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황철원 ( Cher Won Hw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수준을 통계적으로 비교분석 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은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환경과목을 독립과목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대부분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비교결과 첫째, 미국과 한국 모두 환경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교과서 수업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양성하는 체험학습 및 기타 영상·컴퓨터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환경을 경험하는 기회와 그에 대한 포괄적인 배경을 제공하고, 다른 교과와 연결하여 이해시킴으로써, 미국지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만, 교과서 중심의 단순한 수업을 받고 있는 한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초·중·고 환경교육과정이 중핵 교육과정을 통한 통합적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rea, also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both Korean and American area in the stat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hows that Korean area conducts environmental education by adopting a separated education excepting the elementary school, while American area conducts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The results of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Korea and America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text book, but American a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extbooks as well as experience study, video and computer classes. Secondly, the education of American area gives student high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classes by offering various experiences, comprehensive backgrounds of environment and many chances that make students understand environment with other subjects, while Korean education did not offer satisfaction to students because the classes are mainly composed of the textbook. As a result, the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for environment are estimated to be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Korea needs to be converted into the inter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모색: 한국지리(7차개정시안)를 중심으로

        박선희 ( Seon Heui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지리 교육과정 중 삶의 질과 국토의 과제 단원 중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을 사례로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다문화교육은 여러 차원의 다문화교육의 노력 중에서 교과교육의 내용적 접근이다.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접근하기 위해 다문화사회를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지리교육에서 바라본 다문화사회는 경제적 세계화와 노동의 국제적 이동이라는 세계적 상황과 인구지리학적 특성, 지역불균형, 경제구조, 사회의식 등이 결부된 한국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지리교육은 다문화사회의 형성에 영향을 준 다양한 요소를 다루는 교과이며 세계적 규모에서 지역을 탐구한다. 지리교육은 전 지구상의 인간사회의 인종적, 문화적,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지리적 표현과 내용을 학습하는 교육이므로 세계화시대에 요구하는 다문화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매우 적합한 교과이다. 또한 지리교육은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시민성의 함양을 추구하고 있는 교과이기도 하다. 7차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교육을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적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경험적 연구도 매우 드물다.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지리교육의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때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p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to develop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ase of content which is about foreign workers immigration to South Korea. The case unit of this paper is "Qualities of life and problems of our country" in Korean geography curriculum. This paper is an approach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geographic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global and national contexts. The global contexts connect with globalization of econom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of labor. The national contexts a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the inequality of urban-rural, Korean`s 3D avoiding, etc.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 education has to include the contents which are required in globalization. Geographic education studies many regions in the world and researches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ethnic group, etc. Therefore, geography is a very proper and useful sub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관점 고찰 및 환경교육 과정 관점 제안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1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연구 관점은 환경교육과정이 분석되고, 환경교육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데 기여하는 등 환경교육의 흐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Robottom과 Hart(1993)의 환경교육 관점과 Lucas(1972)의 환경교육 영역(또는 목적)을 결합시킨 부분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obottom과 Hart가 제시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을 환경교육 측면에서 제시된 논의와 Habermas의 관점을 토대로 교육과정 측면에서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보다 나은 환경교 육과정 관점을 제안하였다. Habermas의 관점과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 즉 환경교육에서 실증주의 관점을 ‘환경에 대한 지식’으로, 해석주의 관점을 ‘환경 안에서 활동’으로, 사회비판주의 관점을 ‘환경을 위한 행위’로 규정하는 것은 환경교육 측면과 Habermas의 관심에 대한 측면에서 비춰볼 때, 적용 가능한 측면과 미세하나마 합당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각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관점이 Habermas의 관점과 환경교육에 기초하여 보다 명료화 또는 구체화될 필 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환경교육 과정에서 실증주의는 ‘환경과 관련된 과학적·명제적 지식 확증’, 해석주의는 ‘환경과 상호작 용에서 개인의 다양한 해석 및 언어적 상호작용 존중’, 사회비판주의는 ‘개인 또는 집단의 환경 정의 실현’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지식, 학습자, 사회 측면에서 환경교육 관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Ian Robottom and Paul Hart and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The author critically reviewed the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posed by Ian Robottom and Paul Hart (1993), and analyzed it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of Jurgen Harbermas (1971).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ed more deliberate distinctions among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E curriculum. 1) On posi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scientific or propositional knowledg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2) On interpre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various private interpretations in linguistic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3) On socially critical perspective, ‘that is toward the environmental justice personally or collectively’ is more appropriate “action ‘for the environment.’”

      • KCI등재

        외국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이선경,김희백 한국환경교육학회 1994 環境 敎育 Vol.6 No.1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된 총 논문의 수는 178 편이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매년 발표된 논문의 수는 20편 내외로 거의 비슷하나 1990년 이후에는 오히려 발표 논문수가 감소하고 있다. 2. 환경교육 연구에서 주로 연구에 참여하는 학자들은 환경교육 전문가들은 물론 교육학자, 과학자, 환경연구자, 정책결정자, 자연자원 연구자, 수학자, 과학 및 수학 교육 연구자, 사회 학자, 심리학자 등 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하였다. 3. 각 논문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혹은 조사 및 실험의 대상으로 삼은 집단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대상은 중 고생으로 전체 연구 대상 중 17.8%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이 일 반인(17.1%), 교사(17.1%), 대학생, 국민학생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또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나 캠프 등 환경교육 관련 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 구도 많았다. 4.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질문지법으로 101 편의 논문이 이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는 전체의 61.6%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문헌조사 18.3%, 면담법 11.6% 등으로 나타났으며, 관찰법을 사용한 논문도 7편(4.3%) 있었다. 5. 환경교육연구 형태는 조사연구가 가장 많아 76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전체의 42.7%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실험 연구 24 편(13.5%), 환경교육 프로그램이나 자료의 개발 연구가 18편(10.1%)의 순으로 나타냈다. 6. 환경교육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환경교육을 위한 전략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77 편의 논문(43.3%) 이 이에 속하였고, 그 다음이 인식, 태도, 지식 등을 조사한 것으로 49편 27.5%, 환경교육실태조사 24 편 13.5% 등이었다. 7. 환경교육연구의 성격에서 가창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 연구로 79편 44.4% 이었으며 , 그 다음이 정의적인 영역을 고려한 연구 45편 25.3%, 인지적인 영역을 고려한 연구 31편 17.4%로 나타냈다. 8. 이들 중 주제와 관련된 환경 대상은 일반적인 전체 환경을 주로 하였으며 (65.7%), 야생자연환경(7.9%), 에너지(4.5%), 자연자원(3.9%), 수질 (3.9%), 국립공원(3.4%) 등의 순으로 나타나 환경교육에서 다양한 환경대상에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로 부터 외국에서 수행원 환경교육 연구의 종류와 동향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환경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foreign countries, the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1984 to 1992 were analyz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the paper analyzed was 178 and the average numbers of paper published per year were similar. 2. Researchers' majors were various. 3. The major targets of the research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chool students. 4. Questionnaire was used in many researches and the main area of researches was strate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5. Major type of research was survey and the main area of researches was strate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6. The affective domain was highly concern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es.

      • KCI등재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장미정 ( Mee Jeong Jang ),윤순진 ( Sun Jin Y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결합한 것으로, 이 둘의 양면적, 통합적, 초월적 성격을 가지면서 둘 사이 긴장관계 또한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운동의 고유한 실재성을 이론적 논의를 통해 확인하고 문헌연구와 구술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운동이 고유의 정체성을 획득해가는 형성과정을 연대기별로 확인하였으며 환경교육과 환경운동의 관계설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첫째는 교육의 맥락에서 강한 가치지향성을 가지면서 교육과 운동의 통합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 운동은 환경교육이자 환경운동이다. 둘째는 운동의 맥락에서 환경교육을 환경운동의 효과적인 전략으로 선택하고 집중해가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의 한 방식이 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운동이나 환경교육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확장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삶 자체를 변화시키는 교육운동이다.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began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combined itself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it embraces the ambivalent, integrative and transcendental nature of both fields on one hand, and the tensions that exist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uniqu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through methods of theoretical discussion, literature review and oral history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s in Korea first formed their unique identity in 1990s and since 2000 have expanded and diversified their domain. Through this process of change, th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has diverged generally into three pattern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considered both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pursues the unification of education and a movement. As suc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enthusiastically pursues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ocial change.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one means of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has been chose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Final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not limited to the domain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xtends itself to education movements which make changes to life itself.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탐구의 개발

        이종원 ( Jongwon Lee ),성정원 ( Jeongwon Seo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의 목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한국지리 탐구의 방향과 내용체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지리 탐구는 쟁점과 이슈에 초점을 두고, 지리탐구를 강조하며, 진로와 실생활 경험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한국지리 탐구는 총 5개 대단원 및 15개의 성취기준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지리에 비해 약 46% 정도 축소된 수준이다. 한국지리 탐구에서는 공간정보 및 야외조사를 활용한 탐구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1단원을 통해 습득한 지리탐구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 상품의 소비를 통해 자신과 다른 지역의 관계(2단원),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의 맥락 속에서 서로 다른 지역들이 당면한 문제(3단원), 개발에 따른 국토환경의 변화와 자연재해(4단원),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 대한 지정학적 이슈(5단원)를 각각 조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direction and content system of the revised Korean Geography, which is ‘Korean Geography: An Inquiry Approach’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Korean Geography: An Inquiry Approach was designed to focus on issues and problems, inquiry-based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and real-life experiences. Korean Geography: An Inquiry Approach consists of a total of 5 units and 15 achievement standards, which is reduced by about 46% compared to the current Korean Geography. Korean Geography: An Inquiry Approach is characterized by inquiry using spatial data and geographical fieldwork. Based on the geographical inquiry skills acquired through unit 1, student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 regions through the consumption of products in daily life (unit 2), problems faced by different parts in the context of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extinction (unit 3),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development and natural disasters (Unit 4), and geopolitical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areas (Unit 5).

      • KCI등재

        생태시민성 관점에서의 환경교과 분석 -고등학교``환경과 녹색성장``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희경 ( Hee Kyung Kim ),신지혜 ( Ji Hye Shi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1

        환경 문제에 대한 궁극적인 대안으로 생태시민성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도래할 생태사회의 주역인 생태시민을 양성하는 역할은 환경교육이 담당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논문은 생태시민성을 파악하여 구성 요소를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우리나라 환경 교과에서 생태시민성을 얼마나,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는 환경교육에서의 생태시민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가능성을 탐색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의 주요 대상은 2009년 개정된 고등학교``환경과 녹색성장``의 교육과정과 인정 교과서 4종이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은 환경교육의 생태시민성 교육 시행의 합법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환경 교과서 역시 생태시민성의 요소들을 상당부분 갖추고 있었다. 특히 생태학적 지식, 개인 행위, 정의는 충분한 분량을 할애하고 충실하게 기술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 지식 및 정치 참여 기능, 연대는 부족했다. 또한 생태시 민성의 기반이 되는 공공선 추구 및 비호혜적 책임 역시 간과됐다. 이는 교과서가 생태시민성의 의미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생태시민성이 중요한 핵심 용어로 떠오르는 만큼, 환경교육은 생태시민성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생태시민성 교육을 보다 체계적이고, 균형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Citizenship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ultimate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training ecological citizens who will take the leading roles in the upcoming ecological socie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and to determine whether ecological citizenship is reflec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doing so,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uggests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swer this research questi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four different textbooks of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which were revised in 2009,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has generally recognized the legitimacy of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textbooks have considerably contain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ecological knowledge, individual behavior, and justice are explained enough(to an appropriate level) in the textbooks. On the other hand, political knowledge, skill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almost have not been referred to, but virtues like pursuing public good and non-reciprocal responsibility have been (entirely / largely) overlooked in the textbooks. This lack of some elements in the textbooks can be main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ignificance of ecological citizenship has not been given full consideration so far. As ecological citizenship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key terms, environmental education has to be more concerned about ecological citizenship. Also it is required to find the way for a systematic and balanced educat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습 경험과 환경교육 실천

        백종송,김찬국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learn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E) practices interact with each other by looking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teachers’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as dedicated EE practitioners. Based on the belief that teachers teach ‘what they believe’ and ‘what they know’, the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a teacher’s belief leads EE practices by providing the direction of EE practices, working as a driving force for learning, and helping to overcome obstacles in EE practices. Second,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teachers showed changes in forming perspectives on the environment, getting interests on the environment, build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the EE, acquiring instructional knowledge and becoming more matured citizen with high level of 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 Third, teachers’ learning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 and continu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develop themselves.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천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교사의 환경교육 실천과 관련된 배경으로 교사의 환경교육관과 학습 경험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사의 학습이 환경교육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환경교육을 활발하게 실천하는 초등교사 9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면담의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교과 교육과정이 제시되지 않은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은 교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실천 유형 역시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실천 유형을 환경감수성을 기르는 교육, 환경 쟁점을 이해하는 교육, 의사결정을 경험하는 교육, 개인의 실천을 이끄는 교육, 사회 변화에 참여하는 교육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환경교육을 이끄는 것은 교사의 신념이며, 교사의 환경교육 실천에는 환경교육관이 반영된다. 셋째, 교사의 생애 과정에서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학습은 교사가 되기 이전인 가정환경이나 학창시절부터 교사 양성과정인 대학교 교육, 현직 교사 시기의 대학원 진학, 워크숍 및 연수, 학습공동체 참여, 자기 주도적 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학습 경험은 환경교육 실천과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 교사가 ‘자신이 믿는 것’과 ‘자신이 아는 것’을 교육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환경교육관은 환경교육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거나 학습의 원동력, 환경교육 실천의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힘으로서 환경교육 실천을 이끈다. 교사는 학습을 통해 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며, 환경교육관을 형성하고,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습득하거나 환경시민으로 성장하는 등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교사의 학습과 교육 실천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서로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이어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