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사소통판에서의 핵심어휘와 상황어휘 적정 비율에 관한 연구

        박은혜(Eun Hye Park),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2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중 특히 중요한 분야는 의사소통판에 적합한 어휘를 선정하는 절차 및 핵심어휘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아동의 구어 발화를 통해 조사된 핵심어휘를 의사소통판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사소통판에서의 핵심어휘와 상황어휘간의 구성비율에 차이를 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하여 그러한 차이가 의사소통판을 사용하는 아동의 의사소통 성공률, AAC 어휘 사용의 다양도, AAC 발화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의사소통판 구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초등학교 2학년 일반아동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간식먹기와 김밥만들기의 두 상황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 두 집단 모두 높은 의사소통성공률을 나타내었으며, 핵심어휘와 상황어휘를 같은 비율로 구성한 집단이 핵심어휘를 더 많이 제공한 집단보다 높은 의사소통 성공률과 다양한 어휘사용을 나타냈다. Selecting appropriate vocabulary items for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a new AAC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re vocabulary chosen from speech sampl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y applying those vocabulary items to the picture symbols of communication boards.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optimal ratios of core and situational vocabularies in a particular communication boar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one group with 50:50 ratio of core and situational vocabularies, the other group with 70:30 ratio)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success rate of communication,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and length of communication. Thirty elementary school students(second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performed two activities(eating snack, making Kim-Bap with play dough) using the communication boa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both groups showed high success rates of communication, and (2) group 1(that of 50:50 ratio) showed higher score in both the success rate and the NDW than the other group. Implications for AAC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 KCI등재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및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양,박은혜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1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subject to various problems such as problem behavior and restricted social interaction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e us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h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wo effects of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such a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ren,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e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e experiment design was the small group single-case design. It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3 months, in the order of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session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study has shown the increase in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y parents. Second, improv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ment and communication trials were observed to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nack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for the communication turn taking. After AAC device used, the modes of communication resulted in decrease in the use of gestures, whereas remained the same or increase in the use of speech. As a resul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as increased in post-treatment rather in 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centered intervention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parent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중재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6명의 중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 복합분석 단위의 소규모 단일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족중심 AAC 중재는 지원단계와 실행단계로 구분되며 7회의 소그룹 교육과 5회의 개별 가정방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가족중심 AAC 중재를 통해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요구하기 중심에서 반응하기와 모델링 사용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아동의 의사소통 발생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에 영향을 주었고,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아동의 의사소통 활동 참여도 및 의사소통 발생 비율, 대화 주고받기, 의사소통 형태, 의사소통 시도 효율성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부모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과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가족중심 AAC 중재의 구성 요소 및 영향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도 뇌성마비 학생들이 선호하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유형에 관한 연구

        조두년 ( Du-nyoun Cho ),박선애 ( Sun-ae Park ),김원경 ( Won-ky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중도 뇌성마비 장애학생들은 그들의 기질론에 근거한 병인에 의하여 호홉과 발성에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 때문에 의사소통에 있어서 그들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 뇌성마비 장애학생들의 의사소통 지도함에 있어서 보완.대체 의사소통의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가장 효과적인 언어를 습득하거나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가 개발에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언어장애를 가진 중증 뇌성마비 학생들 중에서 인지능력을 가졌으며 어느 정도 선택기술을 보유한 초등학생 1명과 중등학생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한 방법은 연구대상 학생들의 언어사용 능력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가장 필요한 문장 8개를 선별하였다. 의사소통 장애의 언어지도 최종 목표라 생각되는 문장을 이용하여 기초선 조사를 실시했고, 동사 및 명사카드와 의사소통 판, 그리고 칲톡을 이용하여 언어중재를 실시하다. 또 기초선 조사를 다른 언어중재 유형과 같이 5회간 실시한 이유는 그 결과의 득점수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중도 뇌성마비 학생들의 의사소통지도는 문장보다는 의사소통 판에의한 언어중재가 우수하였고, 의사소통 판 보다는 동사 및 명사 카드에 의한 표현 양식에서 우수하였으며, 동사 및 명사카드 보다는 칲톡에 의한 언어중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도 뇌성마비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하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의 적용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의 개발 방향은 칲톡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또 학교마다 다른 상징체계와 적용방법을 통일하고 단순화.표준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엿다.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have difficulty in breathing and vocalizing owing to their organic cause and they have a unique style in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struments and reveal on what are the methods of the effective language acquisition and expression, after applying an various method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teaching the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imary school, 1 grade and secondary school 2 grade who have cognition abilities and more than somewhat choice skills among seve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showing language disorder.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selected the most necessary sentence 8 items utilizing survey on language use ability for them, and then carried out baseline line test through sentence which it is consider as final goal of language instruction for communication disorder, and put into language intervention train utilizing a verb and noun card, communication version and chip-tal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anguage intervention in communication teaching for seve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aken effect chip-talk, verb and noun card, communication version, and sentence in regular sequence. Thus,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at the direc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teaching the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should be developed chip-talk suitable to our nation.

      • KCI등재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간의 상호작용 및 유대감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 시나리오 제안

        송하경,구유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매 노인 인구수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인지기능 장애의 진행성 만성질환으로, 초기 단계부터 환자와 보호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특히경증치매노인은 의사소통 장애를 경험하며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다. 특히 돌봄제공자와의 의사소통에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돌봄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간의 상호 작용과 유대감을 증진하는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도구를 활용한 서비스를제안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문헌 고찰을 하고, 경증치매노인의 의사소통 특성 및AAC 개념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를 위해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관찰 연구를 수행하였고,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사용자 및 전문가와의 검증 워크숍을 통해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최종 서비스 컨셉을 구체화하여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AAC의 도구적 특성과 상호작용 및 유대감이라는소통의 지향 가치를 경증치매노인 사용자 맥락에 맞게분석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소통개선을 넘어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한다. 또한기술 중심의 개발이 아닌 사용자 니즈에 맞춘 체감형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 제안으로 추후수요자들의 활용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AAC의한계점을 극복하고, 치매 노인 대상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ementia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Dementia is a progressive chronic disease that impairs cognitive function, placing physical and mental burdens on patients and caregivers from the early stages, thereby compromising the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discomfort in daily life. This significantly impacts communication with caregivers, leading to an increased burden of care. To address communication issues between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and caregivers,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utiliz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ols to enhance interaction and rapport. The research employs service design methodolog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mild dementia and the concepts and cases of AAC. For empirical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and caregivers. The service ideas were developed reflecting user needs through insight extraction. Validation workshops with users and experts confirmed the viability of the ideas. Afterward, the final service concept was concretized, and a user-centric service scenario was derived. By analyzing AAC’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oriented concepts such as interaction and rapport in the context of mild dementia patients, solutions are derived. This goes beyond improving user communication and extends support towards an overall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proposing a perceptual and complementar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ol service tailored to user needs, rather than a technology-centric development,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future adoption by users. In conclusion, by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AAC and proposing a service for AAC tools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s approach emerges as a sustainable solution to social issues. Its significance lies in its ability to effectively tackle and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ongoing societal challeng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과 언어 학습 증진을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

        박찬준,김양희,장윤나,Umadevi G.R,임희석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ten struggle through their lives from a lot of challenges in everyday life and social activities. They’re often easily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because they fin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or using language, a core means of communication. With regard to this issue,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n be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for children who are suffering from language dis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AI service to make full use of the pictogram as an AAC tool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mprove not only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but the capacity to understand language. Using this service, we strive to help these children to more effectively communicate their intention or desire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언어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생애 전반을 걸쳐 지속된다. 언어발달 장애 아동들은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를 이해하거나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종종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박탈당하곤 한다. 이와 관련해서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보완대체 의사소통)는 언어장애를 앓는 이들에게 실직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픽토그램을 AAC의 수단으로써 최대한 활용하여 언어발달 장애 아동이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서비스를 통해 언어 문제를 겪고 있는 이들이 자신의 의도 혹은 욕구를 보다 수월하게 표현하여 삶의 질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를 통한 또래 중재가 중도 지체장애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명희(Myunghee Lee),박은혜(Eun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유아가 통합된 어린이집의 대화상대자인 또래에게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이하 AAC)을 이용한 대화상대자 의사소통 중재기술을 훈련하는 또래 중재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서, 향후 일반 유아교육기관에 통합된 중도장애유아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AAC를 이용한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한 또래 중재의 영향을 대상 장애유아의 또래에 대한 시작행동 및 반응행동, AAC 도구를 사용한 시작행동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첫째, 본 중재는 세 명의 장애유아의 또래와의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발생률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중재를 통해 세 명의 장애유아가 AAC를 사용하여 시작행동을 보이는 발생률이 증가되었으며 증가된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구어능력이 제한된 중도의 뇌성마비 유아들이 통합된 환경에서 교육받을 때 또래들에게 적절한 AAC 사용방법을 교수하여 실행하는 또래 중재가 장애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의사소통 행동의 증진을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mediation via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method, and 2)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integrated program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PD) in general preschool settings. The peer children in this study were defined as everyday role play counterparts of the children with PD in integrated daycare centers. Methods: We calculated the occurrence rates of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behaviors of the three children with PD: 1) initiation behaviors, 2) response behaviors, and 3) initiation behaviors utilizing AAC metho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was used. Results: The peer mediation increased the occurrence rate of 1) initiation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PD; 2) respons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PD; and 3) incidence rate of initiation behaviors utilizing AAC method of the children with PD. The occurrence rates of all three behaviors were continued even after the mediation was terminated. Discussion & Conclusion: A peer-mediated intervention by means of applying good AAC conversation skills seems to be an effective method in facilitating communic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PD in inclusive preschool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preschool inclusion and especially for children with severe PD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실에서 또래 대화상대자 훈련이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음성 출력 의사소통 도구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명희,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의사소통은 구어라는 일반적 체계를 사용하나 중도 장애아동들은 이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도 장애유아가 통합된 어린이집의 자연스러운 현장에서의 AAC 중재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일반 유아교육기관에 통합된 중도 장애아동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또래유아들과 장애유아들이 AAC도구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기술사용 빈도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인 시도하기와 반응하기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통해 또래유아들의 의사소통 중재기술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또래유아들의 의사소통 중재기술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시도하기와 반응하기 기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으로 변화된 또래들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상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시도하기와 반응하기는 중재가 종료된 후 4주 뒤에도 유지되었다. 넷째, 부수적 효과로 일반 또래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태도 등이 개선되었다. 또한 장애유아 자신의 행복감, 소속감, 자신감등의 향상과 장애유아 부모들의 AAC 도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Mo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speaking, the most common system of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s another way of communication for nonspeaki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pattern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free play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peers.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teaching facilitative strategies and having subjects give feedback about their usage of the learned strategies.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e target children's communicative interactive behavior was increased. An d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eir peers acquired communication facilitative strategies and were able to use them efficiently in order to interact with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data also suggest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four weeks follow-up sessions.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동향의 심층적 및 범주화 분석

        최현석,송혜경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층적 및 범주화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동향의 심층적 분석을 위하여 AAC와 관련된 연구동향 논문 26편이 선정되었다. 또한, 연구동향의 범주화 분석에서는 AAC와 관련된 선행연구 5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에 대한 연구동향에 대한 논문은 2000년 전 한 편에서 2010년 이후에 8편, 그리고 2015년 이후에 10편으로 증가하였다. 2000년 이전의 AAC에 대한 연구동향은 도구 개발에 초점을 둔 반면, 2010년 이후에는 의사소통 중재를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둘째, AAC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후에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다양한 연령층을 연구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AAC 연구의 주요 종속변인은 의사소통 중재이며, 다음으로 AAC지원에 대한 인식이었다. AAC 연구의 주요 종속변인인 의사소통 및 AAC 지원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독립변인은 도구 개발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AAC의 필요성이 언어적 도구 및 사고의 확장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pplied the in-depth and categorization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in-dept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26 research trend papers related to AAC were selected. In addition, in the categorizati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56 papers related to AAC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on research trends on AAC has increased from eight sides since 2000 to ten after 2010 and ten after 2015. Research trends on AAC prior to 2000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ools, whereas after 2010,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mediation. Second, the research on AAC has been on a steady increase since 2000, and various age groups are applied to the study. The main dependent variable in the AAC study was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llowed by awareness of AAC support.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awareness of AAC support, which are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of AAC research, are the tool development and social interaction. This study proposes the justification that the necessity of AAC should focus on linguistic tools and expansion of thinking.

      • KCI등재후보

        자폐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대한 인식조사

        조홍중,강수균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3 동서정신과학 Vol.6 No.1

        자폐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특수교육 분야에 있어서 비교적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중증자폐아동은 조음 그 자체보다는 화용론적인 면의 곤란이 더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중증자폐아동의 경우에는 단순히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를 적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사용방법과 더불어 의사소통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조사에서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중증자폐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현장에서 어느정도 활용하고 있는가, 그리고 중증자폐아동의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에 있어서 저해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검토함으로써 특수학교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has increased comparatively lately in a special education field. In particular, the difficulty in pragmatics of children with severe autism become an issue rather than their articulation itself. Thus children with severe autism may not solve their communication problem by simply applying AAC. In addition to using ACC, their research should presuppose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training special school teachers by examining how much knowledge of ACC special school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severe autism, especially a communication problem, have, their practical use in the field, and what is hindrance factors in applying children with severe autism to ACC.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사용자를 위한 의사소통 측정도구 문헌분석

        정소영(So-Young Jeong),김삼섭(Sam-Sup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의사소통 측정도구의 사용대상, 문항 구성 요인을 알아보고,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AAC) 사용자에게 적용된 의사소통 측정도구 분석을 통해 의사소통 측정도구와 AAC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 경우는 실어증이 월등히 많았으나 다른 장애유형에 적용한 경우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요인은 의사소통 제한 요인과 의사소통을 제한하는 신체기능장애 요인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반면, 의사소통 참여 제한 요인과 의사소통을 방해하거나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이 포함된 경우는 많지 않았다. AAC 중재는 지체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지체, 발달장애, 의사소통장애 순으로 많이 적용되었고, AAC 중재 실험에 사용된 의사소통 측정도구는「그림어휘력검사」,「수용?표현어휘력검사」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AAC 적용 및 개별화교육 지원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평가의 필요성과 평가 준거 및 측정문항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argets to use measurement tools to communicate developed in Korea and factors consisting of questions, to examine how measurement tools to communicate applied for AAC subjects were. In the case of measur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targe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phasia was out of common, in the case of applying to different types of failures, it showed rare. While factors consisting of questions on measurement tools to communicate had many factors on communication limitations and many factors on impairments in body functions that limit communication, they didn’t have a lot of factors on restrictions in participation caused by communication limitations and lots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serve as barriers or facilitators for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was applied in the order of physical disabilities, autistic disorder,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disorders, although 「PPVT-R」,「REVT」were widely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communicate used in AAC intervention experiment, there were much more cases of relying on observation than standardized tool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the need of evaluating to provide ACC applicatio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IEP)’s grounds and the research on evaluation criteria and measurement questions should be tr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