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환경교육 경험 및 요구 조사

        주형선,김남수,전푸름,이선경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sess their nee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groups. First, the sample was prepared by selec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Nex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7 and 2020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online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shown to be interested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As for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nternet’ and ‘school class or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groups. Second, ‘climate change/climate crises’ among environmental issues provided in schools got the overall highest rate of learning. Regarding pedagog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lecture’ was the most popular, which was high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environmental issues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from school in the future’ were not only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but also ‘water crisis’, ‘ecosyste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city.’ In addition, they hop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and be ‘inclu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nts’ as well as ‘regular classes’ a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ystematic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classes and school life. It was propos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plan to secure ti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expand student-participator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s as well. 본 연구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의 주요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환경․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두 집단이었다. 우선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을 모집단을 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17년∼2020년 사이 환경부의 환경교육 지원 사업에 참여한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2020년 11월∼12월 사이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사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사안에 대해 정보를 얻는 방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과 ‘학교 수업이나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 배운 적이 있는 환경 사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후변화/기후위기’를 학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환경 사안을 학습한 방법’은 ‘강의’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더 높았다. 셋째, ‘학교에서 앞으로 배우고 싶은 환경 사안’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물 위기’, ‘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도시’ 등 다양했다. 또한, 학교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에 환경교육 포함’, ‘환경축제, 행사 개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수업과 학교생활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환경 사안 상호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할 것,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것, 학생 참여형 환경교육을 확대할 것,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을 꾸준히 시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학교환경교육 현황 조사 연구

        이성희,조성화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in Korea.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Does the school have enough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ise? Does the school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Korea well equipp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ies?” The researchers sent questionnaires to 17 educational and support agencies for research. Korean elementary schools have more than 130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106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and elab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by utilizing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in schools. There are 1,503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ffline environment training course, and 2,160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course. This is less than 1% of all teachers in Korea. The percentage of students choosing environmental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s very low, and that of high schools even lower than in 2016. Most Education Support Offices have independent environmental education plan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rocess and confirm the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dedic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past, environmental education budget is also increasing gradu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점(2018년)에서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확보되었는가?,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충분한가?, 학교환경교육 정책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 교사 중 약 130명 정도가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추정되며, 중등 교사의 경우 106명이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간 환경교육 관련 연수에 참여한 교사는 오프라인 연수의 경우 1,503명, 온라인 연수의 경우 2,1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교사의 1% 미만으로, 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과를 통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비율 역시 8.4%로 낮게 나타났다. 16개 시, 도교육청에서 독립적인 환경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환경교육 계획 수립은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후에는 환경교육 계획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인력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환경교육 만을 전담하는 전담 인력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환경교육 예산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아직까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고 있고,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독립교과를 제외하고는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으며, 정책적 측면의 경우 인력과 예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경학교의 지속성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충청북도교육청의 ‘초록학교’ 사업 참여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희진,남영숙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2

        Despite the repeated raising of questio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projects implemented for front-line schools, systematic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continued environmental school activiti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education offices in a situation where schools do not have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 school project compulsorily, through a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e of the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al schools that teachers think is revealed to be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participation culture that pursues the ess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mean that budget support-oriented environmental school policy projects should focus more on the educational essence, that is, the arousal of interest in the educational meaning of environmental school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making efforts to form a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ulture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community level toward the internaliz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al schools. 일선 학교를 대상으로 시행된 학교 환경교육 정책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반복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 학교가 의무적으로 환경학교 사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지역교육청의 사업 참여를 통해 환경학교 활동을 지속하였던 교사들의 경험을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환경학교 지속성의 핵심은 ‘환경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공동체 참여 문화 형성’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산 지원 중심의 환경학교 정책사업은 교육적 본질, 즉 환경학교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관심 환기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환경학교의 자발적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환경 교육의 내실화를 향한 개인 ․ 학교 ․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 환경교육 문화 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환경보전시범학교 지원 사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이선경,김대희,김인호,정철,정수정,이재영,김남수,김수연,조은정,최인미 한국환경교육학회 2006 環境 敎育 Vol.19 No.3

        Since 1985,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suppor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through Environment Conservation Model School initiative. Selected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kindergartens were designated as model schools for 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s every 2 years to develop model cases that can be adopted at other schools to promote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supporting programs played a central role in developing an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for formal schools and enhanc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es of environment conservation model schools and support to environment conservation model school initiatives which have created basic framework to enable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study, documents and reports from 1985 및 제언본 연구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틀을 형성하는데 기여해 온 환경보전시범학교 지원 사업의 현황과 실태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적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보전시범학교 지원 사업의 진단은 크게 사업의 목적, 운영의 기본 방향, 지원 방식, 선정 방식, 운영 내용 및 방식, 평가와 모니터링 영역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었으며, 이들 결과에 기초하여 환경보전시범학교 지원 사업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개선 방안의 전체적 방향은 지속가능성 지향,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 학교 내 구성원의 역량 강화, 운영을 위한 지원 체계 강화, 시범과 확산을 위한 노력, 지속성의 확보, 지원 사업에 따른 평가 목적 및 기준의 차등화, 환경부(청), 교육부(청), 지자체, 환경 단체 등과의 협력 체계 강화, 환경교육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사업의 기본 방향을 기존의 “청소년의 환경 가치관 정립과 환경 보전 활동 우수 사례의 개발보급”에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하여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환경교육 우수 사례의 개발보급정착”으로 전환하고 이 사업에서 사용되던 환경보전시범학교를 ‘환경교육시범학교’로 변경하여 환경보전은 물론 지속 가능성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운영 지침별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환경부의 환경교육 지원 사업은 환경보전시범학교 이외에도 체험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이 있다. 일선 학교는 환경보전시범학교 지원 사업과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에 모두 참여할 수 있어서 두 지원 사업이 중복되거나 그 성과가 제대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의 통합적인 접근이라는 면에서도 두 사업 사이의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필요에 의해 현재의 이분화 되어 있는 사업의 상호 협력 필요성에 따라 소극적, 적극적, 장기적의 3단계로 연계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그 중 소극적 연계 방안은 현재와 같이 이분화 된 지원 사업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환경교육 코디네이터(또는 관리자)가 중간자적 입장에서 필요한 곳에 학교와 지역 환경단체 등을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담당함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다. 적극적 연계 방안은 두 사업을 통합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명칭을 개정하고(가칭 환경교육 지원 사업 등), 전국적인 네트워크 사업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장기적 연계 방안은 두 사업을 “환경교육 지원 사업”으로 통합하고 규모인력예산 등을 크게 확대하여 환경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기반 조성 사업과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 사회 환경교육 지원 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하는 방안이다. 이상의 개선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가 될 것이다. 환경교육 사업 지원에 대한 기업 및 민간 재단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과 함께 국가 환경교육 혁신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방안의 적용 및 수행 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 작업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학 창의적 생산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안도희(Doehee Ahn),조석희(Seokhee Cho)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가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창의적 생산성에 대한 직·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국 소재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 총 442명이었다. 이들의 연령범위는 만 21세~42.83세 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376명(85.07%), 여자가 66명(14.93%)이었다. 본 연구결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수업 환경은 지적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를 거쳐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업 환경은 과학태도와 학업성취를 거치는 경로와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거치는 경로를 통해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학업성취,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는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고 졸업생들이 성인이 되어 창의적 생산성을 발휘하는데 있어 특히 학교 수업환경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과학고등학교의 학교수업이 선택 폭이 넓고, 도전적이고, 흥미롭고,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될수록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가 높아져서, 성인기의 창의적 생산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fer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relationships among correlated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family processes, classroom quality,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predict creative produ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tness of hypothesized model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442 South Korean science high schools aged from 21 to 42.83 and majority of male (N=376) graduates. Family processes and classroom quality showed positive effects for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Classroom quality 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tal effects on creative productivity was manifested the most by academic achievement, then classroom quality, science attitudes, intelligence and the least by family processes.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essential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challenges, choices, interest, and meaning in their learning classes. To study the model with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is warranted.

      • KCI등재

        학교 환경교육 강화를 통한 가정의 에너지 절감 효과

        이진권 ( Jin Kwo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1

        환경교육은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가 지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환경교육시범학교 제도의 운영은 환경교육 강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연실험(natural experiment) 환경을 제공한다. 2011년 14차 환경교육시범학교로 지정된 학교 학생들의 가구와 인근 지역의 비시범학교 학생들의 가구에 대한 수도요금, 전기요금, 가스요금의 제 요금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의 강화가 학생들 가정에서의 에너지 절감에 단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difference-in-difference 추정을 통해 분석한다. 환경교육시범학교 지정을 통한 환경교육의 강화는 대상 가구의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비시범학교 대상 가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절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환경교육의 강화가 대상 가구에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도 에너지 절감 행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nvironment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way to deal with the climate change. The school policy concentrat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has been established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rovides an environment for natural experiment, examining the effect of reinforcing environmental education at schools on the energy-saving behaviours observed in the households concerned. We investigated the impact by apply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asure to various utilities including water, electricity and gas between the households with children whose schools were designated as pilot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s in 2011 and the households with children attending general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useholds with children attending the pilot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s paid lower electricity and gas costs. This implie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vided at schools can indirectly affect the household energy saving behaviour and in turn reduce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in a short time.

      • KCI등재

        학교급식 친환경쌀의 구매 결정 요인 분석 -고성 생명환경쌀 사례를 중심으로

        신영식,전상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농촌경제 Vol.36 No.2

        본 연구는 고성군에서 생산되는 생명환경쌀에 대한 학교급식의 구매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초?중?고 50개 학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분석을 통하여 고성 생명환경쌀에 대한 학교급식의 구매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명변수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 수준, 급식 형태, 급식소 사용 쌀 가격, 지역(학교 위치), 쌀의 조달 방법, GAP 마크와 친환경 마크 확인 여부 등의 변수들이 학교급식에서 생명환경쌀 구매 여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쌀 구매에 대한 급식업체의 주요 결정요인은 가격대비 맛과 품질의 일관성이다(이계임 등 2003). 반면, 본 연구결과 친환경쌀에 대한 학교급식 구매는 예산지원 여부, 급식 형태, 가격, 지리적 위치(이는 각 지자체에서 지역에서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을 조례 등을 통해 학교급식에 반영하고 있기 때문임), 고품질(단순한 품질의 일관성이 아닌 고품질을 선호)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쌀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차분석이 갖는 한계인 다른 설명변수들의 영향력을 배제시키기 위해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생명환경쌀의 구매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설명변수들 중 ‘GAP 마크’, ‘지역(학교 위치)’, ‘학교 수준’과 ‘조달 방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나머지 변수들의 유의성은 낮게 추정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해서 해석 하면, GAP 마크를 확인할수록, 고성에 인접하거나 둘러싸인 지역일수록, 초등학교(중?고등 대비)일수록, 쌀을 직접 조달할수록(급식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것 대비), 학교급식에서 고성 생명환경쌀이 구매될 확률은 높게 나타났다. 설명변수들의 한계 효과를 구한 결과, GAP 마크 확인(55.2%), 학교 수준(초등학교, 45.7%), 고성인접지역(40.8%), 조달 방법(직접조달, 32.7%), 급식 형태(무상급식, 24.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의미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최근에 지자체별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생산을 늘리고 이와 더불어 그에 대한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고심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중 친환경쌀 브랜드 중 하나인 고성 생명환경쌀에 대하여 구매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볼 때, 학교급식에서 친환경쌀을 구매하는 데 중요한 요인은 GAP 마크, 학교의 지리적 위치, 쌀의 조달 방법, 급식 형태 등이다. 따라서 각 지자체에서는 지자체 생산 친환경 농산물을 학교 급식에 판매할 때, 이러한 요인들을 염두에 두고 판매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자체가 어떠한 대응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첫째, 연구 결과를 고성 생명환경쌀과 고성군에 국한하여 보자. 향후 고성 생명환경쌀에 대한 학교급식에서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먼저 고성인접지역(고성, 거제, 통영) 학교에 대한 홍보와 판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들 지역들은 고성 생명환경쌀 브랜드에 의해 지리적으로 경남 다른 지역의 쌀 브랜드(산청 메뚜기쌀, 남해 다랭이쌀, 창녕 가시연꽃쌀, 김해 5℃ 이온쌀, 합천 우렁이쌀 등)들로부터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시장 공략이 용이하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판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내 소비자들에 대한 홍보와 판매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조례 제정 등을 통해 로컬푸드의 개념을 빌어 그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그 지역 학교급식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GAP 마크를 확인하는 학교일수록 구매 확률이 높기 때문에 향후 친환경 농산물의 판매증대를 위해서는 이러한 마크 획득에 대한 홍보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홍보를 위해 유통 채널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학교급식 외에 직거래, 인터넷 쇼핑몰, 일반유통업체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소비자 충성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파워블로그와 같은 인터넷 공간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셋째, 급식을 직접 조달하는 학교일수록 생명환경쌀의 구매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직접 조달 급식학교와의 직거래 관계를 넓혀 갈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급식 구매에서 영양교사의 의견이 중요하므로 영양 교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요구사항 반영은 중요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영양교사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영양교사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그에 걸맞은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중?고등학교에 비해 초등학교에서의 구매 확률이 높기 때문에 초등학교 급식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서 판매 확대를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나아가, 초?중?고등학생의 연령대에 맞는 친환경쌀 가공품을 적극 개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for school meals, especially focusing on Goseong`s Life Environment Rice. To obtain the data, 50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were chosen for survey. A cross frequency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decide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for school meals. Also, a logit model is used to find a model that fits the survey data and to calculate marginal effects of several key variables. The study finds that key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rice for school meals are the GAP mark, geographical environment, grade, and marketing channel. This study can be used for Goseong-gun to set up a plan to increase the demand for Goseong`s Life Environment Rice.

      • KCI등재

        친환경 학교 공간의 환경교육적 의미와 활용: 녹색건축인증 학교를 중심으로

        문희수(Hyesoo Moon),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최근 환경교육이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면서 학교의 물리적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새롭게 조성하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 기준에 맞는 학교 신축이나 리모델링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인증 받은 학교 시설과 공간의 환경교육적인 활용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질적사례연구를 통해서 최고 등급의 녹색건축인증을 받은 친환경 학교 두 곳을 대상으로 시설과 공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활용 현황을 학교 전체적 접근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친환경학교 건축의 환경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야외 생태 공간에 비해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실내 건축요소는 사용자가 잘 인식하지 못했고, 교육적 활용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친환경 건축요소의 교육적 활용은 학교거버넌스,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지역사회 파트너십, 학교 문화에 따라 학교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향후 확대될 친환경 학교건축물이 환경 교육적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제도개선과 함께 건물 설계와 유지·관리 주체로서 건물 사용자인 교사와 학생의 참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Recently, as environmental education pursues sustainability, new 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schools that meet the standards of the G-SEED have been made in an effort to create a new and eco-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certified school facilities and spac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ed at two eco-friendly schools that received the highest grade of G-SE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plored by highlighting users’ percep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spaces from a perspective of the whole-school approach.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designing renewable energy and eco-friendly indoor building elements was not well recognized by users and their educational use was not carried out except for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s. The educational use of eco-friendly architectural elements of schools was different for each school according to school governanc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mmunity partnerships, and school culture. In order for eco-friendly school buildings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to have environmental educational significance,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institutions and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uilding users is important as a subject of building design, maintenance, and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 환경과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및 학업 중단간의 관계 분석

        정동욱,김영식,양민석,이성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noxious environment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 (SEHPZ)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of individual school,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ntemporary SEHPZ System. Little is known about the link between noxious environment and students’ problem behavior in Korean literature. In doing so, we made a unpreceded attempt to reveal the linkage between those two factors. More specifically, using complete data of the noxious environment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roblem behavior at Individual school level, we have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y employ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negative binominal distribution. Our results show that if noxious environment is more intensified, the number of students involved in school violence and school dropout would be increasing, which mean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oxious environment around school area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noxious facilities or businesses in the SEPHZ are harmful enough to give negative effect to Adolescent Students.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law regarding SEPHZ should be more rigid than current status, simultaneously, youth leisure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so that students can use it more frequently and free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환경과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및 학업 중단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현행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와 관련 법령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본 뒤, 이에 대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지원청별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 현황 자료와 전국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학교알리미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음이항 분포를 따르는 종속변수의 분석에 적합한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HGLM)을 통하여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 개수와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가해자수 및 학업 중단자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의 수가 많아질수록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가해자수 및 학업 중단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주변의 유해환경과 학생들의 문제 행동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에 금지시설 및 업종이 진입할 경우 학생들에게 충분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의 심의 기준을 보다 엄격히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행위 및 시설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설치・운영을 규제하는 한편, 학교 차원의 교육과 함께, 학생들이 건전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역 사회 차원에서 청소년 문화・체육시설의 확충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