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우진(Lee, Woo-Jin),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이 논문은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로서 이능화(李能和)에 대한 탐구이다. 먼저, 이능화가 양명학이 어떤 측면에서 “주자학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서구적인(=서구화할 수 있는) 사상 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주자학을 서구근대화의 장애물’로 판단하게 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능화의 조선유계지양명학파 에서 나타난 한국 양명학의 연구 관점이나 자료수집의 폭이 어떤 것이며, 그것이 이후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능화는 조선을 ‘사상속박시대’라고 비난할 정도로 오직 주자학만을 유일무이한 학문으로 존숭하였던 조선 유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지녔다. 그에 따르면, 조선의 교조주의는 근본적으로 사대주의(事大主義)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그러한 교조주의는 당파의 분열을 발생시켜 유교의 특장점인 정치적 · 윤리적인 사회철학적 성격을 상실케 되었다고 파악한다. 반면 이능화는 양명학을 시대변혁의 방향에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사상으로 파악한 듯 하다. ‘전근대적인 주자학’을 탈피하여 당시의 역사적 사명인 ‘서구근대화를 이룰 수 있는 사상’으로 양명학을 바라보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는 일본의 서구 근대화가 양명학이라는 이념적 기반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능화는 『조선유계지양명학파(朝鮮儒界之陽明學派)』에서 조선 양명학파를 학문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인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국 양명학파를 성립시킨 인물로서 정제두로 제시하였으며, 남언경(南彦經)을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로서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양명학 전래시기를 1567년 전후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견해는 이후의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특히 이능화는 조선의 양명학 배척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후 그의 한국 양명학 연구는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에게 이어져 식민사관으로 재생산된다. 하지만 윤남한(尹南漢)과 유명종(劉明種)에 이르면 다카하시 도오루가 보여준 식민사관을 넘어서게 되고, 이능화가 마련한 인물 · 시각 · 자료 · 사건들을 그들의 한국 양명학 연구에서 근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 점에서 이능화는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라고 지칭해도 무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on Lee Nung-Hwa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陽明學)’. First, we examined that why Le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In addition to this, We investigated that why he thought JuJahak(朱子學) as the obstacle of making Josun modern westernization. Second, we investigated Lee’s Josunyukyejiyangmyeonghakpa(朝鮮儒界之陽明學派) for seeking his research perspective and scope of data collection about Korean Yangmyeonghak. And, we examined in particular that what Lee had influenced on researchers on Korean Yangmyeonghak since he published this Josunyukyejiyangmyeonghakpa . Lee described Josun(朝鮮) as ‘the spirit bondage era.’ He had a very critical stance on the Josun Confucianism, because it only acknowledged JuJahak. At that time, any other thoughts except JuJahak were regarded as unorthodox. According to him, Jujahak dogmatism was due to toadyism basically. Jujahak dogmatism had generated multitudinous partisan brawls from the earliest days of Josun. So, the confucianim lost its advantages of eth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But, Lee looked at Yangmyeonghak positively. H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Because Yangmyeonghak w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Meiji Restoration. Lee organi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t the political side, not the academic side in 『Josunyukyejiyangmyeonghakpa』. Lee described Jeongjedu(鄭齊斗) as the feature of establish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nd identified Namunkyung(南彦經) as the first Yangmyeonghak scholar inf Josun. And, Lee estimated the Yangmyeonghak transmission time as around 1567. Many researchers followed these his views. But, Lee analy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His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was continued to Takahasi torou(高橋亨), but that perstpective had been refused by Yunnahan(尹南漢) and Yumyeongjong(劉明宗). However, people, data, and events selected by Lee had been accepted by almost all researchers. In that point, we identify Lee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
李德懋의 金昌協 비평 수용 연구 - 李奎報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
김경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Kim Changhyeop in a development of Lee Deokmu's literary criticism. In other word, it investigates questions about how Lee Deokmu encounters Kim Changhyeop's critical perspectives and why he tries to accept it actively. To this end, I verified in which way Lee Deokmu accepted for Kim Changhyeop's literary criticism and comparatively analyzed Kim's Number 25 of 「JapJiOePyeon」 and Lee's 「LeeChunGyeong」. Firstly, Lee Deokmu ha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disciples of Lee Jae among the line of NongAm because of his wife's family. This explains in which way Lee Deokmu accepted for Kim's literary criticism. Among these disciples, Kim Jonghu and Kim Yonggyeom had interacted with Lee Deokmu directly. Especially Kim Yonggyeom had the greatest impact in a process of his reception for the literary spirit of Kim Changhyeop. Secondly, I comparatively analyzed Kim's Number 25 of 「JapJiOePyeon」 and Lee's 「LeeChunGyeong」. Lee Deokmu focuses on Kim Changhyeop's literary criticism in two points. Lee concentrates on Kim's precise literary criticism and his critical attitude of accepting the criticisms of previous generations. And Lee focuses on his attitude of writing and his emphasis on a inner cultivation. I confirmed that they were similar in their stances, which was flexible toward literature even though it was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I also assured that Lee Deokmu's such attitude toward criticism was closely linked to Kim Changhyeop. However, Lee Deokmu gave his priority to writer's attitude of writing over his inner condition in creative writing. That is a reinterpretation to Kim Changhyeop' literary criticism.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Lee Deokmu is not a mere imitator but an active accepter of Kim Changhyeop by focusing on his critical and academic attitudes. 본고는 李德懋의 비평형성에 있어서 金昌協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것이다. 즉 이덕무가 어떤 경로로 김창협의 비평관을 접하게 되었고, 무엇 때문에 김창협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였는가라는 의문을 구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李奎報 漢詩에 대한 비평에 한정하여 김창협의 『雜識外篇』25칙과 이덕무의 『李春卿』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이덕무가 유독 農巖系 문인들 중 李縡의 문하생들과 교유양상을 보여주는 것은 처가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문하생 중 이덕무와 직접적인 교류를 보인 인물은 金鍾厚와 金用謙인데, 특히 김용겸은 이덕무가 김창협의 문풍을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이었다. 다음으로는 이규보 한시에 대한 비평인 김창협의 「 잡지외편」25칙과 이덕무의 「이춘경」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덕무가 김창협의 비평에서 주목한 점은 첫째는 치밀한 비평과 전대 비평에 대한 비판적 수용태도이고, 둘째는 창작 태도와 관련된 작가에게 요구되는 내적수양의 중시였다. 이덕무와 김창협은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문예영역에서 유연한 자세를 보인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면모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이덕무의 이러한 비평태도가 김창협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 역시 알 수있었다. 하지만 창작에 있어서 이덕무는 작가의 내적조건보다 창작태도를 우선시하였는데, 이는 김창협의 비평을 재해석하려는 태도였다. 따라서 이덕무는 김창협 비평에 대해 모방이 아니라, 무엇보다 그의 비평태도와 학문적 자세에 주목하여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보였고 비평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운악(雲嶽) 이함(李涵)의 삶과 가학(家學)의 성립(成立)
김수현 바른역사학술원 2025 역사와융합 Vol.- No.24
본 연구는 운악(雲嶽) 이함(李涵, 1554~1632)의 삶과 그가 가학을 성립해가는 과정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함에 관한 연구는 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생애에 대해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함은 재령이씨(載寧李氏) 영해파(寧海派)로 퇴계학맥의 중심인물이다. 이함의행적은 운악집 을 비롯하여 그가 남긴 글과 그와 관련된 인물들의 기록, 그와 관련된 여러 일에 관해 언급한 후손들의 문헌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함은 환로(宦路)에 뜻을 두지 않고 전원에서 생활하며 학문과 제가(齊家)에 힘썼다. 따라서 그의 교유는 대부분 영남지방에서 이루어졌다. 재령이씨 영해파는 퇴계학맥의 중심으로 일컬어진다. 특히 이함의 손자 이현일은 퇴계학맥의 적통으로 불리는 인물이다. 이현일의 학문적 배경에서 가학은 중요한지점에 있다. 재령이씨 영해파 가학의 기반은 조부인 이함에게서 비롯하였다 할 수 있다. 이함은 이시명을 비롯한 아들들과, 이휘일을 비롯한 손자들에게 학문을 전수하였다. 그는 스승에게 전수받고, 지역 문인들과 교유하며 학문을 발전시켜 가학을 성립하게 된다. 이함은 황응청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김성일과 그 형제들을 종유하면서 학문의 세계를 넓혔으며 그 후손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of Unak Lee Ham(李涵, 1554-1632) and the process by which he established Sadak. Because research on Lee Ham has not been covered in earnest in academia, it is necessary to first learn more about his life. Lee Ham is a member of the Jaeryeong Lee clan and a member of the Yeonghae faction, and is a central figure in the Toegye school of thought. Lee Ham's actions can be examined through the writings he left behind, including Unakjip, the records of people related to him, and the literature of his descendants that mention various events related to him. Lee Ham did not focus on returning home, but lived in the countryside, focusing on his studies and his family. Therefore, most of his interactions took place in the Yeongnam region. The Yeonghae faction of the Jaeryeong Lee clan is said to be the center of the Toegye school of thought. In particular, Lee Ham's grandson, Lee Hyeon-il, is a person who is said to be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of thought. In Hyunil Lee’s academic background, sadism is at an important point. It can be said that the foundation of Jaeryeong Lee's Yeonghae school of sadism originated from his grandfather, Lee Ham. Lee Ham passed down learning to his sons, including Lee Si-myeong, and his grandsons, including Lee Hwi-il. He learned from his teacher, interacted with local writers, developed his studies, and established Sadak. Lee Ham studied under Hwang Eung-cheong and expanded his academic world by following Kim Seong-il and his brothers, and his children were also influenced by this.
이승조의 <핵(核)> 연작 -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Lee Seungjio is well known for his <Nucleus> series — paintings comprised of various cylindrical forms resembling pipes. Throughout his lifetime, Lee devoted himself to these distinctively clear, rational and deliberate abstract pieces. Existing analyses of Lee Seungjio’s paintings often view the pipe-like forms in the <Nucleus> series as symbols of modernization unfolding in Korea at the time, and regard his work as a model example of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 Additionally, some have associated the changes since the 1970s in Lee’s paintings with the conceptual art of group “AG” or Lee’s interest in phenomenology. In other analyses, Seungjio has been touted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monochrome abstract art in Korea. However, in these previous studies, it is difficult to find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what exact features of the <Nucleus> series made it different from other geometric abstract art at the time — or what exactly Korean op art even was. Is there really no way of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Lee Seungjio’s art, without referencing his core artistic features to specific organizations or art styles? This paper began from the above question. This paper aims to achieve two things: first, to regard Lee’s paintings as a visual indicator existing within the societal/cultural and political/economic climate of the time; second, to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not only Lee’s art but also the history of Korean geometrical abstract art since the 1960s. This paper finds that Lee’s <Nucleus> series was born from the intersection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vant-garde art group “Origin”, and industrial design — leading the paintings to simultaneously embody the contradicting qualities of avant-garde/ academic, and pure/applied art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Nucleus> series can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confines of figurative painting, geometric or monochromatic abstract painting. This paper see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methods in Korean art histor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ooted on nationalism and evolutionist views.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employs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geometric abstract art and Lee Seungjio’s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in his styles spanning across the figurative, the abstract, and the hyper-realistic, Lee’s only objective as an artist ultimately lied in the visual issues of paintings. In conclusion, Lee Seungjio’s <Nucleus> series successfully created a complete visual illusion by overcoming the resistance of medium, fulfilling the duty long carried by modernism abstract paintings. From this, we can discover from Lee’s abstract works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modernism — one that neither relies on tradition nor spirit. 이승조(李承祚, 1941-1990)는 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한 회화 〈핵(核, Nucleus)〉 연작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이다. 작가는 특유의 명징하고, 이지적이며, 계획적인 성격의 추상회화를 평생 고집스럽게 선보여 작고한 뒤엔 “우리 화단에서는 보기 드물게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세계를 추구한 화가”, “논리적인 작업의 전통이나 체험이 빈약한 우리의 현대미술 속에서 더없이 이채로운 존재”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승조 회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핵〉 연작에 나타나는 파이프 형상을 조국 근대화에 주력하던 한국 사회의 시대적 상징물로 바라보면서, 그의 작업을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것으로 여기거나, 한국 옵아트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간주한다. 또 1970년대 이후 이승조 작품의 변화를 그룹 ‘AG’의 개념미술 및 현상학에의 관심과 연계해 해석하거나, 그를 모노크롬 추상회화의 태동과 형성을 주도한 주요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정작 이승조의 〈핵〉 연작의 어떤 특징이 당대의 다른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구별되는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는지, 한국적 옵아트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승조의 예술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적 특징을 특정 활동 단체나 회화 양식의 성격에 기대지 않고 고찰해 그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이승조의 회화를 당대의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 자리하는 시각적 지표로 간주하고, 그의 작품뿐 아니라 1960년대 이후 한국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역사 전반에 대한 기존 견해를 교정할 기회를 마련해 보고자 했다. 이로써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회화, 옵아트의 시발점이 된 이승조의 〈핵〉 연작이 《국전》, 재야의 전위 단체 ‘오리진’, 산업디자인의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했음을, 그리하여 태생적으로 전위미술과 아카데미즘 미술,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었음을 밝혔다. 또 이승조의 〈핵〉 연작을 구상, 기하학적 추상, 모노크롬 추상, 그리고 극사실회화의 어느 한 범주에만 국한해 이해할 수 없음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순혈주의와 진화론에 기반했던 기존 한국 현대미술사의 기술 방식을 극복하고,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이승조 회화를 고찰할수 있는 새로운 미술사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구상에서 출발해 추상으로, 그리고 다시 극사실에 도달하기까지, 작가 이승조의 목표는 오로지 회화에 서의 시각적 문제의 추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승조의 〈핵〉 연작은 미술사에서 모더니즘 추상회화에 주어졌던 과업, 즉 ‘매체의 저항을 압도해 완벽한 시각적 일루 전을 창출하는’ 일을 완수해냈는데, 이로써 우리는 그의 추상회화에서 전통이나 정신에 기대지 않은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권정원 동방한문학회 2016 동방한문학 Vol.0 No.67
Lee Deok-mu(李德懋) was recognized by his contemporary writers as a brilliant critic, and Lee’s own sense of pride too was known to be great. His interest in criticism of commentaries(評點批評) in particular started from the late teens; in his 20s he was immersed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and after the 30s he reached a peak of being a full-blown critic of commentaries, which continued to his last years. Active criticism of commentaries by Lee Deok-mu included various fields of literature such as collections of poems, chidu(尺牘), travelogues and collections of prose. There are a total of 10 works confirmed as Lee’s criticism of commentaries to date. The background of how Lee Deok-mu was able to engage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can be understood in two aspects: First, as for the domestic reason, it was active “mutual criticism”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the literary circle Dongin(同人). In the late Joseon Dynasty, writers of the Dongin group were very active in making books of critical commentaries(評選本) by adding scores(評點) in each others’ collections of writings. Especially with Yeonam Park Ji-won(燕巖 朴趾源) being the center of his namesake Yeonam group were critics that if one writer’s writing was released, they passed it around to write in criticism and add prefaces, and then next readers would write in additional criticism was very common, and at the center of such critical activities was Lee Deok-mu.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is atmosphere of the time in which Lee’s criticism of commentaries was established. Second, as for the external reason, it was Lee’s intensive reading of the Chinese book of criticism, “The Reading of the Fiction Commentary(小說評批本)” by critic Kim Shengtan(金聖嘆) in particular, which was then famous in literary circles. Lee Deok-mu read “The Reading of the Fiction Commentary” intensively and left behind a considerable number of records on it. Of which he wrote favorable comments on Jin Shengtan’s talent and his discerning eyes for criticism. and there were also examples in which Lee quoted exact phrases of Jin’s criticism. This showed that Lee Deok-mu was quite favorable to Jin Shengtan’s criticism. Moreover, there were cases where some writers at the time evaluated that Lee Deok-mu’s writing style was criticized as the influence of Jin Shengtan, so it seems that it was true that Lee was influenced by J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Lee Deok-mu’s activities in criticism of commentaries were the result of actively embracing the atmosphere of the literary circles at the time, including intensive reading of Chinese imported books of critical scores(評點書) and Jin Shengtan's book of commentarie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李德懋는 동시대 문인들로부터 탁월한 비평가로 인정받았고, 이덕무 스스로도 비평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었다. 특히 그의 評點批評에의 관심은 10대 후반 시절부터 시작되었고, 20대에 평점비평 활동에 열중했으며 30대 이후에는 본격적인 평점비평가로서 절정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평점비평 활동은 그의 말년에까지 지속되었다. 이덕무의 평점비평은 시문집·척독·여행기·산문집 등 다양한 영역에게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그의 평점비평 활동은 총 10건이다. 이덕무가 활발한 평점비평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국내적 요인으로 조선후기 문단에 유행했던 同人 집단 내의 상호 비평 활동이다. 조선후기에는 동인 집단을 중심으로 서로의 문집에 評點을 붙인 評選本을 만들거나 서로의 문장에 評語를 부기하는 일들이 매우 활발하였다. 특히 박지원을 중심으로 한 연암그룹 내에서는 한 사람의 저술이 나오면 서로 돌려보며 비평을 달고, 서문을 써주고 다시 서문에 비평을 부기하는 등의 일은 흔히 있는 일이었고, 그 비평 활동의 핵심에 이덕무가 있었다. 이덕무의 평점비평 활동은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둘째, 국외적 요인으로 당시 문단에 유행했던 중국 평비본, 특히 金聖嘆의 小說評批本의 열독을 들 수 있다. 이덕무는 김성탄의 소설평비본을 열독했으며 그에 대한 기록 역시 상당수 남기고 있다. 그 중에는 김성탄의 재주와 비평안목에 대해 호평한 것과 김성탄의 비평 문구를 그대로 인용한 예시도 여럿 있어서 이덕무가 김성탄의 비평에 상당히 호의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이덕무를 평가했던 당대 문인들 중 이덕무의 문체를 김성탄의 영향으로 지적한 경우도 있었으니, 이덕무가 김성탄의 영향을 받았음은 사실인 듯하다. 따라서 이덕무의 평점비평 활동은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명청대 評點書와 김성탄의 평비본 서적의 열독이라는 문단의 분위기를 적극 수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덕무 평점비평의 성립 배경은 당시 국내외의 문단 분위기를 적극 수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을사사화기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을 둘러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인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4
Lee Eon-jeok was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long with Kim Goi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and Lee Hwa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He was the first figure of Joseon to be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invested to place these figures in a Confucian shrine with controversy over their qualifications in the process. A few of them were the subjects of controversy, but Lee Eon-jeok was the most controversial of all. This study reviews, in depth, contradicting evaluations of Lee's acts and reactions in the early days of King Myeongjong's reign. The study starts with the year that King Myeongjong ascended the throne when the Eulsa Literati Purge took place, and goes up to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when Lee Hong-yun was imprisoned as part of the Eulsa Literati Purge, by assessing Lee's acts and reactions during the period in a sympathetic manner. Lee was a serious representative statesmen that made forthright statements at many different meetings during the purg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oyal family and prevent damage to literati. Some people may regret that Lee was not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fucian literati, but it is not true that his acts deserved the evaluation that he made no forthright statements.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a person before the assessment of his acts.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those who made positive assessments of Lee and those who made negative ones.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underwent turmoil in those days, and those who read the chronicles of the period seem closer to the truth.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read the records to be more accurate, even by those who neither underwent the turmoil, nor read the records of the chronicles assessed Lee.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assessments since they were based on a lack of data. Reliability of old assessments by people from the past also impacts the assessments. The circumstances and experiences of those who make assessments themselves have impacts as well. 회재 이언적은 광해군대에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황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조선조의 인물로는 처음으로 문묘에 종사된 것이었다. 이들이 문묘에 종사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경주되었고, 그 과정에서 자격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논란이 없었던 사람이 드물지만 그 중에서도 이언적과 관련된 논란이 가장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명종 초년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에 대한 엇갈린 평가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부터 명종 4년 이홍윤 옥사에 이르는 시기를 을사사화기라는 시기로 설정하고, 이 시기 동안 이언적이 보인 처신과 대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이언적은 을사사화 당시 각종 회의석상에서 왕실의 안위를 걱정하고 사류의 피화를 막기 위해 직언을 한 대표적인 중신이었다. 이언적이 사림의 피화를 막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은 토로할 수 있지만, 직언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들을 정도의 처신을 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한 사람의 행위를 평가할 때는 그 사람의 처지나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언적에 대해 긍·부정적인 평을 내린 평가자에 대해서는 관점의 차이라는 점을 우선 고려하였다. 당시를 겪은 자와 당시 실록 기록을 본 자, 두 사람의 평가가 진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기록을 본 자의 평가가 더 정확하다고 보았다. 당시를 겪지도 못하였고 실록의 기록을 보지도 못한 이들의 평가도 있었다. 충분하지 못한 자료에 근거하여 평가를 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전 사람이 해 놓은 평가에 대한 신뢰 여부도 영향을 미치며, 평가자 자신의 처지나 경험도 작용한다고 보았다.
이재숙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6
It requires prudence and is meaningful for descendants to come, both in the past and now, to find a land where a family wants to live with good fortune for generations by taking the area as its base for a long period of time. Looking into the figures of a family that resided in a place for generations and its connections in the area, we can assume that this may have influenced not just the history of the family but the academic network and cultural history in the region, too, to a certain extent. Dangjin of Chungcheongnam-do is a place where quite a few renowned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in terms of our literary history.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ason why Deoksu Lee Family lived in Myeoncheon of Dangjin as its base for generations and settled down in it as a residence for 20 generations lasting for 500 or so years and what meanings it has. The one that set it as the base for Deoksu Lee’s clan was Yeonheongong Lee Ui-mu, one of the literary persons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after Lee Haeng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set Deoksu Lee Family’s graveyard there, many writers composed Chinese poems passing by the place. In particular, Deoksu Lee Family’s descendants respected the literary achievements and value left by the two ancestors and were in awe of the transmission. This researcher here investigates the family’s empathy and thoughts about literary transmission associated with the space of Myeoncheon considering Dongak Lee An-nul, Taekdang Lee Sik, and Mokgok Lee Gi-jin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This will allow contemporary families becoming hyper-individualized to glance at how the family continues its reputation through literary works of the old times while longing for its ancestors and having affection of honor with intention and concerns to adhere to its excellent tradition.
김형수(Kim Hyeong-Su)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17세기는 임진왜란ㆍ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조선사회의 ‘재조再造’의 요구가 점증하고 있었다. 당시 유학자들은 주자학에 근거하여 조선사회의 개혁방안을 모색해 나갔다. 이현일은 17세기 영남을 대표하는 성리학자로 숙종조 남인정권의 성립을 맞아 산림으로 출사하였다. 이현일은 갑술환국으로 인하여 숙종조 1차 남인정권이 성립하자 유일遺逸로 출사하였으나 당시 남인정권의 산림으로 ‘경남京南’인 허목ㆍ윤휴 등이 있었기 때문에 산림으로서의 활동은 미미했다. 이현일이 산림으로서의 지위를 굳히게 된 것은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2차 남인정권이 성립하면서부터였다. 이현일은 숙종 15년 산림으로 출사하면서 이현일은 높은 학문을 바탕으로 경연에서 실력을 발휘하여 숙종으로부터 깊은 신임을 받았고, 이현일은 경신환국에서 피화된 남인인사들의 신원을 달성하고, 후에 영조가 되는 왕자의 탄생에 즈음하여 세자와 왕자의 구분을 주장하는 적서구분의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집권남인들이 발설할 수 없는 부분을 유현儒賢으로서 관철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이현일의 산림으로서의 활동은 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인하여 노론이 집권하게 되자 가혹한 보복을 당하게 하는 빌미가 되었다. 이현일이 집요한 노론의 공격을 받게 된 것은 정치적 반대론자로서 노론을 공척攻斥했다는 점은 물론 있었지만, 이현일의 남인산림으로서의 이론적 활동과 무관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현일은 숙종조의 조선사회를 존망存亡의 위기에 처해져 있는 것으로 진단하고, 그 원인으로 ‘사설邪說’이 횡횡하여 공도公道가 무너지고 왕법이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그는 ‘사설’의 핵심이 되는 율곡의 이기론理氣論과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에 대하여 격렬한 비판을 가하였으며, 이는 후에 이현일의 신원을 노론계에서 극력 반대하면서 강상죄인으로 취급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이현일은 1차 남인정권의 성립기 때 유형원의 벗이자 사돈이었던 배상유로부터 『반계수록』의 서문과 아울러 『반계수록』의 개혁안을 실행할 것을 권고 받았다. 사실 이현일은 젊은 시절부터 국가의 ‘경장更張’에 깊은 관심을 갖고 그 실행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중형仲兄 이휘일과 더불어 『홍범연의洪範衍義』를 편찬하는 등 이론적 모색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유형원의 『반계수록』을 접하고 “이고李?의 『평부平賦』나 임훈林勳의 『본정本政』과 같은 책이라도 이보다 낫지 않을 것이며, 그 대체의 규모로 말하더라도 두씨杜氏의 『통전通典』이나 구씨丘氏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에 비해 손색이 없을 것”이라고 칭송하였다. 이휘일의 사망으로 인하여 중단되었던 『홍범연의』의 편찬을 속행하여 숙종 12년 완성하였던 것도 그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이현일은 기사환국 이후 이현일은 산림山林으로 다시 출사하여 화폐유통貨幣流通 및 선사법選士法 등 시정時政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하기도 하였다. 이는 유형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한다. The opinions insisting the reformation of Joseon Dynasty had increased in the 17th century after Imjinyoaeran(壬辰倭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Confucianists in those days sought the strategies of reformation on the base of neo-confucianism. Lee Hyunil was a leading Neo-confucian scholar of the Yeungnam academy(嶺南學派) who was appointed to Sanrim(山林) as Namin Party(南人) came into political power under King Sookjong rule. Lee was raised to Yuil(遺逸)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Namin regime under King Sookjong rule. However, Lee's roles as a Sanlim were not active because Heo Mok(許穆) and Yun Hu(尹?) of Kyeong-Nam(京南) were responsible for another Samlim of Namin regime in those days. The status as a Sanlim of Lee Hyunil was strengthen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Namin regime right after Gisahwanguk(己巳換局). Lee Hyun-il gained the prestige of King Sookjong for his outstanding academic competence in literacy contests after rising to Sanlim in the 15th year of King Sookjong rule. Lee also exonerated Namin Party from a false charge during Gyeongsinhwanguk(庚申換局). Lee raised the dispute about Jeogseoguboon(嫡庶區分) contenting the distinction between a crown prince and princes at the time of birth of a prince who was crowned King Youngjo. Unfortunately Lee's activities as Sanlim were severely retaliated as Noron Party came into rower through Gabsulhwanguk(甲戌換局) in 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 rule. Noron(老論) attacked Lee Hyunil for his academic activities as a Namin Sanlim and his political antagonism against Noron as well. Lee concluded Joseon Dynasty under King Sookjong rule at a critical national fate which was caused by the downfall of king's power as the absolute being and the disorder of national justice in relation to the proliferation of heterodoxy opinions in those days. He criticized that the core of heterodoxy opinions was Yulkog's Igiron(理氣論) and Insimdosimron(人心道心論). Due to Lee's influences on such circumstances in those days, Noron Party resisted severely Lee's exoneration and made him a moral offender. Bae Sangyu(裵尙愈), Yu Hyungwon(柳馨遠)'s friend and relative by marriage, recommended Lee to write the prefaces and new edition of 'Bangyeosurok(磻溪隧錄)' during the first Namin regime. In fact, Lee had been interested in the reform of the society and tried to seek theoretical foundation of action collaborating with Lee Hwil(李徽逸), his brother, for writing of 'Hongbumyeonwi(洪範演義)'. Lee praised that Yu Hyungwon's 'Bangyeosurok' was "better than Lee ao(李?)'s 'Pyeonbu(平賦)' or Lin xun(林勳)'s 'Bonjong(本政)' and was as much as Tu U(杜佑)'s 'Tongjeon(通典)' or Gu(丘)'s 'Daehagyeonwi(大學演義)'." 'Hongbumyeonwi(洪範演義)' that had been stopped by Lee Hwil(李徽逸)'s death was established by such influences at the 12the year of King Sookjong rule, As rising back to Sanlim after Gisahwangok, Lee Hyunil proposed actively administrative policies such as currency reform and official appointment,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Yu Hyunwon.
이현승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2 No.-
When looking at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the phrase "results are limitations"becomes even more relevant.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which until nowhas been carried out with a realist focus, is going through a kind of stand still orrepression due to the expansion of object texts and the repetitiveness of the realistmethodology used in the research. Amongst many causes for this, we must firstfind the problems with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type of examination, thisarticle summed up the problems with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in the followingway. The following is research that still must be done. First, researchers must standardizethe text. Focusing on the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poetry and prose shouldbe gathered seperately. A complete collection of poetry should be published througha systematic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adaptations and discovered texts. The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Lee Yong Ak from both before and after divisioncould act a s a turning point to k ick-start t he s tagnant research. Next, there is a need to progressively overcome both the passive realism andactive lyricism when one states that Lee Yong Ak's poetry lyrically reflects reality. Difficulty that researchers have when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works from afterLee Yong Ak went to North Korea stem from the gap between the Lee's realitythat they were written in and the " reality" in which researchers read them. In orderto overcom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se dualistic realities, researchers mustfirst come up with a universality that can overcome the differences or define the d ifferences c learly. What i s reality? Looking a t the limits of Lee Yong Ak's poetrymay actually be the best way to realize the potential of research on Lee Yong Ak'spoetry. However, it will be important not to become overly enthralled with a schematicapproach in those achievements and limits. Above all, this work must start fromthe confirmation of the consistency and changes in Lee Yong Ak's poetry. However,researchers must not change their standards when analyzing Lee Yong Ak's poetryjust to assure consistency in his poetry.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Lee YongAk's poetry written under the North Korean system, researchers must gather moreinformation regarding the trend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Lee Yong Ak's activityat that time. That doesn't mean there are two standards because poetic reality alwayschallenges the meaning of "reality." 성과가 곧 한계라는 말은 이용악 시 연구사에서 더욱 실감되는 말이다.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축적되어온 이용악의 시 연구는 대상 텍스트의 확대와, 이용악의시에 접근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현실주의적 관점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종의 답보와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반복과 답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축적된 성과 자체를 상대화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우선은 연구의 성과 내부에서도 문제를 찾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찰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이용악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요약하고 그 핵심적인 문제를 압축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용악 시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남기고 있다. 첫째는 이용악 시 텍스트의 정본화작업이 시급하다. 확보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시와 산문을 가려모으고,개작과 발굴작에 대한 체계적인 확보와 정리 작업을 통해서 확장된 시전집을 내놓아야 한다. 분단 이전과 이후로 나뉜 작품들을 합치는 전집발간을 통해서 지지부진한 이용악 시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용악 시가 현실을 서정적으로 반영한다고 할 때의 수동적 현실과능동적 서정성은 각각 발전적으로 극복될 필요가 있다. 월북 이후의 작품에 대한분석과 평가에서 연구자들이 부딪치는 어려움은 이용악의 시를 배태한 현실과 이용악의 시를 읽고 있는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연유한다. 이러한 시차를 극복하기위해서는 차이를 뛰어넘는 보편성만큼이나 차이 자체에 대한 뚜렷한 확인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실이 무엇인가? 이용악 시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이 오히려 이용악 시 연구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다만그 성취와 한계에서 도식적인 접근에 빠지지 않는 유연함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작업은 무엇보다 이용악 시의 일관성과 변화를 확인하는 데에서 출발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용악 시의 일관성을 위해서 체제 내에서 쓰여진 작품에 대한평가 기준이 달라질 수는 없다. 북한 체제 내에서 이용악 시가 갖는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북한 문학의 흐름과 이용악의 활동사항에 대한 더욱 많은 정보들을확보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이중의 기준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적 현실이란 언제나 ‘현실’에 대한 어떤 응전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930년 전후 이여성의 약소민족운동 연구와 민족해방운동론
신용균 ( Yong Kyun Sh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2 사총 Vol.76 No.-
Lee Yeo-seong was a nationalist who served time in prison for participating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was a socialist who developed communism theoretical movement with Il-Wol-Hoe, a political organization operated in 1920 in Tokyo, Japan. Lee became a man of uncommon acquirement in his work on the Minor`s Independence Movement that happened around 1930, which led to 3 books and quite a number of theses and much criticism. Lee`s opus magnum draws attention to 15 different minorities. Through Lee`s work, this thesis examines Lee`s understanding of the Minor`s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1930. Although Lee was a socialist, he approved of the concept of ethnicity, and considered it a driving force for the Nationalism Movement, and as well as the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an independent Korea. Being against autonomism, Lee`s ultimate goal was to achieve the uncompromising independence by the Minor`s Independence Movement. Lee`s Minor`s Independence Movement largely adopted the strategy of United Front from Comintern, although his view of ethnicity an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he initiative of the strategy of the United Front was different than that of the Comintern. Especially, Lee`s turnover regarding the latter took place in 1930. In 1929, he asserted the theory of Proletarian Hegemony after having evaluated India`s Nationalism Movement. However, in 1930, when the Nationalism Movement in India and Vietnam bore some fruits under the initiative of the nationalists, Lee came to express his position. That is, in 1931 at the National United Front, Lee approved of the validity of Nationalism and the leadership of the Nationalists. Such modification was the opposite of Comintern`s December These of 1928. Lee upheld the Line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not accepting the change of the strategic adaptation of the Comintern. Lee also acted as a socialist intellectual in a legitimate capacity without supporting the re-establishment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Lee can be classified as a Nationalism-socialist in the differentiation of socialism in the 1930s. Lee`s National Independence Theory becam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Center-Left for rebuilding the nation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