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The sharp change in production metho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volves large-scal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and it i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sponse, various fields are paying attention to ‘Sustainability’.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is satisfying the current demand while not threatening the things necessary for future generation and seeking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harmony of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and balance between current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 Although products applied with sustainability are produced in surface product design field, various products satisfying the customer needs are necessary. Thus, this study conduct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property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reflecting sustainability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lso, this study aimed on suggesting the utilization method as the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surface product design. For research method, this study carried out analysis on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material for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ncept of sustainability, examples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and design property.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basic statistics analysis and Likert Scale for an online survey and the result was derived by utilizing Excel.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182 questionnaires surveyed for a total of 7 days from November 29, 2018 to December 5, 2018. In order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the surface design of interior space that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human activity area, we divided the three attributes of sustainability into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hre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aesthetic, functional, and symbolic attributes in product design attributes. The survey result was as follows. When selecting th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subjects prioritized ‘environmental feature’ followed up by economic feasibility and sociality among the elements of sustainability. In design property, the subjects prioritized ‘function’ followed up by ‘esthetic feature’ and ‘symbolism’. In addition, among the 182 survey subjects, 104 subjects showed high interest in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while 124 subjects considered about changing to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within 3 years. For elements considered in selecting th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the subjects prioritized design followed up by quality, rise in space value, and sustain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hopes the survey result to contribute in developing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emphasizing environmental feature and functionality. In addition, as the customers show high interest in sustainability, the development and branding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will be the chance for strengthening the company’s design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 new market in related industry.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생산방식의 변화는 대량으로생산, 소비, 폐기하는 구조로서 지구의 자원의 고갈과환경의 오염을 야기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가능성이란 미래 세대의 필요한 것들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현재의 필요를 채우는 것이며 인간과 자연의공생, 개발과 보전의 조화, 현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형평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 되며, 서피스제품디자인 분야도 많은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제품이 생산되고 있지만, 소비자 니즈에 맞는 다양한 제품이 필요한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속성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지속가능성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 방향을제시함으로서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 시 참고 자료로활용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에 두었다. 연구방법은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사례, 디자인 속성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엑셀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18년 11월 29일부터 12월 5일까지 총7일간 조사되어진 18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연구하였다. 인간의 활동영역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실내공간의 서피스제품디자인에 대한 속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속가능성의 3가지 속성인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으로 나누어 각 속성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제품디자인의 속성에서도 심미성, 기능성, 상징성 세가지 속성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을 선택할 시 지속가능성의 요인 중 ‘환경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경제성과 사회성을 그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디자인 속성중 ‘기능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뒤이어 ‘심미성’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다음으로 ‘상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조사대상자182명 중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조사대상자는 104명, 향후 3년이내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으로 변화를 고려하는 조사대상자는 124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디자인, 품질, 공간의 가치상승, 지속가능성의 여부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여 향후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이 환경성을 강조하며 기능성이 갖춰진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이 활성화된다면 기업 디자인 경쟁력 강화와 관련 산업의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불어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매우 높으므로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을 새롭게 개발하고 제품을 브랜드 화 한다면 기업매출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지속가능성 단서들이 친환경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배준희,이응진,구동모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9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4

        지속가능성 라벨(sustainable label)은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와 소비를 활성 화시키기 위해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는 단서이다. 지속가능성 라벨 은 환경을 고려한 제품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을 목적으로 이를 위한 기준을 정한다. 미국 농림부의 정의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라벨의 주요 기능은 그 영향력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제로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환경적 질을 개선시킬 수 있 다. 둘째, 소비자의 인식이나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소비자의 실제 소비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셋째, 소비자의 소비행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생산자의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 기능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결국에는 지속가능성 라벨과 같은 환경적 단서들은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에 대해 판단하고 평가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러나 소비자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환경적 단서들을 이용한다 할지라도 그것을 판단하고 평 가할 때에,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에 의해 판단하므로 지속가능성 라벨의 기능이나 영향은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이 지속가능성 라벨 또는 단서들을 이용하여 어떻 게 평가하고 판단하는지는 친환경제품 회사들에게 있어서는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지속가능성 라벨이 부착된 친환경 제품은 환경 친화적이기 때 문에 품질에 비해 높은 가격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소비자들은 실제로 부착된 지속가 능성 라벨 기준에 그 제품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위험을 지각한다. 소비자들이 객관적인 정 보인 지속가능성 라벨을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지각된 위험은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개인적인 경험과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이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방 식과 경험적인 사고에 의존하는 경향성은 각자 다르다. 그러므로 의사결정의 연구영역에서 감정은 인간의 심리적 상태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제품이 환경 지향적인지 아닌지를 명확하게 분류한 다음 다른 제품과 비교하여 제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점이다. 환경 친화적 제품을 분류하는 방법 은 소비자가 제품 특성을 어떻게 분류하는 점에서 제품 평가의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개인의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환경 친화적 제품을 분류하는 것을 의 미하는 범주화 추론(categorization inference)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지속가능성 라벨을 이용한 의사결정의 검증한다. 범주화 추론은 소비자가 친환경적 제품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할 때, 그와 관련된 단서를 이용하여 제품을 스스로 분류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케팅 관리자들은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기존 지식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제품에 관한 범주화 가 용이하도록 소비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제품에 추적성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단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며 친환경 제품에 소비자 지식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지속가능성 라벨에 대한 의미를 인지하여 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때,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해준다. 실제로 이러한 지속가능성 라벨과 단서에 대한 연구에서 소비자의 환경적 지향성과 지속가능성 라벨의 친환경성은 특히 지속가능성 라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많은 지속가능성 라벨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책 임 있는 소비는 일정 수준의 소비자 지식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속가능성 라 벨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환경 라벨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에 거의 관심을 기 울이지 않았다. 또한 Harbaugh 등 은 지속가능성 라벨의 확산이 소비자에게 단순하게 제품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략으로 지속가능성 라벨의 가치를 떨어 뜨려 소비자의 불확 실성과 혼란을 증폭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교육의 수준이 지속가능성 라벨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적은 첫째, 지속가능성 라벨과 추적성 정보와의 상호작용이 친환경 제 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지속가능성 라벨과 소비자 지 식과의 상호작용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지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다. 마지 막으로 범주화 추론을 기반으로 이러한 관계를 이중적으로 매개하는 지각된 위험과 제품 효 능성(Product efficacy)의 효과를 검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라벨과 추석성, C소비자 지식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환 경 단서를 통해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을 어떻게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지에 제시한다. 또한, 그런 환경적 단서들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들의 심리적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선행연구에 대해 검토한 후 가설을 도출한다. 다음 으로 연구 1은 제품의 추적성의 정보의 유무에 따라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해서 실험한다. 연구2는 환경라벨과 소비자에게 인증 라벨링의 지식과의 상호작용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 점을 서술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의 지속가능성 요소 분석

        장석길(Seok-Gil Denver Jang),김태형(Tae-Hyoung Tommy G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5

        최근 도시의 주요 목표인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ICT 기반의 스마트도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 보호 등 스마트도시가 초래할 수 있는 지속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개념에서 다뤄지는 지속가능성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를 다룬 국내 연구보고서(17편)를 대상으로 적용 분야별(경제, 사회, 환경, 거버넌스, 인프라) 지속가능성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서울시)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도시 계획에 나타난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요소의 반영 여부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성 요소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도시모형에서 공통적인 목표로 나타나는 삶의 질 향상은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에서는 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도시경쟁력의 강화는 경제 분야에서 스마트 기술을 통한 지속가능성 제고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프라 분야의 지속가능성 요소는 기초서비스 제공, 통합플랫폼 구축, 공간구조 변화로, 스마트 기술을 바탕으로 나머지 네 분야의 지속가능성 요소의 실현을 위한 물리적, 시스템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ICT, the role of smart cities has gained attention as a pathway to achieving urban sustainability, a paramount objective of cities. In response, the concep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However, due to raised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smart cities (particularly, environmental protection), further discussion regarding the sustainability elements within the concep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has become required. Hence,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sustainability elements across domains (economy, society, environment, governance, and infrastructure) within 17 research reports on sustainable smart cities. Additionally, the study employed a case analysis of a local government’s smart city plan (Seoul), focusing on whether the plan actually addresses the sustainability elements through its projec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element rela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 shared objective in numerous city models, was primarily addressed within the social domain of sustainable smart cities. Also, the element of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found its focus within the economic domain,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to facilitate sustainability. Moreover, The elements of the infrastructure domain encompassed the provision of essential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latform, and the reconfiguration of spati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offering a physical and systemic basis for the remaining four domains, empowered by smart technologies.

      • 지속가능성 과학의 개념적 특성과 접근방법

        이기훈(Ki-Hoon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0 지속가능연구 Vol.1 No.1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연구가 주제 및 범위 등에 따라 인문학, 사회과학, 순수과학, 공학 등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짐에 따라, 학계가 직면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복잡성 및 다양성이 심화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남과 북의 문제에서 지속가능성 과학의 위치 및 역할, 그리고 기초학문과 응용학문 사이에서 지속가능성 과학의 위치 및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 과학이 다루어야 할 핵심 주제로 첫째, 사회-생태 시스템에 대한 과학적 이해, 둘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목표, 셋째, 지속가능성 추진 전략 및 실행,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 추진 전략 및 실행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접근방법을 문제해결 방식과 비판적 이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지속가능성 과학의 8개 구성분야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속가능성이 학계에 던지는 화두는 한 가지 학문분야가 아닌 다양한 학문범위에서 다제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통합적인 접근으로 현상파악 및 문제해결을 해 나가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given impacts o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way of integrat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to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becomes very complex and multi-faceted. Recently, the sustainability science is emerged as a new discipline to embrace sustainability. This paper posits sustainability science in the North and the South as well as in basic and applied research. As key research themes, scientific understanding on society-eco system, goals and objectives of sustainability, and sustainability implementing strategy, are addressed for future directions. In addition,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eory perspectives are applied to develop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of sustainability science. Finally, eight academic disciplines and areas of sustainability science are addressed.

      • KCI등재

        지속가능성 정당성 획득 노력에 미치는 지속가능성 성과, 이해관계자 압력, 기업 가시성의 영향

        김도윤(Doyoon Kim),이지연(Jeeyeon Lee),신동엽(Dongyoub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2

        이 논문은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제도적 담론이 확산됨에 따라 지속가능성 관련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하고 실증분석 한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이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에서 점차 확장되며 연구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경영 관련 활동들이 기업의 재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되거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지표화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반면,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제도주의 이론의 정당성 담론 관점에서, 기업이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정당성을 확보를 위한 기업의 노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요인들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제도화되며 확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주목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대한민국 시가총액 상장기업 중 지속가능성 관련 기업 활동에 대한 평가를 받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성과, 이해관계자 압력, 기업 가시성 세 가지 제도적 요인이 기업으로 하여금 지속가능성 정당성을 획득하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업가치가 어떻게 위 요인들이 지속가능성 정당성 획득 노력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성 성과가 낮고, 이해관계자 압력이 클수록, 산업 내 가시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지속가능성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제도적 담론들이 형성되고, 변화하고, 확산되는 가운데 이론적으로 어떤 제도적 요인, 기업 특성이 기업으로 하여금 정당성 획득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제도주의 이론과 지속가능성 연구의 영역 폭을 확장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factors that may affect a company’s efforts for the acquisition of legitimacy in terms of sustainability from an institutional theory perspective. Sustainability has rapidly been spreading and institutionalized at a global level. Previous studies on sustainability expand the literatur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s of corporate activities related to sustainability management on company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r discussed the measurements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build on the legitimacy discourse of institutional theory to analyze the factors that may affect company sustainability performances. We empirically analyze a data set of listed companies in Korea, 2014-2018 to assess whether and how sustainability performance, stakeholder pressures, and corporate visibility affect the efforts that each company makes to acquire legitimacy regarding its sustainability efforts. We also analyze whether and how these factors hav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es suggest that company efforts for the acquisition of legitimacy in sustainability are negatively affected by sustainability performance, and positively affected by stakeholder pressures and corporate vi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institutional theory and sustainability by showing which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motivate companies to work to acquire legitimacy in sustainability and also how companies respond differently to the same institutional pressures.

      • KCI등재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실천적 의미에 대한 연구

        변순용 ( Sun Yong Byun ),김나영 ( Na Young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3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규정하기 위해서, 지속가능성 개념의 등장 배경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지속가능성’과 ‘발전’ 개념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그 구분을 명확히 하도록 해 보았다. 이에 따라 발전을 보는 두 가지 패러다임을 비교하였는데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적인 시각이 그 바탕에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지속가능성이란 시간적 계속과 유지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그 시간 관련성은 더욱 명백하다. 그러므로 지속가능성의 시간 틀은 지속가능성을 현재 상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현 상태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하겠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은 존재, 존재의 본질, 시간, 생태적 관련성을 기본적인 요소로 갖는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은 이미 그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들을 고려해 보면, 지속가능성은 크게 자연, 인간, 사회, 경제라는 4 요소의 관계를 전제로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인간의 지속가능성, 사회의 지속가능성, 경제의 지속가능성이 서로 밀접하게 작용하면서 그 토대에 자연의 지속가능성이 위치하고 있는 개념구조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속가능성의 시간 틀은 지속가능성을 현재 상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현 상태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하겠다. 존재의 본질과 존재의 현상 사이의 관계에서 지속가능성은 현상의 유지까지 포함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며, 존재의 본질 그리고 존재 관계의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존재의 본질과 그 본질의 실현을 하고자 하는 존재의 속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존재론에 근거해서 생태적 지속가능성 개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판단은 존재의 비존재에 대한 우월성에 기초해있다. 인간 삶의 여러 측면에서 제기되는 지속가능성은 21세기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다양한 지속가능성의 가장 일반적인 공통점은 자연이나 생태계와의 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고, 이런 의미에서 환경윤리교육에서 지속가능성은 환경문제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당위적 요청들을 정당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The basic factor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re existence, nature of existence, time and ecological relevance. It is nothing but revealing the limits for us to discuss the sustainable society from the anthropocehtric viewpoint.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se discussions,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sustainanility can be discussed on the premise of relationship among the 4 factors at large, such as the nature, human beings, society and economy. In short, it shall be understood as a conceptional structure, on which the natural sustainability is located, as the human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and the economic sustainability are interacting closely. The meaning of time framework of sustainability vari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stainability is regarded as maintaining a present status, or a positive change in the present status. The sustainability in a relationship between a nature and phenomenon of existence would not include the maintaining present status, so it shall be focused on the nauture of existence and the relationship of existence. Based on the Aristotle`s ontology as to the nature of existence and the attribute which tries to realize the nature, the concept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shall be comprehended. And also, the value judgment as to the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superiority of existence over nonexistence. The sustaiability raised in many aspects of human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21st century. What the various sustainabilities have in common is that it has taken the relationships of nature or ecological system as the premise. For this reason, the sustainability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s expect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justifying the various and unavoidable requests raised in environmental ethics.

      • KCI등재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지속가능성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한유성,한상일,백소연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7

        지속가능성은 20세기 후반 이후 범지구적으로 추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로 부상했으며 제 4차산업혁명 등에의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실무와 학문연구 모두에서 많은 관심을 얻었다. 이러한 관심은 민간영역뿐만 아니라 공공영역에서도 확대되고 있으나 각 영역의 지속가능성 연구 경향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총 489개의 국내 학술 논문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식으로 분석하여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지속가능성 연구 경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써, 두 영역 연구의 공통점은2010년부터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지속가능성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 가치와사회적 책임이 주된 연구주제가 되었으나, 환경적 측면은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두 영역 모두 질적, 양적, 혼합 연구방식을 두루 사용하였다. 차이점으로는, 민간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가공공기관의 경우보다 일찍 시작되었고 민간기업 연구 초창기에는 지속가능성의 경제․사회․환경 측면중에서 경제적 측면에 관한 연구가 두드러졌으나 점차 사회적 기업가 정신 등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측면에대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다양한 유형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많은 수의 논문들이 다양한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반면 공공기관의 지속가능성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측면을 주로 다루었으나 존속가능성, 인적자원관리등의 다양한 주제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결과는 민간기업은 공공기관의 공공성을, 공공기관은민간기업의 경제성을 서로 수용함에 따라 두 섹터의 지속가능성 개념이 수렴하는 현상을 반영하며 양 섹터모두 지속가능성과 ESG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성 연구개발비지출과 지속가능성 성과 및 재무성과 간의 관계

        송신근(Sin-Geun S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개발비지출이 지속가능성 성과와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가능성 성과가 다시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을 위해 연구개발비지출을 지속가능성 성과 분류에 따라 3가지 목적의 연구개발비지출로 분류하였으며, 지속가능성 성과는 경제성과, 사회성과, 환경성과로 분류하였고, 재무성과는 최근 3년간의 목표대비 재무성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비지출과 지속가능성 성과 및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총연구개발비지출이 사회·환경성과와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 지속가능성 성과목적별 연구개발비지출 중에서는 환경성과 목적의 연구개발비지출만 3가지의 지속가능성 성과와 재무성과 모두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속가능성 성과는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분석에서는 BCG 제품라이프사이클 각 단계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개발비지출이 지속가능성 성과와 재무성과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개발비지출이 필요하며, 그러한 경우 지속가능성 성과와 재무성과가 개선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소비자들로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무성과 향상을 통한 주주부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므로 연구개발비지출에 있어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연구개발비지출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R&D) expenditure on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otal R&D expenditure positively impacts social-environment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also sustainability in turn positively impacts financial performance. Only R&D expenditure on environment sustain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ree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R&D expenditure on sustainability on the stage of the product life cycle of BCG deferentially impacts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irm needs to consider R&D expenditure on sustainability for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because R&D expenditure on sustainability improves the imag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irm and the wealth of stockholders.

      • KCI등재

        지속가능성 연구개발비지출과 지속가능 성과의 성공요인

        송신근(Song Sin-ge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70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경영을 통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성장 성공요인이 지속가능성 연구개발비지출, 지속가능성 성과 및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분석에 있다.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는 지속가능성장 성공요인으로서의 연구개발역량, 전략기획역량, 경영자역량 및 정부지원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지속가능성 연구개발비지출, 지속가능성 성과 및 재무성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성 연구개발비지출에는 정부지원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지속가능성성과 중 경제사회성과에는 전략기획역량, 경영자역량 및 정부지원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 환경성과에는 전략기획역량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인 재무성과에는 연구개발역량과 전략기획역량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연구개발비지출의 증대를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연구개발과 관련한 정부의 자금, 세제 등 다양한 연구개발 지원정책이 중요하며, 지속가능 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R&D활동과 관련한 계획과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업의 전략기획역량과 전문지식 습득과 전략수립 등에의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 등 경영자역량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uccessful factors affecting sustainable research and development(R&D) expenditure,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 support positively impacts sustainable research and development(R&D) expenditure, and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CEO capability, and government support positively impact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positively impacts environment sustainability. And also R&D capability and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positively impacted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firms need to give their efforts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strategic planning capability and CEO capability in internal and government support in external are very important.

      • KCI등재

        지속가능성 지표 비교평가

        강성철(姜成哲),문경주(文景柱),김도엽(金度曄)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그 의미와 역할이 보다 강조되고 있는 ‘부산의제 21’의 적정성 여부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부산의제의 새로운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의 지방정부들이 채택하고 있는 지방의제 21의 내용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지속가능성에 관한 사례연구들을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성의 분야가 환경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 대부분의 지방의제들이 대분야와 소분야로 구분되어 있다는 점, 지속가능성의 각 분야가 추구해야 할 의제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 각 분야별 지속가능성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측정지표들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와 평가결과를 환류하여 시정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 등이었다. 그러므로 부산의제의 경우도 기존의 지속가능성 분야를 포함한 경제분야로의 확대가 요구되며,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와 그 결과를 환류하여 부산의제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Busan Agenda 21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by examining whether i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region’s sustainability.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Busan Agenda 21 with its counterparts including the Local Agenda 21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by focusing on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Through comparisons made among the three Local Agendas, this study found following: First, the term of sustainability extended its fields gradually from an environmental one to various other ones. Second, most Local Agenda 21swere divided into two fields: large and small ones. Third, each field of sustainability presented its own agenda to pursue. Fourth, integrated and concrete indicators were adopted in order to evaluate sustainability. Fifth, the feedback from periodically estimating the state of a region’s sustainability was considered by administrative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usan Agenda 21 should expand its fields to economic sustainability and be equipped with advanced strategies for the region’s sustainability. It can do this by reflecting the feedback from routine evaluations and administrativ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