studies using CIPP evaluation model in Korea,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as follows: 1) mostly collecting data with one or two ways focusing on the summative function 2) being passive about having various stakeholders to be involved and applying core values 3) not making enough efforts to have the quality of evaluation. Even though they are devoted to apparent approach. As being awar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s and discusses cases that conducted the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endeavored to secure the quality of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the cases were reviewed 1) how and what principle they followed among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2) how they conducted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 of JCSEE 3) and lastly, how they cop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misuse and to promote using evaluation properly.

      • KCI등재

        CIPP 모형을 적용한 ODA 성과지표 개발: 대학 교육과정 개발 사업유형을 중심으로

        박소영 ( Park So-young ),신하영 ( Shin Ha-yo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맥락-투입-과정-산출 평가(CIPP)모형을 적용하여 사업의 효과성과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ODA 사업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최근 국제개발 협력 사업에서 기획과 수행, 평가에서 강조되는 지속가능성을 내재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대학 교육과정 개발 분야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기에 적합한 성과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CIPP 모형을 소개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고등교육 국제협력사업 성과지표와 평가모형을 정교화하기 위해 고전적인 프로그램 논리 모형과 후기 구성주의 관점이 접목된 CIPP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주요 원리와 적용의 주안점 등을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지표와 모형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국내 ODA 사업 중 교육과정 개발 사업유형을 적용사례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CIPP 모형은 기존의 프로그램 논리모형에 근간을 둔 기존 평가모형에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고등교육 및 직업훈련 분야 ODA 사업 수행에 필요한 의사결정과 환류에 적합한 의사결정체계로서 강점을 가졌다. 또한 CIPP 모형에서 형성/총괄평가를 교차하는 방식이 사업단의 책무성과 인력양성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ODA an evaluation model enhancing sustainability with reflecting the recent trends of ODA fields.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context-input-process-output evaluation (CIPP) model, which combines the classical program logic model and the post-constructivist perspective, is for elaborating the evaluation models for higher education ODA projects. Before that, the application are present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n order to empirical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model, two type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ject among ODA projects are selected as an application cas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IPP model has strengths with decision-making system and feedback necessary for planning and operation of ODA project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more than the existing program logic model. In addition, the method of intersecting formative/ summative evaluations in the CIPP model is useful in establishing strategies necessary for securing the accountability and the sustainability of manpower training. This study enhance the current ODA projects evaluation lacking standardized frame due to the str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IPP model will provide us a mutually compatible evaluation frame especially for ODA project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 higher education field.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국내 교육 분야 CIPP 평가 모형 활용 연구 고찰

        이원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4

        Based on the philosophy and code of ethic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presented by Stufflebeam, this study presented four orientation principles that should be key to conducting an evaluation (research) using the CIPP model: program improvement orientation, stakeholder involvement orientation, value orientation and various data orientation principles. Next, it was analyzed to what extent the Korean researches (evaluation) using CIPP evaluation model were applying these principles. Overall, Korean research only applies the program improvement orientation principle to some extent, and other principles are not properly ref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hanc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in Korea and provide useful guidance to fully utilize the value and benefits of the CIPP model. 본 연구는 Stufflebeam이 제시한 CIPP 모형의 7가지 철학과 윤리 강령을 토대로 CIPP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연구)를 수행할 때 핵심적으로 중시하여야 하는 4가지 지향 원칙으로 프로그램 개선 지향, 이해관계인의 관여 지향, 가치 지향, 다양한 자료 지향 원칙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CIPP 모형 활용 평가나 연구들이 이러한 원칙들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국내 연구들은 프로그램 개선 지향 원칙만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다른 원칙들은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CIPP 평가 모형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CIPP 모형의 가치와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CIPP 모형을 활용한 그린캠프 평가지표 연구

        박찬희(Chan 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연구 목적은 군 교육 프로그램인 그린캠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하여 평가지표 개발과정을 단계화해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프로그램 평가 관련 문헌연구, 그린캠프 현장 실태 조사, 전문가 토의를 통해 평가 고려요소를 도출하고 CIPP 평가모형 4개 영역의 예비 평가영역과 항목을 구성하였다. 둘째, 예비 평가항목으로 1차 설문을 수도방위사령부 그린캠프와 장병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예비 신뢰도ㆍ타당도를 검사하고, 전문가 포커스 그룹 토의로 평가지표를 보완하였다. 셋째, 강원도 지역 4개 대대를 방문하여 2차 설문 조사하고, 12개 군단별 간부와 그린캠프 관련자를 대상으로 3차 조사하여 SPSS 24 통계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넷째, 타당도 검증을 거쳐 16개 평가영역과 36개 평가지표를 결정하였다. 다섯째, 개발한 36개 평가지표를 57개 지표로 세분하고 정책전문가로 델파이 조사하여 43개 지표로 일반화하였다. 이 단계화된 연구의 의의는 정책 시행ㆍ추진과정에서 과학적 평가(지표) 개발 및 제도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assess the Army training program of Green Camp.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ndex phased-developed with the CIPP model is summarized below. First, the literature review with documents relevant to program evaluation, Green Camp field research, and expert discussions were used to select factors considered for evaluation and develop a preliminary evaluation area and item for the four areas within the CIPP evaluation model. Second, an initial survey targeting Green Camp and soldiers in the Capital Defense Command examined the preliminary reliability ㆍvalidity, and the Focused Group discussions were used to supplement the evaluation index. Third, secondary surveys were conducted in four battalions in Gangwon-do and third surveys targeted officers from twelve different corps and personnels related to the Green Camp which verifi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version SPSS 24. Fourth, with the validation verification procedure, 16 evaluation area and 36 evaluation index was confirmed. Fifth, the 36 evaluation index developed was subdivided into 57 indexes and the Delphi method was applied through the policy expert to formulate 43 generalized indexes. The significance of this phased research approach was consider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usage of scientific evaluation(index) and development in policy process.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에 의한 학교컨설팅 평가 준거 개발

        조양숙(Cho, Yang Sook),이윤식(Lee Yun Si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컨설팅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적 국면에 따라 학교컨설팅 실행과정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학교컨설팅 평 가준거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교컨설팅의 평가요인 및 평가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 및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 검 사를 위해 평가요인과 평가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평가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선행연구 및 전문가 의견조사 과정을 거쳐 학교컨설팅 평가 준거로 11개 평가요인과 74개의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평가준거 대해 탐색적 요인분 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지 않은 요인 및 문항을 삭제하여 학교컨설팅 평 가 준거로 11개의 평가요인과 70개의 평가문항을 최종 개발하였다. 셋째, 최종 평가준거에 대 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절대적합지수 및 상대적합지수 모두 기준치 이상이거나 기준치에 근접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평가 준거는 평가도구로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school consulting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Collection of evaluation items for exploring tentative evaluation factors and an opinion survey(432 teachers in 14 Incheon schools) for extract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and items wer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ies of selected factors and question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chool consulting was develop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school consulting, initially 17 evaluation factors and 96 evaluation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opinion surveys of experts, 11 evaluation factors and 74 evaluation questions were selected. Secon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mong the 74 evaluation questions, 4 evaluation questions were excluded because of its low factor loading. Finally, evaluation factors and questions for school consulting based on the CIPP model were extracted(Context evaluation section: 3 factors and 18 questions; Input evaluation section: 3 factors and 17 questions; Process evaluation section: 3 factors and 22 questions; Product evaluation section: 2 factors and 13 ques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chool consulting by identifying each factor in school consulting inter-contextu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

        이정은 ( Jung Eun Lee ),강영심 ( Young Sim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현장교사의 전문성개발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교사가 이수한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03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 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중등교사 중 최근 4년간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한번이라도 이수한 경험이 있는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과정평가 모형의 일종인 CIPP모형에 기반을 둔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첫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보통 이상이었다. 특히 CIPP모형을 기반으로 했을 때, 투입평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상황평가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영역별에서 상황평가는 연수참여의 자발성, 투입평가는 연수이수를 위한 행정적 지원, 과정평가는 강사의 전문성 수준, 산출평가는 연수운영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직업교육 직무연수의 강점은 연수기회의 참여확대였고, 약점은 사전조사와 대상자분석의 보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를 위한 직업교육 직무연수는 연수상황 파악을 위해 수요자와 학교현장의 사전 실태 분석을 통한 연수 개설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eek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lied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fulfill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To conduct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o analyze sub-categories evaluation of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5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103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evaluation that used CIPP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eing sub-categories of evaluation, input evaluation is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context evaluation are in order. The outcome suggests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put evaluation like plan and support is more positive than others,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ontext evaluation such as pre-analysis and direction guidance i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text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analysis of reality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 After that, to mee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lan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notifying demand of vocational teacher are necessary. Further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gency should improve teachers` demand and evaluation.

      • KCI등재

        CIPP모형 기반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수행평가지수 개발:교육복지사업학교를 중심으로

        이은경(Lee, Eun Kyung),김홍민(Kim, Hong Min),이성원(Lee, Sung Won),이전이(Lee, Jeon-Yi),박주호(Park, Joo-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for school-community networking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o achieve this purpose, utiliz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tems for school-community networking were selected, and then an evaluation indicator was developed. The processes of th 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ion items we 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a CIPP evaluation model checklist. Second, the first item-analysis was analyzed by the academic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hird, the second item-ana lysis was analyzed by the field specialist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Fourth, a temporary evaluation criteria and items were set by the first item-analysis and the second item- analysis. Then, a preliminary test and the second test was conducted by 437 members(principals, educational welfare specialists, teachers , students, and parents) from 33 schools in nationwide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context evaluation, 13 items were selected and calculate d into the performance score of this step; in input evaluation , 20items; in process evaluation, 15 items; in product evaluation, 13 items. 본 연구는 교육복지 활동과 관련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협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협력 수행을 파악 할 수 있는 도구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4 단계(맥락, 투입, 과정 , 결과) 영역별 평가지표 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의 지역사회 연계 협력 활동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 기초하여 평가항목을 수집하고, 두 차례의 전문가 평가를 통해 평가영역 및 문항을 설정하였다. 33개교에 소속된 4 37명(학교장, 교육복 지 담당자, 교사,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통하여 맥락(C) 단계에서는 13 문항, 투입(I ) 단계에서는 20문항, 과정 (P) 단계에서는 15문항, 결과 (P) 단계에서는 13문항이 선택되어 단계별 연계협력 수행평가 지수 산출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복지 관련 연계협력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단계별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단위학교가 처한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원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타당화

        차봉은,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developed in the first study as a second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step in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Context evaluation index, did not produce any modifications to the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questions. The second step, Input evaluation, was modified from three existing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The third step, Process Evaluation, was also modified from three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Finally, the product evaluation index was modified from three factors to two factors without deleting the assessment questions, and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was organized into 69 evaluation questions of eight factors, ensuring its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compil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as .96, the input evaluation index was .97, the process evaluation index was .96, and the calculation evaluation index was .96.The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as shown to be 95,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was also achieved with a confidence of more than 1.88 for all factors.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2차 연구로 1차 연구에서 개발한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A 의과대학 60명의의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45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IPP 평가모형의 평가단계에 따라살펴보면, CIPP 평가모형의 첫 번째 단계인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요인과 평가문항에 대한수정사항이 발생하지 않았다. 두 번째 단계인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평가지표는 3개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기존의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운영의 구조’와 ‘교육운영 수월성을 위한 구조’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세번째 단계인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평가지표도 3개의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력 강화를위한 과정’, ‘일반교육 운영과정’이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문항의 삭제 없이 3개 요인에서 ‘교육과정 운영개선 역량’과 ‘학생성장 역량’이라는 2개의 요인으로수정되어,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는 8개 요인의 69개 평가문항으로 정리되면서 타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리된 평가지표에 대하여 평가단계별, 요인별 신뢰도를 분석하였는데, 신뢰도 분석 결과, 상황평가평가지표의 신뢰도는 .96, 투입평가 평가지표는 .97, 과정평가 평가지표는 .96, 산출평가 평가지표는 .95로 나타났으며각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또한 모든 요인에서 .88 이상의 신뢰도를 보이며, 평가지표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Using CIPP Model Evaluation for Interdisciplinary Design Curriculum in IDBM Program at Aalto University

        Liu, Jue(유각),Nah, Ken(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과학기술의 발달과 범세계적 경쟁이 과열되는 양상이 보이면서 사회 각 영역에서 창의적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개별 학문 영역을 통한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기업에 들어가 다양하고 복합적인 현실적인 문제에 대처 할 경험이나 능력을 기르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학문간의 경계를 허물고 학문영역 간 연구교류를 통해 새로운 방법을 찾아 창의적이고 협업하는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 시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 알토대학 IDBM(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과정의 다학제 디자인 프로그램을 CIPP 모형을 통해 평가한다. 첫째, CIPP 모형의 성격, 특징, 작용에 대해 충분히 이해한다. 둘째, 학문 간의 연계성에 대해 분석한 후 다학제 프로그램의 필요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CIPP 모형을 통해 IDBM 다학제 디자인 프로그램의 상황(context), 투입(input), 과정(process), 산출(product) 등 네 개의 단계를 거쳐 심도 있는 분석과 평가를 진행한다. 종합하면, IDBM 과정은 학술적 배경, 교육 실습환경, 교육 체계, 교육방법, 학생들의 취업성과 등의 모든 부면에서 CIPP 모형의 평가 표준에 부합한다. 또한, IDBM 과정은 우수한 다학제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학생들이 복잡한 취업환경과 복잡한 업무에 미리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학제적 디자인 교육의 긍정적인 영향과 미래 고등 교육에서 운용가능성, 발전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다학제적 디자인교육은 앞으로 고등교육 기관에서 필요한 통합형 인재를 배양하는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creasing global competition, all industries are looking for innovative talents to break through the development dilemma. At present, most universities adopt Intradisciplinary training method, so that students do not have the experience and ability to use comprehensive methods to deal with complex problems when entering enterprises. In such a situation, it is urgent to break the disciplinary boundaries and find new ways to carry out interdisciplinary teaching to improve th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of future talents. This study uses the CIPP model to evaluate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the IDBM (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program of Aalto University in Finland. Firstly, fully understand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CIPP model. Secondly,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disciplinarity, clarify the key 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inally, the CIPP model is us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four stages of the IDBM interdisciplinary design program: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It is concluded that the IDBM program meets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IPP model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practice platforms, teaching teams,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employment development. Moreover, as an excellent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practice program, IDBM enables students to adapt to the comprehensive employment environment and complex work challenges in advance.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seen the positive impact of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trend in future universitie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innovative talents with comprehensive qualities required by the society.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신연주,김선태,송해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which can help decision making in the quality control and improvement of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put, process and output of CIPP evaluation model.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of expert opinions,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was designed. In addition, the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to 15 teachers in charge of job searching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education related experts to validate it. The CVR value which indicates the value of validity was analyzed through the findings of the collected Delphi questionnaires and the degree of opinion consistency was analyzed through the degrees of agreement and convergence. Through the correction and complementation,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was decided.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from the findings include 7 references such as requirement analysis, objective setting, implementation plan, implementation contents, program activities, program control & evaluation and program performance. Each Criteria has 41 evaluation indicato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ally decided evaluation indicators would be used by the people concerned with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s well as its future dire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적 국면에 따라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타당화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취업담당 교사 및 교육관련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델파이 설문 자료 결과를 통해 내용타당도인 CVR 값과 합의도, 수렴도를 통해 의견 일치 정도를 분석하였고,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평가준거 및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준거는 총 7개로 요구분석, 목표설정, 실행계획, 수행내용,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관리 및 평가, 프로그램 성과이고, 평가준거 별 평가지표는 총 41개로 구성되었다. 최종 확정된 평가지표는 특성화고 현장에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활용됨으로써 특성화고의 취업역량강화 활동의 질적 향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