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유일본 및 희귀본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

        엄태웅 ( Eom Tae-ung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는 유일본 14종과 희귀본 8종이 수록되어 있다. 유일본은 <윤선옥전>, <수륙문답>, <유생전>, <승호상송기>, <양추밀전>, <사명당행록>, <명비전>, <어득강전>, <정각록>, <장선생전>, <추서>, <제읍노정기>, <순금전>, <오일론심기> 등 14종이며, 희귀본은 <왕낭전>, <명배신전>, <서해무릉기>, <최호양문록>, <임시각전>, <다람전>, <장현전>, <마두영전> 등 8종이다. 여기서는 이들 작품을 간략히 소개하며 어떠한 이유에서 유일본 및 희귀본으로 분류되었는지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외에도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여전히 유일본과 희귀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작품이 많이 있음을 주장하기 위해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를 밝혔다. 개성적 이본이 많은 우리 고소설의 특징을 언급하며, 유일본과 희귀본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의 작품(이본)들도 이본이 여러 종 있을 뿐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개성적 면모를 지니고 있음을 환기하였다. 그리고 보존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contains 14 unique and 8 rare editions. The former is < Yoon-seon-ok-jeon >, < Soo-ryook-moon-dap >, < Yoo-saeng-jeon >, < Seung-ho-sang-song-gi >, < Yang-choo-mil-jeon >, < Sa-myeong-dang-haeng-rok >, < Myeong-bi-jeon >, < Eo-deuk-gang-jeon >, < Jeong-gak-rok >, < Jang-seon-saeng-jeon >, < Choo-seo >, < Je-eup-no-jeong-gi >, < Soon-geom-jeon >, < O-il-lon-sim-gi >, the latter is < Wang-nang-jeon >, < Myeong-bae-shin-jeon >, < Seo-hae-moo-reung-gi >, < Choi-ho-yang-moon-rok >, < Im-si-gak-jeon >, < Da-ram-jeon >, < Jang-Hyeon-jeon >, < Ma-doo-yeong-jeon >. Here, we briefly introduce these works and mention why they wer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addition to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a case was presented to assert that there are still many works that can b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s』. Through these works, the cultural valu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were reveale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ur classic novels with many individual versions, and point out that there are several types of works(versions) which are considered unique or rare, and have different individual aspects. The necess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se types of works was once again confirmed.

      •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 완간의 의의 및 후속 작업을 위한 제언

        박은정 ( Park Eun-jeong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이 마침내 완간되었다. 고소설과 관련한 K-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다. 101편의 필사본 작품이 역주본으로 완성되어 일반 독자와 문화 종사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역주본은 단일 기관의 역주 결과물로 가장 방대한 분량이며, 유일본, 희귀본, 최초 역주본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그 가치와 의의가 더욱 크다. 다만, 100선 선정 기준이나 해당 역주본의 가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 제목·해제·현대어역·원문에서 간혹 드러나는 오류 등은 향후 수정·보완이 되었으면 한다. 역주본의 편집과 구성은 연구자용과 일반 독자용의 분책이 최근의 흐름이기는 하나, 이는 간행 취지와 제반 여건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완간 이후 후속 작업으로 역주본 활용을 위한 추가 집필, 학제적 연구 및 문화 생산자와의 협업, 택민국학연구원 홈페이지 활성화, 고소설 문학관 건립 및 프로그램 개발, 정책적 지원 확대 촉구를 제안하였다.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해설의 예시로 1차년도 역주본 중 하나인 <송부인전>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송부인전>은 익숙한 여성 수난담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다소 도식적이고 통속적인 전개 속에 진지한 주제 의식을 담아내고 있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흥미롭게 읽힐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리고 나약하던 여성의 성장 서사이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통해 비혈연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희망의 서사이다. 원형 스토리의 재현 또는 가공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들을 빚어낸다면 새로운 K-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was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It is a very encouraging achievement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of the Korean inspired entertainment movement known as K-Content, that the Korean classic novel is drawing attention. A total of 101 hand-transcribed novels were completely translated and annotated, giving ordinary readers, as well as culture-related researchers, the ability to make good use of the novels included in this translated and annotated collection. This translation and annotation collection is the largest body of work conducted by a single institution, and it has great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many of the novels in the collection are either the only existing versions, rare versions, or the first annotated translations. However, the publication ha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it does not have enough explanations on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100 works, nor does it explain the values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Also, it has a few errors regarding titles, explanatory notes, translation in modern languages, and original texts. The collection should be supplemented and corrected in near future. Though recent trends show that books for ordinary readers and those for researchers are separated in the editing and structuring of the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The decision of whether, and how, to separate must consider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and overall conditions. As for follow-up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hey include additional writing to utilize the translated works, collabo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culture service and goods producers, active use of the Taekmin Academy of Korean Studies’ websit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house for classic novel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rging for more policy supports. As an example of explan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Songbuinjeon, which is one of the first-year annotated translations, is briefly introduced. It is easy to think that Songbuinjeon is a familiar story of a woman’s suffering, but it contains a serious theme in more or less schematic and popular development, and thus it can be read with interest by today’s readers. It is a description of a young and weak woman’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a description of hope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on-blood community through affectionate gazes towar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can be reproduced as an example of good cultural content, if one can create new stories through reappearance or adaption of the original story.

      • KCI등재

        필사본 『四書質疑』의 서지적 분석

        전재동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nuscript in SaSeoGilYi (四書質疑) by lee-duck hong.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materials as objects of analysis : This thesis examines the entire extant SaSeoGilYi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main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version. To this end, by using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tion Information System(KOCIS), we investigate the existing ‘Four Books’ and find out the nature, composition, format,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manuscripts such as the Kyujang Scrip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Korea Institute for the Promotion of Korean Studies. analyzed.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fact that,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known Kyujang script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aseogilYi, there is one more manuscript with the same name in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Agency. In addition, the Gyujang script was found to be the original that was stored in the Hongmungwan around 1679, along with ‘JooyukGilYi(周易質疑)’ and ‘SimKyungjGilYi(心经質疑)’.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the contents of the three manuscripts and the abbreviations were compared roughly in the order of ‘MangjaGilYi(孟子質疑)’, ‘JungyoungGilYi(中庸質疑)’, and ‘DahakGilYi(大學質疑)’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py.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person who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e three manuscripts was Kim Man-Hyu, the great-grandson of Lee Deok-Hong. Also, it was highlighted that the Gyujang script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re of the same series, and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Original has many different contents, separate from the two types. 이 논문은 전존하는 『사서질의(四書質疑)』를 전수 조사하여 주요 자료의 성격과 수록 내용을 검토하고, 필사본 『사서질의』와 『간재집(艮齋集)』에 수록된 「사서질의」의 차이 및 각 이본들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고문헌종합목록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전존되는 『사서질의(四書質疑)』를 조사하고, 규장각본, 국립중앙도서관본, 한국국학진흥원본 등 주요 필사본의 성격과 구성, 체재,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알려진 규장각본과 국립중앙도서관본 『사서질의』 외에도 한국국학진흥원에 동일한 제명(題名)의 필사본이 한 종 더 있음을 조명하였다. 아울러 규장각본은 『주역질의(周易質疑)』 및 『심경질의(心經質疑)』와 더불어 1679년 무렵에 홍문관에 수장되었던 본임을 구명하고, 새로 발굴된 한국국학진흥원본은 『간재집』 속집에 편입된 「사서질의」의 대본임을 밝혔다. 논의 진행 과정에서 3종의 필사본과 속집본의 수록 내용을 「맹자질의」, 「중용질의」, 「대학질의」의 순으로 개략적으로 비교하여 각 이본들의 차이점과 특징을 분석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3종의 필사본이 전승되는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은 이덕홍의 외증손 김만휴였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규장각본과 국립중앙도서관본이 동일한 계열이며, 한국국학진흥원본은 2종과는 별개로 수록 내용에 상이한 부분이 많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류해춘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Donghak began in 1860 by Choi Je-woo (崔濟愚, 1824~1864), a Suun (水雲).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lost its ability to lead the country, with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politics,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untry, and the function of the state collapsed. The policy of patriotism and security can be found in Donghak's scriptures, Yongdam Yusa(용담유사) and Eastern Bible(동경대전) . These books express concerns internally about the contradiction of the system in Joseon society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studies as a religion in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externally express concerns about the invasion of East Asia by Western powers. The lyrics written in Korean, Yongdamyusa(龍潭諭詞) , include 「Yongdamga」(龍潭歌, 1860), 「Ansim song」(安心歌, 1861), 「Lesson song」 (敎訓歌, 1861), 「Dosusa」(道修詞, 1861), 「Gwonhakga」(勸學歌, 1861), 「Mongjungnosomundabga」(夢中老少問答歌, 1862), 「Moral song」(道德歌, 1863), 「Heungbi (興比歌, 1863), etc. Donghak lyrics are being passed on. Eastern Bible ,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cludes 「Podeokmun」(布德文, 1861), 「Theory of Donghak」(東學論, 1862), 「Sudeokmun」(修德文), 1862) and 「Buyeongiyeon」(不然其然, 1863), etc.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1860s was a series of very chaotic situations.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fact that China allowed the propagation of Western studies was accepted by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as a major crisis in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Choi Je-woo(최제우) founded Donghak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ropagation of Western learning was allowed in China through the Beijing Treaty. The same family as Hangeul homonyms of the citizens of the homeland 1. Patriotic Anmin (輔國安民):Helping the country with allegiance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2. Patriotic People (保國安民):Protect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3. Patriotic Anmin (報國安民):To repay the country's favor and bring peace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1894), the proposition “Jepok-gumin”(除暴救民) appeared as the flag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a metonymy meaning of “patriotic people(보국안민)” and was used together as a slogan for the revolutionary army along with Patriotic Anmin(輔國安民). 최제우는 1860년 동학(東學)을 창도(創道)할 시기에 교도들의 명첩(名帖)에 실천할 계명(誡命)을 적어 주었다. 그 내용은 첫 머리에 용담연원(龍潭淵源), 검악포덕(劍岳布德)이라는 8자를 쓰고, 끝에는 대자특서(大字特書)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 광제창생(廣濟蒼生)’이라는 실현정책을 기록하였다. 여기서 용담(龍潭)은 수운(水雲) 최제우(1824~1864)를 뜻하고, 검악(劒岳)은 해월(海月) 최시형(1827~1898)을 의미한다. 즉, 수운이 동학을 창도하여 근원을 이루고, 해월이 널리 덕을 베풀어 포교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학은 창도할 때부터 대외적으로 서구열강의 동아시아 침탈에 대한 걱정을 표출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의 실현정책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국(輔國)에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위태로운 국가를 도와서 국가를 개혁해야 하는 상황을, 안민(安民)에는 백성들의 편안함을 추구하여 만민의 평등함을 주장하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담보하고 있다. 수운 최제우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서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동학의 이념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국가존립의 실현정책으로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주장하였고, 사회복지의 실현정책으로 광제창생(廣濟蒼生)을 강조였으며, 종교문화의 실천정책으로 포덕천하(布德天下)라는 명제를 내세웠다. 이처럼 동학은 국가와 사회를 개혁하고 보국안민 즉, 제폭구민(濟暴救民)을 실현하는 정책을 내세워 민중들이 참여하는 동학농민운동의 미래를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학에 나타난 최제우의 보국안민이라는 명제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 담겨있는 가장 중요한 실현정책이며, 20세기 이후에는 일본의 침탈로부터 한국사회의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의미이며 그 수사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嶺南 南人 散文 연구를 위한 試論적 접근-雜著 수록 散文을 중심으로-

        한의숭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is paper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grasp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 of prose works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 prose included in the miscellaneous writings of Yeong-nam Nam-in anthology has a side that asks for reflection on what researche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rough status of the prose data in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and pointed out several points that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is noted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prose. First, in the case of prose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works borrowed from the mythical writing method are included. Th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eality of Yeong-nam Nam-in and the way they writ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lewd writing method was summoned in a way that could easily digest the literary outburst of Yeong-nam Nam-in's self-consciousness, worldview, and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the time. Second, many animals and anthropomorphic objects have been found as the subject of writing. Prose works represented by ‘Dong-mul-seol’ show that they are being used in an important way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in a roundabout way among various writings. Third, it is confirmed that many of the works appear in the prose of Han yu and Yoo Jong-won, which are typical of the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is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exemplum virtutis sentence learning of Han Yu and Yoo Jong-w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allegory of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paper has a poetic nature of seeking perspective and direction to clarify the overall nature of Yeong-nam Nam-in prose, which has not been spotlighted so far,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prose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 is an aspect of focusing on finding and organizing data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or introduced. This point will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through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several research direc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현황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영남 남인 문집 잡저 항목에 수록된 산문은 그동안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에 대해 반성을 요청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 자료를 정리하여 대략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의 중요한 성격으로 주목되는 점을 몇 가지 짚어보았다. 첫째,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의 경우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차용된 작품이 다수 수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영남 남인의 정치적 현실과 글쓰기 방식의 연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남 남인의 자의식과 세계관, 당대 정치사회현실에 대한 문학적 분출을 용이하게 소화할 수 있는 양식으로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소환된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글쓰기의 소재로 동물과 의인화된 사물 등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동물설로 대표되는 산문 작품은 다양한 글쓰기 가운데 우회적 방식으로 내면을 토로하는 데 중요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당송고문가의 전형인 한유와 유종원 산문을 의작한 것이 잡저 수록 산문에 다수 등장하는 게 확인된다. 이는 한유와 유종원이라는 당송고문가의 전범적 문장 학습을 위해 습작한 것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당송고문가의 문장이 가진 우언성을 활용하려는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통해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영남 남인 산문의 전체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때문에 자료에 대한 깊이있는 해석에 중점을 두기보다, 그동안 발굴, 소개되지 않았던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데 집중한 측면이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고에서 제시된 몇 가지 연구 방향을 바탕으로 추후 보다 정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김재웅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ext analysi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eight types of “Chunhyangjeon” manuscripts in the Chungcheong area to examine the literary response of manuscripts. As a result for reviewing the eight manuscripts,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was continued for manuscripts, not for Banggak or typography. These works have been used as the texts of “Byoulchunhyangjeon” affiation for 13 years from 1909 to 1922. From the Gaehwagil(a period of transition to a modern socie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radition of writing “Chunhyangjeon” continued, but after that, it is thought that it changed from handwriting it to reading it. The scribes of “Chunhyangjeon” are mostly women (6 types). The predominance of female scribes is similar to that of Yeongnam, but it shows differences from Honam. “Chunhyangjeon” was transcribed during the rest of farming with concentration. This is because during the rest of farming, there was a time that women from poor sunbi families could learn Hangul. The transcription tradition and literary response reflect the regional culture of Chungcheong. First, the scribes from the Chungcheong region prefe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entered stories and the characters of reading materials through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Second, the begining of the work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work that Yidoryeong appears first. The works with Confucian rewards for Chunhyang's chastity at the end are quite poor. Third, the part of Saranga(Love song) is shortened, but Ibyeoulga(farewell song) is expand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men from Sunbi families have changed the text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love and expangind farewell. Fourth, alo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Chunhyang's dream in prison, there is a wealth of lamentation over the new life and the sexual desire of Bongsa(a blind man) who grops through Chunhyang's body. Fifth, Yi Mong-ryong's pass of the government examination has been reduced, while his performance as a secret royal inspector has been expanded. Nevertheless, the scribes in the Chungcheong region focuses on dramatic reunion between Yi Mong-ryong and Chunhyang without punishing Byun Hak-do. In the above,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the literary response of the scrib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Yeongnam region, while they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nam region. Literary value can be given in that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Chunhyangjeon” are grasped. 충청 지역 필사본 <춘향전> 8종에 대하여 텍스트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국문본 <춘향전> 이본을 검토한 결과 방각본이나 활자본이 아닌 필사본을 대상으로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다. 이 작품들은 1909~1922년까지 13년간 ‘별춘향전’계열을 텍스트로 활용하고 있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지만 그 이후에는 필사에서 독서로 향유문화가 변모한 것으로 생각된다. <춘향전> 필사자는 남성보다 여성(6종)이 풍부하다. 여성 필사자가 풍부한 것은 영남과 유사하지만 호남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도 농한기에 집중적으로 필사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가난한 선비집안 여성들이 농한기를 이용하여 언문을 배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문학적 대응은 충청 지역문화를 반영한다. 첫째, 충청 지역 필사자는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통해서 이야기 중심의 서사 전개와 독서물적 성격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작품의 서두는 이도령이 먼저 등장하는 초기본의 성격을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은 춘향의 정절에 대한 유교적 보상이 첨가된 작품이 상당히 빈약하게 나타난다. 셋째, 사랑가 대목이 축소된 반면에 이별가 대목은 확장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집안 여성들이 사랑가를 축약하고 이별가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텍스트를 변모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춘향의 옥중 해몽과 함께 봉사의 신세 한탄 및 춘향의 몸을 더듬는 봉사의 성적 욕망이 풍부하다. 다섯째, 이몽룡의 과거급제는 축소된 반면에 암행어사로서 관직을 수행은 확장되어 있다. 그럼에도 암행어사가 변학도를 처벌하지 않으면서도 춘향과의 극적 상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상에서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영남 지역과 유사한 반면에 호남 지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춘향전>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간재시에 나타난 학문 인식

        이정화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Ganjae(艮齋) and Wolcheon(月川) were in a pivotal position in succeeding the academic circle with Toegye(退溪)'s teachings. He had many friends who communicated with his studies. His poems contain his will to control his mind and complete his studies. He said that many mistakes were made in his childhood because he did not practice Confucius' teachings. In order to complete the life of a true Confucian scholar, he endured a poor life and devoted himself to scholarship. The main job of Confucian scholars is to educate their disciple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there must be a passion for scholarship. Ganjae did not forget the teachings of the teacher who led him right and he made this mind. He deeply learned Confucius's scholarship by devoting himself to scholarship. His efforts toward scholarship were not related to wealth because it was not intended to save the government. Ganjae's efforts are aimed at spiritual values such as inner maturity. Ganjae was delighted that learning developed day by day. Ganjae cherished respect and loyalty. His heart was devoted to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He had academic achievement in his will to strengthen his mental strength. Academic achievement comes from internal affairs. 간재는 월천(月川) 조목(趙穆)과 함께 퇴계의 가르침으로 학맥을 계승하는 일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간재는 학문으로 교감을 이룬 도우(道友)인 월천과 도봉서원의 사당에 참배하였던 일을 계기로 그때의 감회를 표출하였는데, 이곳에 배향된 정암(靜庵)의 도심(道心)을 계수나무 향기로 형상화한 것이 특징적이다. 유자의 사업은 강학(講學)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문에의 열의가 있어야 한다. 간재는 어린 시절에 과실(過失)로 이어진 세월로 점철되었음을 스승인 퇴계에게 고백하였다. 제자를 바르게 이끌어준 스승의 독려에 힘입어 간재는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으로써 성학(聖學)을 깊이 체득하게 된다. 그가 아침저녁으로 노력하는 것은 벼슬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므로 부귀영화와는 상관없는 것이었다. 간재의 노력은 내면적 성숙을 위시한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는 것이어서 성학(聖學)을 근간으로 하는 것이다. <학문을 하는 것에 대하여(爲學)>를 통해 간재는 학문이 나날이 진일보하는 것이 학자의 기쁨임을 보여주었다. 간재는 경(敬)과 의(義)야말로 유자가 실천해야 할 덕목임을 시화하였다. 간재시에 내재된 경의(敬義)의 도는 지행합일의 학문을 추구할 수 있는 마음과 무관하지 않다. 스스로의 행실은 거경(居敬)으로 다스리며 애써 배운 학문을 잘 실천하는 것이 그가 견지한 유도(儒道)의 이치였다. <가을밤 퇴계 선생 시에 차운하다(秋夜次退溪先生韻)>에서는 몽매한 자신을 밝혀주는 것은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임을 나타내었다. 절차탁마(切磋琢磨)함으로써 충만해진 자신의 내면과 거기로부터 우러나오는 기상이 간재시에 투영되어 있다. 그의 학문적 성취는 절마(切磨)의 내공(內工)에서 비롯되었는데, 예로부터 고결한 성현들은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였다. <백문세의 시에 차운하다(次白文世韻)>를 통해 이익과 명성을 위한 학문이 아닌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하는 것이 고명(高明)한 내면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김언우 부필…(與金彦遇 富弼…)>를 통해 간재가 동문수학한 도우와 함께 절차탁마하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감포에서 날이 쾌청하여…(甘浦喜日晴…)>에서는 절차탁마하는 노력에 의해 거울 같이 청징한 마음을 견지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15세기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

        류해춘 ( Hae Choon Ryoo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15세기의 시가문학은 관료출신의 사대부들이 주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관료출신 작가들은 출처의식(出處意識)이 뚜렷하여 관계에 나아가서는 경국제민(經國濟民)하면서 나라와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관료생활을 마치고 산수자연으로 돌아와서는 수신제가(修身齊家)하면서 유유자적(悠悠自適)하게 전원생활을 하였다. 이 시기 시가문학의 주요한 작가로는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맹사성 황희 정극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시가문학의 변화와 개혁을 선도하면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작가가 관료생활을 마치고 전원생활을 노래하면서 산수자연과 정치현실의 조화로움을 임금의 은혜라고 주장하면서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담고 있으며, 인세홍진과 안빈낙도를 풍류생활로 노래하는 정극인의 「상춘곡」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는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녹색생존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고, 벼슬살이를 마치고 산수자연에서 여가생활과 풍류생활을 하면서 삶의 체험을 노래하는 황희의 「사시가」는 ‘자연을 활용하자.’라는 녹색실용주의의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자연시가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양상을 분석하여 15세기 사대부가 산수자연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관점을 변별하여 자연시가를 연구하는 시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주요한 몇 국면을 추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녹색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은 현대사회의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시각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을 함께 포괄하고 있으며, 15세기 시가문학에 나타난 관인문학과 처사문학의 시각과 견해를 21세기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의 철학적 근원과 그 연관성을 찾아내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In 15th century literary Siga Literature has gentry of officials who are said to be led. As the leading writers of this period is the author of bureaucratic and as is headed by managing outgoing consciousness is evident to further the relationship and live well the people govern the country comfortably the country and people, after a bureaucratic life back into the nature power was living with foster their bodies. During this period Siga Literature leading writer of literatur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s literary history is to emerge, such as Maeng Sa Seong (1360-1438), Hwang Hui (1363-1452), Jeong Geuk In (1401-1481) was leading the reform of the Siga Literature . The meaning of green discourse that 「Ganghosasiga」of Maeng Sa seong to claim the eternal harmony of nature and reality presented in these works, which contain the views of the green romanticism of ‘Let``s go back to nature!’, A tasteful living with nature Hwang Hui claimed that the harmony of 「Sasiga」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pragmatism of ``Let``s take advantage of nature!‘. Of the positive singing into lives enjoying the poor with the eternity to follow the truth 「Sangchungok」is ’Let symbiosis with nature!‘.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need to coexist 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surviving attention. Green Consciousness in the 15th century nature Siga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work of artists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man and the subject itself is a very important debate. Here determine the meaning of green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ooked at the green Siga natural difference shown in the bureaucratic Consciousness and the Cheosa Consciousness of Literature in the Siga

      • KCI등재

        徐居正의 『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시선과 의미

        한의숭 ( Han Eui-soong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본고는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일화에 반영된 시선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는 조선 전기 훈구 문인을 대표하는 서거정의 傳聞 경험이 노년기 저작에서 소화로 표출된 방식을 통해 웃음에 내장된 다기한 의미 가운데 정치성의 측면을 포착한 것에 해당된다. 이 경우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유발된 웃음은 단지 인물을 희화화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으며, 전통시대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작동된 위계와 권력의 문제를 포착할 수 있다. 일단 남녀의 구도에 있어서 사납고 투기적이며 영악한 여성과 소심하고 나약하며 어리숙한 남성의 형상이 대비적으로 설정되며, 그 관계의 끝은 남성의 실기로 마무리된다. 사회적 위계 질서에 입각한 남성과 여성의 구도가 전복되고 있는 점에서 일견 금기를 건드려서 웃음을 유발하는 게 간취된다. 이러한 남녀 구도 설정은 다분히 일상 생활에 기반한 민중적 성향이 엿보인다. 생활 주변에서 볼법한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일상을 적극적으로 끌어왔는데, 사회적 위계 질서가 명징하게 작동되어야 하는 상층 계급의 부부관계가 희화된 상황으로 그려지는 것은 위계에서 이탈하여 대중의 웃음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종의 자기 비하나 모순적 태도로 보일 만큼 주도권을 쥔 남성성의 표출이 드러나지 않는 게 특징적이다. 하지만 웃음의 요인인 남녀 구도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위에 있는 듯한 형상은 전통시대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여성성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태평한화골계전』에 형상화된 여성은 정숙한 여성이 아닌 사납고 투기를 부리는 부정적 여성상에 견인되어 있다. 서사의 전개 과정에서 여성이 우위에 서서 물리력을 행사하고 이에 대해 남성이 쩔쩔 매는 형상은 전복적이기까지 하다. 이점은 『태평한화골계전』에 형상화된 남성과 여성이 일반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을 전시하는 것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성성과 여성성이 희화화되면서 예상 가능한 전형성에 균열을 내는 것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물론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설정으로 이해되긴 하나 성적 위계의 전복 또는 역설의 형상은 그 자체가 폭발성을 담지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웃음을 통해 수직적 계급에서 수평적 인간으로 공감을 유도할지라도 사나운 여성과 유약한 남성의 구도를 통해 여성에 대한 비판과 남성에 대한 연민을 자아내는 결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웃음의 의도는 수평을 지향하지 않는 정치성을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이해가 심화, 확장되었을 때 『태평한화골계전』을 비롯한 조선 초기 소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 변화를 시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clarify the gaze and meaning reflected in anecdot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This corresponds to the capture of the aspect of politics among the various meanings embedded in laughter through the way Seo Geo-jeong's professional experience representing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xpressed in his old-age work. In this case, the laughter indu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does not stop at merely parodying characters, but captures the problems of hierarchy and power that worke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First, in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the figures of fierce, speculative, clever women and timid, weak, and foolish men are set in contrast, and the end of the relationship ends with the practice of men. Given that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based on the social hierarchy is being overthrown, it is easy to provoke laughter by touching taboos at first glance. The setting of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shows a popular tendency based on daily life. It has actively attracted realistic and realistic daily lives that can be seen around life, and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in the upper class, which requires a clear social hierarchy, is portrayed as a caricature shows that it can be used as a laughing matter for the public. It i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expression of masculinity that takes the initiative enough to appear as a kind of self-deprecating or contradictory attitude. However, the figure in which women seem to have superiority over men in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which is a factor of laughter, is problematic in that it deviates from the typical femininity required for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The woman embodied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is not a quiet woman, but is driven by a fierce and speculative negative woman.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the figure of women exercising physical force and men being embarrassed about it is even subversive. This shows that men and women embodied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are moving away from exhibiting general masculinity and femininity. As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caricatured, they are reproduced as cracks in predictable stereotypes. Of course, it is understood as a setting to induce laughter, but the shape of the subversion or paradox of sexual hierarchy itself supports explosiveness. Therefore, even if empathy is induced from a vertical class to a horizontal human through laughter, the intention of laughter implies politics that does not aim for horizontality in that it results in criticism of women and compassion for men through the composition of fierce women and weak men. When this understanding is deepened and expanded, a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to diges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can be attempted. This paper was designed to try to change this perspectiv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