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 탐구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교육은 주당 1시간 교과이며 초등 교사가 전 교과를 가르치고 있기에,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나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 도덕교육의 정체성이나 지향점에 관한 탐구는 학교 도덕교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가능하다. 이에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 ‘통합적 인격’과 ‘도덕적 실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검토하여 재정립하고, 이것을 초등 도덕교육에서 구체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only one hour per week,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eaching all subjects. So it is necessary t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 be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directly affects school moral education.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vealed in the course of moral education lies in 'integrated character' and 'moral practice'. After review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reestablishing them,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ualize the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향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차 자료로서 초등 교사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료이다. 또 장차 교단에 서고자 준비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자료이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의 중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2007년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4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를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의 해설 부분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도서에서 제재의 구성과 수업 계획이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한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양식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차시 교수·학습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a first resource material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when they are going to study about teaching- learning in moeal educaion. Also many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 We may find some desirable developmental points of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from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2007 year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quality on explanation of the unit. Second, we ought to structure and lesson plan of unit in order to help the class lesson practically.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plan. Fourth, we must to develop the lesson plan, so teachers can know the flow about period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김형주 ( Hyeongjoo Kim ),변순용 ( Byun Sun-yong ),김민수 ( Kim Min-s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연구는 독일의 초등 도덕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의 도덕과 교육 및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독일의 초등학교에 실제 적용되고 도덕과 교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현재까지 독일 초등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넬슨(Cornelson), 클레트(Klett), 밀리츠케(Militzke)출판사의 교과서들이다. 이 교과서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는 독일 초등 도덕과 교과의 내용 구성 원리 및 성취 능력 목표를 귀납적으로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우선, 독일의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네 가지의 범주 영역을 근간으로 되어 있음을 밝힌다. 네 가지 범주 영역은 첫째, ‘자아에 대한 반성과 이해’, 둘째, ‘나와 공동체의 관계’, 셋째, ‘역사와 문화’, 넷째, ‘환경과 자연 혹은 세계’이다. 다음으로, 각 범주 영역을 바탕으로 3가지의 성취 능력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이 드러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러한 독일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의 특성을 우리는 ‘가치 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이라는 말로 함축하고, 이 모델이 ‘가치관계 확장 모델’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결론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Germany.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and textbooks in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textbooks that a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in Germany, analyzes contents of textbooks and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ese analyzes, we will derive the meaning of the content and editori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ity and textbooks in Germany. In our content analysis research, our core research achievements are twofold. One of them is that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hunt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elf’ ; second, ‘relationship with community’ ; third, ‘history and culture’ ; and fourth, ‘environment and nature or world’. The other is that the goal or ability of education based on this content converges to three. The three abilities are ‘conceptualization ability’, ‘text analysis ability’, and ‘reflection and judgment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positively evaluate and uti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ositively, we summarize it from four viewpoints of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oral textbooks.

      • KCI등재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전략 탐색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은 개인의 덕 함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인지, 정의, 행동적 도덕성 함양을 도모하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계획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적 계획은 도덕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위한 전략으로 구체화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면,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는 개인의 덕 함양을 통해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겨냥하고 있고, 교육 내용은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여러 덕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부록을 통해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 조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덕과 교수-학습 전략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전략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탐구와 공동체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탐구 공동체 접근을 보완적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us communal life that aims at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quires to cultivate personal virtues and creates morality of school community. In view of th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plans to rais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morality of the individual and build school and classroom into moral community. These moral educational plans is embodied in strategies for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of moral subject. By analyzing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teacher`s guideboo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could be found. First, educational goals of moral subject aim at harmonious communal life through cultivating personal virtue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are composed of the important virtues for harmonious communal life. Third, teacher`s guidebook presents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ur, strategies for building of moral community in the school and classroom is presented in the supplement of teacher`s guidebook. But insufficiency is found in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r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approach of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mentary strategy considering at the same time inquiry and community to cultivate th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 탐구: 액션 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6

        전통적으로 덕목주의 도덕교육은 ``덕목``의 필요성을 전제하고 덕을 교육하는 것이다.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은 18개 덕목을 중심으로 내용체계가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에는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이 덕목들을 선정하였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기준과 준거는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초등도덕과교육1`` 강좌에 액션 러닝을 적용하여, 오늘날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넓은 의미의 덕목]``과 그 근거는 무엇이며, 이를 위해 어떻게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이 주제는 초등학교 도덕교과에서 어떤 덕목들이 교육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필자가 제시한 가설 형식에 의거하여 예비교사들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에 필요한 도덕성[덕목]을 선정하고 그 근거를 설정한 후, 한국사회의 도덕성을 진단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이 이 수업의 핵심 내용이다. 필자는 학생들이 탐구한 내용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도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고, 결론에서는 앞으로의 덕목주의 도덕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해 보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orality that korean society requires. I gave lecture on the name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with for the good moral lesson as its theme applying action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he important methods of the action learning are team playing, solving the given task, and linking the practical question. I planned two grounds in my lecture for this aim. This study consists of contents that my students search the morality that korean society is needed in the first ground during first semester. 18 virtues are in contents of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basic research on virtues approach teaching,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rality on the viewpoint of preliminary teachers search for that korean society need to have in mind. The research process are three, building a hypothesis, proving a hypothesis, and drawing a conclusion from this process. In conclusion, I suggested virtue that moral education have to teach for the coming future society.

      • KCI등재후보

        ‘행위 중심도덕 교과서 구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 전통 예(禮)교육에 기초하여

        김재식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06 초등도덕교육 Vol.22 No.-

        Paradigm shift of the moral textbooks constitution centered on 'action' in elementary school. - based on the traditional decorums education -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의 도덕적 습관화의 문제를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초등 도덕교과서 개발을 통해 해결의 단초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교과로서 도덕과 교육은 일반 도덕교육과 차별화되어야 하고, 도덕 교과서 내용 구성이 체계적이고 위계적이어야 한다. 특히 아동의 건전한 도덕성 함양을 위해 초등 도덕과 교육은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 교육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된다. 이를 위해 앞으로의 초등 도덕과 교육은 현행 덕목 교육적 접근을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덕 교육적 접근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즉, 현행 도덕과 교육에서처럼 미리 덕목을 선정하고 내면화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전통 예 교육에서처럼 예 교육을 통해 도덕적행동을 습관화시킴으로써 도덕적 덕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도덕과 교과서를 전통 예 교육에 기초한 행동 중심의 도덕 교과서로 구성함으로써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고히 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덕목교육, 습관의 형성, 예, 전통 예(덕) 교육.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도덕과와 사회과의 정치교육 내용의 비교에 관한 연구

        이범웅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Since the foundation of Korea, its political education has been done by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of the fact, it is very important to compare the political education done by moral education with that by social studies education to find out the roles of each subject and the identity of political education. Firstly, this paper, therefore, is going to consider the meanings and goals of political education first, and then its necessity through prior researches. Secondly, this paper is going to examine how polit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by both sides has been changed. Thirdly to check if the political education by them is different or not. Lastly, this paper is going to try to find out the desirabl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by the moral education part and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part and the desirable role allotments of both sides. 건국 이래 우리나라는 도덕과와 사회과에서 정치교육을 실시하여 왔다. 그동안 초등학교 도덕과와 사회과에서 다루어진 정치교육의 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양교과의 역할 분담과 교과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먼저 정치교육의 의미와 목표 그리고 필요성 등을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해볼 것이다. 둘째로 초등학교의 도덕과와 사회과에서 실시해온 정치교육의 내용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로 양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초등학교 정치교육의 내용을 비교해볼 것이다. 끝으로 양교과에서 실시한 정치교육 내용의 적합성과 향후 영역 분담의 바람직한 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 주제발표 : 초등도덕과 수업에서 상상(imagination)의 의의: 도덕언어게임Ⅱ의 성립

        박영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본 연구는 2011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이론에 비추어 본 초등도덕과 수업``이라는 발표문(이하 도덕언어게임Ⅰ)의 후속 연구물이다. 도덕언어게임Ⅰ은 초등학교 도덕과의 주요한 수업 방법인 ``교사의 모범과 학생의 모방``을 통한 도덕성 함양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토론자들은 의해,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에는``효율성``의 문제와``(학생 발달 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은 ``사실을 표현하는 언어``만으로 도덕과 수업을 진행하려는 시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언어의 새로운 용법을 적용하여 도덕언어게 임Ⅱ를 구안하려고 한다. 도덕언어게임Ⅱ에서 선보일 새로운 언어의 용법은 상상 (imagination)을 표현하는 언어이다. 이 상상을 표현하는 언어의 용법은 사실을 통해 사실 이면에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사유를 확인하는 작업을 말한다. 그리고 그 사유에 의해 자신의 삶이 조망되어 현재 자신의 삶을 깊이 성찰하는 수업 방법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도덕언어게임Ⅰ이 사실만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국한된 기법이라면 상상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은 사실의 언어표현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사유를 인식하는 작업을 통해 가치의 세계를 드러내는 수업 방안인 것이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n the statement of ``elementary moral subject lesson in light of the language theory of Wittenstein`` (hereafter, Moral Language Game I) that was presented at 2011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Summer Symposium. The purpose of Moral Language Game I was to logically explain the morality cultivation through ``example of teacher and emulation of students`` which is a major lesson method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However, debaters presented an opinion that the issue of ``efficiency`` and the issue of ``appropriateness of students`` developmental level` need to be solved in order to apply it in actual lesson. The fundamental cause of such issues can be seen as having resulted from an attempt to conduct moral subject education lesson only using ``language expressing only facts``. That is the reason for seeking to develop Moral Language Game II by applying new usage of language. A new usage of language that will be introduced in Moral Language Game II is language of expressing imagination. This usage of language that expresses imagination refers to the task of identifying reason of prior existence on the other side of fact through fact. In other words, the technique in which language expression of imagination has been applied can be seen as a way to help understand value by adding the task of recognizing cause that inevitably follow in language expression of fact, whereas the existing Moral Language Game I is a technique limited to the proposition of language expression of only facts.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로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가 학생들의 도덕성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것이 초등학교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어떠한 시사를 줄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과 인격의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예를 플라톤의 대화편들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생각과 말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소크라테스는 학생들의 도덕성이 바람직하게 변화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 동안에 인지적 도덕성 정의적 도덕성 행위적 도덕성이 혼연일체가 되어 학생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는 진정한 도덕성의 교수 학습은 일주일에 시간의 도덕 수업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 모두 매일 전심전력으로 몰두하여 공부하고 그러한 정신으로 일상생활을 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즉 교사와 학생은 그들의 모든 삶을 통해서 도덕적 사고를 하고 대화를 할 때 이 일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정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관을 불가피하게 받아들여 초등학교 도덕과의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Socratic view of education to find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a revis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have been raised. Especially, there are two problems. The first is the insufficiency of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econd is the in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Socrates develops people`s morality effectively for their lives of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rates makes every educational effort in fostering good persons through the dialogue to examine people`s thought and action in everyday lif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o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Lo provide more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Second, Socrates analyzes the core of the interlocutor`s belief for the 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As the result. the interlocutor finds his false-consciousness and acquires the right moral knowledg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e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accept the method of Socratic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In pursuit of the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accept Socratic view of education in a now 81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