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고찰

        김창복 ( Kim Chang Bok ),이신영 ( Lee Shin 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고 2015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찰해봄으로써 유·초 연계의 측면에서 개정된 누리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유·초 연계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2019 개정누리과정은 누리과정의 성격과 추구하는 인간상을 신설하고, 인간상에 따라 목표를 기술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부분적인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 체계를 정립하게 되었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영역 내용의 축소와 평가의 간략화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과 융통성을 보장하였는데 이것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이미 강조하는 것으로 연계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는 학습자 중심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한층 강조하는 것으로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강조와 교수·학습 방법 및 내용에서의 놀이 활용으로 연계된다. 학습자 중심 패러다임의 측면에서 볼 때, 2019 개정 누리과정은 현행 누리과정에 비해 유·초 연계의 수준을 높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은 현행 누리과정에 비해 유·초 연계를 좀 더 지향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유·초 연계를 위한 토대가 완전하게 마련된 것은 아니므로 앞으로 핵심역량, 관련 법규, 국가 수준 및 교육청 수준의 지원, 누리과정 영역과 초등 교과의 명칭 및 내용 등 교육과정상의 유·초 연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초 연계교육의 질적 제고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과 융통성의 바람직한 실현을 위해 전문적인 연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major changes i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revised in 2019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stablished a similar structure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specifically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ursuing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of the Nuri curriculum and setting the goals according to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Second,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nsured the teachers’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reducing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domain and simplify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is is also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rd, the emphasis of the children-centered and play-oriented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urther strengthens the shift to the learner-centered paradigm. And thi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use of play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som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s more concretely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n the current Nuri curriculum. However,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not stably established yet. Therefore, further in-depth research for reviewing and promot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curricula an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to hav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ir curriculum management in a desirable wa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 효능감 및 유아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을 중심으로 -

        권세경 한국보육학회 2021 한국보육학회지 Vol.21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distinction was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Second, Do Teacher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Do Teacher Efficac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ffec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In order to solve such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94 people from 300 people. This study used measure teacher efficacy of the tool by Shin Hye-young(2004), measure the understand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the scale of Park-Jong-myeong(2020). This study analyzed for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SPSS 40.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eacher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articularly, personal efficacy was the higher than normal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had the biggest impact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result was significant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support of teach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본 연구는 유아교사 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사가 2019 개정누리과정을 실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차 서울, 경기, 강원, 인천 지역 총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질문지를 배포하여 294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질문에 대한 답이 누락되거나 오류의 정도가 높은 질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194부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이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은 단계선택(stepwise)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개정누리과정의 지원계획부터 평가하기까지 모든 분야에 대한 교사의 인식 평균이 교사의 실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평가하기’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효능감은 개정누리과정 인식과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개인효능감이 일반효능감보다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은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김대욱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 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 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 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suggest the role of appropriat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s an emerging curriculum. It was clarified that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s the applicant, compared to the Nuri curriculum by age 3~5. It could be compared with the role of teachers in the emergent curriculum. Based on the emerging curriculum, the roles of teachers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re teachers who use scaffolding, flexible teachers in curriculum management, and teachers with autonomy and faith in young children. As a conclusion of the study, first, teachers should be experts who can provide optimal play materials to individual young children and multiple young children. Second, teachers must faithfully observe and record so that appropriate scaffolding can be established. Third, teachers must constantly perform questions suitable for development so that they can sustain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Fourth, teachers should operate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mergent curriculum.

      • KCI등재

        제4차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이채영 ( Lee Chaeyoung ),조경진 ( Cho Kyungj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현재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4차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의 과학교육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각 교육과정의 과학교육 내용이며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공학 영역의 연계 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물리영역의 내용은 제4차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에서 제시되어 있지 않아 그 연계성을 살펴볼 수 없었다. 둘째, 화학영역의 경우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 간에 연계가 이루어졌지만,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과는 연계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생명과학 영역의 경우 제4차 표준보육과,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초등교육과정 모두 부분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 넷째,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 제4차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간 내용의 연계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공학 영역의 경우 제4차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연계되어 있었으며,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은 부분적으로 연계가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가장 최근에 개정된 0세부터 초등학교 2학년군의 과학교육과정 연계 정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장의 과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recently revised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science disciplinary contents. Research data were science education contents from each curriculum.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 earth science, engineering science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physics showed no continuity and sequence since there was no physics education contents i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in chemistry,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ut not with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ird, life science represented a partial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orth, in earth science, there wer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betwee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inally, engineering science showed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ut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ere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investigated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standards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set of recommendation to implem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n clas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조경진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teacher in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considering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total of 130 journal paper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19 to 2022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by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 6.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the most common keyword, follow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centered’, and ‘awareness’. Second, as a result from analyzing the networks between keywords, the keywords with relatively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wareness’. Through co-occurrence frequency, high correlation with the keywords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listed in the ord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centered’, and ‘child-centered’. Finally, in CONCOR analysis, the clusters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largely created clusters. The main keywords in a series of research on teachers in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uld play an essential role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Nuri curriculu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개정 누리과정의 안정적인 현장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된 이후 2022년 2월까지 발간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 관련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130편을 살펴보고, UCINET 6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사 관련 논문에 나타난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검색어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유아교사’, ‘놀이중심’, ‘인식’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놀이중심’, ‘유아교사’, ‘인식’ 순으로 가중치가 높았다. 또한 동시 출현 빈도결과를 살펴보면,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교사’, ‘놀이중심’, ‘유아중심’ 키워드와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표 키워드의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유아교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가장 큰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사 관련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키워드는 앞으로의 개정 누리과정의 안정적 정착과 교사교육을 위한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실행 경험

        진혜림,이병인,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of「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the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Seoul.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by deriving key concepts through semantic uni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the IE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was derived into the following four upper categories: 1)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2) Linking「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with IEP, 3) Trial and error and limitations of applying「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4) Needs for support for linking「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with IEP. This study will be utilized to prepare for planning, implementing, & evaluating the IEP to which「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is applied.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개별화교육계획 실행 경험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국․공립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유아특수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은 면담 지침서를 구성하여 이를 토대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의미 단위 분석을 통하여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 경험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상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1)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 3) 2019 개정누리과정 적용의 시행착오와 어려움, 4)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를 위한 지원요구.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되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개별화 교육계획 운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신남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모두 경험한 만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대한 인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세 그룹으로 나누어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을바탕으로 자녀가 만3세에 경험한 누리과정과 비교하여 만4, 5세에 경험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우려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누리과정이 개정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부모의 참여가 중요한 만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부모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유아 중심⋅놀이 중심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모든 교사가 계획없이도 모든 유아에게 의미 있는 놀이 개입과 확장이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논의가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셋째, 놀이 중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으로 인해 초등학교 입학 준비 불충분에 대한 더 큰 우려로 사교육과사립초등학교 선호도 증가를 우려하고 있었다. 부모들의 초등학교 적응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 이에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2년 시행된 시점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에 따르는 다양한 문제 파악과 보완을위한 사회 지원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김동례(Kim, Dong R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구성방향에 대한 인식 및 현장적용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 및 운영지원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보육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를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와 Scheffe 추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현장적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을 전반적으로 확장시키고 지원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강조, 추구하는 인간성의 적절성,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의 확장.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인식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의 축소, 행정업무 경감과 같은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놀이중심 현장적용 사례집이나 교사 지도서 같은 참고자료 지원, 예비교사 및 양성교육과정의 변화 필요,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필요에 대한 요구 등이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요구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들에게 개정누리과정에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을 위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과 긍정적인 평가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relationship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child-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argeting 269 childcare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level, and the t-test, ANOVA and Scheffe follow-up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Results In the results, first,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that a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autonomy of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and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field applic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overall expansion and 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utonomy emphas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suit of humanity, and the extension-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required support for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duction of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In addition, support fo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play-centered field application casebooks and teacher guidebooks, the need for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nd training curriculum, and the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Nuri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quest was hig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on-site settlement of the children-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upport re-education or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improve perception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 내용분석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송윤나(Song, Yun-Na),김복화(Kim, Bok-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과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2019)에서 발간한 3종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 지원자료이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민주적인 교육내용(학습자 중심 교육내용, 민주시민 교육내용),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교사와 유아의 참여⋅협력형 교수학습 과정,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평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유아, 구성원 전체),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은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민주적인 교육내용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방식에 관한 내용은 협력적 교육공동체 기반 교육과정 지원, 구성원의 유치원 운영 의사결정 참여 순으로 빈도가 높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에 제시된 민주적인 유치원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될 누리과정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cratic Kindergarten’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guidelines. We analyzed the features of a democratic curriculum and ways to manage the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ree guideline books of the Nuri-curriculum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were evaluate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emocr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the guideline books include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he other criteria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urriculum management include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mocratic curriculum content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urriculum co-cre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democratic educational contents’. Second, the management of the democratic curriculum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based cooperative support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유아교사의 시도와 변화: 「2019 개정 누리과정」 1, 2차년도 실행을 바탕으로

        류승희,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empts and changes implement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 the years for the child·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study, 8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from November 2020 to end of July 2021. The study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varied in form, depending on the contexts of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at work. Nevertheless, there was a common consensus in that the teachers were constantly looking back to review whether their practices were suitable for child·play-centered activities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Second, in the first year, teachers practiced the child·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direction of transferring initiative to children. In the second year, intentional teaching was conducted, and the balance between child-directed and teacher-directed instruction was consider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the power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the meaning of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perspective and child·play-centered curriculum should be reestablished.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하여, 유아교사 들이 해를 거듭하는 가운데 어떠한 시도를 하며 변화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하여 2020년 11월 11일부터 2021년 7월 31일까지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8인과 함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에 참여한 모든 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임을 의식하였고, 2년 연 속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중심’을 위해 노력하는 실행으로 나타났다. 기관 및 개인 의 상황 맥락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마다 교육과정 실행 자체는 다양하였지만, 자기 실 행이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놀이중심에 맞는지 끊임없이 돌아보는 모습은 2 년 연속 이어졌다. 둘째, 교사들은 1차년도에는 유아에게 주도권을 이양하는 방향으로 유아·놀 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였으나, 2차년도에는 의도적 교수를 하며 유아주도와 교사주도의 균 형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가진 힘과 교육과정 실행 관점에 대한 해석 및 유아·놀이중심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